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09Y1 - 증기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09Y1
KR200456909Y1 KR2020100003275U KR20100003275U KR200456909Y1 KR 200456909 Y1 KR200456909 Y1 KR 200456909Y1 KR 2020100003275 U KR2020100003275 U KR 2020100003275U KR 20100003275 U KR20100003275 U KR 20100003275U KR 200456909 Y1 KR200456909 Y1 KR 200456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chamber
steam generating
coo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459U (ko
Inventor
정광수
양해석
Original Assignee
양해석
정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석, 정광수 filed Critical 양해석
Priority to KR202010000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0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이면서 조리대와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증기발생에 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증기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증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방에 조리판을 안치할 수 있는 조리판안치구를 가지는 조리대의 하방에 각각의 조리판안치구와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증기 발생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증기 발생장치는 커버와 증기발생을 위한 히터를 가지고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증기발생바디와, 상기 증기발생바디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하여 구분하는 증기발생실과 보충수실, 상기 격벽에 형성하여 보충수실의 보충수를 증기발생으로 소모되는 양만큼 증기발생실로 공급하는 공급홀과, 상기 보충수실로 보충수를 공급은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증기발생실과 연결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증기발생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을 통하여 보충수를 예열하는 예열관과, 상기 예열관과 연결되어 보충수실로 예열된 보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특징이다.

Description

증기 발생장치{STEEM GENERATION DEVICE}
본 고안은 증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떡과 같은 식품을 제조할 때 내용물(음식물)을 익히는 데 필요한 증기를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증기 발생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증기 발생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데, 보일러는 물론 떡과 같은 식품을 제조할 때 떡을 익히는 용도, 기타 밥이나 다른 음식물을 익히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증기 발생장치는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증기 발생장치(1)는, 조리하기 위한 식품을 수용한 조리판을 안치할 수 있도록 조리판안치구(2)를 상방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한 조래대(3)의 하방에 증기발생에 필요한 물을 채울 수 있도록 박스타입의 수조(4)를 일체로 설치한다.
상기 수조(4)에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히터(5)가 설치되고, 증기 발생으로 줄어드는 물을 일정량 보충할 수 있도록 플로터(6)를 가지는 급수구(7)를 설치한다.
상기 수조(4)의 상부와 조리판안치구(2) 사이에는 발생한 증기를 조리판에 공급하여 식품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증기공급구(8)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증기 발생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을 수용한 조리판을 안치하기 위한 조리대의 하방에 일체로 구성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과정에서 고장으로 인한 수리 또는 주기적인 보수 등을 위한 정비성이 좋지 못하고 유지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의 종류나 양 또는 크기에 관계없이 대형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조리대는 물론, 조리대에 일체로 설치되는 증기 발생장치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완성된 상태에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면서도 제조 및 설치와 같은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이용자들에게도 금전적인 부담을 가중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증기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수조가 대형이기 때문에 수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많아지고 이로 인하여 초기에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많은 전기 에너지원을 소비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열손실이 과다하고, 신속하게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이 많지 않아 조리대에 하나의 조리판을 안치하여 식품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증기 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수조에 채워진 물 전체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방에 조리판을 안치할 수 있는 조리판안치구를 가지는 조리대의 하방에 각각의 조리판안치구와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증기 발생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증기 발생장치는 커버와 증기발생을 위한 히터를 가지고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증기발생바디와, 상기 증기발생바디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하여 구분하는 증기발생실과 보충수실, 상기 격벽에 형성하여 보충수실의 보충수를 증기발생으로 소모되는 양만큼 증기발생실로 공급하는 공급홀과, 상기 보충수실로 보충수를 공급은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증기발생실과 연결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증기발생실을 경유하면서 열교환을 통하여 보충수를 예열하는 예열관과, 상기 예열관과 연결되어 보충수실로 예열된 보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소형이면서 조리대와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증기발생에 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증기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조리대의 크기에 관계없이 조리대에 구비되는 조리판안치구의 수만큼 독립되면서도 소형의 증기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필요 시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증기를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와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를 도시한 일부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간략적인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를 도시한 일부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간략적인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증기 발생장치(100)는 프레임(101)의 상방에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을 수용한 조리판을 안치할 수 있는 조리판안치구(102)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가지는 조리대(103)의 하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증기 발생장치(100)는 개략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증기발생바디(105)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발생바디(105)는 조리대(103)와 볼트,너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증기발생바디(105)의 상부에는 단속수단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커버(106)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발생바디(105)와 커버(106)에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로 마감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증기발생바디(105)의 내부에는 격벽(107)으로 구획하여 증기발생실(108)과 보충수실(109)로 구분하고, 상기 증기발생실(108) 위치의 커버(106)에는 조리판안치구(102)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관(110)을 인출하고, 증시발생실(108)의 하방 일 측에는 사용 후 배수를 위한 드레인밸브(111)를 설치한다.
상기 증기발생실(105)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107)에는 보충수실(109)로 공급된 보충수를 증기발생실(105)로 증기발생으로 소모되는 양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홀(112)을 연통 되게 형성하고, 상기 증기발생실(105)에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113)를 설치한다.
상기 증기발생바디(105)의 크기는 조리대(103)에 구비되는 조리판안치구(102)에 안치되는 하나의 조리판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가열 또는 찌는 등)하는 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대형 증기 발생장치에 비하여 아주 작은 크기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보충수실(109)로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증기발생실(105)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입구(114)와, 상기 입구(114)와 연결되어 증기발생실(105)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유하여 증기발생실(105)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개략 ⊂형상의 예열관(115)과, 상기 증기발생실(105)의 외측으로 노출된 예열관(115)과 연결되어 보충수실(109)로 예열 된 보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16)을 연결한다.
상기 예열관(115)의 직경(D)은 입구(114) 또는 공급관(116)의 직경(D1)보다 큰경으로 형성하여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증기발생실(105)과 충분한 열교환을 통하여 보충수실(109)로 보충수를 공급할 때 예열 된 상태로 공급하여 보충수가 증기발생실(105)로 공급될 때 증기발생실(105)의 수온이 낮아져 증기압이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충수실(109) 내측에 위치한 공급관(116)에는 수위조절을 위한 통상적인 플로터(117)를 연결하고, 상기 플로터(117)를 구성하는 플로터바디(118)의 내부에는 증기압에 의하여 밸브(119)가 급수공(120)이 차단되어 보충수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브(119)와 급수공(120) 사이에 스프링(121)을 더 개재하여 증기압에 관계없이 보충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증기 발생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입구(114)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면 예열관(115)을 경유하여 공급관(116)을 통하여 보충수실(109)에 냉수가 공급되고, 보충수실(109)의 냉수는 격벽(107)에 형성된 공급홀(112)을 통하여 증기발생실(108)로 공급되고, 증기발생실(108)과 보충수실(109)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플로터(117)에 의하여 수원의 공급이 중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히터(113)가 작동하여 증기발생실(108)에 채워진 소량의 물을 적은 전력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증기 발생으로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증기발생실(108)의 물은 격벽(107)으로 구획되어 측방에 위치한 보충수실(109)에 채워진 보충수가 공급홀(112)을 통하여 공급되므로 연속적인 작동에도 증기발생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특히 증기발생실(108)에 채워져 히터(113)에 의하여 증기가 발생하면서 소모되는 물이 보충수실(109)을 통하여 공급될 때 갑자기 냉수가 유입되어 증기발생실(108)의 수온을 낮추어 증기발생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의심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증기발생실(108)을 경유하여 보충수실(109)로 연결되는 예열관(115)에 의하여 방지된다.
즉, 주입관(110)을 통하여 냉수가 보충수실(109)로 보충될 때 입구(114)와 연결되고 증기발생실(108)에 위치한 예열관(115)을 경유하면서 증기 발생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상태로 전환된 후, 공급관(116)을 통하여 보충수실(109)로 공급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특히 예열관(115)의 직경(D)은 입구(114) 또는 공급관(116)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냉수가 유입된 후 예열관(115)에 일정시간 자연스럽게 체류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기발생실(108)과 보충수실(109)이 격벽(107)으로 구획되어 있어 이 격벽(107)을 통하여서도 열교환이 이루어져 보충수실(109)의 보충수가 증기발생실(108)로 공급되어도 증기발생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증기발생실(108)은 히터(113)에 의하여 고열에 의하여 끓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격벽(107)으로 구획된 보충수실(109)에는 그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며, 공급관(116)에 구비되는 플로터(117)에 의하여 보충수실(109)의 보충수위가 적절한 상태로 조절된다.
상기 증기발생실(108)에서 증기가 발생하면서 증기발생바디(105) 내부는 고압상태로 변하게 되는 데, 이 증기압은 플로터바디(118) 내부에 개재된 밸브(119)를 급수공(120) 방향으로 밀어 보충수실(109)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에도 급수공(120)을 차단하여 급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를 밸브(119)와 급수공(120) 사이에 더 개재된 스프링(121)에 의하여 밸브(119)를 급수공(120)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증기발생실(108)에서 발생한 증기는 조리대(103)에 구비되는 조리판안치구(102)와 주입관(110)으로 연결되어 공급되므로 식품을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증기 발생장치(100)는 조리대(103)에 구비되는 각각의 조리판안치구(102)의 수에 맞게 구비하여 독립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리판안치구(102)에 조리판을 안치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하나의 증기 발생장치(100)만을 작동시키므로 효율적인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증기 발생장치(100)는 소형으로 구비되어 조리대(103)와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증기발생에 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증기발생 효율을 높여 식품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증기 발생장치
105; 증기발생바디
108; 증기발생실
109; 보충수실
113; 히터
115; 예열관
117; 플로터
119; 밸브
121; 스프링

Claims (3)

  1. 프레임(101)의 상방에 조리판을 안치할 수 있는 조리판안치구(102)를 가지는 조리대(103)의 하방에 각각의 조리판안치구(102)와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증기 발생장치(100)를 설치하고;
    상기 증기 발생장치(100)는 커버(106)와 증기발생을 위한 히터(113)를 가지고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증기발생바디(105)와;
    상기 증기발생바디(105) 내부에 격벽(107)으로 구획하여 구분하는 증기발생실(108)과 보충수실(109);
    상기 격벽(107)에 형성하여 보충수실(109)의 보충수를 증기발생으로 소모되는 양만큼 증기발생실(105)로 공급하는 공급홀(112)과;
    상기 보충수실(109)로 보충수를 공급은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증기발생실(105)과 연결되는 입구(114)와;
    상기 입구(114)와 연결되어 증기발생실(105)을 경유하면서 열교환을 통하여 보충수를 예열하는 예열관(115)과;
    상기 예열관(115)과 연결되어 보충수실(109)로 예열된 보충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115)의 직경(D)은 입구(114) 또는 공급관(116)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보충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증기발생실(105)과 열교환성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수실(109) 내측에 위치한 공급관(116)에 연결되는 플로터(117)를 구성하는 플로터바디(118)의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119)와 급수공(120) 사이에는 증기압에 의하여 밸브(119)가 급수공(120)이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121)을 더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장치.
KR2020100003275U 2010-03-30 2010-03-30 증기 발생장치 KR200456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75U KR200456909Y1 (ko) 2010-03-30 2010-03-30 증기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75U KR200456909Y1 (ko) 2010-03-30 2010-03-30 증기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59U KR20110009459U (ko) 2011-10-06
KR200456909Y1 true KR200456909Y1 (ko) 2011-11-24

Family

ID=4556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275U KR200456909Y1 (ko) 2010-03-30 2010-03-30 증기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154B (zh) * 2016-06-30 2018-05-04 广东力新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蒸柜
JP2021186441A (ja) * 2020-06-03 2021-12-13 株式会社シセン 蒸気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59U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1434A1 (en) Heating cooker
KR200456909Y1 (ko) 증기 발생장치
KR20160089991A (ko) 온수량 조절가능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20060132211A (ko) 스팀발생장치
KR20090058263A (ko) 고주파 가열 보일러
TW201706545A (zh) 電熱水器
KR20120066737A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장치
KR20160048560A (ko) 전기 보일러
KR100838814B1 (ko) 온수보료 및 이를 이용한 침대
CN210276870U (zh) 一种智能米饭蒸箱
KR200467947Y1 (ko) 증기 취사기
KR20100001848A (ko) 연속 증기발생장치
CN106820983B (zh) 一种即热式饮水机
KR200453258Y1 (ko) 식품제조용 증기 보일러
KR20100074094A (ko) 열효율이 높은 전기에너지 절약형 온수통
CN220360316U (zh) 一种热循环式蒸饭柜
KR200353169Y1 (ko) 간접가열 방식의 유탕기
JP2005114332A (ja) 省エネ型電気給湯設備
CN210842742U (zh) 一种带有微型蒸汽发生器的蒸汽保温汤池柜
KR100995216B1 (ko) 건식틀과 습식틀의 교체 사용이 가능한 사우나 방열기
KR101562656B1 (ko) 급수 예열수단을 구비한 보일러장치
KR101193613B1 (ko)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열기를 이용한 저온 액화물 연속 가압 장치에서의 저열용량 가열기
US1588084A (en) Combined electric range and water heater
KR20140041130A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
JPH11103667A (ja) きのこ培養基の蒸気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