KR200457711Y1 -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11Y1
KR200457711Y1 KR2020110009004U KR20110009004U KR200457711Y1 KR 200457711 Y1 KR200457711 Y1 KR 200457711Y1 KR 2020110009004 U KR2020110009004 U KR 2020110009004U KR 20110009004 U KR20110009004 U KR 20110009004U KR 200457711 Y1 KR200457711 Y1 KR 200457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rotrusion
mobile terminal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선
Original Assignee
최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선 filed Critical 최윤선
Priority to KR2020110009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돌출부;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부로 개방되어,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상기 삽입부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이 몸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자체 오염방지 또는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휴대단말기 등의 청소에도 이용 가능하며 악세서리로도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Apparatus for proteceting Earphone-Connecting-Socket of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오염방지 또는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휴대단말기 등의 청소에도 이용 가능하며 악세서리로도 활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이어폰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이어폰 접속구의 오염 등을 막기 위한 장치이다.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의 오염 등을 막기 위한 보호구와 관련하여, 종래 대한민국 특허 제10-0650676호(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 포트 보호장치), 공개특허 제10-2006-0124050호(플러그 커버 구조, 이어폰 잭 및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은 주로 보호구가 휴대 단말기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이어서, 일반적으로 이어폰 접속구가 개방된 상태가 선호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는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또는 마개) 자체의 오염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더욱이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자체의 사용 편리성에 대한 고려 역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0650676호 2006.11.30, 도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4050호 2006.12.5, 도 2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체 오염방지가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돌출부;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부로 개방되어,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상기 삽입부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이 몸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납부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는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나사산 형상이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골이 상기 수납부의 관통공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납부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수납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일단이 상기 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개방된 관통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유체가 수용가능하고, 상기 파지부는 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압축시 상기 관통로를 통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상기 수납부의 본체 표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상기 파지부는 동물 또는 인간의 머리 형상이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각각 동물 또는 인간의 귀 형상이며, 상기 수납부는 동물 또는 인간의 몸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 몸체에는 표면에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동물 또는 인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팔 또는 다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동물은 토끼, 곰, 또는 호랑이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자체 오염방지 또는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휴대단말기 등의 청소에도 이용 가능하며 악세서리로도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를 수납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결합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삽입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수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변형예의 AA'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파지부와 삽입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의 BB'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를 수납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결합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능한 통신수단을 의미하고, '이어폰 접속구'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이어폰을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를 의미하며, 상기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는 상기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의 오염 등을 막을 수 있는 도구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200)의 이어폰 접속구(210)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10), 상기 삽입부(10)의 일단에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20), 상기 파지부(20)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30), 상기 파지부(20)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3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돌출부(40),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부로 개방되어,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상기 삽입부(10)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53)이 몸체(51)에 형성된 수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0) 및/또는 상기 파지부(20)는 천연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파지부(2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파지부(20)보다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또는 합성수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50)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 접속구(210)에 삽입됨으로써,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210)가 오염되는 것 등을 막아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통공(53)을 통하여 끼움식 내지 강제 끼움식으로 삽입부(1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삽입부(10)가 용이하게 수납부(50)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부(10)를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부로 개방된 관통공(53)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일단을 통해 삽입부를 삽입시 타단을 통해 공기는 배출되게 되어, 압축공기 등에 의해 발생 가능한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탈시에는 타단을 통해 공기가 들어오게 되어 용이하게 이탈이 가능하다.
더욱이, 관통공(53)에 삽입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관통공(53)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부(10) 말단을 관찰할 수 있어, 수납 상태에서도 삽입부(10)의 오염 여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오염시 오염된 부분의 세척이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수납부(50)의 관통공(53)에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이 외부로 노출, 바람직하게는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오염여부 등을 더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삽입부(10)의 오염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오염시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이어폰 삽입부(210)의 2차 오염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부(50)의 관통공(53)에 삽입부(10)를 수납함으로써, 삽입부(10)의 말단이 오염된 경우라도 수납부(50)의 오염은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삽입부(10)를 수납하는 수납부(50)가 말단이 폐쇄된 구조가 아니므로, 삽입부(10)의 말단이 오염되더라도 오염물질이 수납부(50)에 잔류하지 않게 되어 오염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30)와 상기 제2돌출부(40)는 파지부(20)를 보조하는 보조 파지부의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1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삽입부(10)를 수납부(50)에서 이탈시 한 손으로 제1돌출부(30) 및/또는 제2돌출부(4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수납부(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대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파지부(20)를 기준으로 삽입부(10)와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돌출부(30)와 제2돌출부(40)는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파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제1돌출부(30)와 제2돌출부(40) 각각에 대해 파지가 가능하여 파지면적을 늘려주고, 파지의 편의성을 제공해 준다. 또한, 삽입부(10)를 수납부(50)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 제1돌출부(30)와 제2돌출부(40) 각각에 대해 번갈아 힘을 주는 방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부(10)는 표면에 돌기(15), 바람직하게는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에 의해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에 삽입시 접속구 내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10)는 측면이 말단을 향해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삽입과 이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삽입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와 도 6은 수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수납부(50)의 배면이 전면을 향한 상태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수납부(50)에 대한 AA'단면도이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되는 나사골(54)은 도 4에 도시된 나사산 형상의 삽입부 돌기(1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삽입부(10)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15)는 나사산 형상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골(54)이 수납부(50)의 관통공(53)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수납부(50)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수납이 가능하다.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삽입부(10)를 관통공(53)에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며, 이탈 역시 용이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삽입부의 변형예는 수납부(50)의 본체(51) 표면에 형성되어, 끈(70)이 관통가능한 고리부(60)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끈(70)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휴대단말기에 연결하여 휴대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악세서리로 활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파지부와 삽입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의 BB'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중 파지부와 삽입부의 변형예에서 상기 파지부(20)는 공간(27)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0)는 일단이 상기 공간(27)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개방된 관통로(1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27)에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수용가능하고, 상기 파지부(20)는 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압축시 상기 관통로(17)를 통해 공기와 같은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상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파지부(20)가 토끼와 같은 동물의 머리 형상이고, 제1돌출부(30)와 제2돌출부(40)는 각각 토끼와 같은 동물의 귀 형상이며, 수납부(50)는 토끼와 같은 동물의 몸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물의 형상으로 도 1 내지 8에는 토끼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곰 또는 호랑이 등 모든 동물 외에 인간도 포함한다.
또한, 수납부(50)의 몸체(51)에는 표면에 돌출된 연장부(55, 57, 58, 5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55, 57, 58, 59)는 동물 또는 인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팔, 또는 다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납부(50)로부터 삽입부(10)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 몸체(51) 이외에 연장부(55, 57, 58, 59)를 파지하고 힘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물 또는 인간의 머리, 귀, 몸통, 팔, 또는 다리 등의 형상은 실제 자연의 형상 뿐만 아니라 캐릭터 형상 등 동물 또는 인간의 전체 또는 일부로 인식되는 형상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증가시켜 활용성을 촉진하는 결과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악세서리로써의 활용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목재, 금속, 천연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공지의 조각, 사출 파지부(20)와 삽입부(10)의 재질이 상이한 경우 이중 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파지부(20), 삽입부(10), 수납부(50) 각각을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도 제조할 수 있다. 삽입부(10)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에 삽입시 휴대단말기에 전기적 영향을 주지 않아 본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10: 삽입부 15: 돌기
17: 관통로 20: 파지부
30: 제1돌출부 40: 제2돌출부
50: 수납부 51: 몸체
53: 관통공 54: 나사골
55, 57, 58, 59: 연장부 60: 고리부
70: 끈 100: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200: 휴대단말기 210: 휴대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Claims (13)

  1.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봉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돌출부;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부로 개방되어, 일단 또는 타단을 통해 상기 삽입부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이 몸체에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납부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측벽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의 돌기인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나사산 형상이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골이 상기 수납부의 관통공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납부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수납가능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일단이 상기 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개방된 관통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유체가 수용가능하고, 상기 파지부는 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압축시 상기 관통로를 통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본체 표면에 형성되어, 끈이 관통가능한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동물 또는 인간의 머리 형상이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각각 동물 또는 인간의 귀 형상이며, 상기 수납부는 동물 또는 인간의 몸통 형상인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몸체에는 표면에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동물 또는 인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팔 또는 다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상인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토끼, 곰, 또는 호랑이 중에서 선택된 것인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KR2020110009004U 2011-10-10 2011-10-10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KR200457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04U KR200457711Y1 (ko) 2011-10-10 2011-10-10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04U KR200457711Y1 (ko) 2011-10-10 2011-10-10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711Y1 true KR200457711Y1 (ko) 2012-01-02

Family

ID=4584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004U KR200457711Y1 (ko) 2011-10-10 2011-10-10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11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45Y1 (ko) * 2012-04-23 2012-06-12 김일호 이어캡 구조체
KR200461724Y1 (ko) 2012-05-15 2012-08-01 송준용 이어폰잭용 액세서리
KR200464620Y1 (ko) * 2012-09-14 2013-01-15 이수민 이어폰 홀의 보호 마개형 교통카드
KR200467049Y1 (ko) * 2012-03-05 2013-05-30 (주)중앙티앤씨 터치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커넥터 보호구
WO2013133457A1 (ko) * 2012-03-05 2013-09-12 (주)중앙티앤씨 터치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커넥터 보호구
KR200470435Y1 (ko) 2012-03-27 2013-12-13 최순성 핸드폰용 악세사리 고정구
KR101367768B1 (ko) 2012-11-16 2014-03-25 이다슬 휴대단말기 액세서리
WO2014109764A1 (en) * 2013-01-09 2014-07-17 Park Moana Multifunction accessory
WO2015060530A1 (ko) * 2013-10-22 2015-04-30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이어플러그 및 이러한 이어플러그가 구비된 액세서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389A (ko) * 1999-07-01 2002-03-20 마이클 골위저, 호레스트 쉐퍼 집적 반도체 구조물 내에 규화된 폴리실리콘 콘택을제조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389A (ko) * 1999-07-01 2002-03-20 마이클 골위저, 호레스트 쉐퍼 집적 반도체 구조물 내에 규화된 폴리실리콘 콘택을제조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49Y1 (ko) * 2012-03-05 2013-05-30 (주)중앙티앤씨 터치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커넥터 보호구
WO2013133457A1 (ko) * 2012-03-05 2013-09-12 (주)중앙티앤씨 터치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이어폰 커넥터 보호구
KR200470435Y1 (ko) 2012-03-27 2013-12-13 최순성 핸드폰용 악세사리 고정구
KR200460945Y1 (ko) * 2012-04-23 2012-06-12 김일호 이어캡 구조체
KR200461724Y1 (ko) 2012-05-15 2012-08-01 송준용 이어폰잭용 액세서리
KR200464620Y1 (ko) * 2012-09-14 2013-01-15 이수민 이어폰 홀의 보호 마개형 교통카드
KR101367768B1 (ko) 2012-11-16 2014-03-25 이다슬 휴대단말기 액세서리
WO2014109764A1 (en) * 2013-01-09 2014-07-17 Park Moana Multifunction accessory
WO2015060530A1 (ko) * 2013-10-22 2015-04-30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이어플러그 및 이러한 이어플러그가 구비된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711Y1 (ko) 휴대 단말기 이어폰 접속구 보호구
US10485268B2 (en) Electronic smoking device
US9564941B2 (en) Accessory for prot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L1635100T3 (pl) Urządzenie przepustowe
KR200453913Y1 (ko) 휴대용 기기의 소켓 보호커버
ATE418887T1 (de) Tragbare wasserdichte vorrichtung
WO200508923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placing bulb of push-button type electrical switch
US20190299391A1 (en) Insulated screwdriver
KR20110002938U (ko) 충전용배터리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N218630652U (zh) 一种束线效果好的计算机机箱
WO2013012239A3 (ko)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JP6132394B2 (ja) 筆記具キャップ及び筆記具ホルダー
JP3422488B2 (ja) プラグ用防水カバー及びその防水カバーの装着用ガイド、並びにプラグ用防水カバーの装着方法
JP317586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JP2016082726A (ja) 間接活線用直線スリーブ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80004451U (ko) 슬라이드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CN206180280U (zh) 一种墙壁插座
CN205533946U (zh) 一种用于汽油锯的减震装置
KR101214605B1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200281446Y1 (ko) 콘센트 보호 커버
CN206388937U (zh) 电源线收纳盒
US10800016B2 (en) Tool for install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tubing around wires
KR20140004185U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커플러
CN206116814U (zh) 便携式一体usb短线
WO2017156936A1 (zh) 手机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