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78Y1 - 비계용 자동 행거 - Google Patents

비계용 자동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78Y1
KR200457178Y1 KR2020100000512U KR20100000512U KR200457178Y1 KR 200457178 Y1 KR200457178 Y1 KR 200457178Y1 KR 2020100000512 U KR2020100000512 U KR 2020100000512U KR 20100000512 U KR20100000512 U KR 20100000512U KR 200457178 Y1 KR200457178 Y1 KR 200457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air
scaffold
pieces
p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356U (ko
Inventor
김용상
춘 수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to KR2020100000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7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2Scaffold feet, e.g. with arrangements for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를 건축물의 외벽에서 승 하강 이동시키는 경우에, 임의 위치에서 비계를 정지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비계용 자동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4)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1쌍의 중심축(6)과; 상기 중심축(6)에 회동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는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12)과; 상기 중심축(6)에서 쌍으로 배치된 수직 요동편(12)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1쌍의 롤러(14)와; 상기 중심축(6)에 쌍으로 배치된 수직 요동편(12)의 상측 사이로 가설되어서 양 중심축(6) 사이로 사각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1쌍의 제동판(16)과; 상기 수직 요동편(12)의 하단부 안쪽으로 형성된 경사면(124)을 갖춘 구성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비계용 자동 행거{Automatic hanger for scaffolding}
본 고안은 건축 공사에서 건물 외벽에 비치된 레일을 타고 승강 이동하는 비계를 임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매달아 주는 비계용 자동 행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물 축조공법은 신축공사 또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축조된 콘크리트 외벽체에 레일을 부설하고, 이 레일을 타고 승 하강 이동하는 비계를 설치하여 공사 중에 작업의 편이성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비계 바깥쪽에 네트를 부착해서 공사 중에 발생하는 먼지가 주변으로 날라 가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네트가 부착된 비계는 철재를 격자 모양으로 조립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에는 발판이 구비되어서 작업자가 건물의 바깥쪽에서 외벽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프레임 전체는 현장의 타워 크레인 또는 윈치 등을 이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관련된 자동 행거는 상기 비계를 임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장치로서 타워 크레인에 의해 인상되는 비계가 행거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비계의 하측을 막아 지지하여 주는 구조로 된 것이다.
본 고안자는 상술한 자동 행거로서, 정면 중앙에 프레임의 연결 로드가 승강하는 통로를 갖춘 케이싱의 내측으로 1쌍의 롤러를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직 이동 바를 안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방으로 전도 방지용 돌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는 1쌍의 스토퍼 판을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배치하여 수직 이동 바의 상승 이동 시마다 도중에 설치된 래치의 간섭으로 상기 스토퍼 판이 열렸다가 닫히면서 래치의 하측을 자동으로 지지하는 구성의 인양식 작업 발판 프레임용 자동 스토퍼를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327호로 제안한 바 있다.
또, 본 고안자는 갱 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락 방지와 설치/해체의 간편화를 도모하고자, 건물 외벽에 부착 고정되고 1쌍의 축과 스토퍼가 한쪽 면에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 앵커 플레이트와, 상기 1쌍의 축으로 대략 중간부가 관통 지지 되고 하단은 스토퍼에 간섭되도록 연장 형성된 1쌍의 전면 가드, 그리고 상기 축에 관통되는 타원 공을 중간에 갖추고 하단은 스토퍼에 간섭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또한 하단부에 상호 맞접촉되는 경사면을 갖춘 1쌍의 후면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가드와 후면 가드 사이로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갱 폼 포스트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로 개폐되도록 배치되는 1쌍의 선회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추락 방지 기능을 가진 갱 폼 가이더를 한국 특허출원 제10-2009-0056259호로 제안한 바 있다.
상술한 자동 스토퍼는 내측에 비치된 롤러에 의해 수직 이동 바의 승 하강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장점은 있으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전도 방지용 돌기가 작업 환경에서 위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스토퍼 판의 외향 돌기는 외력을 받으면 쉽게 구부러져 변형되면서 수직 이동 바의 승 하강 이동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되는 사례가 있다.
또, 상기 갱 폼 가이더는 작업 용도가 상기 자동 스토퍼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지만, 작업 환경에 위해요소로 되는 상향 돌출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갱 폼 포스트가 승 하강 이동할 때는 면 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이 심하고 부드럽게 승 하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문헌1]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제20-2009-0009327호,도1 [문헌2]한국특허출원제10-2009-0056259호,도1
본 고안은 건설 현장에서 작업용 발판으로 사용되는 비계를 부드럽게 승 하강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 환경에 위해요소로 되는 돌출부분이 없는 형태로 된 비계용 자동 행거를 제공하여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에 1쌍의 중심축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중심축에는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을 대향 배치하되, 상기 중심축 상에서 양 수직 요동편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롤러를 개재시켜 배치하고, 상기 중심축 상에 쌍으로 배치된 수직 요동편의 상측 사이로 제동판을 가설하여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양 중심축 사이에 비계의 수직 가이드 바가 통과할 수 있는 사각통로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 요동편의 하단부 안쪽으로 경사면을 부여하여, 상기 수직 가이드 바가 승 하강 중에 상기 롤러의 구름 접촉을 받으면서 안내되고, 또한 중심축을 지점으로 행해지는 수직 요동편의 회동이 상기 경사면에 의해 일정 각도로 제한되도록 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계용 자동 행거는 건물의 외벽 공사에 사용되는 비계를 건물의 외벽에서 임의 위치로 간편하게 승 하강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자동 행거를 타고 안내되는 비계의 수직 가이드 바는 행거의 내부에서 롤러의 구름 접촉을 받아 안내되므로 비계의 인양 중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자동 비계는 작업 현장의 위해요소가 될 수 있는 돌출부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신체적 손상을 입을 염려가 없는 구조이다.
게다가 수직 가이드 바의 상승 이동에 편승하여 회동하게 되는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은 하단부의 경사면에 의해 회동 각도가 제한됨으로써 중력의 작용으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복귀 스프링이나 레버 등을 채용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고장 없이 작동되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비계용 자동 행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련된 비계용 자동 행거의 측단면도.
도 3a는 비계가 상승 이동하기 직전의 자동 행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비계가 상승 이동 중인 때의 자동 행거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비계의 상승 이동으로 자동 행거의 양 수직 요동편이 최대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비계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고 양 수직 요동편이 복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비계용 자동 행거는,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장타원공(2)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 플레이트(4)와, 이 마운팅 플레이트(4)의 양측에서 쌍으로 수평 연장되고 상하로 배치되는 1쌍의 중심축(6)과 스토퍼 로드(8), 그리고 상기 중심축(6)에 관통 설치되는 1쌍의 스페이서(10)와,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12)과, 각 중심 축(6)에서 쌍으로 배치되는 수직 요동편(12)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보전하도록 상기 중심축(6)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 되는 1쌍의 롤러(14)와, 이 롤러(14)의 양측에 배치된 수직 요동편(12)의 상측으로 가설되어 양 중심축(6)의 상방에서 대향 하도록 배치되는 1쌍의 제동판(16)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2조 1쌍으로 배열되는 수직 요동편(12)의 상단부(120)는 상기 제동판(16)의 수평면보다 더 높게 연장시켜 두는 것이 좋다.
또, 수직 요동편(12)의 하단부는 바깥쪽이 상기 스토퍼 로드(8)에 접촉 지지 되는 걸림면(122)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은 경사면(124)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동판(16)은 내측이 사각형상으로 절단되어 있음에 따라 1쌍이 대향 배치되면 가운데로 사각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스페이서(10)는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운팅 플레이트(4)에 대하여 양 수직 요동편(14)과 제동판(16)이 항상 일정 간격을 두고 작동하도록 위치 제한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비계용 자동 행거는 마운팅 플레이트(4)를 통해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고, 비계의 수직 가이드 바(B)는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14)과 제동판(16)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통로를 따라 승 하강하게 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바(B)의 승 하강 이동을 도 3a~도 3d에 따라 설명한다.
도 3a는 비계의 수직 가이드 바(B)에 설치된 삼각편(T)이 제동판(16)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에서 삼각편(T)은 수직 가이드 바(B)의 외주 면에서 수직 요동편(12)의 바깥쪽에 놓이는 위치로 부착하고 있으나, 비계의 수직 가이드 바(B)가 이동할 때 양 롤(14)과 간섭을 일으켜 승 하강 이동을 방해할 염려가 없는 위치나 형태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a에서 삼각편(T)은 현장의 타워 크레인으로 인양되는 수직 가이드 바(B)에 편승하여 같이 상승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삼각편(T)의 상단부는 대향 배치된 수직 요동편(1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양 제동편(16)을 밀어 올리게 된다. 본 고안의 비계용 자동 행거는 타워 크레인으로 인양되는 수직 가이드 바(B)의 측면으로 롤러(14)가 구름 접촉하면서 안내하기 때문에 소음 발생 없이 부드럽게 끌어 올려지고, 또 수직 가이드 바(B)의 주변은 양 제동판(16)으로 한정되는 사각통로와,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12)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부(120)로 둘러싸이게 되어 승 하강 중에 수평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안내된다.
한편, 양 제동편(16)은 수직 가이드 바(B)가 도 3b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 이동함에 따라 삼각편(T)의 상단부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양 수직 요동편(12)은 중심축(6)을 지점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양 제동편(16) 사이의 대치 간격은 삼각편(T)이 상승 이동할수록 멀어지면서 통로를 열어주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양 수직 요동편(12)이 회동을 시작하여 안쪽의 경사면(124)은 상호 근접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양 경사면(124)이 맞닿는 상태로 제동판(16)을 열면, 양 수직 요동편(12)은 회동이 정지된 상태 그대로 정지하고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삼각편(T)의 상승 이동에 의한 양 수직 요동편(12)의 회동은 안쪽의 경사면(124) 끼리 근접하는 정도로만 진행되도록 하고, 완전히 맞닿게 회동 되게 해서는 아니 된다.
도 3c는 양 수직 요동편(12)이 안쪽의 경사면(124) 끼리 맞닿을 때까지 최대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124)이 맞닿게 되면 양 수직 요동편(12)의 회동은 정지되고, 이어서 수직 가이드 바(B)의 삼각편(T)이 양 제동판(16) 사이를 통과하여 양 제동판(16)의 영향권을 벗어나게 되면 중력의 작용으로 상기 양 수직 요동편(12)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양 수직 요동편(12)이 복귀하면, 도 3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제동판(16)은 삼각편(T)의 하측을 막아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직 가이드 바(B)를 다시 하강시켜주면 상기 삼각편(T)이 제동판(16) 위에 놓이면서 비계의 상향 이동작업이 종료된다.
또, 비계의 하향 이동작업은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행해지되,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양 제동판(16)을 완전히 열어 주어야 한다.
상기 양 제동판(16)을 열어 줌에 따라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12)은 완전히 회동하여 안쪽의 경사면(124) 끼리 맞닿은 상태로 정지하고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 가이드 바(B)dml 하강 시에 삼각편(T)은 무난하게 양 제동판(16)과 수직 요동편(12)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수직 요동편(12)의 하단부를 간섭하게 되므로 상술한 수직 가이드 바(B)의 하강 이동도 부드럽고 안전하게 행해진다.
2: 장타원공 4: 마운팅 플레이트
6: 중심 축 8: 스토퍼 로드
10: 스페이서 12: 수직 요동편
120: 상단부 122: 걸림면
124: 경사면 14: 롤러
16: 제동판 B: 수직 가이드 바
T: 삼각편

Claims (1)

  1.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4)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1쌍의 중심축(6)과;
    상기 중심축(6)에 회동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는 2조 1쌍의 수직 요동편(12)과;
    상기 중심축(6)에서 쌍으로 배치된 수직 요동편(12)의 사이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1쌍의 롤러(14)와;
    상기 중심축(6)에 쌍으로 배치된 수직 요동편(12)의 상측 사이로 가설되어서 양 중심축(6) 사이로 사각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1쌍의 제동판(16)과;
    상기 수직 요동편(12)의 하단부 안쪽으로 형성된 경사면(124);
    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는 비계용 자동 행거.
KR2020100000512U 2010-01-18 2010-01-18 비계용 자동 행거 KR200457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12U KR200457178Y1 (ko) 2010-01-18 2010-01-18 비계용 자동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12U KR200457178Y1 (ko) 2010-01-18 2010-01-18 비계용 자동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56U KR20110007356U (ko) 2011-07-26
KR200457178Y1 true KR200457178Y1 (ko) 2011-12-07

Family

ID=4556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512U KR200457178Y1 (ko) 2010-01-18 2010-01-18 비계용 자동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7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0Y1 (ko) 2005-12-21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초경량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0Y1 (ko) 2005-12-21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초경량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56U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77885U (zh) 建筑物核心筒液压智能爬升防护平台
KR101288683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장치
CN106103328A (zh) 临时电梯装置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CN211058279U (zh) 超高层建筑施工用悬挑式作业装置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101945325B1 (ko) 비계용 화물 승강기
KR20140020126A (ko)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0457178Y1 (ko) 비계용 자동 행거
KR20190142582A (ko) 단부작업용 무비계 작업발판
KR20190002905U (ko)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KR101213276B1 (ko)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KR101568030B1 (ko)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CN211006388U (zh) 一种桥梁施工用吊篮
KR200448066Y1 (ko) 인양식 작업 발판 프레임용 자동 스토퍼
KR102427020B1 (ko) 갱폼 안전인양 장치
CN210289047U (zh) 一种优化带有提升功能的建筑砌砖用脚手架
KR200198526Y1 (ko) 건축 공사에 있어서 방진프레임 현수장치
JP3215062U (ja) 落下防止ユニット
KR102486863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100945240B1 (ko) 갱폼의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JP2010112051A (ja) 昇降式足場
CN215978556U (zh) 一种建筑工程用楼房外墙粉刷安全防护网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