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703Y1 -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 Google Patents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703Y1
KR200456703Y1 KR2020100002997U KR20100002997U KR200456703Y1 KR 200456703 Y1 KR200456703 Y1 KR 200456703Y1 KR 2020100002997 U KR2020100002997 U KR 2020100002997U KR 20100002997 U KR20100002997 U KR 20100002997U KR 200456703 Y1 KR200456703 Y1 KR 200456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inlay
learning
cover member
d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245U (ko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2020100002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0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3Note-pads
    • B42D5/005Supports for note-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1Calendar blocks with means for engaging calendar sheet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cords, coil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8Perforations or slots that can cooperate with filing means as claws, rings or the like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코일스프링을 통해 접이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면커버부재, 후면커버부재및 다수의 속지부로 구성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의 끝단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커버부재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스트잇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속지부는 속지부에 종속된 다수의 낱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속지부와 낱장부에는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일과공백시간표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A POST-IT STICK PLATE FOR A LEARNING}
본 고안은 포스트잇 붙임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탁상용 달력으로도 겸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속지부에는 일주일 단위의 일과공백시간표를 기재하되, 일과공백시간표 교시에 해당하는 학습과제나 중요부분을 포스트잇에 적어 붙여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과목 수업이 끝난 후 반복적으로 복습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과시간표가 구비된 목차부를 마련하여 포스트잇이 붙여져 있는 일과공백시간표의 지점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도 탁상용 달력(캘린더,calendar)과 다이어리(diary)형의 수첩들은 많이 시판되었으나, 탁상용 달력은 탁상용 달력대로, 그리고 다이어리 형의 수첩들은 그 수첩들대로의 정형화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왔다.
특히, 탁상용 달력들은 일반적으로 여러 장에 나누어 인쇄된 1년치의 달력을 페이지를 넘겨가면서 볼 수 있게끔 제본하고 이와 함께 두 장의 서로 두꺼운 판지를 뒷 커버로 함께 제본하여 이 뒷 커버들의 연결부를 펼치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받침대가 되도록 하여 탁상 위에 세워 놓고 볼 수 있게끔 한 것이었다.
또한, 다이어리 형 수첩들은 그 안에 달력과 각종 양식의 메모용지가 구비되어 있어 직장인이나 학생들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그 동안 널리 애용되어 왔으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탁상 위에 세워두고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지금까지 탁상용 달력과 다이어리 형 수첩들은 각자 별개의 물품으로서 판매되고 사용되어 왔으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본질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기능(달력, 일정관리, 메모 등)을 위하여 두 개의 물품을 나눠 사용함으로써 불편을 겪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달력에 중요한 일정이나 기념일, 약속 등을 메모해 놓는 경우가 많은데, 달력 자체를 가지고 다니기 힘들다면 외출이나 이동중일 때에는 달력에 메모해 놓은 약속이나 일정을 체크하기 어렵고, 별도로 수첩에 약속이나 일정을 이중으로 메모해 두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첩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록 수첩 안에 달력이 인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무실 등에서 탁상 위에 달력부분을 세워놓고 사용할 수 없어 별도로 탁상용 달력을 더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탁상용 달력은 대부분 각 날마다 여백이 있어 중요한 메모나 스케줄을 표시하게 되어 있으나, 많은 메모를 하기에는 여백이 적어 별도의 메모지(포스트잇 등)를 달력에 붙여두거나 또는 별도로 다른 곳에 붙여두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학생 같은 경우에는 탁상용 달력의 여백에 포스트잇을 붙여 사용함에 있어, 과목에 따른 시간과 위치파악이 잘 안되, 과목에 따른 포스트잇에 메모된 내용의 연상작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탁상용 달력은 메모지를 별도로 구비하여 메모 작성 후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메모지의 분실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는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속지부에는 일주일 단위의 일과공백시간표를 기재하되, 일과공백시간표 교시에 해당하는 학습과제나 중요부분을 포스트잇에 적어 붙여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과목 수업이 끝난 후 반복적으로 복습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일과시간표가 구비된 목차부를 마련하여 포스트잇이 붙여져 있는 일과공백시간표의 지점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구조의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삼각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탁상용 달력으로도 겸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노트와 같이 가방속에 쉽게 넣어 보관이 편리한 구조의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4목적은, 학생들의 수업효과는 수업시간에 핵심사항 및 중요한 정보를 자기 나름대로 포스트 잇에 써 넣어야 하기 때문에 집중해서 수업을 듣고 수업 끝난 후 수업내용을 포스트잇에 정리하여 붙이는 과정이 필요해 수업시간의 정신집중의 효과, 과목별 수업 종료 후 수업의 결과에 대한 피드백자료를 만들어 수업내용 결과물에 보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의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관한 것으로, 코일스프링을 통해 접이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면커버부재, 후면커버부재및 다수의 속지부로 구성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의 끝단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커버부재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스트잇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속지부는 속지부에 종속된 다수의 낱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속지부와 낱장부에는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일과공백시간표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수납홈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손가락을 진입시켜 포스트잇을 이탈하기 위한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 또는 전면커버부재와 후면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접이가 가능하고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고안은, 제 1고안 또는 제 3고안에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실리콘 또는 영구자석 또는 큐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는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공백부와, 일과시간표가 양측에 배치된 목차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일과시간표는 해당 속지부에 붙여진 포스트잇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일과시간표가 투영되는 투명포스트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속지부는 각각의 요일을 나타낼 수 있도록 6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낱장부는 교시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적어도 1장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고안은, 제 6고안에서, 상기 속지부는 포스트잇이 붙여지는 일과공백시간표가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일과공백시간표의 사이에는 요일 및 수업시간을 나타내는 교시가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고안은, 제 7고안에서, 상기 각 낱장부는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도록 해당 속지부의 일면에 계단형상으로 배치되며, 포스트잇이 붙여지는 일과공백시간표가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일과공백시간표의 사이에는 수업시간을 나타내는 교시가 기재되고, 해당 속지부의 요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속지부의 요일에 해당하는 지점에 타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고안은, 제 7고안 또는 제 8고안에서, 상기 각 속지부와 및 상기 각 속지부에 해당하는 낱장부는 교시에 해당하는 일과공백시간표의 공백에 마킹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각 속지부의 타면에는 한달 단위의 달력부가 양측으로 반분되어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달력부의 사이에는 문자를 기재할 수 있는 기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는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속지부에는 일주일 단위의 일과공백시간표를 기재하되, 일과공백시간표 교시에 해당하는 학습과제나 중요부분을 포스트잇에 적어 붙여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과목 수업이 끝난 후 반복적으로 복습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일과시간표가 구비된 목차부를 마련하여 포스트잇이 붙여져 있는 일과공백시간표의 지점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삼각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탁상용 달력으로도 겸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노트와 같이 가방속에 쉽게 넣어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효과는 수업시간에 핵심사항 및 중요한 정보를 자기 나름대로 포스트 잇에 써 넣어야 하기 때문에 집중해서 수업을 듣고 수업 끝난 후 수업내용을 포스트잇에 정리하여 붙이는 과정이 필요해 수업시간의 정신집중의 효과, 과목별 수업 종료 후 수업의 결과에 대한 피드백자료를 만들어 수업내용 결과물에 보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들이 매 수업시간마다 학습한 핵심사항을 포스트잇에 적어 책상 가장자리에 붙여 놓고 수업시간 마다 또는 수업이 끝난 후에도 반복 학습을 한다.
이 때 책상 위에 붙여 놓은 포스트잇은 하루가 지날 때 포스트잇을 떼어 버리거나 다른 노트에 다시 붙여 학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인 노트에 포스트잇을 붙여 복습을 위해 사용할 경우 휴대는 가능하나 요일별, 시간표별로 정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책상 위에 눈이 잘 띄는 곳에 세워놓고 학습을 할 수 없어 불편하다.
이에 책상 위에 탁상용 달력처럼 세워놓고 학습할 수 있고, 노트처럼 가방 속에 휴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의 사시도,
도 2는 받침대가 구비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도시한 제 1측면도,
도 3은 받침대가 구비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도시한 제 2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의 속지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월요일에 해당하는 속지부 및 상기 속지부에 종속된 낱장부를 표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의 붙임대의 목차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의 붙임대의 달력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월요일에 해당하는 속지부 및 상기 속지부에 종속된 낱장부의 정리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목차부의 정리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받침대가 구비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도시한 제 1측면도이고, 도 3은 받침대가 구비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를 도시한 제 2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의 속지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월요일에 해당하는 속지부 및 상기 속지부에 종속된 낱장부를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의 붙임대의 목차부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의 붙임대의 달력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삼각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탁상용 달력으로도 겸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속지부에는 일주일 단위의 일과공백시간표를 기재하되, 일과공백시간표 교시에 해당하는 학습과제나 중요부분을 포스트잇에 적어 붙여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과목 수업이 끝난 후 반복적으로 복습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과시간표가 구비된 목차부를 마련하여 포스트잇이 붙여져 있는 일과공백시간표의 지점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코일스프링(80)을 통해 접이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면커버부재(10) 및 후면커버부재(20)와, 상기 전면커버부재(10) 및 후면커버부재(20)의 사이에 게재되는 다수의 속지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면커버부재(20)는 다양한 크기의 포스트잇(22)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스트잇(22) 수납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홈(21)에 수납된 포스트잇(22)을 원활히 이탈하기 위해 수납홈(21)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손가락을 진입시키기 위한 안내홈(211)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수납홈(21) 및 안내홈(211)은 후면커버부재(20)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하고, 전면커버부재(10)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안내홈(211)은 수납홈(21)에 수납된 포스트잇(22)을 이탈시킬 때 포스트잇이 들뜨거나 구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재(10) 및 후면커버부재(20)는 실시예로 끝단부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인 실리콘(40)이 도포되어 삼각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탁상에 세워둘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더불어 다른 일례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전면커버부재(10) 및 후면커버부재(20)는 내측으로 접이가 가능하고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된 받침부재(30)를 더 포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는 상기 전면커버부재(10) 및 후면커버부재(20) 중 어느 하나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된 받침부재(30)를 더 포함하게 구성할 수 있다.(미도시)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3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수단은 붙임대(100)가 삼각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40) 이외에 영구자석(42) 또는 큐방(41)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각 속지부(50)는 속지부에 종속된 다수의 낱장부(50a)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각 낱장부(50a)는 앞장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도록 구성하여 해당 속지부(50)의 일면에 계단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낱장부(50a)의 계단형상은 속지부(50)에 대한 종속됨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낱장부(50a)를 뒤로 넘기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각 속지부(50)는 도 4의 ㉠㉡…㉥같이, 월 ~ 토요일에 해당하는 6장 또는 2주에 해당하는 12장 또는 3주에 해당하는 18장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속지부(50)에 종속된 낱장부(50a)는 각 요일(52)의 교시(53)에 해당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요일 일과시간표(62)가 8교시까지 구성될 경우, 도 5의 ①②③④같이, 상기 낱장부(50a)는 1/2교시, 3/4교시, 5/6교시로 구성된 3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속지부(50)는 7/8교시가 기재된 1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속지부(50)는 낱장부(50a)를 포함하여 총 4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낱장부(50a)는 후술되는 목차부(60)의 일과시간표(62)의 교시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목차부(60)의 일과시간표(62)의 교시가 6교시까지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낱장부(50a)는 1/2교시와 3/4교시로 구성된 2장으로 되기 때문에 5/6/교시가 기재된 속지부(50) 1장을 합하여 총 3장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속지부(50) 및 상기 속지부에 종속되는 낱장부(50a)에는 포스트잇(22)을 붙일 수 있는 일과공백시간표(51)가 기재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일과공백시간표(51)는 과목이 기재되어 있는 않은 것으로, 속지부(50) 및 낱장부(50a)의 일면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각 속지부(50)는 상기 일과공백시간표(51)의 사이로 요일(52) 및 수업시간을 나타내는 교시(53)가 기재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각 낱장부(50a)는 상기 일과공백시간표의 사이로 수업시간을 나타내는 교시(53)와, 해당 속지부(50)의 요일(52)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속지부(50)의 요일(52)에 해당하는 지점에 타공부(54)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각 낱장부(50a)는 타공부(54)를 통해 투과되는 속지부(50)의 요일(52)로 종속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속지부(50) 및 낱장부(50a)의 기재된 2개의 교시(53)(1/2교시, 3/4교시, 5/6교시, 7/8교시)는 각각 좌/우 양측에 배치된 일과공백시간표(51)와 연관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속지부(50)에 종속된 첫장의 낱장부(50a)는 1/2교시가 표시되는데, 이 때 1교시는 좌측에 배치된 일과공백시간표(51)의 공백에 마킹(511)을 표시하여 연관되고, 2교시는 우측에 배치된 일과공백시간표(51)의 공백에 마킹(511)을 표시하여 연관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의 요일(52)에 따른 해당 교시(53)를 시각적으로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게 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100)는 각 속지부(50) 및 해당 속지부(50)에 종속된 낱장부(50a)에 붙여진 포스트잇(22)을 확인할 수 있는 목차부(60)가 더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목차부(60)는 도 6과 같이, 포스트잇(22)을 붙일 수 있는 공백부(61)와, 일과시간표(62)가 좌/우 양측에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공백부(61)는 오늘의 일과와 같은 하루 일과표를 적은 포스트잇(22)을 붙이는 공간이며, 상기 일과시간표(62)는 일주일 단위의 과목이 교시(53)별로 표시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일과시간표(62)는 해당 속지부(50)에 붙여진 포스트잇(22)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일과시간표(62)가 투영되는 투명포스트잇(63)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투명포스트잇(63)은 속지부(50) 및 상기 속지부(50)에 종속된 낱장부(50a)에 붙여진 포스트잇(22)이 어디에 붙여 있는지 확인하는 책의 목차와 같은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각 속지부(50)의 타면에는 도 7과 같이, 한달 단위의 달력부(70)가 구비되며, 날짜(71)가 양측으로 반분되어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날짜(71)의 사이에는 문자 또는 그림을 기재할 수 있는 기재부(7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 때 해당 날짜(71)에는 각각 밑줄이 형성되어 있어 메모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재부(72)에는 해당연도의 희밍직업, 희망대학, 꼭 지켜야할 사항, 10년 후의 내모습과 같은 목표를 그림이나 문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의 정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월요일에 해당하는 속지부 및 상기 속지부에 종속된 낱장부의 정리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목차부의 정리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포스트잇은 도 1과 같이, 후면커버부재(20)의 수납홈(21)에 수납된 다수의 포스트잇(22)으로부터 공급된다.
만약 도 8과 같이, 월요일의 1교시, 3교시, 4교시, 5교시, 8교시에 해당하는 과목의 핵심포인트(중요부분)나 학습과제를 포스트잇(22)에 기재할 경우, 기재된 포스트잇(22)은 실시간으로 월요일에 해당하는 속지부(50) 및 상기 속지부(50)에 종속된 낱장부(50a)에 붙여 놓는데, 이렇게 붙여진 포스트잇(22)의 정리 순서는 다음과 같다.
월요일에 1교시에 해당하는 낱장부(50a) 첫번째장에는 좌측 일과공백시간표(51)의 상부로 포스트잇(22)이 붙여져 정리된다.
그리고 월요일 3/4교시에 해당하는 낱장부(50a) 두번째장에는 좌측과 우측 일과공백시간표(51)의 상부로 포스트잇(22)이 붙여져 정리된다.
그리고 월요일 5교시에 해당하는 낱장부(50a) 세번째장의 좌측 일과공백시간표(51)의 상부로 포스트잇(22)이 붙여져 정리된다.
마지막으로 월요일 8교시에 해당하는 속지부(50)의 우측 일과공백시간표(51)의 상부로는 포스트잇(22)이 붙여져 정리된다.
이렇게 정리된 각 낱장부(50a)는 속지부(50)에 기재된 월요일(52)이 타공부(54)를 통해 투과되어 한눈에 월요일(52)의 각 교시(53)에 해당하는 포스트잇(22)을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속지부(50)의 일면에 계단 형상으로 배치된 낱장부(50a)를 통해 식별가능한데, 이는 각 낱장부(50a)의 해당 교시(53)에 붙여진 포스트잇(22)이 끝단부가 부분 노출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았을 경우, 몇 교시(53)에 포스트잇(22)이 붙여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요일부터 토요일 역시 위와 같은 순서대로 해당 요일(52)에 해당하는 속지부(50) 및 상기 속지부(50)에 종속된 낱장부(50a)로 포스트잇(22)을 붙여 1주일간의 수업 학습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차부(60)에는 도 9와 같이, 일과시간표(62)에 상부에 투명포스트잇(63)이 붙여진다.
이 때 상기 투명포스트잇(63)에는 월요일의 1교시, 3교시, 4교시, 5교시, 8교시에 해당하는 지점(과목)에 학습도구로 표시하여 몇 교시의 어떤 과목이 포스트잇이 붙여 있는지를 확인하여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의 정리방법을 연관시켜 사용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수요일의 2교시 국사시간 수업을 듣기에 앞서 월요일에 수업한 국사과목의 핵심포인트(중요부분)나 학습과제가 궁금할 경우, 도 9의 목차부(60)를 통해 월요일 수업한 국사시간의 교시를 찾을 수 있다.
사용방법은 먼저, 목차부(60)를 통해 투명포스트잇(63)에 투영되는 월요일의 국사시간 1교시를 확인한다.
그리고 월요일에 해당하는 속지부(50)를 찾는다.
그리고 월요일 1교시에 해당하는 낱장부(50a)를 찾는다.
그리고 1교시는 첫번째 낱장부(50a)의 좌측에 배치된 포스트잇(22)인 것을 인지하여 이를 통해 월요일 1교시 국사시간에 메모된 핵심포인트(중요부분)나 학습과제를 확인하여 복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100)는 각 속지부(50)가 2주치인 12장 경우, 2주일간의 학습이 끝난 후 포스트잇(22)을 떼어 별도의 학습정리노트에 붙일 수 있게 구성하여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100)를 학습정리노트와 더불어 셋트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100)는 후면커버부재(20) 수납된 포스트잇(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뒤집어 안측에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면커버부재
20: 후면커버부재 21: 수납홈 211: 안내홈
22: 포스트잇
30: 받침부재
40: 실리콘 41: 큐방 42: 영구자석
50: 속지부 50a: 낱장부 51: 일과공백시간표
511: 마킹 52: 요일
53: 교시 54: 타공부
60: 목차부 61: 공백부 62: 일과시간표
63: 투명포스트잇
70: 달력부 71: 날짜 72: 기재부
80: 코일스프링
100: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Claims (10)

  1. 코일스프링을 통해 접이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면커버부재, 후면커버부재및 다수의 속지부로 구성된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의 끝단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커버부재는 포스트잇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포스트잇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속지부는 속지부에 종속된 다수의 낱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속지부와 낱장부에는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일과공백시간표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손가락을 진입시켜 포스트잇을 이탈하기 위한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재 및 후면커버부재 또는 전면커버부재와 후면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접이가 가능하고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실리콘 또는 영구자석 또는 큐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는 포스트잇을 붙일 수 있는 공백부와, 일과시간표가 양측에 배치된 목차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일과시간표는 해당 속지부에 붙여진 포스트잇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일과시간표가 투영되는 투명포스트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부는 각각의 요일을 나타낼 수 있도록 6장으로 구성되고, 상기 낱장부는 교시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적어도 1장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부는 포스트잇이 붙여지는 일과공백시간표가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일과공백시간표의 사이에는 요일 및 수업시간을 나타내는 교시가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낱장부는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도록 해당 속지부의 일면에 계단형상으로 배치되며, 포스트잇이 붙여지는 일과공백시간표가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일과공백시간표의 사이에는 수업시간을 나타내는 교시가 기재되고, 해당 속지부의 요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당 속지부의 요일에 해당하는 지점에 타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속지부와 및 상기 각 속지부에 해당하는 낱장부는 교시에 해당하는 일과공백시간표의 공백에 마킹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속지부의 타면에는 한달 단위의 달력부가 양측으로 반분되어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달력부의 사이에는 문자를 기재할 수 있는 기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KR2020100002997U 2010-03-23 2010-03-23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KR200456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997U KR200456703Y1 (ko) 2010-03-23 2010-03-23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997U KR200456703Y1 (ko) 2010-03-23 2010-03-23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45U KR20110009245U (ko) 2011-09-29
KR200456703Y1 true KR200456703Y1 (ko) 2011-11-11

Family

ID=4509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997U KR200456703Y1 (ko) 2010-03-23 2010-03-23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0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754A (en) 1985-07-11 1987-06-02 Gilles Lalonde Agenda system
US4973184A (en) 1988-09-01 1990-11-27 Salle Roger J Writing pad organizer
US5294208A (en) 1991-12-31 1994-03-15 Insilco Corporation Notebook-type personal organiz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754A (en) 1985-07-11 1987-06-02 Gilles Lalonde Agenda system
US4973184A (en) 1988-09-01 1990-11-27 Salle Roger J Writing pad organizer
US5294208A (en) 1991-12-31 1994-03-15 Insilco Corporation Notebook-type personal organ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45U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208A (en) Notebook-type personal organizer
CA2746057C (en) Project planner
KR200386015Y1 (ko) 계획용 다이어리
JPH09254569A (ja) マルチファイルシート及びマルチファイル
KR200456703Y1 (ko) 학습용 포스트잇 붙임대
RU182984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времени
KR20120059465A (ko) 수첩 및 수첩용 리필 용지
JP5419149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用具
KR200433942Y1 (ko) 탁상용 캘린더
KR102030324B1 (ko) 메모 기능을 갖는 탁상용 카렌다
JP3232695U (ja) 綴じ手帳及びリフィル
KR200473797Y1 (ko) 학습 메모지 부착대 겸 학습 플래너
KR101715638B1 (ko) 우표첩 겸용 다이어리
JP3108930U (ja) 手帳、及び手帳用リフィル用紙
JP2000015958A (ja) 学習用ノート
CN214522932U (zh) 一种多功能日历
CN203666160U (zh) 一种日月分离的事务管理装置
RU182985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времени настольный
KR20060100822A (ko) 계획용 다이어리
RU207084U1 (ru) Школьный дневник
WO2013069831A1 (ko) 프리 노트
KR101207188B1 (ko) 학습용 부착식 메모지와 부착대 및 메모정리용 노트 세트
KR20130001469U (ko) 책상 부착형 학습 플래너
KR200197939Y1 (ko) 자동 메모기능을 제공하는 책
JP3109253U (ja) 手帳、及び手帳用リフィル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