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06Y1 - 놀이식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놀이식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406Y1
KR200457406Y1 KR2020090015196U KR20090015196U KR200457406Y1 KR 200457406 Y1 KR200457406 Y1 KR 200457406Y1 KR 2020090015196 U KR2020090015196 U KR 2020090015196U KR 20090015196 U KR20090015196 U KR 20090015196U KR 200457406 Y1 KR200457406 Y1 KR 200457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learning
word
pictur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360U (ko
Inventor
최보경
장보원
Original Assignee
(주)천재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재교육 filed Critical (주)천재교육
Priority to KR2020090015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0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08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tex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16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인더 삼각대에 결합된 각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그림자가 제시된 그림자 카드와 각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그림이 있는 낱말카드를 넘기면서 도형과 글자의 변별력이 향상되도록 학습할 수 있고, 각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그림과 사물 이름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수의 모양을 보고 같은 모양의 숫자카드를 찾아 수의 모양과 이름을 익힐 수 있고, 수와 양의 관게를 학습할 수 있으며, 수의 크기를 비교하거나두 수를 모은거나 가른 수를 알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학습교구, 낱말놀이, 수놀이, 그림자카드, 낱말카드, 이름카드, 그림카드, 바인더 삼각대, 수세기카드, 수그림카드, 수와 양판, 모으기판, 가르기판.

Description

놀이식 학습교구{PLAY TYPE TEACHING TOOLS}
본 고안은 놀이식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더 삼각대에 결합된 각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그림자가 제시된 그림자 카드와 각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그림이 있는 낱말카드를 넘기면서 도형과 글자의 변별력이 향상되도록 학습할 수 있고, 각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그림과 사물 이름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수의 모양을 보고 같은 모양의 숫자카드를 찾아 수의 모양과 이름을 익힐 수 있고, 수와 양의 관게를 학습할 수 있으며, 수의 크기를 비교하거나두 수를 모은거나 가른 수를 알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용 학습교구는 여러 가지 사물과 자연 현상 및 낱말 학습 등과 같이 기초적인 내용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학습 내용을 가르치기 위한 학습 교재는 주로 인지력 및 창의력과 집중력 향상을 위하여 아이의 수준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아이용 학습교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아이용 학습 교구는 크게 색칠공부와 낱말 공부, 그리고 종이접기 등을 할 수 있는 교재가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 개별적인 학습을 위 하여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학 전 아이 교육을 집중적으로 하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학습 교재를 이용하여 아이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종래의 대부분의 학습 교재는 상기와 같이 색칠 공부, 낱말공부 및 종이접기를 각각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개별적인 학습 교재로는 활용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학습 교재로는 실제 아이 학습을 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아이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 아이의 학습방식은 아이의 낱말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교육내용을 아이들에게 일방적으로 주입시키는 주입식 교육방식으로 그 학습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같은 종래의 학습교구는 대부분 아이들의 흥미와 의욕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지루함을 느껴 주의력과 관찰력이 떨어짐으로써 아이들의 인지능력이 효과적으로 발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근래에는 주입식 학습방식을 탈피하여 이러한 학습교구를 주로 사용하는 아이들이 상기 학습교구의 사용에 흥미를 나타낼 수 있도록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놀이를 즐기면서 배울 수 있는 흥미 위주의 학습교구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가정에서도 엄마와 아이가 쉽게 사물의 그림과 낱말과 수를 놀이를 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교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주제별로 그림자 카드에 제시된 사물의 그림자 모양을 보고 무엇인지 추측하여 말로 표현하고, 모양을 비교하여 그림자 모양에 알맞는 사물 제시된 그림카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집중력이 약한 아이들이 사물의 그림을 익히는 데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아이가 낱말카드에 제시된 한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식별사진을 보며 사물의 이름을 말하고, 그림자 카드를 넘기면서 낱말카드의 식별사진에 알맞는 이름의 낱말을 찾아보며, 낱말와 식별사진을 비교하여 읽게 함으로써 주제에 해당하는 다양한 식별사진에 맞는 사물 이름의 낱말을 학습할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림자 카드의 그림자 이름과 낱말카드의 식별사진이 동일한 사물이면 그림자 카드와 낱말카드의 바탕색이 서로 동일하여 처음에 색으로 구분하여 낱말을 찾던 아이가 다양한 낱말놀이를 통해 반복적으로 낱말을 경험하게 되면서 색이 아닌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한 주제에 해당하는 낱말카드의 낱말 식별사진을 보며 이름을 말해보고, 상기 식별사진에 해당하는 이름카드를 선택하여 식별사진 하부에 부착하거나,수세기카드의 수 하부에 제시된 수이름을 말해보고, 수그림카드의 수사진을 보고 알맞은 숫자카드를 하부에 부착하는 학습을 함으로써 낱말과 수 이름을 빠르고 쉽게 기억할 수 있고, 사진에 알맞는 낱말과 수이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 학습카드의 모으기판과 가르기판을 이용하여 두 수를 모은 수나 수를 두수로 가른 수를 알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어 사칙연산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놀이식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아이의 낱말 및 수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주제별로 다양하면서 친숙한 놀이부터 시작하여 낱말과 수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특히 엄마가 쉽게 아이에게 그림이나 낱말과 수를 설명할 수 있고, 아이와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그림이나 낱말과 수를 학습을 할 수 놀이식 학습교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놀이식 학습교구에 있어서,
각종 주제별로 낱말이 제시된 낱말 학습카드(100)와;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가 양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낱말 학습카드(10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인더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놀이식 학습교구에 있어서,
각종 주제별로 수가 제시된 수 학습카드(200)와;
상기 수 학습카드(200)가 양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수 학습카드(20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인더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는 일측면에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이 그림자 형태로 그림자 모양(111)이 제시된 다수의 그림자 카드(110)와;
일측면에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된 다수의 낱말카드(120)와;
전면에 상기 낱말카드(12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이름이 제시된 다수의 이름카드(130)와;
상기 이름카드(13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형태로 테두리가 절단되어 전면에 사물그림이 제시된 다수의 낱말 그림카드(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일측면에 수별로 수(211)가 제시된 다수의 수세기카드(210)와;
일측면에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동일한 수의 수 그림사진(221)이 제시된 수그림카드(220)와;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수그림카드(220)에 제시된 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수그림카드(220)에 제시된 수대로 개수을 선택할 있는 다수의 과일카드(240)와;
상기 숫자카드(230)에 제시된 수대로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음식카드(25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본체판(310)과;
상기 본체판(310)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본체판(3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판(320)과;
상기 본체판(310)과 지지판(320)의 상단부 양측에 낱말 학습카드(100)와 수 학습카드(200)가 결합되는 결합링(330)과;
상기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본체판(310)의 전면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붙이기판(340)과;
상기 본체판(310)의 하단부와 일체로 지지판(320) 후방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지지판(320)의 후측 하부에 탈부착되면서 지지판(320)의 하단부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탈부착 고정판(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의 그림자 카드(110)는 그림자 모양(111)의 하부에 그림자 모양(111)에 따른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되고,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된 타측면에는 그림자 모양(111)의 실물사진(113)이 제시되며,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제 1링삽입공(114)이 구비되고, 상기 그림자 모양(111)의 중앙에는 낱말 그림카드(1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구(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의 낱말카드(120)는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된 타측면에 낱말 식별사진(121)에 따른 낱말 식별이름(12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상부에 결합되도록 제 2링삽입공(123)이 구비되며, 상기 낱말 식별사진(121)의 하부에는 이름카드(1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름카드 탈부착구(1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낱말 학습카드의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의 배면에는 각각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에 탈부착되도록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와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1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모양(111)과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이름(122)이 동일하면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의 바탕색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양측의 수를 비교하여 수의 크고 같음, 작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부호카드(260)를 포함하고, 상기 수 학습카드(200)의 수세기카드(210)는 일측면에 수(211)가 제시된 반대의 타측면에 수이름(21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 3링삽입공(213)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 학습카드(200)의 수그림카드(220)는 수 그림사진(221)이 제시된 반대측 타측면에 수 그림사진(221)의 수에 따라 수 그림점(22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제 4링삽입공(223)이 구비되고, 상기 수 그림사진(221)의 하부에는 숫자카드(2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숫자카드 탈부착구(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상부가 결합되어 전면 임의의 위치에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과일카드(240)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와 양판(270)을 포함하고,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상부가 결합되어 전면에 두 숫자카드(230)에 따라 부착된 다수의 음식카드(250)를 모아 두 수의 모으기 학습을 할 수 있는 모으기판(280)을 포함하며,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바인더 삼각대(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면에 부착된 숫자카드(230)에 따라 부착된 다수의 음식카드(250)를 가르기하여 가르기 학습을 할 수 있는 가르기판(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의 붙이기판(340) 상부에는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가 유동되지 않고 탈부착되도록 구비된 탈부착패드(360)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지지판(32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내설된 금속판(370)과;
상기 탈부착 고정판(350)에 금속판(370)과 동일한 간격으로 내설되어 금속판(370)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탈부착 자석(3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본체판(310) 전면에 일정한 문장이 제시되어 문장에 맞는 낱말이 제시된 이름카드(13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간에 문장탈부착구(391)가 구비된 문장학습판(3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와 양판(270)은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 1링결합공(271)이 구비되고, 전면에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과일카드(2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탈부착패드(272)를 포함하고, 상기 모으기판(280) 은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제 2링결함공(281a)이 구비되고, 전면 양측 하부에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의 상부에 양측으로 분할되어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가 구비되고, 중앙에 중앙 탈부착구(281d)가 구비된 모으기 전면판(281)과;
상부면에 바구니 모양으로 모으기 전면판(281)에 부착된 음식카드(250)를 모아 탈부착하도록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가 구비되고, 중앙 후방에는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에 부착된 음식카드(250) 수에 맞는 숫자카드(230)를 탈부착하는 제 2숫자카드 탈부착구(282b)가 구비된 모으기 하부판(2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르기판(290)은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제 3링결함공(291a)이 구비되고, 전면 중앙 하부에 숫자카드(230)가 탈부착되는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가 구비되며, 상기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의 상부에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다수의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가 구비된 가르기 전면판(291)과;
후방 양측 상부면에 숫자카드(230)가 탈부착되는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292a)가 구비되고, 상기 제 3수 탈부착구(292a)의 전방 양측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다수의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292b)가 구비된 가르기 하부판(2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한 주제별로 그림자 카드에 제시된 사물의 그림자 모양을 보고 무엇인지 추측하여 말로 표현하고, 모양을 비교하여 그림자 모양에 알맞는 사물 제시된 그림카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집중력이 약한 아이들이 사물의 그림을 익히는 데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아이가 낱말카드에 제시된 한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식별사진을 보며 사물의 이름을 말하고, 그림자 카드를 넘기면서 낱말카드의 식별사진에 알맞는 이름의 낱말을 찾아보며, 낱말와 식별사진을 비교하여 읽게 함으로써 주제에 해당하는 다양한 식별사진에 맞는 사물 이름의 낱말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림자 카드의 그림자 이름과 낱말카드의 식별사진이 동일한 사물이면 그림자 카드와 낱말카드의 바탕색이 서로 동일하여 처음에 색으로 구분하여 낱말을 찾던 아이가 다양한 낱말놀이를 통해 반복적으로 낱말을 경험하게 되면서 색이 아닌 글자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한 주제에 해당하는 낱말카드의 낱말 식별사진을 보며 이름을 말해보고, 상기 식별사진에 해당하는 이름카드를 선택하여 식별사진 하부에 부착하거나,수세기카드의 수 하부에 제시된 수이름을 말해보고, 수그림카드의 수사진을 보고 알맞은 숫자카드를 하부에 부착하는 학습을 함으로써 낱말과 수 이름을 빠르고 쉽게 기억할 수 있고, 사진에 알맞는 낱말과 수이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 학습카드의 모으기판과 가르기판을 이용하여 두 수를 모은 수나 수를 두수로 가른 수를 알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어 사칙연산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아이의 낱말 및 수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주제별로 다양하면서 친숙한 놀이부터 시작하여 낱말과 수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는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특히 엄마가 쉽게 아이에게 그림이나 낱말 및 수를 설명할 수 있고, 아이와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그림이나 낱말 및 수를 학습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바인더 삼각대가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 학습카드 중 그림자카드와 낱말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 학습카드 중 이름카드와 낱말 그림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수세기카드와 수 그림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숫자카드와 과일카드, 음식카드, 부 호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수와 양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모으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가르기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 학습카드(100)에서 일측면에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이 그림자 형태로 그림자 모양(111)이 제시된 다수의 그림자 카드(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자 모양(111)의 하부에는 그림자 모양(111)에 따른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되고,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된 타측면에는 그림자 모양(111)의 실물사진(113)이 제시되며, 양측 상부에는 바인더 삼각대(300)의 결합링(330)에 결합되도록 제 1링삽입공(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모양(111) 중앙에는 낱말 그림카드(1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구(1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구(115)는 후술하는 낱말카드(120)의 이름카드 탈부착구(124)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일명 찍찍이)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면에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된 다수의 낱말카드(12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된 타측면에는 낱말 식별사진(121)에 따른 낱말 식별이름(12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의 결합링(330)에 결합되도록 제 2링삽입공(123)이 구비되며, 상기 낱말 식별사진(121)의 하부에는 이름 카드(1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름카드 탈부착구(1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모양(111)과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이름(122)이 동일하면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의 바탕색이 서로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그림자 카드(110)에 제시된 그림자 모양(111)과 그림자 이름(112), 실물사진(113) 및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과 낱말 식별이름(122)은 주제별로, 즉 동물과 열매, 장남감, 옷, 교통수단의 탈것 등 다양한 주제별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에 상기 낱말카드(12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이름이 제시된 다수의 이름카드(130)와 상기 이름카드(13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형태로 테두리가 절단되어 전면에 사물그림이 제시된 다수의 낱말 그림카드(140)는 도 1과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의 배면에 각각 그림자 카드(110)의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구(115)와 낱말카드(120)의 이름카드 탈부착구(124)에 탈부착되도록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와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1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와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141)도 벨크로 테이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가 양측 상부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인더 삼각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본체판(3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판(310)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본체판(3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판(32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판(310)과 지지판(320)의 상단부 양측에는 그림자 카드(110)의 제 1링삽입공(114)과 낱말카드(120)의 제 2링삽입공(123)이 결합되는 결합링(3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링은 그림자 카드(110)의 제 1링삽입공(114)과 낱말카드(120)의 제 2링삽입공(123)에 결합되도록 전후로 분리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판(310)의 전면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붙이기판(340)을 구비하되, 상기 붙이기판(340) 상부에는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의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와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141)가 부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탈부착패드(3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판(310)의 하단부와 일체로 지지판(320) 후방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지지판(320)의 후측 하부에 탈부착되면서 지지판(320)의 하단부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탈부착 고정판(3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지지판(32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금속판(37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탈부착 고정판(350)에는 상기 금속판(370)과 동일한 간격으로 금속판(370)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탈부착 자석(38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바인더 삼각대는(500)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판(31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붙이기판(340)의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탈부착패드(360)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본체판(310)의 전면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판(310)과 일체로 후방으로 연장된 탈부착 고정판(350)의 끝단부를 상부로 절곡하여 지지판(320)의 하단부 후면에 밀착시키면 탈부착 고정판(350) 내부에 설치된 탈부착 자석(380)이 지지판(320) 내부에 설치된 금속판(370)에 자력으로 부착되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320)의 금속판(370)에 부착된 탈부착 자석(380)은 탈부착 고정판(350)이 지지판(3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지판(320)의 하부를 지지하여 본체판(310)의 상부와 결합링(330)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학습카드(200)는 일측면에 수별로 수(211)가 제시된 다수의 수세기카드(2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세기카드(210)는 일측면에 수(211)가 제시된 반대의 타측면에 수이름(21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제 3링삽입공(2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면에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동일한 수의 수 그림사진(221)이 제시된 수그림카드(220)는 수 그림사진(221)이 제시된 반대측 타측면에 수 그림사진(221)의 수에 따라 수 그림점(22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제 4링삽입공(223)이 구비되며, 상기 수 그림사진(221)의 하부에는 숫자카드(2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숫자카드 탈부착구(224)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수그림카드(220)에 제시된 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숫자카드(2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수그림카드(220)에 제시된 수대로 개수을 선택할 있는 다수의 과일카드(240)가 구비되며, 상기 숫자카드(230)에 제시된 수대로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음식카드(250)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와 양판(2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 1링결합공(271)이 구비되고, 전면에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과일카드(2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보조탈부착패드(2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으기판(280)의 모으기 전면판(281)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제 2링결함공(281a)이 구비되고, 전면 양측 하부에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의 상부에 양측으로 분할되어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가 구비되고, 중앙에 중앙 탈부착구(281d)가 구비된다.
또한 모으기판(280)의 모으기 하부판(282)은 상부면에 모으기 전면판(281)에 부착된 음식카드(250)를 모아 탈부착하도록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가 구비되고, 중앙 후방에는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에 부착된 음식카드(250) 수에 맞는 숫자카드(230)를 탈부착하는 제 2숫자카드 탈부착구(28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르기판(290)의 가르기 전면판(29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제 3링결함공(291a)이 구비되고, 전면 중앙 하부에 숫자카드(230)가 탈부착되는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가 구비되며, 상기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의 상부에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다수의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르기판(290)의 가르기 하부판(292)은 후방 양측 상부면에 숫자카드(230)가 탈부착되는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292a)가 구비되고, 상기 제 3수 탈부착구(292a)의 전방 양측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다수의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292b)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 학습카드(100)을 이용한 낱말 학습방법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낱말학습 제 1실시예>
도 11, 12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인더 삼각대(300)의 본체판(310)과 지지판(320) 상부에 구비된 일측 결합링(330)에 동물 또는 열매, 장남감, 옷, 탈것 중에서 한 주제를 선택하여 주제에 해당하는 다수의 그림자 카드(110) 양측 상부에 구비된 제 1링삽입공(114)을 결합하여 끼운다.
상기와 같이 한 주제에 해당하는 다수의 그림자 카드(110)를 바인더 삼각대(300)의 일측 결합링(330)에 끼운후 아이가 상기 그림자 카드(110)에 제시된 그림자 모양(111)을 보고 어떤 사물의 그림자인지 말하도록 학습시킨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 삼각대(300)의 붙이기판(340) 상부에 구비된 탈부착 패드(360) 상부에 그림자 카드(110)와 동일한 주제에 해당하는 다수의 낱말 그림카드(140)를 붙인다.
이때 상기 낱말 그림카드(140)의 배면에 구비된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141)가 붙이기판(340)의 탈부착 패드(360)에 부착되며 탈부착 패드(360)의 상부면에서 낱말 그림카드(140)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붙이기판(340)의 탈부착 패드(360)에 다수의 낱말 그림카드(140)를 부착한 후 아이에게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모양(111)에 알맞는 그림카드를 찾아 그림자 모양(111) 전면에 부착하도록 학습시킨다.
이때 상기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모양(111) 중앙에 구비된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구(115)에 그림카드 탈부착 테이프(410)가 부착되어 그림자 모양(111)의 전면 낱말 그림카드(140)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한 주제별로 그림자 카드(110)에 제시된 사물의 그림자 모양(111)을 보고 무엇인지 추측하여 말로 표현하고, 모양을 비교하여 그림자 모양(111)에 알맞는 사물이 제시된 낱말 그림카드(140)를 찾아 그림자 모양(111) 전면에 붙이는 놀이를 통하여 집중력이 약한 아이들이 사물의 그림을 익히는 데 흥미와 재미를 느끼면서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낱말학습 제 2실시예>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인더 삼각대(300)의 양측 결합링(330)에 한 주제에 해당하는 다수의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의 제 1링삽입공(114)과 제 2링삽입공(123)으로 각각 끼운다.
이때 상기 낱말카드(120)의 전면에는 사물의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되고, 그림자 카드(110)의 전면에는 그림자 모양(111)과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된다.
상기와 같이 바인더 삼각대(300)의 본체판(310) 양측에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를 결합한 후 아이는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을 보며 사물의 이름을 말하면서 낱말 식별사진(121)에 대한 사물의 이름을 학습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는 낱말카드(120)의 일측에 있는 그림자 카드(110)를 한 장 한 장 본체판(310)에서 후방의 지지판(320)으로 결합링(330)을 중심으로 뒤로 넘겨가면서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에 알맞는 낱말, 즉 그림자 이름(112)을 찾아본다.
상기와 같이 아이가 낱말카드(120)에 제시된 한 주제에 해당하는 사물의 낱말 식별사진(121)을 보며 사물의 이름을 말하고, 그림자 카드(110)를 넘기면서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에 알맞는 이름의 그림자 이름(112)을 찾아보며, 낱말와 낱말 식별사진(121)을 비교하여 읽게 함으로써 주제에 해당하는 다양한 낱말 식별사진(121)에 맞는 사물 이름의 낱말을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이름(112)과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이 동일한 사물일 때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의 바탕색이 서 로 동일하여 처음에는 색으로 구분하여 낱말을 찾던 아이가 다양한 낱말놀이를 통해 반복적으로 낱말을 경험하게 되면서 색이 아닌 글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다.
<낱말학습 제 3실시예>
도 14 는 본 고안에 따른 낱말놀이식 학습교구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인더 삼각대(300)의 본체판(310) 일측 결합링(330)에 한 주제에 해당하는 다수의 낱말카드(120)를 끼우고, 아이는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을 보며 사물의 이름을 말하는 학습을 한다.
그리고 바인더 삼각대(300)의 붙이기판(340) 탈부착 패드(360) 상부에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를 이용하여 상기 낱말카드(120)의 주제에 해당하는 다수의 이름카드(130)를 붙인 후, 아이는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에 알맞는 이름카드(130)를 선택하여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 하부에 구비된 이름카드 탈부착구(124)에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를 이용하여 이름카드(130)를 붙인다.
상기와 같이 한 주제에 해당하는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사진(121)을 보며 이름을 말해보고, 상기 낱말 식별사진(121)에 해당하는 이름카드(130)를 선택하여 낱말 식별사진(121) 하부에 부착하는 학습을 함으로써 낱말을 빠르고 쉽게 기억할 수 있고, 사진에 알맞는 낱말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낱말학습 제 4실시예>
도 15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본체판(310) 전면에 일정한 문장이 제시되어 문장에 맞는 낱말이 제시된 이름카드(13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간에 문장탈부착구(391)가 구비된 문장학습판(390)이 구비되어 아이는 문장을 읽고, 문장의 빈칸에 알맞는 낱말을 다수의 이름카드(130)에서 찾아 문장학습판(390)의 빈칸에 구비된 문장탈부착구(391)에 이름카드(130)를 붙여 문장을 완성하는 학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낱말이 아닌 문장으로 대화하기 때문에 오히려 문장 속에 있는 낱말을 익히면 더 즐겁고 흥미롭게 낱말을 익힐 수 있고, 나아가 아이가 그림책을 익힐 수 있는 기초를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그림과 낱말을 학습하는 중에 그림자 카드 또는 낱말카드의 사물에 따라 사물의 울음소리를 음향으로 아이에게 들려주면서 학습하면 아이의 학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놀이식 학습교구의 구 학습카드를 이용한 수 학습방법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습 제 1실시예>
도 16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인더 삼각대(300)의 본체판(310)과 지지판(320) 상부에 구비된 우측 결합링(330)에 다수의 수 그림카드(220)를 양측 상부에 구비된 제 4링삽입공(223)을 결합하여 끼운다.
그리고 바인더 삼각대(300)의 좌측 결합링(330)에는 양측 상부에 구비된 제 3링삽입공(213)을 이용하여 다수의 수세기카드(210)를 결합하여 끼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수세기카드(210)와 구 그림카드(220)를 바인더 삼각대(300)의 양측 결합링(330)에 각각 끼운후 아이에게 수세기카드(210)에 제시된 수(211)의 모양을 보여주고, 수세기카드(210)의 수(211)를 보면서 똑같은 모양의 숫자카드(230)를 찾아 수 그림카드(220)의 숫자카드 탈부착구(224)에 붙이도록 학습한다.
이때 상기 숫자카드(230)의 배면에는 숫자카드 탈부착구(224)에 잘 탈부착되도록 찍찍이와 같은 탈부착구가 부착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되는 과일카드(240)와 음식카드(250), 부호카드(260)의 배면에도 탈부착구가 구비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의 모양을 보고, 같은 모양의 숫자카드(230)를 찾아 짝을 지을 수 있고, 수의 모양을 익힐 수 있다.
<수학습 제 2실시예>
도 17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인더 삼각대(300)의 본체판(310)과 지지판(320) 상부에 구비된 우측 결합링(330)에 다수의 수 그림카드(220)를 양측 상부에 구비된 제 4링삽입공(223)을 결합하여 끼우고, 좌측 결합링(330)에는 양측 상부에 구비된 제 3링삽입공(213)을 이용하여 다수의 수세기카드(210)가 수이름(212)이 전면에서 보이도록 결합하여 끼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수세기카드(210)와 구 그림카드(220)를 바인더 삼각대(300)의 양측 결합링(330)에 각각 끼운후 아이에게 수세기카드(210)에 제시된 수(211)를 보면서 수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세기카드(210)의 수(211)를 보면서 똑같은 모양의 숫자카드(230)를 찾아 수 그림카드(220)의 숫자카드 탈부착구(224)에 붙이도록 학습한다.
상기와 같이 수의 모양을 보고, 같은 모양의 숫자카드(230)를 찾아 수 그림카드(220)에 붙이는 학습을 통해 수의 모양과 이름을 익힐 수 있다.
<수학습 제 3실시예>
도 18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먼저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제 1링결합공(271)을 이용하여 수와 양판(270)을 바인더 삼각대(300)의 결합링(330)에 결합하여 끼운다.
그리고 상기 수와 양판(270)의 일측 전면에 위치되도록 수세기카드(210)를 수이름(212)이 보이도록 제 3결합링(213)을 이용하여 바인더 삼각대(300)의 일측 결합링(330)에 끼우고, 탈부착패드(360)의 상부에 다수의 과일카드(240)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와 양판(270)과 수세기카드(210)를 바인더 삼각대(300)에 끼운 후 아이에게 수세기카드(210)를 보며 수이름(212)을 말하게 한다. 그리고 수세기카드(210)에 제시된 수만큼 탈부착패드(360)에 부착된 과일카드(240)를 수와 양판(270)의 전면에 구비된 보조탈부착패드(272)에 붙이도록 하고, 수세기카드(210)와 수와 양판(270)의 보조탈부착패드(272)에 부착된 과일카드(240)를 보며 몇개가 있는지 말하도록 학습한다.
상기와 같이 수세기카드(210)의 수만큼 과일카드(240)를 선택하여 수와 양판(270)의 보조탈부착패드(272)에 붙이는 학습을 통해 수세기카드(210)의 수와 과일카드(240)의 양 관계를 알 수 있다.
<수학습 제 4실시예>
도 19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바인더 삼각대(300)의 결합링(330)에 모으기 전면판(281)의 상부에 구비된 제 2링결합공(281a)을 결합하여 모으기판(280)을 끼운다.
그리고 두 수의 합이 10 이내인 두 숫자카드(230)를 모으기 전면판(281)의 양측 하부에 구비된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에 각각 부착하고, 상기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에 각각 부착된 숫자카드(230)의 수만큼 상부에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구비된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에 음식카드(250)를 각각 부착한다.
또한 아이에게 양측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에 부착된 음식카드(250) 중 어느쪽이 큰 수인지 모으기 전면판(281) 중앙에 구비된 중앙탈부착구(281d)에 부호카드(260)를 붙이게 하여 수의 크기를 비교해 볼 수 있다.
한편 아이에게 "모두 모으면 몇 개일까?"라고 질문한 다음 상기 양측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에 부착된 음식카드(250)를 모두 떼어 모으기 하부판(282)의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에 옮겨 부착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측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에 부착된 음식카드(250)를 모두 떼어 모으기 하부판(282)의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에 옮겨 부착시키도록 한 후 음식카드(250)의 수를 세어 알맞은 숫자카드(230)를 선택 하여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의 후방 중앙에 구비된 제 2숫자카드 탈부착구(282b)에 붙이도록 학습한다.
상기와 같이 학습함으로써 10 이내인 두 수를 모았을 때 모은 수를 알 수 있다.
<수학습 제 5실시예>
도 20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가르기 전면판(291)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제 3링결합공(291a)을 결합링(330)에 결합하여 가르기판(290)을 바인더 삼각대(300)에 끼우고, 두 수로 1보다 큰 수의 숫자카드(230)를 가르기 전면판(291)의 중앙 하부에 구비된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에 붙인 후 그 숫자카드(230)의 수만큼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 상부에 구비된 다수의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에 음식카드(250)를 붙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에 부착된 음식카드(250)의 수보다 작은 수의 숫자카드(230)를 가르기 하부판(292)의 후방 일측에 구비된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292a)에 붙이고, 상기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292a)에 부착된 숫자카드(230)의 수만큼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에 부착된 음식카드(250)를 옮겨 가르기 하부판(292)의 일측에 구비된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292b)에 붙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르기 하부판(292)의 일측에 구비된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292b)에 붙이도록 한 후 가르기 전면판(291)의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에 부착된 나머지 음식카드(250)를 가르기 하부판(292)의 타측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292b)에 옮겨 붙이고, 그 음식카드(250) 수를 세어 알맞은 숫자카드(230)를 선택하여 후방의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292a)에 붙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10 이내의 수를 두 수로 가른 수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수세기카드의 수 하부에 제시된 수이름을 말해보고, 수그림카드의 수사진을 보고 알맞은 숫자카드를 하부에 부착하는 학습을 함으로써 수 이름을 빠르고 쉽게 기억할 수 있고, 수 학습카드의 모으기판과 가르기판을 이용하여 두 수를 모은 수나 수를 두 수로 가른 수를 알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어 사칙연산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바인더 삼각대가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 학습카드 중 그림자카드와 낱말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 학습카드 중 이름카드와 낱말 그림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수세기카드와 수 그림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숫자카드와 과일카드, 음식카드, 부호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수와 양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모으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카드 중 가르기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12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1실시예를 나타 낸 예시도.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낱말학습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 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0 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식 학습교구의 수 학습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낱말 학습카드
110 : 그림자 카드 111 : 그림자 모양
112 : 그림자 이름 113 : 실물사진
114 : 제 1링삽입공 115 : 그림카드 탈부착구
120 : 낱말카드 121 : 낱말 식별사진
122 : 낱말 식별이름 123 : 제 2링삽입공
124 : 이름카드 탈부착구 130 : 이름카드
131 :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 140 : 그림카드
141 :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
200 : 수 학습카드
210 : 수세기카드 211 : 수
212 : 수이름 213 : 제 3링삽입공
220 : 수그림카드 221 : 수 그림사진
222 : 수 그림점 223 : 제 4링삽입공
224 : 숫자카드 탈부착구 230 : 숫자카드
240 : 과일카드 250 : 음식카드
260 : 부호카드 270 : 수와 양판
271 : 제 1링결합공 272 : 보조탈부착패드
280 : 모으기판 281 : 모으기 전면판
281a : 제 2링결합공 281b :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
281c :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 281d : 중앙탈부착구
282 : 모으기 하부판 282a :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
282b : 제 2숫자카드 탈부착구 290 : 가르기판
291 : 가르기 전면판 291a : 제 3링결합공
291b : 제 3숫자카드 탈부찰구 291c :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
292 : 가르기 하부판 292a :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
292b :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
300 : 바인더 삼각대
310 : 본체판 320 : 지지판
330 : 결합링 340 : 붙이기판
350 : 탈부착 고정판 360 : 탈부착패드
370 : 금속판 380 : 탈부착 자석판
390 : 문장학습판 391 : 문장탈부착구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놀이식 학습교구에 있어서,
    각종 주제별로 낱말이 제시된 낱말 학습카드(100); 및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가 양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낱말 학습카드(10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인더 삼각대(300);
    를 포함하되,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는 일측면에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이 그림자 형태로 그림자 모양(111)이 제시된 다수의 그림자 카드(110)와;
    일측면에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된 다수의 낱말카드(120)와;
    전면에 상기 낱말카드(12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이름이 제시된 다수의 이름카드(130)와;
    상기 이름카드(130)와 동일한 주제별로 다양한 사물의 형태로 테두리가 절단되어 전면에 사물그림이 제시된 다수의 낱말 그림카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4. 놀이식 학습교구에 있어서,
    각종 주제별로 수가 제시된 수 학습카드(200); 및
    상기 수 학습카드(200)가 양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수 학습카드(20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인더 삼각대(3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일측면에 수별로 수(211)가 제시된 다수의 수세기카드(210)와;
    일측면에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동일한 수의 수 그림사진(221)이 제시된 수그림카드(220)와;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수그림카드(220)에 제시된 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상기 수세기카드(210)와 수그림카드(220)에 제시된 수대로 개수을 선택할 있는 다수의 과일카드(240)와;
    상기 숫자카드(230)에 제시된 수대로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음식카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상기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본체판(310)과;
    상기 본체판(310)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본체판(3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판(320)과;
    상기 본체판(310)과 지지판(320)의 상단부 양측에 낱말 학습카드(100)와 수 학습카드(200)가 결합되는 결합링(330)과;
    상기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본체판(310)의 전면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붙이기판(340)과;
    상기 본체판(310)의 하단부와 일체로 지지판(320) 후방으로 연장되고 끝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 지지판(320)의 후측 하부에 탈부착되면서 지지판(320)의 하단부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탈부착 고정판(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의 그림자 카드(110)는 그림자 모양(111)의 하부에 그림자 모양(111)에 따른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되고, 그림자 이름(112)이 제시된 타측면에는 그림자 모양(111)의 실물사진(113)이 제시되며,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제 1링삽입공(114)이 구비되고, 상기 그림자 모양(111)의 중앙에는 낱말 그림카드(1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구(1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 학습카드(100)의 낱말카드(120)는 낱말 식별사진(121)이 제시된 타측면에 낱말 식별사진(121)에 따른 낱말 식별이름(12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상부에 결합되도록 제 2링삽입공(123)이 구비되며, 상기 낱말 식별사진(121)의 하부에는 이름카드(1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이름카드 탈부착구(1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낱말 학습카드의 이름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의 배면에는 각각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에 탈부착되도록 이름카드 탈부착테이프(131)와 낱말 그림카드 탈부착테이프(1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 카드(110)의 그림자 모양(111)과 낱말카드(120)의 낱말 식별이름(122)이 동일하면 그림자 카드(110)와 낱말카드(120)의 바탕색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양측의 수를 비교하여 수의 크고 같음, 작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부호카드(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학습카드(200)의 수세기카드(210)는 일측면에 수(211)가 제시된 반대의 타측면에 수이름(21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 3링삽입공(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학습카드(200)의 수그림카드(220)는 수 그림사 진(221)이 제시된 반대측 타측면에 수 그림사진(221)의 수에 따라 수 그림점(222)이 제시되고, 양측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도록 제 4링삽입공(223)이 구비되고, 상기 수 그림사진(221)의 하부에는 숫자카드(23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숫자카드 탈부착구(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상부가 결합되어 전면 임의의 위치에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과일카드(240)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와 양판(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바인더 삼각대(300)에 상부가 결합되어 전면에 두 숫자카드(230)에 따라 부착된 다수의 음식카드(250)를 모아 두 수의 모으기 학습을 할 수 있는 모으기판(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학습카드(200)는 바인더 삼각대(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면에 부착된 숫자카드(230)에 따라 부착된 다수의 음식카드(250)를 가르기하여 가르기 학습을 할 수 있는 가르기판(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의 붙이기판(340) 상부에는 이름 카드(130)와 낱말 그림카드(140)가 유동되지 않고 탈부착되도록 구비된 탈부착패드(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지지판(32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내설된 금속판(370)과;
    상기 탈부착 고정판(350)에 금속판(370)과 동일한 간격으로 내설되어 금속판(370)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탈부착 자석(3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삼각대(300)는 본체판(310) 전면에 일정한 문장이 제시되어 문장에 맞는 낱말이 제시된 이름카드(13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간에 문장탈부착구(391)가 구비된 문장학습판(3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와 양판(270)은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 1링결합공(271)이 구비되고, 전면에 다수의 숫자카드(230)와 과일카드(2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탈부착패드(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으기판(280)은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 합되는 제 2링결함공(281a)이 구비되고, 전면 양측 하부에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숫자카드 탈부착구(281b)의 상부에 양측으로 분할되어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제 1음식카드 탈부착구(281c)가 구비되고, 중앙에 중앙 탈부착구(281d)가 구비된 모으기 전면판(281)과;
    상부면에 바구니 모양으로 모으기 전면판(281)에 부착된 음식카드(250)를 모아 탈부착하도록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가 구비되고, 중앙 후방에는 제 2음식카드 탈부착구(282a)에 부착된 음식카드(250) 수에 맞는 숫자카드(230)를 탈부착하는 제 2숫자카드 탈부착구(282b)가 구비된 모으기 하부판(2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식 학습교구.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르기판(290)은 상부에 바인더 삼각대(300)에 결합되는 제 3링결함공(291a)이 구비되고, 전면 중앙 하부에 숫자카드(230)가 탈부착되는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가 구비되며, 상기 제 3숫자카드 탈부착구(291b)의 상부에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다수의 제 3음식카드 탈부착구(291c)가 구비된 가르기 전면판(291)과;
    후방 양측 상부면에 숫자카드(230)가 탈부착되는 제 4숫자카드 탈부착구(292a)가 구비되고, 상기 제 3수 탈부착구(292a)의 전방 양측 상부면에는 양측으로 분할되어 전후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음식카드(250)가 탈부착되는 다수의 제 4음식카드 탈부착구(292b)가 구비된 가르기 하부판(2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놀이식 학습교구.
KR2020090015196U 2009-11-24 2009-11-24 놀이식 학습교구 KR200457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96U KR200457406Y1 (ko) 2009-11-24 2009-11-24 놀이식 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96U KR200457406Y1 (ko) 2009-11-24 2009-11-24 놀이식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60U KR20110005360U (ko) 2011-06-01
KR200457406Y1 true KR200457406Y1 (ko) 2011-12-20

Family

ID=4556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96U KR200457406Y1 (ko) 2009-11-24 2009-11-24 놀이식 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91B1 (ko) * 2012-03-16 2012-09-17 주식회사 비씨엔키즈 언어교육교재에 의한 언어교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01B1 (ko) * 2021-02-15 2021-12-0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식습관 개선을 위한 영양 교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472A (en) 1978-01-09 1979-12-04 Devanney Mary T Numbers teaching aid
KR200232119Y1 (ko) * 2001-01-30 2001-07-03 동 현 이 학습교구
KR100791884B1 (ko) 2006-12-21 2008-01-07 이용재 그림카드를 이용한 글자 익힘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472A (en) 1978-01-09 1979-12-04 Devanney Mary T Numbers teaching aid
KR200232119Y1 (ko) * 2001-01-30 2001-07-03 동 현 이 학습교구
KR100791884B1 (ko) 2006-12-21 2008-01-07 이용재 그림카드를 이용한 글자 익힘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91B1 (ko) * 2012-03-16 2012-09-17 주식회사 비씨엔키즈 언어교육교재에 의한 언어교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60U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043A (en) Deck of playing cards for playing alphabet learning games and spelling games
Sutherland The Triumph of ‘Formalism’: Elementary Schooling in Vancouver from the 1920s to the 1960s
US7775798B2 (en) Educational restaurant and travel game system
US7396014B2 (en) Couples interactive relationship question and answer board game
Bohning et al. Using tangrams to teach geometry to young children
AU2008255576B2 (en) An education apparatus
KR200457406Y1 (ko) 놀이식 학습교구
US20040219496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US20050074736A1 (en) Multicultural educational kit
US20080199837A1 (en) Universal learning system
US20090218768A1 (en) Smarty smart sticks
JP3119165U (ja) ゲーム用歴史年表
US7300057B1 (en) Spin-a-play
Morin The Everything Kids' Learning Activities Book: 145 entertaining activities and learning games for kids
CN201350350Y (zh) 具剧场式立体游戏功能的立体书
US8672326B2 (en) Smarty smart sticks
Kokot Discovery learning: founding a school for gifted children
Salmond Mystery People, Prince Rabbit, and Other Projects by Student Aides.
JPH0752316B2 (ja) 漢字部首学習用具
McLaughlin et al. Number Projects for Beginners
KR20080103423A (ko) 지식습득 겸용 놀이기구
KR100266449B1 (ko) 한자수련용 경연판
JP2022187135A (ja) 学習用玩具
CN101236705A (zh) 儿童辨认汉字游戏卡
Gray et al. The Effect of Variations of the Metropolitan Reading Readiness Test upon Scores of Culturally Disadvantaged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