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722Y1 -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 Google Patents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722Y1
KR200456722Y1 KR2020090011214U KR20090011214U KR200456722Y1 KR 200456722 Y1 KR200456722 Y1 KR 200456722Y1 KR 2020090011214 U KR2020090011214 U KR 2020090011214U KR 20090011214 U KR20090011214 U KR 20090011214U KR 200456722 Y1 KR200456722 Y1 KR 200456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pace
plate
partition plate
pi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00U (ko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김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성 filed Critical 김주성
Priority to KR2020090011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2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정확한 댐핑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신속하게 오일이 본체 내부의 가압 반대방향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저항이 전무한 상태에서 건반 커버를 쉽게 열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고, 자연스러운 댐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밀폐판의 결합시 수평 유지가 쉽도록 한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부품의 개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도 정확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댐핑력이 가변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사용자는 전혀 힘들이지 않으면서 쉽게 피아노 건반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피아노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건반 덮개에 가해지는 댐핑력이 불변하므로 신제품과 동일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피아노 건반 덮개, 댐퍼, 체크밸브.

Description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DAMPING APPARATUS FOR PIANO COVER}
본 고안은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정확한 댐핑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신속하게 오일이 본체 내부의 가압 반대방향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저항이 전무한 상태에서 건반 커버를 쉽게 열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고, 자연스러운 댐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밀폐판의 결합시 수평 유지가 쉽도록 한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회전요소, 예를 들면 피아노의 덮개나 김치냉장고 등의 각종 덮개, 뚜껑 및 도어 등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닫힘력을 제어하여 덮개나 도어 등이 급격히 닫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식 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회전식 댐퍼로서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탄성부재형 회전식 댐퍼와, 점성유체를 사용하여 댐핑력을 부여하는 회전식 오일 댐퍼가 있다.
탄성부재형 회전식 댐퍼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88-14508호와 같이,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이 돌출되는 축과, 상기 케이 싱과 축 사이에 설치되어 축에 댐핑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형 회전식 댐퍼는 댐핑력이 양방향(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모두에 대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일방향으로만 댐핑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채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이 계속됨에 따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원하는 댐핑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오일 댐퍼로서는 미국특허 제5,635,655호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챔버를 가지는 중공형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이 돌출되며 상기 챔버 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돌기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축부와, 이 축부의 돌기에 연동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가동되는 가동밸브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돌출되어 상기 가동밸브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케이싱의 양단을 폐쇄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챔버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밸브의 양측벽에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지는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상기 유체통로들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유체통로가 형성된 것이 있었다.
이러한 회전식 오일 댐퍼에서는 돌기가 회전할 때 돌기와 가동밸브에 의해 구획된 챔버의 일측 영역의 점성유체가 돌기와 가동밸브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통해 타측 영역으로 유동할 때 유체통로가 점성유체의 유동에 저항 요인으로 작용하여 댐핑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돌기와 가동밸브의 양단면이 양측 마개부재의 내측면 에 밀착되어 그 사이로는 점성유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돌기와 가동밸브의 유체통로만을 통해 점성유체의 유동이 발생되어야 한다.
그러나, 돌기와 가동밸브의 양단면이 양측 마개부재의 내측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오링 등을 사용할 수가 없고, 결국 돌기와 가동밸브의 양단면이 양측 마개부재에 직접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공차를 주어야 하고 이에 따라 돌기와 가동밸브의 양단면과 양측 마개부재의 내측면 사이에서 양측 영역간에 점성유체의 내부누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돌기와 마개부재의 양단면과 양측 마개부재의 내측면 사이에서의 양측 영역간 점성유체의 유동이 발생될 경우 가동밸브에 형성된 유체통로의 단면적에 따라 설정된 댐핑력이 정확히 발휘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좀더 개선된 댐핑장치가 개발되었다. 이하, 이 댐핑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사시도, 도 2a,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 3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종단측단면도, 도 4는 도 3a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본체의 절단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에 포함된 제 1구획판의 오일 유통공과 오리피스홈의 전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6에서 10은 댐퍼본체이고, 20은 제1구획판이 며, 30은 제2구획판이고, 40은 밀폐판이며, 50은 회전축이고, 60은 날개이며, 70은 체크밸브이다.
상기 댐퍼본체(10)의 경판부(12)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본체(1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덮개 등의 회전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래킷(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용 브래킷(15)에는 고정나사(3)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획판(2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본체(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경판부(12)의 사이에 오일주입공간(S1)을 형성하는 것이며, 그 중심부에는 축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획판(30)은, 도 2a 및 도 2b 및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판(20)의 후방측에서 댐퍼본체(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구획판(20)과의 사이에 오일도피공간(S2)을 형성하는 것이며, 그 중심부에는 축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획판(30)의 정면에는 상기 제1구획판(20)의 배면과의 사이에 오일도피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스페이서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판(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본체(10)의 후방측 개방부를 밀폐하는 것이며, 그 중심부에는 축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판(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퍼본체(10)의 암나사부(14)에 나사체결되는 숫나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50)은,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판(20)과 제2구획판(30) 및 밀폐판(40)의 축공(21,31,41)을 관통하여 그 선단면은 상기 댐퍼본체(10)의 경판부(12)의 배면에 접촉되며 그 후단부는 밀폐판(4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50)의 선단부에는 상기 댐퍼본체(10)의 지지축(13)이 끼워지는 지지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3)과 지지홈(51)의 사이에는 부싱(52)이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50)의 후단부에는 뚜껑 등의 회전체에 결합하였을 때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각형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날개(60)는,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0)의 선단부 양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주입공간(S1) 내에서 상기 원통부(11)의 내주면과 경판부(12) 및 제1구획판(20)에 밀착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60)에는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대략 ㄷ자형 단면의 접촉패드(61)가 결합된다. 상기 접촉패드(61)는 상기 댐퍼본체(10)의 원통부(11) 내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원호형 접촉면(62a)을 가지는 원호부(62)와 상기 원호부(62)의 양측에서 회전축(5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벽부(63)에 의해 결합홈(64)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패드(61)는 날개(60)에 대하여 회전축(5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70)는, 도 2a 내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판(20)에 형성되어 오일주입공간(S1)과 오일도피공간(S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밸브공(71)과, 상기 댐퍼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밸브몸체(72)와, 이 밸브몸체(72)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50)의 뚜껑열림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밸브공(71)을 개방하고 회전축(50)의 뚜껑닫힘방향 회전시에는 밸브공(71)을 폐쇄하는 밸브볼(76)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밸브몸체(72)는 회전축(5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0)을 기준으로 상기 경판부(12)의 내측면 양측에서 원통부(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축(50)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볼수용공간(73)이 형성되고 날개(60)를 향하는 측면에 볼수용공간(73)과 오일주입공간(S1)을 연결하는 오일유동공(74)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밸브공(71)과 연통되는 볼출입구(75)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볼(76)은 상기 한 쌍의 밸브몸체(72)의 볼수용공간(73)에 수용되어 상기 볼출입구(75)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밸브공(71)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브몸체(72)의 볼수용공간(73)에 밸브볼(76)을 상시 밸브공(71)측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압축스프링(77)을 삽입한다.
상기 제1구획판(20)에는 상기 밸브공(71)에서 이격된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구간에서 상기 오일주입공간(S1)과 오일도피공간(S2)을 연통연결하는 원호형 공간연결공(81)이 일정한 폭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1구획판(20)의 정면에 일정 각도 구간에서 일단부는 상기 공간연결 공(81)과 연통연결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점차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그 타단부는 상기 제2구획판(30)에 의해 폐쇄되는 원호형 오리피스홈(82)이 일정 폭으로 형성 된다.
상기 오리피스홈(82)의 도중에는 그 폭이 좁아지는 목부분(83)이 형성된다.
상기 댐퍼본체(10)에 대한 제1구획판(20)의 조립시 밸브몸체(72)의 볼출입구(75)와 밸브공(71)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댐퍼본체(10)의 원통부(12) 내주면 양측에는 위치결정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판(20)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16)에 대응하는 위치결정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16)는 밸브몸체(72)와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밸브몸체(72)의 상면에서 댐퍼본체(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본체(10)의 경판부(12)에는 상기 밸브몸체(72)의 볼수용공간(73)에 연통되는 오일주입공(17)이 형성되고, 이 오일주입공(17)은 폐쇄부재(18)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제2구획판(30) 배면의 축공(31) 주위와 외주면부에는 오링홈(33,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댐퍼본체(10)의 후방 개방부를 밀폐판(40)으로 밀폐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제2구획판(30)의 배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91)와 이 플랜지부(9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판(40)의 축공(41)과 회전축(5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부싱부(92)를 가지는 부싱(90)을 사용하며, 오링홈(33,34)에는 각각 오링(93,94)을 삽입하여 오링(93)은 플랜지부(91)에 밀착되고 오링(94)은 밀폐판(40) 에 의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7의 (a)는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평 상태로 닫혔을 때의 회전축(50)과 날개(60)와 체크밸브(70)와 공간연결공(81)과 오리피스홈(82)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날개(60)가 밸브몸체(72)의 오일유통공(74)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피아노 건반덮개를 들어올리면 회전축(50)과 날개(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날개(60)의 시계방향에서는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가압되고 날개(60)의 반시계측에서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날개(60)의 시계방향측에서 가압된 오일은 공간연결공(81)을 통해 오일도피공간(S2)으로 도피하게 되고,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는 부압에 의해 오일도피공간(S2)의 오일이 밸브공(71)을 통해 밸브볼(76)을 밀치면서 볼출입구(75)와 볼수용공간(73)과 오일유통공(74)을 통해 날개(60)의 반시계방향측 오일주입공간(S1)으로 유입되므로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은 도 7의 (a)에서 시작하여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공간연결공(81)에 이를 때까지 진행된다.
본 발명의 회전식 오일 댐퍼에 의해 고정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아노 건반덮개를 기준으로 보면, 도 7의 (a)에서 (b)에 이르는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은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평으로 닫혀 있던 상태에서 수직 위치까지 열리는 구간 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덮개를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까지 개방하는 데 피아노 건반덮개의 무게만 감당하면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덮개에서 손을 떼더라도 피아노 건반덮개의 자중에 의하여 계속 젖혀지게 되는 바, 날개(60)가 공간연결공(81)과 중첩되어 날개(60)의 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공간연결공(81)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공간연결공(81)을 통하여 오일도피공간(S2)으로 도피하는 과정에서 유동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피아노 건반덮개가 고정체(1)에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댐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방지용 댐핑력 발생 열림구간은 도 7의 (b)에서 시작하여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공간연결공(81)을 지나 밸브몸체(72)에 이를 때까지 진행된다.
도 7의 (c)의 상태에서는 날개(60)의 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공간연결공(81)의 단면적이 "0"이므로 피아노 건반덮개가 열리는 과정중에서는 가장 큰 댐핑력이 발생되는 상태로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피아노 건반덮개가 개방 종단에서 고정체(1)에 충돌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피아노 건반덮개가 뒤로 젖혀진 위치로 완전히 열린 상태인 도 7의 (c)의 상태에서 회전축(50)과 날개(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는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가압되게 되고 날개(60)의 시계방향에서 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 가압된 오일은 공간연결공(81)을 통하여 오일도피공간(S2)으로 유동되고 날개(60)의 시계방향에서는 부압에 의하여 오일도피공간(S2)의 오일이 공간연결공(81)을 통하여 오일주입공간(S1)으로 유입되어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비발생 닫힘구간은 도 7의 (c)에서 시작하여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공간연결공(81)을 벗어날 때까지 진행된다.
본 발명의 회전식 오일 댐퍼에 의해 고정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아노 건반덮개를 기준으로 보면, 도 7의 (c)에서 (b)에 이르는 댐핑력 비발생 닫힘구간은 피아노 건반덮개가 뒤로 젖혀져 있던 상태에서 수직 위치까지 닫히는 구간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덮개를 뒤로 젖혀져 있던 상태에서 수직 상태까지 닫는 데 피아노 건반덮개의 무게만 감당하면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피아노 건반덮개에서 손을 떼더라도 피아노 건반덮개의 자중에 의하여 계속 닫히게 되는 바,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에 이른 상태이므로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 가압된 오일이 오일오통공(74)을 통해 볼수용공간(73)으로 유입되어 밸브볼(76)을 밀어올리게 되고 밸브볼(76)이 볼출입구(75)를 통해 밸브공(71)을 폐쇄하게 되어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오일도피공간(S2)으로 도피하지 못하게 되며, 오일주입공간(S1)은 오리피스 홈(82)을 통해서만 공간연결공(8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피 경로가 좁아져 피아노 건반덮개가 서서히 닫히게 하는 댐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발생 닫힘구간은 도 7의 (b)에서 시작하여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의 목부분(83)에 이를 때까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홈(82)은 공간연결공(81)에 연결된 부분의 깊이가 가장 깊고 밸브몸체(72)에 근접한 부분의 깊이가 가장 얕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의 (b)와 같이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과 공간연결공(81)의 경계부에 있을 때의 댐핑력이 댐핑력 발생 닫힘구간 중에서 가장 작게 발생되고, 밸브몸체(72)측으로 갈수록 댐핑력이 점차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피아노 건반덮개가 자중에 의해 수직 위치에서 수평 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피아노 건반덮개의 급격한 닫힘 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평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위치에 이른 상태에서는 날개(60)가 목부분(83)을 벗어나게 되고 목부분(83)에서의 댐핑력보다는 작은 댐핑력이 발생하게 되었다가 다시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의 끝부분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그 깊이가 점차 얕게 되어 있지만 날개(60)의 반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오일이 거의 도피한 상태이므로 댐핑력이 감소하게 되지만 피아노 건반덮개가 댐퍼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서는 댐핑력이 발생되는 상태이므로 피아노 건반덮개가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점감(漸減) 닫힘구간에서는 피아노 건반덮개가 고정체(1)에 대하여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댐핑력이 발생하게 되어 피아노 건반덮개가 고정체(1)에 급격히 충돌하지 않게 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밸브몸체(72)에 이르게 되면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은 모두 날개(60)의 시계방향측으로 유동한 상태로서 날개(60)의 반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오일이 없으므로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아 피아노 건반덮개는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날개(60)에는 접촉패드(6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날개(60)가 댐퍼본체(10)의 원통부(11) 내주면과 경판부(12)의 배면 및 제1구획판(20)의 정면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로 접촉하게 되어 내부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패드(61)는 날개(60)에 대하여 회전축(50)의 반경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접촉패드(61)가 댐퍼본체(10)의 원통부(11) 내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내부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개(60)의 양측면에는 회전축(50)과 평행한 안내돌기(65)가 형성되고 접촉패드(61)의 결합홈(64)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65)에 대응하는 안내홈(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66)의 반경방향 폭이 안내돌기(65)의 반경방향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돌기(65)와 안내홈(66)은 접촉패드(61)를 날개(60)에 대하여 회전축(50)과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접촉패드(61)가 날개(60)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유동하여 내부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작업시 접촉패드(61)가 날개(6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조립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피아노 건반커버의 댐핑장치는 압축스프링(77)과 밸브볼(76)이 구비된 체크밸브(70)이므로, 압축스프링(77)의 장력에 따라 댐핑력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댐핑장치는 복수개의 체크밸브(70)가 구비되어져 있고, 각 체크밸브(70)의 내부에 압축스프링(77)이 각각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각 압축스프링(77)의 장력이 일치되지 않으면 다른 압축스프링(77)의 장력이 쉽게 변동되게 되고 이점 역시 댐핑력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날개(60)의 시계방향측에서 가압된 오일이 공간연결공(81)을 통해 오일도피공간(S2)으로 도피하게 되고,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는 부압에 의해 오일도피공간(S2)의 오일이 밸브공(71)을 통해 밸브볼(76)을 밀치면서 볼출입구(75)와 볼수용공간(73)과 오일유통공(74)을 통해 날개(60)의 반시계방향측 오일주입공간(S1)으로 유입됨으로써,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오일주입공간(S1)과 오일도피공간(S2)이 매우 좁기 때문에 오일이 원활하게 유통되지 못하여 미세한 댐핑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로인해 사용자가 건반 커버를 들어올릴 때, 손에 힘이 들어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피아노 건반커버 댐핑장치는 장치의 주요 구성인 체크밸브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부품 개수가 증가되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아노 건반커버 댐핑장치는 상기 댐퍼본체(10)의 경판부(12) 에 상기 댐퍼본체(10)의 볼수용공간(73)에 연통되는 오일주입공(17)이 형성되는 바, 그 오일주입공(17)이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치우쳐져 있으므로 오일이 주입될 때, 댐퍼본체(10)의 내부로 균일하게 주입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댐퍼본체(10)의 내부는 날개(60)에 의해 균등하게 이분되어져 있으므로 오일이 어느 한쪽에 치우쳐져 주입되게 되면 균등하게 이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아노 건반커버 댐핑장치는 건반 덮개의 동작시 그 댐핑력이 건반 덮개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상기 공간연결공(81)에 변화가 필요하지만, 공간 연결공(81)이 동일한 폭길이로 형성되어져 댐핑력이 일정하게 발생되어 건반 덮개의 동작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피아노 건반커버 댐핑장치는 상기 댐퍼본체(10)에 결합되는 상기 제 1구획판(2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위치결정홈(22)이 형성되어져 댐퍼본체(10)의 내부에 돌출된 위치결정돌기(16)에 결합됨으로써 제 1구획판(20)을 헛돌지 않게 고정시키지만, 제 2구획판(30)이 고정되지 않아서 밀폐판(40)을 댐퍼본체(10)에 고정시킬 때 수평을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밀폐판(4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42)가 파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구획판(30)은 그 일면에 스페이서 돌기(32)가 각각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는 바, 그 스페이서 돌기(32)는 밀폐판(40)의 조임에 의해 상기 제 2 구획판(30)이 제 1구획판(20)의 방향으로 강하게 밀착되게 되면 스페이서 돌기(32)가 파손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정확한 댐핑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신속하게 오일이 본체 내부의 가압 반대방향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저항이 전무한 상태에서 건반 커버를 쉽게 열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고, 자연스러운 댐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밀폐판의 결합시 수평 유지가 쉽도록 한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부의 전방부는 경판부로 밀폐되고 후방부는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댐퍼본체와;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댐퍼본체와의 사이에 오일주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중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제1구획판과; 상기 제1구획판의 후방측에서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획판과의 사이에 오일도피공간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제2구획판과; 상기 제2구획판의 후방측에서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댐퍼본체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하며 중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밀폐판과; 상기 제1구획판과 제2구획판 및 밀폐판의 축공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가 밀폐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 양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주입공간 내에서 상기 원 통부의 내주면과 경판부 및 제1 구획판에 밀착접촉되는 한 쌍의 날개와; 상기 제1구획판에 상기 밸브공으로부터 일정 각도 이격된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구간에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일주입공간과 오일도피공간을 연통연결하는 원호형 공간연결공과; 상기 제1구획판의 정면에 일정 각도 구간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공간연결공과 연통 연결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점차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그 타단부는 상기 제2구획판에 의해 폐쇄되는 원호형 오리피스홈으로 이루어진 댐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판에 밀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회전축의 뚜껑열림 방향 회전시에 가압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오일을 직접 유통시키고, 회전축의 뚜껑닫힘방향 회전시에는 오일의 유통을 억제하여 제 1구획판의 공간연결공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게 하여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경판부의 내측면 양측에서 원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봉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봉체 수용공간의 내측방향에 절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대칭형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밸브몸체와; 상기 각 봉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봉체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봉체의 외주연 소정부에 봉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일압력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개폐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호형 오리피스홈의 도중에는 그 폭이 좁아지는 목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구획판의 외주면 양측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본체의 원통부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위치결정홈에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그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날개는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으로 상기 날개가 회전할 때 유로를 개방하고, 댐핑력 발생 닫힘구간으로 상기 날개가 회전할 때 유로를 폐쇄하도록 일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판부는 그 정중앙에 오일주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그 외주연 소정부에 상기 오일주입공과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오일을 주입받아 댐퍼본체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 연결공은 그 일단은 절개폭이 크고, 그 타단으로 갈수록 절개폭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1구획판의 위치결정홈 하단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결합되고, 위치결정홈 상단에는 제 2구획판의 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제 2구획판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구획판은 제 1구획판에 밀착되는 면에 링형상의 스페이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날개는 상기 절개부의 절개 길이만큼 회전이 제한되게 절개부의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는 부품의 개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도 정확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댐핑력이 가변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사용자는 전혀 힘들이지 않으면서 쉽게 피아노 건반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피아노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건반 덮개에 가해지는 댐핑력이 불변하므로 신제품과 동일한 댐핑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100)는 압축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정확한 댐핑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에서 신속하게 오일이 본체 내부의 가압 반대방향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저항이 전무한 상태에서 건반 커버를 쉽게 열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제적 이익이 크고, 자연스러운 댐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밀폐판의 결합시 수평 유지가 쉽도록 한 장치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100)는 기본 구조가 종래의 피아노 댐핑장치와 유사한 바, 전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9에서 10은 댐퍼본체이고, 120은 제1구획판이며, 130은 제2구획판이고, 40은 밀폐판이며, 150은 회전축이고, 60은 날개이며, 102는 밸브체이며, 172는 밸브몸체이다.
상기 댐퍼본체(10)의 경판부(12)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1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본체(1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덮개 등의 피아노 건반덮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래킷(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용 브래킷(15)에는 고정나사(3)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획판(12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본체(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경판부(12)의 사이에 오일주입공간(S1)을 형성하는 것이며, 그 중심부에는 축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획판(13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 판(120)의 후방측에서 댐퍼본체(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제1구획판(120)과의 사이에 오일도피공간(S2)을 형성하는 것이며, 그 중심부에는 축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구획판(130)의 정면에는 상기 제1구획판(120)의 배면과의 사이에 오일도피공간(S2)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돌기(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구획판(130)의 일면에 형성된 스페이서 돌기(32)는 중간에 절단된 부분이 없이 링형태로 연장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밀폐판(40)의 조임에 의해 상기 제 2 구획판(130)이 제 1구획판(120)의 방향으로 강하게 밀착되어도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 밀폐판(40)은,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본체(10)의 후방측 개방부를 밀폐하는 것이며, 그 중심부에는 축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판(40)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퍼본체(10)의 암나사부(14)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50)은,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판(120)과 제2구획판(130) 및 밀폐판(40)의 축공(21,31,41)을 관통하여 그 선단면은 상기 댐퍼본체(10)의 경판부(12)의 배면에 접촉되며 그 후단부는 밀폐판(4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150)의 선단부에는 상기 댐퍼본체(10)의 지지축(13)이 끼워지는 지지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13)과 지지홈(51)의 사이에는 부싱(52)이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150)의 후단부에는 뚜껑 등의 피아노 건반덮개에 결합하였을 때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각형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날개(60)는,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50)의 선단부 양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주입공간(S1) 내에서 상기 원통부(11)의 내주면과 경판부(12) 및 제1구획판(120)에 밀착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60)에는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대략 ㄷ자형 단면의 접촉패드(61)가 결합된다. 상기 접촉패드(61)는 상기 댐퍼본체(10)의 원통부(11) 내주면에 밀착 접촉되는 원호형 접촉면(62a)을 가지는 원호부(62)와 상기 원호부(62)의 양측에서 회전축(15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벽부(63)에 의해 결합홈(64)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패드(61)는 날개(60)에 대하여 회전축(15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150)의 외주연 소정부 바람직하게, 상기 날개(60)의 이웃 소정부인 회전축(150)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오일이 유입되는 통공(152)이 각각 회전축(150)의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밸브체(102)는, 도 8a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밸브몸체(172)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뚜껑열림방향 회전시에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오일 유통공간을 개방하고 회전축(150)의 뚜껑닫힘방향 회전시에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오일 유통공간을 폐쇄시키는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체크밸브는 밸브몸체(172)와 그 밸브몸체(172)내에 요 입되는 밸브체(102)로 이루어진다. 밸브 몸체(172)는 상기 회전축(150)을 기준으로 상기 경판부(12)의 내측면 양측에서 원통부(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축(150)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봉체 수용공간(174)이 형성되고 그 봉체 수용공간(174)의 내측방향에 절개부(175)가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대칭형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밸브몸체(172)의 절개부(175)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밸브체(102)는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일의 압력으로 인해 회전되어 오일 유통공간을 확보하게 할 수 있고, 회전축(15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일 압력으로 오일 유통공간을 폐쇄시키는 일방향 유통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밸브체(102)는 상기 각 봉체 수용공간(174)에 수용되는 봉체(104)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봉체(104)의 외주연 소정부에 봉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일압력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개폐날개(10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폐날개(106)는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으로 상기 날개(106)가 회전할 때 유로를 개방하고, 댐핑력 발생 닫힘구간으로 상기 날개(106)가 회전할 때 유로를 폐쇄하도록 일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개폐날개(10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오일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선단부가 시계방향으로 치우지게 만곡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개폐날개(106)는 상기 절개부(175)의 절개 길이만큼 회전이 제한 되게 절개부(175)의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어져 있다. 즉, 상기 봉체(104)가 밸브몸체(172)의 봉체 수용공간(174)에 수용되어져 있고, 그 봉체(104)와 연장된 개폐날개(106)가 절개부(17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으므로 개폐날개(106)의 회전길이는 절개부(175)에 의해 제한받게 된다.
상기 제1구획판(120)에는 상기 밸브몸체(172)에서 이격된 위치로부터 일정 각도 구간에서 상기 오일주입공간(S1)과 오일도피공간(S2)을 연통연결하는 원호형 공간연결공(181)이 일정한 폭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1구획판(120)의 정면에 일정 각도 구간에서 일단부는 상기 공간연결공(181)과 연통연결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점차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그 타단부는 상기 제2구획판(130)에 의해 폐쇄되는 원호형 오리피스홈(82)이 일정 폭으로 형성 된다.
상기 오리피스홈(82)는 그 선단의 폭이 넓고, 후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피아노 건반커버 댐핑장치(100)는 건반 덮개의 동작시 그 댐핑력이 건반 덮개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자연스럽게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연결공(181)의 일선단 폭이 더 큰 폭으로 절개되어져 있고, 그 타단으로 갈수록 절개폭이 점점 감소되게 절개되어져 있다. 그로인해, 건반 덮개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덮을 때, 각 건반 덮개의 위치에 따라 자연스러운 댐핑력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 댐퍼본체(10)에 대한 제1구획판(120)의 조립시 상기 회전축(150)에 의 한 오일의 압력과 공간연결공(181)의 개폐 정도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댐퍼본체(10)의 원통부(12) 내주면 양측에는 위치결정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판(120)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16)에 대응하는 위치결정홈(2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주입공(117)은 상기 경판부(12)의 정중앙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오일주입공(117)을 통해 오일을 주입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150)의 날개(60) 주변에 형성된 통공(152)을 통해 상기 댐퍼본체(1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공(152)은 상기 날개(60)의 주변 소정부인 회전축(150)의 외주연에 각각 상기 날개(6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제2구획판(130) 배면의 축공(31) 주위와 외주면부에는 오링홈(33,1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댐퍼본체(10)의 후방 개방부를 밀폐판(40)으로 밀폐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제2구획판(130)의 배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91)와 이 플랜지부(9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밀폐판(40)의 축공(41)과 회전축(15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부싱부(92)를 가지는 부싱(90)을 사용하며, 오링홈(33,134)에는 각각 오링(93,94)을 삽입하여 오링(93)은 플랜지부(91)에 밀착되고 오링(94)은 밀폐판(40)에 의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제 2구획판(130)의 그 일면 소정부에 각각 상기 제 1구획판(120)에 형성된 위치결정홈(2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34)가 복수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홈(22)은 댐퍼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16)에 그 하 부가 결합되고, 그 상부는 상기 고정돌기(134)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위치결정돌기(16)는 상기 제 1구획판(120)과 제 2 구획판(130)을 동시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구획판(130)이 고정되어서 상기 밀폐판(40)을 댐퍼본체(10)에 체결할 때 수평을 맞추기가 쉽고, 그로인해 밀폐판(4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42)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이용하여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바, 도 10의 (a)는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평 상태로 닫혔을 때의 회전축(150)과 날개(60)와 체크밸브와 공간연결공(181)과 오리피스홈(82)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날개(60)가 밸브몸체(172)의 절개부(175)측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피아노 건판덮개(미도시)를 들어올리면 회전축(150)과 날개(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날개(60)의 시계방향에서는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가압되고 날개(60)의 반시계측에서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날개(60)의 시계방향측에서 가압된 오일은 밸브몸체(172)에 요입된 밸브체(102)의 개폐날개(1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가압하게 된다. 그로인해 사 기 개폐날개(106)가 오일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유로가 개방되게 되면 오일은 날개(6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댐핑장치(100)에는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은 도 10의 (a)에서 시작하여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공간연결공(181)에 이를 때까지 진행된다.
본 고안의 댐핑장치에 의해 고정체(건반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아노 건반덮개를 기준으로 보면, 도 10의 (a)에서 (b)에 이르는 댐핑력 비발생 열림구간은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평으로 닫혀 있던 상태에서 수직 위치까지 열리는 구간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덮개를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까지 개방하는 데 피아노 건반덮개의 무게만 감당하면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덮개에서 손을 떼더라도 피아노 건반덮개의 자중에 의하여 계속 젖혀지게 되는 바, 날개(60)가 공간연결공(181)과 중첩되어 날개(60)의 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공간연결공(181)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상기 개폐날개(106)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도피하는 과정에서 유동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피아노 건반덮개가 피아노 본체에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댐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방지용 댐핑력 발생 열림구간은 도 10의 (b)에서 시작하여 도 10 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공간연결공(181)을 지나 밸브몸체(172)에 이를 때까지 진행된다.
도 10의 (c)의 상태에서는 피아노 건반덮개가 열리는 과정중에서는 가장 큰 댐핑력이 발생되는 상태로서,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피아노 건반덮개가 개방 종단에서 피아노 본체에 충돌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피아노 건반덮개가 뒤로 젖혀진 위치로 완전히 열린 상태인 도 10의 (c)의 상태에서 회전축(150)과 날개(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는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가압되게 되고 날개(60)의 시계방향에서는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 가압된 오일은 공간연결공(181)을 통하여 오일도피공간(S2)으로 유동되고 날개(60)의 시계방향에서는 부압에 의하여 오일도피공간(S2)의 오일이 공간연결공(181)을 통하여 오일주입공간(S1)으로 유입되어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비발생 닫힘구간은 도 10의 (c)에서 시작하여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공간연결공(181)을 벗어날 때까지 진행된다.
본 고안의 회전식 오일 댐퍼에 의해 고정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아노 건반덮개를 기준으로 보면, 도 10의 (c)에서 (b)에 이르는 댐핑력 비발생 닫힘구간은 피아노 건반덮개가 뒤로 젖혀져 있던 상태에서 수직 위치까지 닫히는 구간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덮개를 뒤로 젖혀져 있던 상태에서 수직 상태까 지 닫는 데 피아노 건반덮개의 무게만 감당하면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직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피아노 건반덮개에서 손을 떼더라도 피아노 건반덮개의 자중에 의하여 계속 닫히게 되는 바,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에 이른 상태이므로 날개(60)의 반시계방향에서 가압된 오일이 개폐날개(106)에 가해지게 되지만, 그 개폐날개(106)는 밸브몸체(17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따라서, 오일의 유로가 폐쇄하게 되어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이 오일도피공간(S2)으로 도피하지 못하게 되며, 오일주입공간(S1)은 오리피스홈(82)을 통해서만 공간연결공(18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피 경로가 좁아져 피아노 건반덮개가 서서히 닫히게 하는 댐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발생 닫힘구간은 도 10의 (b)에서 시작하여 도 1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에 이를 때까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홈(82)은 공간연결공(181)에 연결된 부분의 깊이가 가장 깊고 밸브몸체(172)에 근접한 부분의 깊이가 가장 얕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0의 (b)와 같이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과 공간연결공(181)의 경계부에 있을 때의 댐핑력이 댐핑력 발생 닫힘구간 중에서 가장 작게 발생되고, 밸브몸체(172)측으로 갈수록 댐핑력이 점차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피아노 건반덮개가 자중에 의해 수직 위치에서 수평 위치를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피아노 건반덮개의 급격한 닫힘 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서서히 닫 히게 되는 것이다.
피아노 건반덮개가 수평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위치에 이른 상태에서는 날개(60)가 전체 오리피스홈(82)의 3/4 지점을 벗어나게 되고 그 3/4 지점에서의 댐핑력보다는 작은 댐핑력이 발생하게 되었다가 다시 날개(60)가 오리피스홈(82)의 끝부분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그 깊이가 점차 얕게 되어 있지만 날개(60)의 반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오일이 거의 도피한 상태이므로 댐핑력이 감소하게 되지만 피아노 건반덮개가 댐퍼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서는 댐핑력이 발생되는 상태이므로 피아노 건반덮개가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러한 댐핑력 점감(漸減) 닫힘구간에서는 피아노 건반덮개가 피아노 본체에 대하여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댐핑력이 발생하게 되어 피아노 건반덮개가 피아노 본체에 급격히 충돌하지 않게 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60)가 밸브몸체(172)에 이르게 되면 오일주입공간(S1)의 오일은 모두 날개(60)의 시계방향측으로 유동한 상태로서 날개(60)의 반시계방향측에 남아 있는 오일이 없으므로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아 피아노 건반덮개는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사시도,
도 2a,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 3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종단측단면도,
도 4는 도 3a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본체의 절단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에 포함된 제 1구획판의 오일 유통공과 오리피스홈의 전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8a, 8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댐퍼본체 11: 원통부
12: 경판부 13: 지지축
15: 고정용 브래킷 16: 위치결정돌기
17,171: 오일주입공 18: 폐쇄부재
20,120: 제1구획판 22: 위치결정홈
30,130: 제2구획판 32,132: 스페이서돌기
40: 밀폐판 50,150: 회전축
60: 날개 81,181: 공간연결공
82: 오리피스홈 90: 부싱
91: 플랜지부 92: 부싱부
93,94: 오링 102:밸브체,
104:봉체, 106:개폐날개,
134:결합돌기 174:봉체수용공간
175:절개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원통부의 전방부는 경판부로 밀폐되고 후방부는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 댐퍼본체와;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댐퍼본체와의 사이에 오일주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중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제1구획판과; 상기 제1구획판의 후방측에서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구획판과의 사이에 오일도피공간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제2구획판과; 상기 제2구획판의 후방측에서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댐퍼본체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하며 중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밀폐판과; 상기 제1구획판과 제2구획판 및 밀폐판의 축공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가 밀폐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 양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오일주입공간 내에서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과 경판부 및 제1 구획판에 밀착접촉되는 한 쌍의 날개와; 상기 제1구획판에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일주입공간과 오일도피공간을 연통연결하는 원호형 공간연결공과; 상기 제1구획판의 정면에 일정 각도 구간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공간연결공과 연통 연결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점차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어 그 타단부는 상기 제2구획판에 의해 폐쇄되는 원호형 오리피스홈으로 이루어진 댐핑장치와 상기 제1구획판에 밀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회전축의 뚜껑열림 방향 회전시에 가압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오일을 직접 유통시키고, 회전축의 뚜껑닫힘방향 회전시에는 오일의 유통을 억제하여 제 1구획판의 공간연결공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게 하여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간 연결공은 그 일단은 절개폭이 크고, 그 타단으로 갈수록 절개폭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구획판의 위치결정홈 하단에는 위치결정돌기가 결합되고, 위치결정홈 상단에는 제 2구획판의 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제 2구획판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9. 삭제
  10. 삭제
KR2020090011214U 2009-08-27 2009-08-27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KR200456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14U KR200456722Y1 (ko) 2009-08-27 2009-08-27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14U KR200456722Y1 (ko) 2009-08-27 2009-08-27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00U KR20110002200U (ko) 2011-03-07
KR200456722Y1 true KR200456722Y1 (ko) 2011-11-14

Family

ID=4420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14U KR200456722Y1 (ko) 2009-08-27 2009-08-27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2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536A (ja) 1998-10-26 2000-07-18 Tok Bearing Co Ltd 回転ダンパ
KR100580588B1 (ko) * 2004-07-26 2006-05-16 세원정밀주식회사 회전식 오일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536A (ja) 1998-10-26 2000-07-18 Tok Bearing Co Ltd 回転ダンパ
KR100580588B1 (ko) * 2004-07-26 2006-05-16 세원정밀주식회사 회전식 오일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00U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462Y1 (ko)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US5152029A (en) Hydraulic hinge
US11072958B2 (en) Damper hinge and western-style toilet using the same
JPH11182607A (ja) 緩衝装置
US6687921B1 (en) Toilet seat damper
US11441632B2 (en) Rotary damper having simple self-standing mechanism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KR100205091B1 (ko) 오일댐퍼를 사용한 건반악기의 건반덮개 개폐장치
KR100580588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20130132017A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200456722Y1 (ko)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KR200457143Y1 (ko)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KR200456717Y1 (ko)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KR200459204Y1 (ko)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JP6668557B2 (ja) 回転式ドア駆動装置
KR20100026281A (ko) 회전식 오일댐퍼
JPH0942350A (ja) ダンパ機構
KR20090072627A (ko) 회전식 오일 댐퍼
KR100494651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JP7126692B2 (ja) ダンパーヒンジ
KR100414520B1 (ko) 회전식 오일 댐퍼
JP2906321B2 (ja) リフト閉止ユニットの開閉弁装置
KR0118764Y1 (ko) 양식변기와 변기뚜껑과 변좌의 개폐장치
KR20070059745A (ko) 로터리 오일댐퍼
JP3688354B2 (ja) ダン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