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543Y1 - a cooking canteen - Google Patents

a cooking cant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543Y1
KR200457543Y1 KR2020100004040U KR20100004040U KR200457543Y1 KR 200457543 Y1 KR200457543 Y1 KR 200457543Y1 KR 2020100004040 U KR2020100004040 U KR 2020100004040U KR 20100004040 U KR20100004040 U KR 20100004040U KR 200457543 Y1 KR200457543 Y1 KR 200457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container
tongs
foo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8355U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2020100004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43Y1/en
Publication of KR20110008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5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4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용기의 안에 내외부면이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내부용기를 집어넣어 요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용기의 측면에는 운반통공을 형성시키며, 운반통공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집게를 위쪽에서 집어넣어서 내부용기의 운반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각종 솥이나 냄비 등의 외부용기 내에 내부용기를 넣어서 2가지 이상의 음식물을 동시에 익히는 경우에, 뜨겁고 증기가 발생되는 외부용기 안에서 내부용기를 꺼낼 때 미끄럽고 집을 부분이 마땅치 않은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떨어트릴 위험성이 적어지며, 손이나 팔이 뜨거운 내부용기에 닿아서 데일 위험성도 적어지며, 단열장갑이나 행주로 내부용기를 꺼낼 때 음식물에 닿을 가능성이 적어 위생적이다.
또한 내부용기의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에도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아서 음식물을 떼어내고 식탁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을 해소시켜 준다.
본원출원은 전통적인 좋은 요리기법이 사장되는 이유를 해소시킨 것으로서, 위생적이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양한 요리기법의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부가하여, 효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부면과 측면에 작은 음식물 유통구를 형성시킨 내부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덩어리는 유통되지 않되 색, 향, 맛, 영양 성분만 상호 유통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는 조리용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utensil hav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put an inner container having an inner and outer surface anti-stick coating layer in the outer container and to cook, and to a side of the inner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Forming the through-holes, the tongs formed in the through-holes to insert the tongs from the top to enable the transport of the inner container.
Thi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slippery and unpleasant parts when taking out the inner container in a hot and steam-producing outer container by putting the inner container in an outer container such as various pots or pot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risk of dropping is less, the risk of dale because the hand or arm touches the hot inner container is less, it is hygienic because it is less likely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ood when removing the inner container with insulating gloves or cloth.
In addition, the food does not stick to the inside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and risk of having to remove the food and put it on the table.
The present application solves the reason why traditional good cooking techniques are dead, so that they can be used hygienically, conveniently and safely, and also various application of cooking techniques is possib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electing and using an inner container having a small food outlet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id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the mass is not distributed but only the color, flavor, taste, and nutritional ingredients are mutually distributed. This relates to a cooking utensil.

Description

조리용구{a cooking canteen}Cooking utensils {a cooking canteen}

본 고안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용기의 안에 내외부면이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내부용기를 집어넣어 요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에는 운반통공을 형성시키며, 운반통공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집게를 위쪽에서 집어넣어서 내부용기의 운반을 가능케 하는 솥 또는 냄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utensil hav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oking utensil can be put in and cooked by inserting an inner container with an anti-stick coating layer on the outer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or pot for forming a carrying through hole and allowing the carrying of the inner container by inserting a tong formed in the carrying through hole from the top.

주방에서 사용하는 그릇(이하 내부용기)들 중 하나를 그보다 큰 솥이나 냄비 등의 안에 넣고 두 가지 이상의 음식물을 같이 요리하는 방식은 오랜 세월동안 사용해 왔던 것이나, 몇 가지의 제한사항으로 인하여 현재의 실생활에서 잘 적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Putting one of the kitchen utensils (inner container) into a larger pot or pot and cooking two or more foods together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but due to some limitations It is a phenomenon that is not applied well .

제한사항은 요리 후에 내부용기를 꺼낼 때에 도구로 하기에도 미끄럽고, 집을 부분이 마땅치 않아서 불편하며, 이로 인하여 떨어트릴 위험성이 있을 뿐 아니라, 단열장갑이나 행주 등으로 집어낼 때에는 음식에 닿을 가능성이 있어서 비위생적이고, 또한 팔이나 손이 솥이나 냄비에 닿아서 데일 위험이 많이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꺼내기에 매우불편하고, 뿐만아니라 내부용기의 내외부에 음식물이 눌러 붙어서 떼어내기가 불편하며, 조리 후에 식탁에 그대로 놓고 취식하기도 불편하다.
The limitations are slippery to use as a tool when taking out the inner container after cooking, uncomfortable because the part is not suitable for the house, and there is a risk of dropping, and the possibility of touching food when picking it up with insulation gloves or cloths, etc. It is unsanitary, and there is a lot of risk of dale because the arms or hands touch the pots or pots, it is very inconvenient to take out from the narrow space, and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food by pressing food inside and outside of the inner container. It is also inconvenient to eat it as it is.

기존에 사용하던 기술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existing technologies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두 가지 이상의 음식물의 덩어리는 별개로 유지 한 채로 색, 향, 맛, 영양을 섞게 하도록 하기위하여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본체와 뚜껑으로 결합된 형태이거나 철사 테두리 아래에 망이 걸쳐진 형태로서 운용되는 것이 있는데, 국물을 우려내거나 데치는데 사용하는 것이며 또한 요리 후 식탁에 놓고 취식 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닌 취사기구이다.
First, two or more masses of food are kept separate, operating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multiple perforated bodies and lids or meshed under the wire rim to mix colors, aromas, flavors and nutrients. It is used to boil or boil soup, and is a cooking utensil that is not a form that can be eaten after cooking.

그리고 만두찜기 등과 같이 많은 구멍이 형성되어 증기로서 음식을 익히기 위한 취사기구들도 있으나, 적은 재료를 활용할 때 조리에 제한사항이 있고, 복잡한 구조의 기구류는 2가지 요리를 같이 하는 데에 있어서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고, 또한 큰 그릇 즉 외부용기 안에 넣고, 빼고, 취식하는 데에 불편한 등의 제한사항이 많은 취사기구이다.
In addition, there are cooking utensils to cook food as steam because many holes are formed, such as dumpling steamer,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cooking when using less ingredients, and the complicated utensils are hygienic in mixing two dishes together. It is a cooking utensil that has a lot of limitations such as a problem that is likely to occur, and also inconvenient to put in, take out, and eat in a large bowl, that is, an external container.

또한 구멍이 형성된 중탕기는 국물이 많은 음식물을 끓이는 특성상 눌러붙음방지 코팅을 할 필요가 없는 형태이며, 그 외에도 만두찜기와 유사한 여러 제한사항이 있는 취사기구이다.
In addition, the water bath formed with a hole is a form that does not need to apply a non-stick coating due to the nature of boiling a lot of food soup, besides, it is a cooking utensil that has a number of restrictions similar to dumpling steamer.

그리고 일부 전기밥솥에는 2가지 이상의 요리를 같이 하기위하여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 판을 세워서 취사토록 하고 있으나, 그중 한가지의 요리재료가 적은 경우 등에는 대부분의 요리재료가 아래쪽에서 눌어붙게 되어 효용성이 적으며, 적은 양의 요리를 별도의 그릇에 퍼 담아서 취식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또한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some electric rice cookers are cooked by setting up a partition plate with holes to cook more than two dishes together, but when one of the cooking ingredients is small, most of the cooking ingredients are pressed down from the bottom, making them less useful. Discomfort such as having to eat a small amount of dishes in a separate bowl is also caused.

이와같은 기존의 기술들은 본원출원과 차별화 되는 것임을 설명하였으나,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Such existing technologies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fferentiated from the present application, but the overall view is as follows.

1. 본원출원은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넣어서 두 가지 이상의 음식물을 같이 익힐 수 있는 조리용구에 적용되는 것이다.1. The present application applies to cooking utensils that can cook two or more foods together by putting an inner container in an outer container .

2. 그중 내부용기는 내외부면에 모두 눌러붙음방지코팅이 된 것으로서, 외부용기에서 꺼냈을 때 내부용기의 외부면에도 외부용기의 음식물이 붙는 현상이 적으며, 그대로 꺼내어 식탁에 놓고 취식하기에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2. Even for you, eat them inside the container by pressing both the inside and outside surfaces as a coating to prevent the seizure, the phenomenon was even stick the food out of the container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kkeonaeteul enemy, literally taken out of place on the table This is so.

3. 또한 내부용기몸체에는 운반통공을 형성시켜 운반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다. 3. Inner container body It is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by forming a transport through- hole .

4.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집게를 활용하여 내부용기의 운반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4. It is possible to transport the inner container by using tongs with the tongs formed .

5. 또한 위에서 아래로 집게를 집어넣어서 내부용기를 운반토록 함으로서 뜨거운 기운이 있는 좁은 곳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내부용기를 활용토록 한 것이다. 5. Also , the inner container is transpo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inner container can be used safely and conveniently even in a narrow place with hot energy.

6. 필요시 내부용기에 음식물유통구를 형성시켜 활용하면, 내부용기 내외부의 두가지 음식물의 덩어리가 이동하지는 않으나 맛, 향, 색, 영양 등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열전달도 잘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6. If the food container is formed and used in the inner container if necessary, the mass of two foods in and out of the inner container does not move, but the distribution of taste, aroma, color, and nutrition is made so that the heat can be transferred well. .

본원 출원은 최소한 상기 1 내지 5에 기재된 기술들이 모두 통합되었을 때 요망하는 효과가 발생되며 , 이때 비로소 기존 요리의 제한사항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desired effect when at least the techniques described in 1 to 5 above are all integrated, and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ishes .

이와같이 단순해 보일 수도 있는 5가지의 기술을 모두 통합함으로서 외부용기 내에 내부용기를 넣어 실시하는 요리 방식에서 쉽게 생각하지 못한 효과가 발생됨으로서, 기존의 전통적인 요리방식을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게 현대 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주방의 문화가 달라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기술들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By incorporating all five technologies that may seem as simple as this , an unexpected effect occurs in the cooking method that puts the inner container into the outer container, thus applying the traditional cooking method to the modern life very conveniently and safe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xisting technologies in that it can enable the culture of the kitchen to be different.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1309호(2003.10.23)는 후라이팬의 삽입공에 손잡이의 걸림턱을 절곡형성한 삽입편을 후라이팬의 측면에서 집어넣고 상기 삽입편의 하부로 후라이팬 몸체의 외측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31309 (October 23, 2003) inserts an insertion piece formed by bending a handle into a fry pan insertion hole from the side of the fry pan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fry pan body under the insertion piece. The support piece is to be formed.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6-195059호(2004.07.15)는 도자기 재질로 된 전자조리기용 조리용기의 내외부면에 보호막층을 형성 한 것이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6-195059 (July 15, 2004) is a protective film layer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a ceramic cooking vessel.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15호(1999.01.15)는 내부용기에 통공이 형성된 전기보온밥솥에 대한 것으로서, 외부용기의 주연에 내부용기가 걸쳐지고 손잡이를 별도로 결합하여 이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15 (1999.01.15) relates to an electric thermal rice cooker with a through-hole formed i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over the periphery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handle is coupled to move separatel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솥이나 냄비 등 외부용기 내에 그보다 작은 내부용기를 넣어서 2가지 이상의 음식물들을 같이 익히고자 할 때, 내부용기를 위생적이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집어낼 수 있게 하고, 또한 내부용기의 내외부에 음식물의 눌러 붙음이 적도록 한 조리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you want to cook two or more foods together by putting a smaller inner container in the outer container, such as various pots or pots , sanitary and convenient It is to provide a cooking utensil that can be picked up safely and safely, and less sticking of food in and out of the inner containe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가지 이상의 음식물의 덩어리는 별도의 위치를 유지 한 채로 요리가 가능토록 하면서 색, 향, 맛, 영양 등을 혼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한 조리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utensil capable of mixing color, aroma, taste, nutrition and the like while allowing two or more food masses to be cooked while maintaining separate positions.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넣어서 2가지 이상의 음식물이 분리된 상태로 외부용기 안에서 동시에 익힐 수 있도록 한 조리용구로서, 내부용기몸체의 내부면과 외부면에는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내부용기몸체 측면의 상부 일측에 운반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운반통공은 집게손잡이부의 타단 일측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되고 운반통공에 삽입되는 부분이 판 형상으로 된 집게에 의해 내부용기가 운반될 수 있도록 하고, A cooking utensil for cooking at the same time inside the outer container with two or more foods separated by putting the inner container in the outer container, and a non-stick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container body, the inner container body side A conveying hole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onveying hole so that the tongs protrus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tongs handle part, and the inner container can be conveyed by the tongs having a plate shape.

상기 집게를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내부용기의 운반통공에 집어넣으면 집게돌출부가 운반통공의 일측에 걸려져서 내부용기의 운반을 가능케 함으로서 좁고 위험한 곳에서 내부용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이다.
When the tongs are inserted into the conveying hole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top downward, the tongs projection is caught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hole to enable the conveying of the inner container, thereby making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convenient for use in the narrow and dangerous place. Eggplant is a cooking utensil.

이때 상기 운반통공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이 천공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rrying through hole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is perforated.

또한 상기 운반통공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위 아래쪽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rying through hole may have a shape formed in the upper side dow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is recessed inward.

그리고 상기 운반통공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 아래쪽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conveying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protrudes outwardly formed downward.

또한 상기 운반통공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에 ㄷ자 형상의 재질이 결합되어 위 아래쪽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ying through-hole may be a shap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shaped material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그리고 상기 집게는 집게돌출부의 돌출방향으로 절곡되고 내부용기몸체 두께의 길이보다 짧지 않은 길이에서 다시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The tongs may be bent in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ongs protruding portion and bent dow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length not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inner container body thickness.

또한 상기 집게는 외부용기의 바깥쪽 또는 외부용기보호캡의 바깥쪽 중 어느 한곳에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ngs can be detached to any one of the out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container protective cap.

그리고 상기 집게는 주걱이 집게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주걱손잡이쪽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nd the tongs may be such that the tongs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spatula handle so that the spatula can function as a tongs.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몸체의 일측에 음식물이 상호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크기로 천공된 형태의 음식물유통구를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may form a plurality of food distribution ports of the perforated form in a size that is restricted to the movement of food to one side of the body.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는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된 내부용기가 작게 형성되어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내부용기에 넣어질 수 있도록 형성 할 수 있다.The inner container may be formed so that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food distribution port is formed is small so that the inner container may be placed in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food distribution port is not formed.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구에 의하면, 각종 솥이나 냄비 등의 외부용기 내에 내부용기를 넣어서 2가지 이상의 음식물을 익히는 경우에, 뜨겁고 증기가 발생되는 외부용기 안에서 내부용기를 꺼낼 때 미끄럽고 집을 부분이 마땅치 않은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떨어트릴 위험성이 적어지며, 손이나 팔이 뜨거운 내부용기에 닿아서 데일 위험성도 적어지며, 단열장갑이나 행주로 내부용기를 꺼낼 때 음식물에 닿을 가능성이 적어 위생적이다.
According to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ooking two or more foods by putting the inner container in an outer container such as various pots or pots, when the inner container is taken out in a hot and steam-producing outer container, the house part is slippery and unsuitable. Relieves discomfort and reduces the risk of dropping, less risk of dale due to hands or arms touching the hot inner container, and less hygienic because it is less likely to touch food when taking out the inner container with insulation gloves or dishcloth.

또한 내부용기의 내측면 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아서 음식물을 떼어내고 식탁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을 해소시켜 준다.
In addition, food does not stick to the inner side as well as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risk of having to remove the food and place it on the table.

음식물 유통구를 많이 형성시킨 내부용기의 안에 음식재료를 넣어서 요리하면 음식재료는 안 밖이 유통되지 않되 색, 향, 맛, 영양 성분은 상호 유통됨으로 해서, 취식하고 싶지 않은 음식물의 덩어리는 취식하지 않고 색, 향, 맛, 영양 성분만을 취할 수 있으므로 편식을 하는 경우에도 영양의 섭취가 일부 가능 하게 하는 등 요리를 할 경우 그 맛과 영양의 선택폭을 넓게 해 주는데, 이러한 것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If you put food ingredients in an inner container that has many food outlets, food ingredients will not be distributed inside or outside, but color, aroma, taste, and nutritional ingredients will be distributed to each other. It can take only color, aroma, taste, and nutritional ingredients, so that even in the case of unbalanced eating, it allows for a wider selection of tastes and nutrition when cooking. It is possible.

그리고 익는 속도의 특징이 다른 음식물을 동시에 먹을 수 있도록 요리하거나, 음식의 익는 정도에 따른 선호도가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도 동시에 취식 할 수 있도록 요리하는 것도 그러하다.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king speed is to cook to eat different foods at the same time, or to cook at the same time for people with different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pening of food.

이와같이 함으로서 전통적인 좋은 요리기법이 외면 받는 이유를 해소시킨 것이다. 즉 위생적이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요리기법의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By doing this, the traditional good cooking techniques are eliminated.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hygienically, conveniently and safely, and various cook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도1은 조리용구 사시도이다.
도2는 천공된 형상의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도3은 천공된 형상의 운반통공이 내부용기의 손잡이에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4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위 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도5는 용기함몰부의 상부면만 내측으로 함몰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도6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 상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 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도7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 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도8은 판형의 집게 하부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9는 판형의 집게 하부가 절곡되어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utensi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carrying hole of the perforated shape is form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rying hole of the perforated shape formed on the handle of the inner contain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recessed inward to form a carrying through hole up and dow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recessed only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depress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protrudes outward and a carrying through hole is formed upward and downwar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ntainer in which a top of a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protrudes outward and a transport through-hole is formed upward and downwar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tong protrusion is formed below the plate-shaped tongs.
9 is a plate-shaped tongs bent to form a tongs projection.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that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조리용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utensil.

외부용기(100) 안에 내부용기(10)가 넣어지고, 외부용기 바깥쪽의 집게고정대(70)에 집게(60)가 꽂혀져서 탈착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The inner container 10 is put into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tongs 60 are inserted into the tong fixing unit 70 of the outer container to be detachable.

집게는 별도로 보관하면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집게가 외부용기에 탈착이 가능토록 할 때에 집게고정대는 도1과 같이 집게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이거나 바깥쪽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집게의 꽂혀지는 부분은 집게고정대보다 가늘게 형성하거나, 집게에 돌출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꽂으면 돌출된 곳이 집게고정대에 걸림이 있도록 하는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착이 가능토록 고정시킬 수 있고, 집게손잡이부분을 꽂거나 타단의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쪽을 꽂는 것도 가능하다.The tongs can be used while stored separately. When the tongs are detachable to the outer container, the tong holder may be in the form of completely enclosing the tongs as shown in FIG. The inserted part of the tongs may be made thinner than the tong holder, or by forming a protruding part to the tongs, the plug may be fixed in a conventional manner such that the protruding part is caught by the tong holder. It is also possible to plug the handle or plug the other end of the forceps formed.

또한 집게에 통공을 형성하고 외부용기 바깥쪽의 위쪽에 고리를 형성하면 집게의 통공을 고리에 끼워 넣어서 걸리도록 하여 탈착이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고리를 외부용기가 아닌 다른 장소에 결합하여 운용하는 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a hole is formed in the tongs and a ring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the through hole of the tongs can be inserted into the ring to be detached and detachable. The usual method of can be applied.

집게는 집게손잡이 부분이 위로가게 하거나 아래쪽으로 가게 할 수도 있으며, 기타 집게의 탈착방식은 다양한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ongs may be directed upwards or downwards to the grip part, and other detachable methods of the tongs may be applied to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도2는 천공된 형상의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carrying hole of the perforated shape is formed.

내부용기몸체(11)의 측면 상부에 집게를 집어넣을 수 있는 폭과 높이로 천공된 형상의 운반통공(21)과, 운반통공 하부의 내부용기몸체 외측면에 돌출된 형상의 용기걸림턱(31)이 형성된 것이다. A conveyance through-hole 21 having a perforated shape having a width and a height capable of inserting the forceps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1, and a container catching jaw 31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under the conveying hole. ) Is formed.

도9의 집게가 내부용기의 안쪽에서 바깥쪽방향으로 집어넣어지면 운반통공의 상부면 내부용기몸체에 집게돌출부(64)가 걸려서 이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When the tongs of Figure 9 are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utside direction, the tongs projection 64 is caught on the inner container bod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hole so as to be movable.

용기걸림턱(31)은 집게의 집게걸림턱(도9의 65)과 더욱 견고히 견착되어 내부용기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용기걸림턱과 집게걸림턱은 형성하지 않아도 내부용기를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고, 이와 같이 하는 것은 다른 내부용기들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The container catching jaw 31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tong catching jaw of the tongs (65 in Fig. 9) to move the inner container stably, moving the inner container without forming the catching jaw and the catching jaw jaw It is possible to do this and the same applies to other inner containers in general.

운반통공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집게를 집어넣는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 하지만, 라운딩 처리를 하여 둥글게 보일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conveying through hole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tongs is inserted into the tongs, but may be rounded by rounding.

내부용기의 상부를 하부보다 넓게 형성시키면 집게의 형상이 도9와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하지 않고 도8과 같이 일자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형상은 통상의 식탁용기가 바닥면보다 윗부분이 넓은 점과 내부용기의 융통성있는 활용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형상일 수 있다. I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der than the lower part, the shape of the tongs may not be bent as shown in FIG. 9, but a straight line may be used as shown in FIG. 8. In consideration of the flexible utilization of the inner container may be a preferred shape.

집게는 내부용기 안쪽의 위에서 바깥쪽 아래방향으로 집어넣도록 운용하는데, 이렇게 집어넣어도 집게는 위로 세워져서 그릇과 대략 직각방향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집게는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운반통공에 집어넣는 것으로서, 이렇게 하여 뜨겁고 좁은 곳에서 효과적으로 내부용기를 운반하는 것을 용이케 한다. 이와 유사하게 대략 직각방향을 이루도록The tongs are operated to be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utside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Even if the tongs are inserted, the tongs stand up and form a right angle with the bowl, so the tongs are inserted into the conveying hol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is makes it easy to transport the inner container effectively in hot and narrow places. Similarly, to be approximately perpendicular

하여 집게를 집어넣는 것을 이건에서 모두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집게를 집어넣어 사용한다고 표현 한다. In this case, tongs are to be used to put the tongs all the way down from above.

천공형 운반통공은 다른 형태의 내부용기보다 세척이 용이하고 걸림이 적어서 관리에 용이하다.Perforated conveying through holes are easier to clean than other types of inner containers and less easy to manage.

내부용기에 다수개의 음식물유통구(51)를 내부용기몸체(11)의 하부면과 측면 중 어느 한곳 이상에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ood distribution ports 51 in the inner container can be formed on any one or more of the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1).

밥을 하기위한 용도의 내부용기인 경우에는 쌀알 보다 음식물유통구가 크지 않게 한다. 한편 쌀알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음식물유통구를 형성해도 요리를 위하여 외부용기에 집어넣을 때 쌀알끼리의 마찰에 의하여 잘 빠져나가지는 않으며 요리중에는 쌀알이 커져서 더욱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음식물유통구는 다소 크게 형성하여 열전달과 세척과 위생적 관리 등에 부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nner container for rice, the food container is not bigger than the grain of rice.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ood distribution port is formed somewha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ice grains, when put into the outer container for cooking, the rice grains do not fall out by friction between the rice grains during cooking, the rice grains become larger and cannot escape further. Considering this point, it may be desirable to form the food distribution port to be somewhat large so as to conform to heat transfer, cleaning, and hygiene management.

한편, 요리 재료의 크기에 따라서 음식물유통구의 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내부용기를 구비케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oking material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inner container different in the size of the food distribution port.

이와 같은 음식물유통구는 다른 내부용기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is food distribution port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inner containers.

도3은 천공된 형상의 운반통공이 내부용기의 손잡이에 형성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rying hole of the perforated shape formed on the handle of the inner container.

도2에서 내부용기몸체(12)의 상단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용기손잡이(52)가 형성되고, 내부용기손잡이에 운반통공(22)과 그 하부에 용기걸림턱(32)이 형성된 것으로서, 도2의 내용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운반통공이 내부용기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서 내부용기의 용량을 최대로 활용토록하고, 손으로 내부용기손잡이를 잡고 이동을 용이케 함으로서 식탁에서도 더욱 융통성 있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FIG. 2,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2 protrudes upward to form an inner container handle 52, and a transport through-hole 22 and a container catching jaw 32 formed therein at the inner container handle, The contents of Figure 2 can be applied in common, the transport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 maximize the capacity of the inner container, by holding the inner container handle by hand to facilitate the movement more flexible in the table It was made to be possible.

내부용기손잡이를 내부용기의 바깥방향으로 굽히면 집게의 형상을 도9와 같이 절곡된 형상으로 하지 않고 도8과 같이 일자형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inner container handle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inner container, the shape of the tongs is not bent as shown in FIG. 9 but may be a straight one as shown in FIG.

운반통공이 내부용기손잡이에 형성된 내부용기는 다른 형태의 내부용기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conveying hole is formed in the inner container handle may be commonly applied to other types of inner container.

도4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위 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recessed inward to form a carrying through hole up and down.

내부용기몸체(13)의 측면 상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용기함몰부(41)가 형성되고, 집게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집어넣어질 수 있도록 운반통공(23)이 형성되며, 도8의 집게가 집어넣어졌을 때 집게돌출부(62)가 운반통공의 상부면 내부용기몸체에 걸려서 이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3 is recessed inward to form a container recess 41, and a conveying through hole 23 is formed so that the forceps can b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tongs of FIG. When inserted, the forceps protrusion 62 is caught by the inner container bod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hole so as to be movable.

함몰된 부분의 높이는 집게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 할 정도로만 되면 높지 않아도 가능하다. 함몰된 넓이와 깊이는 집게를 집어넣을 수 있어야 하고 함몰과 돌출된 형상의 운반통공 크기는 다른 내부용기에서도 이와같이 적용한다.The height of the recessed part is not necessarily high enough to be able to support the tongs. The recessed width and depth should be able to retract the tongs, and the size of the recessed and protruding conveying holes apply to other inner containers as well.

도8집게의 집게걸림턱(63)이 용기함몰부의 하부면에 걸리면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용기함몰부의 외부면에 용기걸림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는 도5와 유사한 형태이다.
When the clamping jaw 63 of FIG. 8 is caught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recess, the clamping jaw 63 can be fixed and moved more firml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ntainer locking ja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recess, which is similar to FIG.

도5는 용기함몰부의 상부면만 내측으로 함몰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ontainer recessed only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depression.

내부용기손잡이(53)에 내부용기몸체(14)의 상부만 내측으로 함몰되어 용기함몰부(42)가 형성되며, 내부용기몸체의 안쪽 위에서 바깥쪽 아래방향으로 운반통공(24)이 형성되고, 도8의 집게가 집어넣어 졌을 때 집게돌출부(62)가 운반통공의 상부면 내부용기몸체에 걸려서 이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4 is recessed inwardly in the inner container handle 53 to form a container depression portion 42, and a transport through-hole 24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utward. When the forceps of Figure 8 is inserted, the forceps protrusion 62 is caught by the inner container bod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hole to be able to move.

도8집게의 집게걸림턱(63)이 용기함몰부의 바깥면에 형성된 용기걸림턱(33)에 걸리면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If the clamping jaw 63 of Figure 8 is caught by the container catching jaw 3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recess portion can be fixed and moved more firmly.

이는 도3과 도4의 변형이며, 본원출원에서는 측면 일측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위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This is a modification of Figure 3 and Figure 4, i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xpressed that one side of the side is recessed inward to form a carrying through hole up and down.

도6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 상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 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protrudes outward and a carrying through hole is formed upward and downward.

내부용기몸체(15)의 측면 상부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돌출부(43)가 형성되고, 집게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집어넣어 질 수 있도록 운반통공(25)이 형성되며, 도8의 집게가 집어넣어 졌을 때 집게돌출부(62)가 용기돌출부(43)의 하부면에 걸려서 이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5 protrudes outward to form a container protrusion 43, and a conveying through hole 25 is formed so that the tongs can be inserted from above to below, and the tongs of FIG. 8 are picked up. When inserted, the forceps protrusion 62 is caught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protrusion 43 so as to be movable.

도8집게의 집게걸림턱(63)이 용기걸림턱(34)에 걸리면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If the clamping jaw 63 of Figure 8 is caught by the container catching jaw (34) can be more firmly fixed to move.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이 천공되지 않은 상태로도 “ㄷ”자 형상의 재질을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때에는 이물질이 끼었을 때 세척이 제한되는 점을 고려하여 위아래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에도 운반통공의 형성과 집게가 내부용기에 작동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본원출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Even though th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is not perforated,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material of the "c" shape, bu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ed washing when foreign matter is stuck. In this case, the formation of the conveying through hol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tongs operate in the inner container are the same, so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7은 내부용기몸체의 측면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 아래쪽으로 운반통공이 형성된 내부용기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ontainer in which a top of a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protrudes outward and a transport through-hole is formed upward and downward.

도6과 유사하며, 내부용기몸체(16)의 측면 상단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돌출부(44)가 형성되고, 집게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집어넣어질 수 있도록 운반통공(26)이 형성되며, 도8의 집게가 집어넣어졌을 때 집게돌출부(62)가 용기돌출부(44)의 하부면에 걸려서 이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Similar to FIG. 6,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16 protrudes outward to form a container protrusion 44, and a conveying through hole 26 is formed so that the tongs can be inserted from above to below. When the forceps of FIG. 8 are inserted, the forceps protruding portion 62 is caught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protrusions 44 so as to be movable.

도8집게의 집게걸림턱(63)이 용기걸림턱(35)에 걸리면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If the clamping jaw 63 of Figure 8 is caught by the container catching jaw 35 can be more firmly fixed to move.

도8은 판형의 집게 하부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tong protrusion is formed below the plate-shaped tongs.

판형의 집게몸체(66)하부 한쪽면에 집게돌출부(62)가 형성되고, 그 뒷면의 아래쪽에 집게걸림턱((63)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The tongs projection 6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shaped tongs body 66, and the tongs engaging jaw 6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집게돌출부와 집게걸림턱의 높이 차이는 내부용기에 집게돌출부가 걸리는 지점으로부터 용기걸림턱까지의 길이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orceps protrusion and the force catching jaw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from the point where the forceps protrusion is caught in the inner container to the container catching jaw.

집게돌출부(62)는 선형으로 돌출되지 않고 집게몸체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즉 2개 또는 수개의 점이 돌출된 형상으로 하는것이 가능하다.The forceps protruding portion 62 is not protruded linearly, but can be cut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ps body, that is, a shape in which two or several points protrude.

집게걸림턱(63)도 도면에서와 같이 선형으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지만, 점형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또는 함몰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용기걸림턱이 함몰형일 때에는 집게걸림턱이 함몰형으로 함으로서 걸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The clamping jaw 63 may also be protruded linearly as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protruded in a point shape or may be recessed. However, when the container catching jaw is recessed, it is not preferable to prevent the catching phenomenon by making the catch catching jaw into the recessed type.

그리고 집게걸림턱이 형성된 위치를 도9와 같이 집게몸체의 최하단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osition where the clamping jaw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ongs body as shown in FIG.

집게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아도 내부용기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집게걸림턱 아래쪽의 집게몸체는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한다.Even if the clamping jaw is not formed, it may be possible to move the inner container, and the clamping body below the clamping jaw has a l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집게돌출부와 집게걸림턱의 횡방향 길이는 도8에서와 같이 집게몸체의 가로방향 전체 길이만큼으로 하지 않고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의 집게몸체 횡방향 길이도 길거나 짧게 조정이 가능하다.
The lateral length of the claw protrusion and the claw catching jaw can be formed short, as long as the entire length of the claw body, as shown in Figure 8, and the lateral length of the tong body can be adjusted to be long or short.

집게몸체가 내부용기에 닿는 면을 내부용기의 굴곡에 맞도록 휘어지게 하여 내부용기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면 좌우로 내부용기의 유동을 적게 하여 더욱 안정성 있게 내부용기를 걸리도록 할 수 있으며, 집게의 형상은 내부용기몸체의 형상과 맞도록 세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tong body touches the inner container to bend to the curve of the inner container and increase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ner container, the inner container can be hung more stably by reducing the flow of the inner container from side to side. The shape is preferably produced in sets to match the shap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집게돌출부는 집게몸체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도 기능발휘가 가능하지만, 돌출된 상태에서 집게손잡이쪽으로 굽혀주면 더욱 견고히 내부용기에 걸려서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며, 이때 집게돌출부의 굽혀진 부분이 내부용기몸체의 바깥쪽부분에 걸림이 발생되도록 하면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orceps is protrud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tongs body, the function can be exerted, but when it is bent toward the handle of the forceps in the protruding state, the forceps can be caught more securely in the inner container and moved safely. If a jam occurs in the outer part of the can be used more stably.

또한 집게돌출부가 굽혀진 형상의 집게는 집게돌출부를 운반통공의 외부에서 내부쪽으로 집어넣어 걸어서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내부용기의 굴곡에 맞도록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서 내부용기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ngs having the shape of the tongs protrusions may be transported by inserting the tongs protrusions from the outside of the carrying hole to the inside, and at this tim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ner container is bent by being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nd the inner container. Can be increased.

집게돌출부를 굽히지 않거나 조금 굽히거나 많이 굽히는 것이 모두 본원출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all of the tongs that are not bent, slightly bent or much ben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그리고 집게돌출부의 돌출된 부분과 집게걸림턱이 있는 부분까지가 메워져서 삼각형으로 보이도록 하면 도9과 유사하게 보일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원출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nd it may be similar to Figure 9 if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forceps protrusion and the portion with the clamping jaw is filled up to look like a triangle, which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내외부용기에 탈착되거나 개별적으로 운용되는 주걱은, 그 주걱손잡이부에 집게돌출부를 형성하거나, 필요시 집게걸림턱까지 형성함으로서 주걱과 집게의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할 수 있다.The spatula, which is detached to the inner or outer container or individually operated, may form the tongs protrusion on the spatula handle part or, if necessary, to the jaw jaw, so as to simultaneously function as the spatula and the tongs.

판 형상으로 된 것이 집게의 기본형상이나, 필요시 손잡이나 구성부분의 일부가 두꺼워져서 막대의 형상을 하더라도, 운반통공에 집어넣어서 그릇을 안정감 있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넓적한 면이 필요한 특성을 고려할 때 판 형상으로 지칭할 수 있다.
The plate shape is the basic shape of the tong, but if necessary, even if the part of the handle or part thickened to form a rod, the plate shap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that a wide surface is required to secure the bowl securely by inserting it into the carrying hole. May be referred to.

도9는 판형의 집게 하부가 절곡되어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것이다.9 is a plate-shaped tongs bent to form a tongs projection.

판형의 집게몸체(66-1)하부가 한쪽방향으로 절곡되어 집게돌출부(64)가 형성되고, 내부용기 두께에서 소정의 유격을 더한 길이에서 다시 아래쪽으로 절곡시켜서 내부용기몸체의 외부를 지지토록 한 것이다. The lower part of the plate-shaped tongs body 66-1 is bent in one direction to form a tongs protrusion 64, and the plate-shaped tongs body 66-1 is bent downward again at a length plus a predetermined clearance in the thickness of the inner container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will be.

기타 도8의 형상과 통상적인 방법들을 준용할 수 있다.
Other shapes and conventional methods of Fig. 8 can be applied mutatis mutandis.

내부용기는 금속이나 유리나 도자기나 세라믹 등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외부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세트화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집게는 플라스틱이나 목재로 제작하는 것이 내외부면 눌음방지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나 금속, 유리, 도자기, 세라믹으로 제작도 가능하다.
The inner container can be made of metal, glass, ceramics, ceramics, etc., and it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container. The tongs are preferably made of plastic or wood in order to prevent peeling of the anti-press coating layer on the inside and outside surfaces, but they can also be made of metal, glass, ceramics, or ceramics.

스푼과 포크는 주방에서 흔히 사용하는 것으로서 집게와 유사한 형태이므로 집게로 병용하면 보관이나 사용이 편리하며, 이건에서는 스푼과 포크를 포함하여 집게라고 칭한다. 스푼이나 포크의 음식을 담는 쪽 끝부분은 안으로 휘어져서 집게걸림턱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음식을 담는 쪽의 뒷면은 집게돌출부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집게돌출부의 기능이 있는 형상이라면 본원출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하다. Spoons and forks are commonly used in kitchens and are similar to tongs, so when used together with tongs, they are easy to store or use. These are called tongs including spoons and forks. Spoon or fork end of the food side can be bent inward to function as a clamp jaw, the back side of the food side can function as a tongs protrusion, so if the shape of the function of the tongs protrusion It is obvious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다만 금속제의 스푼이나 포크는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내부용기에 닿아서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벗겨지게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플라스틱제 스푼이나 포크를 사용할 수 있다.
However, a metal spoon or fork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anti-stick coating layer is formed and the anti-stick coating layer may be peeled off, so a plastic spoon or fork may be used.

스푼이 집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푼의 뒤쪽이 곡면으로 됨으로 인해서 내부용기와의 접촉면이 적어서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벗겨지는 현상이 증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접촉의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스푼의 음식을 담는 뒷부분과 유사한 곡면의 형상으로 내부용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
When the spoon is used as a tong, the back of the spoon is curved, so that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ner container is small, which may increase the peeling of the anti-stick coating layer. The inner container can be formed into a curved shape similar to the rear part.

내부용기 중에서 스푼이나 포크가 닿는 부분이나 내부용기의 상부 등 일부에는 눌러붙음방지코팅을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전체기능을 고려할 때 내외부면에 눌러붙음방지코팅이 된 내부용기라고 칭할 수 있고, 본원출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In some parts of the inner container, such as spoons or forks, or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it may not be possible to apply the anti-stick coating.In this case, it can be called an inner container with anti-stick coating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in consideration of the whole function. It is obvious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눌러 붙음 방지 코팅은 통상의 불소수지류 코팅을 적용하며, 기타 여러 눌러붙음방지 코팅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antistick coating applies a conventional fluororesin coating, and it is possible to form many other nonstick coatings.

내부용기의 형상이 굴곡진 곳 등에는 세척의 용이성과 눌러붙음방지코팅이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등을 고려하여 라운딩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 the shape of the inner container is bent, it is preferable to treat it with rounding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ashing and the anti-stick coating.

내부용기의 바닥면은 놓았을 때 균형유지가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면적을 돌출시켜 뜨거운 내부용기와 식탁과의 접촉면을 적게 함으로서 식탁 등이 열 손상을 적게 받도록 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can protrude some areas in a range where balance can be maintained when placed, thereby reduc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hot inner container and the table so that the table can be less heat damaged.

내부용기는 솥과 냄비 등의 통상의 외부용기에 넣어서 사용토록 한 것이며, 솥은 일반솥, 전기솥, 압력솥, 보온솥 등을 포함하고, 압력솥은 전기압력솥과 일반압력솥 등을 포함한다.
The inner container is put in a normal outer container such as a pot and a pot to be used. The pot includes a general cooker, an electric cooker, a pressure cooker, a thermostat, and the pressure cooker includes an electric pressure cooker and a general pressure cooker.

내부용기가 위쪽이 넓고 아래쪽으로 좁아지는 빗각 형태를 취하게 되면 아랫면과 옆면이 서로 직각으로 이루어질 때 보다 집게와 내부용기의 마찰력이나 걸림의 기능이 좋아지고 , 내부용기와 집게가 직각에 가까운 형태를 이룰 수도 있어서 더욱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통공이 형성된 근처에만 빗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아랫면과 윗면과 옆면의 형태를 타원형으로 하거나, 내부용기손잡이를 형성시키거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When the inner container takes the shape of a comb angle that is wider and narrower downward,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function of the clamping force and the inner container are better than when the lower side and the sid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can also achieve more stable lifting. In addition, it can be formed at an oblique angle only near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shape of the bottom and top and side may be oval, form an inner container handle, or other various shapes.

용기걸림턱은 돌출형으로 하지 않고 함몰, 돌출함몰 병용, 또는 천공된 형태로 할 수 있으며, 한줄 보다는 몇 개의 가로줄로 형성 시 더 안정적으로 사용 될 수 있고, 점선 돌출형이나 점선함몰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운반통공의 하단에 붙여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통공의 바로 아래쪽의 내부용기 형상을 급격히 내부용기 안쪽으로 함몰시키는 것도 돌출형 용기걸림턱과 같은 형상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며, 도8 집게의 설명에서와 같이 집게와 내부용기의 형상이 서로 맞도록 해서 걸림이 잘 발생되도록 한다. The container catching jaw can be recessed, combined with protrusion, or perforated without being protruded. It can be used more stably when forming several horizontal lines than one line, and it can also be made with dotted protrusion or dotted depression. It is possible, and can also be formed by attaching to the bottom of the conveying hole. In addition, the depression of the inner container shape immediately below the through hole into the inner container may also be applied as a protruding container catching jaw, so that the shapes of the tongs and the inner container match each other as described in FIG. So that jams occur well.

내부용기와 집게의 걸림작용이 더욱 견고하게 발생토록 하기 위하여서는 용기걸림턱이 돌출형이라면 집게걸림턱은 함몰형과 돌출형도 가능하나, 용기걸림턱이 함몰형이라면 집게걸림턱은 돌출형이 바람직하다. 요철형으로 된 집게걸림턱은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며, 돌출형이나 함몰형이라도 외관상으로 요철형으로 보일 수 있고 돌출형의 뒷면은 함몰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집게걸림턱의 돌출형과 함몰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상을 요철형으로 볼수 있고, 여러줄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같은 통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약간의 변형들이 가능하다.
In order for the locking ac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tongs to occur more firmly, if the catching jaw is protruding, the catching jaw can be recessed and protruding, but if the catching jaw is recessed, the catching jaw is preferably protruding. Do. The uneven clamp jaw can be applied to all of them, and even the protruding or depressed type can be seen as uneven in appearance and the back of the protruding type can be depressed so accordingly Shapes including any of the depressions can be seen as irregularities, can be formed in multiple lines, and such variations that are commonly applicable are possible.

용기걸림턱이 운반통공의 중앙하부에 짧게 형성된 경우에 스푼을 집게로 사용 시에는 용기걸림턱의 기능 발휘에 더욱 적합하며, 또한 스푼의 끝부분과 유사한 형태로 내부용기 외부에 홈이 파이도록 형성하면 내부용기와 스푼의 마찰과 걸림으로 인하여 내부용기 외부에 손상을 줄이면서도 더욱 잘 걸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용기걸림턱이 없이도 내부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집게의 운용에 근본적인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용기걸림턱을 추가로 형성시켜도 본원출원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When the catching jaw is shortly formed in the center lower part of the conveying hole, when the spoon is used as a tong, it is more suitable for the functioning of the catching jaw, and the shape is similar to the tip of the spoon so that the groove is formed outside the inner container. I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spoon friction and jamm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o take it better. However, even without the container jam jaw does not fundamentally impede the operation of the tongs for transporting the inner container, therefore, even if the container jam jaw is formed additionall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내외부로 함몰이나 돌출된 형태의 운반통공은 프레스 하여 함몰시키거나 성형시키거나 또는 천공 후 “ㄷ”자 형상의 재질을 결합시키는 등의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여러 통공의 형상들을 병용할 수 있다.
Conveying or protruding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can be appli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pressing down to form or molded, or after drilling to combine the material of the "c" shape. Can be.

요리를 하는 경우의 예를 들면, 현미와 일반 쌀을 혼합하여 한 솥에 통상의 방법으로 같이 밥을 짓는 경우에 현미는 뻤뻣함과 미끈거리는 등으로 저작의 느낌이 좋지 않게 됨에 따라서 밥 자체를 안 먹게 되는 등 선호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따로 현미만을 내부용기에 넣어서 하게 되면 현미를 먹고 싶은 사람만 조금씩 덜어서 먹을 수 있게 되며, 이때 오래 씹으면 더욱 맛있는 현미만의 밥을 더 잘 음미할 수 있게 된다.When cooking, for example, if brown rice is mixed with ordinary rice and cooked together in one pot in the usual way, brown rice is not happy because of the bad feeling of chewing due to stiffness and slipperyness. If you put down only the brown rice in the inner container, you can eat only the person who wants to eat brown rice little by little, and if you chew for a long time, you will be able to savor more delicious brown rice.

그리고 내부용기에 미리 물로 불려 놓으면 잘 익지 않는 특성의 음식재료로 동시에 요리를 시작해도 같이 잘 익은 요리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다.And if it is already called with water in the inner container, you can get the same ripe food conveniently even if you start cooking at the same time with the food ingredients that are not ripe.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에만 음식물유통구를 형성시키면 내부용기 안쪽의 액체성분이 외부용기의 음식쪽으로 유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용기 바닥면의 중앙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키고 바닥면의 테두리부에 음식물유통구를 형성시키지 않으면 또한 음식물의 유통이 적어지도록 할 수 있다.
If the food container is formed only on th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the liquid component inside the inner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ributed to the food of the outer container. And i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is projected upward and the food distribution port is not formed at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it can also be less food distribution.

외부용기의 내측면과 내부용기의 외측면이 접촉이 많도록 하면 열전달이 더욱 잘 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내부용기의 아랫면이나 측면부의 일측 중 어느 한곳 이상을 외부용기의 내부면 형상으로 하여 세트로 제작할 수 있다.
I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have more contact, the heat transfer can be made better. For this purpose,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or one side of the side container is set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Can be produced with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내부용기보다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된 내부용기를 작게 하여 서로 겹쳐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면, 보관상의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된 내부용기 안의 음식물을 물에 불린 후 외부용기 안에 넣어서 요리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두 내부용기가 서로 닿는 면적이 최대한이 되도록 잘 맞추어서 크기를 형성하거나, 내부용기몸체의 측면이나 상단면에 넓게 걸쳐지도록 걸림을 형성하면 마찰로 인한 눌음방지코팅의 벗겨짐이 적도록 할 수 있으며, 약간의 틈이 발생되도록 작게 형성하면 내부용기가 서로 닿아서 빼내기가 쉽지 않은 단점을 해소 할 수 있다.
If the inner container with the food container is smaller than the inner container without the food container, the food container can be stored overlapping each other. Put it in a container so it can be cooke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inner container to meet the maximum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ize, or to form a jam so as to be widely spread on the side or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to reduce the peeling of the anti-press coating due to friction, Forming a small gap so that a small gap can solve the disadvantage that the inner contain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not easy to pull out.

외부용기에 2개 이상의 내부용기를 집어넣어 사용할 수 있다. Two or more inner containers can be put into the outer container for use.

전기밥솥과 같은 경우에는 외부용기보호캡의 안쪽에서 외부용기가 사용된다.
In the case of an electric rice cooker, an outer container is us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protective cap.

10 : 내부용기 11 : 내부용기몸체
21 : 운반통공
31 : 용기걸림턱
41 : 용기함몰부 43 : 용기돌출부
51 : 음식물유통구 52 : 내부용기손잡이 53 : 내부용기손잡이
60 : 집게 62 : 집게돌출부
70 : 집게고정대
100 : 외부용기
10: inner container 11: inner container body
21: transport through
31: container jam jaw
41: container depression 43: container protrusion
51: food distribution port 52: internal container handle 53: internal container handle
60: tongs 62: tongs protrusion
70: clamp holder
100: outer container

Claims (6)

외부용기 안에 내부용기를 넣어서 2가지 이상의 음식물이 분리된 상태로 외부용기 안에서 동시에 익힐 수 있도록 한 조리용구로서,
내부용기는 몸체의 아래쪽 일측에 음식물이 상호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크기로 천공된 형태의 음식물유통구가 다수개 형성된 내부용기와 형성되지 않은 내부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내부용기몸체의 내부면과 외부면에는 눌러붙음방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내부용기몸체 측면 상부 일측에 형성된 운반통공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집게를 내부용기의 위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집어넣으면 집게돌출부가 운반통공의 일측에 걸려지면서 내부용기의 운반을 가능케 하고,
또한 내부용기는 집게를 집어넣어 운반이 가능한 정도로 외부용기보다 폭이 작게 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
It is a cooking utensil that can be cooked in the outer container at the same time by putting the inner container in the outer container.
The inner container includes any one or mor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is not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od distribution ports of the perforated form in a size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foo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container body is formed with a non- stick coating layer ,
When the plate-shaped tongs having the tongs projections formed in the conveying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body are inser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inner container, the tongs are caught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holes to allow the conveying of the inner container.
Also, the inner container is a cooking utensil hav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that are smaller in width than the outer container to the extent that the tongs can be transported.
청구항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판 형상의 일부가 돌출되어 집게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집게돌출부의 돌출방향으로 절곡되어 집게돌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용기몸체 두께의 길이보다 짧지 않은 길이에서 다시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형상으로 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ngs are a part of the plate-shaped protruding to form a tongs projection, or ben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ongs projections to form a tongs projections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gain from a length no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hickness of the inner container body Cooking utensils hav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of a shape bent to the length of. 청구항1항 또는 청구항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외부용기의 바깥쪽 또는 외부용기보호캡의 바깥쪽 중 어느 한곳에 탈착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ongs have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detachable to either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or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protecting cap. 청구항3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주걱손잡이쪽에 집게돌출부가 형성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ongs have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in which a to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patula handle. 삭제delete 청구항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된 내부용기가 음식물유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내부용기보다 작아서 서로 밀착되게 겹쳐질 수 있게 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가지는 조리용구.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container has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in which an inner container in which a food container is formed is smaller than an inner container in which a food container is not formed, so that the inner container can overlap each other.
KR2020100004040U 2010-02-20 2010-04-16 a cooking canteen KR2004575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40U KR200457543Y1 (en) 2010-02-20 2010-04-16 a cooking cant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19 2010-02-20
KR2020100004040U KR200457543Y1 (en) 2010-02-20 2010-04-16 a cooking cant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55U KR20110008355U (en) 2011-08-26
KR200457543Y1 true KR200457543Y1 (en) 2011-12-28

Family

ID=4556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40U KR200457543Y1 (en) 2010-02-20 2010-04-16 a cooking cant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43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09Y1 (en) 2003-07-23 2003-10-23 박철우 Fryfan
JP2004195059A (en) 2002-12-20 2004-07-15 Ootake Seramu Kk Cooking container
KR100620426B1 (en) 2004-06-15 2006-09-12 김갑태 Gold coated gril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5059A (en) 2002-12-20 2004-07-15 Ootake Seramu Kk Cooking container
KR200331309Y1 (en) 2003-07-23 2003-10-23 박철우 Fryfan
KR100620426B1 (en) 2004-06-15 2006-09-12 김갑태 Gold coated gril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55U (en) 201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640B1 (en) Spaetzle preparation apparatus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457543Y1 (en) a cooking canteen
TWI597033B (en) Liftable steaming plate
WO2015065503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KR100530324B1 (en) Multipurpose cooker
US20030189346A1 (en)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JP4676023B1 (en) Noodle chopsticks
JP3177408U (en) Noodles fork
KR200318987Y1 (en) Cooking receptacle
US20230033302A1 (en) Food Preparation Utensil
CN211354935U (en) Chafing dish
JP2684015B2 (en) Container for porridge
CN210540943U (en) Split type device that scalds dish
CN216393785U (en) Cooking utensil with antiseized easy clean coating
KR200470807Y1 (en) Distribute food sanitary scoop
CN209846758U (en) Anti-scalding ceramic bowl
CN213786794U (en) Pot component
CN207186505U (en) A kind of multi-purpose pan
US20210386241A1 (en) Stuffed waffle utensil
JP4891431B1 (en) Cooking container
CN210008863U (en) Electric heating pot
KR101908860B1 (en) A vessel fitted with detachable handles
CN208447279U (en) A kind of steaming rack of electric cooker
JP3083645U (en) Tableware grab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