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307Y1 - 향신료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향신료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307Y1
KR200456307Y1 KR2020090009586U KR20090009586U KR200456307Y1 KR 200456307 Y1 KR200456307 Y1 KR 200456307Y1 KR 2020090009586 U KR2020090009586 U KR 2020090009586U KR 20090009586 U KR20090009586 U KR 20090009586U KR 200456307 Y1 KR200456307 Y1 KR 200456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upport
unit
grinding
sp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88U (ko
Inventor
김광희
Original Assignee
김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희 filed Critical 김광희
Priority to KR2020090009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30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02C7/13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for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2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8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분쇄부를 용이하게 분해, 결합할 수 있는 향신료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는, 호퍼(21)로 투입된 향신료를 이송스크류(24)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전단에서 회전하는 커터로 향신료를 분쇄하는 분쇄부(20)와, 구동모터(31)를 작동시켜 상기 분쇄부(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시키는 향신료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이송스크류(24)로 전달하는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내부에 상기 구동부(30)를 수용하고 상부에 분쇄부(20)가 장착되는 전면하우징(11)에서 상기 전면하우징(11)의 내측으로 통형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안착부(13)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동축 베어링(3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향신료, 분쇄, 하우징, 베어링, 이송스크류

Description

향신료 분쇄장치 {APPRATUS FOR SHATTERING OF SPICE}
본 고안은 향신료를 분쇄하는 향신료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분쇄부를 용이하게 분해, 결합할 수 있는 향신료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추, 마늘, 생강 등과 같은 향신료는 각종 음식물의 맛과 향을 첨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첨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이러한 향신료는 통상적으로 음식물의 부재료로서 첨가되고 있는 바, 통째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체로 짤게 썰거나 분쇄된 형태로 음식물에 첨가되고 있다. 특히, 상기의 향신료를 대량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력수단에 연결하여 향신료를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호퍼의 하방에 마련된 케이싱의 내부에 이송스크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전방에 상대 회전하는 커터를 마련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향신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송스크류의 선단에서 분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에 따르면, 구동모터 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송스크류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작동시 각종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케이싱을 비롯하여 이송스크류, 커터 등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서,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분쇄하고자 하는 향신료의 종류가 바뀌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잔류된 향신료를 제거해야 하는데 모든 구성요소가 고정된 구조로서 분리하여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분쇄부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분쇄부와 구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향신료 분쇄장치 전체를 정지시키고 수리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향신료 분쇄장치에서 회전축을 베어링을 이용하거나 케이싱 또는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구조물에 연결하여 상기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된 향신료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향신료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분리하여 상기 분쇄부가 구동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향신료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는, 호퍼로 투입된 향신료를 이송스크류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전단에서 회전하는 커터로 향신료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분쇄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시키는 향신료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이송스크류로 전달하는 이송스크류 구동축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내부에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부에 분쇄부가 장착되는 전면하우징에서 상기 전면하우징의 내측으로 통형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안착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동축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축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구동축 베어링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에 나사결합되는 제1 지지볼트와, 상기 구동모터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볼트와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제2 지지볼트를 구비하여, 턴버클 방식으로 상기 구동축 베어링을 지지하는 보조지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 베어링의 저면에는, 일측에 상기 제1 지지볼트가 고정되게 형성되는 고정부와, 타측에 형성되어 분쇄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이 상기 구동축 베어링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쇄부에는 외측면의 일측을 연장하는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분쇄부가 안착될 수 있는 분쇄부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가 상기 분쇄부 장착부에 안착되면,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체결볼트로 상기 분쇄부를 상기 전면하우징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에 따르면, 이송스크류 구동축을 구동축 베어링과 턴버클 구조에 의해서 2중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여, 작동시 각종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턴버클 구조를 갖는 보조지지수단에서는 후면 하우징을 제거한 후, 지지로드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분쇄부가 별도의 공구없이도 손으로 간편하게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분쇄하는 향신료의 종류가 변경되어 서로 섞어지 않도록 하거나, 내부에 잔존하는 향신료를 세척하는 경우 또는 분쇄부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분쇄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향신료 분쇄장치에서 분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향신료 분쇄장치에서 분쇄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향신료 분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고 투입된 향신료는 이송시켜 회전하는 커터로 분쇄하는 분쇄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쇄부(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면하우징(11)과 후면하우징(12)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면하우징(11)의 후면을 후면하우징(12)을 이용하여 폐쇄한다.
전면하우징(11)은 상부에 분쇄부(20)가 장착되고, 내부에 구동부(30)를 수용한다. 전면하우징(11)은 향신료 분쇄장치에서 분쇄부(20)가 구동부(30)가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또한, 구동부(30)는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동부(30)의 작동시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외부 이물질로 인한 구동부(30)의 기능장애를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면하우징(11)은 내부가 구동부(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분쇄부(20)를 장착하기 위한 분쇄부 장착부(11a)가 마련된다. 상기 분쇄부 장착부(11a)에는 상기 분쇄부(2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11b)이 형성된다.
상기 분쇄부 장착부(11a)의 일측으로는 후술되는 구동축 베어링(36)을 안착시키는 베어링 안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안착부(13)는 통형의 형태로 내측으로 연장되어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내경이 구동축 베어링(36)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축 베어링(36)을 베어링 안착부(13)에 끼워 구동축 베어링(36)이 장착되도록 한다.
분쇄부(20)는 향신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이를 분쇄한다. 상기 분쇄부(2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1)의 하방에 마련된 분쇄하우징(22)과, 상기 분쇄하우징(2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스크류(24)와, 상기 이송스크류(24)의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커터(26) 및 회전커터(27)를 구비한다.
호퍼(21)는 외부에서 향신료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투입된 향신료를 호퍼(21)의 하방에 연결된 분쇄하우징(22)의 내부로 안내한다.
분쇄하우징(22)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이송스크류(24)를 수용한다. 상기 이송스크류(24)는 둘레를 따라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에 의해서 향신료를 이송스크류(24)의 전단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스크류(24)의 전단에는 향신료를 분쇄할 때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분쇄헤드(24a)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이송스크류축(25)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이송스크류(24)로 회전력을 받아들인다. 상기 분쇄헤드(24a)의 전방에는 분쇄하우징(22)에 고정되는 고정커터(26), 이송스크류(24)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커터(27)와, 분쇄하우징(22)에 고정되는 배출커버(23)가 구비되고 하우징커버(22a)에 의해 구속된다. 상기 분쇄하우징(22)과 고정커터(26), 배출커버(23)에는 돌기-홈 구조에 의해 이송스크류(24)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이송스크류(24)와 회전커터(27)는 이송스크류(24)의 전단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축에 이송스크류(24)가 끼워져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분쇄부(20)는 호퍼(21)로 향신료가 투입되면, 상기 이송스크류(24)가 향신료는 이송스크류(24)의 전단쪽으로 이송시키고, 정지하고 있는 고정커터(26), 배출커버(23)와 회전하고 있는 분쇄헤드(24a), 회전커터(27)에 의해서 향신료는 분쇄되어 배출커버(23)의 배출공(23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분쇄부(20)의 상세한 구성은 본 출원인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20-444953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쇄부(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쇄부(20)는 상기 전면하우징(11)의 분쇄부 장착부(11a)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분쇄하우징(22)은 외부 일측이 연장되어 고정플랜지(28)를 형성하여, 전면하우징(11)의 분쇄부 장착부(11a)에 안착된다. 상기 분쇄부(20)가 분쇄부 장착부(11a)에 위치하면, 체결볼트(29)를 사용하여 분쇄부(20)를 전면하우징(11)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29)는 볼트머리에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구동부(30)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분쇄부(20)를 구동시켜, 상기 분쇄부(20)가 향신료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30)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부(2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포함한다.
구동모터(31)는 상기 전면하우징(11)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이송스크류 구동축(35)으로 전달시킨다. 도 4 및 도 5에는 동력전달수단의 예로서, 구동모터(31)에 결합된 구동풀리(32), 이송스크류 구동축(35)에 결합된 종동풀리(33), 상기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를 순환하는 벨트(34)가 도시되어 있다.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은 상기 상기 구동모터(31)와 이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축(25)과 동일축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스크류축(25)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스크류(24)가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35)과 이송스크류축(25)은 서로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치(齒)를 형성한 후,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분리, 결합되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수단의 구체적인 예의 하나로서, 구동축 베어링(36)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은 상기 전면하우징(11)에 마련된 베어링 안착부(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의 내부에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끼움으로써,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지지한다. 상기 이송스크류(24)는 선단에서는 상기 이송스크류축(25)에 연결되고, 후단에는 종동풀리(33)가 결합된 상태인데,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이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보조지지수단이 구비된다.
보조지지수단은 상기 구동축 베어링(36)과 구동모터(31) 사이에 턴버클(turnbuckle)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을 구동모터(31)에 대하여 지지하여,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지지로드(41)와 상기 지지로드(41)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 베어링(36)과 구동축(35)에 고정되는 지지볼트(42a)(42b)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로드(4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을 지지한다.
지지로드(41)는 양단이 상기 구동축 베어링(36)과 구동모터(31)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지로드(41)의 양단에는 각각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 이 형성되되,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볼트(42a)(42b)는 상기 상기 구동축 베어링(36)과 구동모터(31)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로드(41)의 양단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볼트(42a)(42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지지볼트(42a)와 제2 지지볼트(42b)로 마련하고, 각각 지지로드(41)의 일단과 타단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지지볼트(42a)는 구동축 베어링(36)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제2 지지볼트(42b)는 상기 구동모터(31)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지지수단이 턴버클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41)를 회전시켜 구동축 베어링(36)을 구동모터(31)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의 저면에는 형성된 지지대(43)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43)의 상부면이 구동축 베어링(36)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43)의 저면에 상기 제1 지지볼트(42a)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은 전면하우징(11)의 베어링 안착부(13)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수단의 지지력이 구동축 베어링(36)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베어링 안착부(13)의 일부를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지지대(4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보조지지수단의 지지력이 지지대(43)를 통하여 구동축 베어링(35)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4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은 구동축 베어링(36)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동축 베어링(36)의 저면에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된다.상기 지지대(43)의 저면 일측에는 제1 지지볼트(42a)가 결합되는 고정부(4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43)의 타측, 즉 상기 분쇄부(20)에 인접한 부분에는 분쇄부(20)로부터 향신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을 모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43b)가 형성된다. 향신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는 향신료 자체에 포함된 수분과, 원활한 분쇄를 위하여 투입되는 물이 분쇄부(20)의 후방으로 유출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를 배수구(43b)로 집수하여 배수관(4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는 전면하우징(11)의 상부면에 분쇄부(20)가 탈착가능한 구조이므로, 분쇄부(20)를 먼저 장착시킨다. 상기 분쇄부(20)는 전면하우징(11)의 분쇄부 장착부(11a)에 위치시키고, 분쇄부(20)의 이송스크류축(25)과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을 서로 결합시킨다.
분쇄부(20)가 분쇄부 장착부(11a)에 안착되면, 체결볼트(29)를 이용하여 분쇄부(20)를 고정시킨다. 상기 분쇄부(20)가 분쇄부 장착부(11a)에 고정되면, 상기 이송스크류축(25)과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이 서로 연결되어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이 이송스크류축(2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분쇄부(20)의 장착이 완료되면, 구동모터(31)를 작동시켜 이송스크류(24)가 회전되도록 하고, 호퍼(21)로 향신료를 투입한다. 상기 이송스크류(24)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향신료가 투입되면, 향신료는 이송스크류(24)에 의해서 이송스크류(24)의 전단으로 이송되고, 이송스크류(24)의 전단에서 회전하고 있는 분쇄헤드(24a) 및 회전커터(27)와, 고정된 상태인 고정커터(26) 및 배출커버(23)에 의해서 분쇄된 후, 배출커버(23)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분쇄하는 향신료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분쇄부(20)의 내부를 세척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분쇄부(20)에 이상이 생긴 경우 등으로 인하여 분쇄부(20)를 교체할 때에는 손으로 상기 체결볼트(29)들을 풀러 분쇄부(20)가 전면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새로운 분쇄부(20)를 다시 장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향신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이송스크류(2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이 회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은 지지수단과 보조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서,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이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은 지지수단인 구동축 베어링(36)에 의해서 1차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구동축 베어링(36)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은 다시 보조지지수단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전면하우징(11)의 내부에서 다시 지지된다. 후면하우징(12)을 개방하고,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로드(41)를 회전시켜 제1 지지볼트(42a)와 제2 지지볼트(42b)가 지지로드(41)로부터 풀어지도록 하여 보조지지수단이 신장되도록 하면, 구동축 베어링(36)이 구동모터(31)에 지지되므로, 구동축 베어링(36)의 내부에서 회전중인 이송스크류 구동축(35)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로드(41)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보조지지수단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지지로드(41)는 적정하게 회전시켜 구동축 베어링(36)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로드(41)의 조정이 완료되면 후면하우징(12)을 다시 결합시켜, 향신료 분쇄장치를 작동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에서 분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쇄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향신료 분쇄장치에서 지지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하우징 11 : 전면하우징
11a :분쇄부 장착부 11b : 체결공
12 : 후면하우징 13 : 베어링 안착부
20 : 분쇄부 21 : 호퍼
22 : 분쇄 하우징 22a : 하우징커버
23 : 배출커버 23a : 배출공
24 : 이송스크류 24a : 분쇄헤드
25 : 이송스크류축 26 : 고정커터
27 : 회전커터 28 : 고정플랜지
28a : 관통공 29 : 체결볼트
30 : 구동부 31 : 구동모터
32 : 구동풀리 33 : 종동풀리
34 : 벨트 35 : 이송스크류 구동축
36 : 구동축 베어링 41 : 지지로드
42a, 42b : 지지볼트 43 : 지지대
43a: 고정부 43b : 배수구
44 : 배수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호퍼(21)로 투입된 향신료를 이송스크류(24)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전단에서 회전하는 커터로 향신료를 분쇄하는 분쇄부(20)와, 구동모터(31)를 작동시켜 상기 분쇄부(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와, 내부에 상기 구동부(30)를 수용하고 상부에 분쇄부(20)가 장착되는 전면하우징(11)의 내측으로 통형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안착부(13)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동축 베어링(36)과, 상기 구동부(30)의 구동모터(31)의 상면에 대하여 높이조정가능하게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을 지지하는 보조지지수단을 포함한 향신료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상기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축 베어링(36)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로드(41)와,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로드(41)의 일단에 나사결합되는 제1 지지볼트(42a)와, 상기 구동모터(31)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볼트(42a)와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41)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제2 지지볼트(42b)를 구비하여 턴버클 구조로 되고,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의 저면에는, 일측에 상기 제1 지지볼트(42a)가 고정되게 형성되는 고정부(43a)와, 타측에는 분쇄부(20)에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43b)가 형성된 지지대(4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43)의 상부면이 상기 구동축 베어링(36)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신료 분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20)에는 외측면의 일측을 연장하는 고정플랜지(28)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하우징(11)의 상부면에는 상기 분쇄부(20)가 안착될 수 있는 분쇄부 장착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20)가 상기 분쇄부 장착부(11a)에 안착되면,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체결볼트(29)로 상기 분쇄부(20)를 상기 전면하우징(11)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신료 분쇄장치.
KR2020090009586U 2009-07-22 2009-07-22 향신료 분쇄장치 KR200456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86U KR200456307Y1 (ko) 2009-07-22 2009-07-22 향신료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86U KR200456307Y1 (ko) 2009-07-22 2009-07-22 향신료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88U KR20110000988U (ko) 2011-01-28
KR200456307Y1 true KR200456307Y1 (ko) 2011-10-21

Family

ID=4420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86U KR200456307Y1 (ko) 2009-07-22 2009-07-22 향신료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3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17B1 (ko) * 2013-12-10 2015-01-14 김남영 마늘 절단장치
KR200493730Y1 (ko) * 2019-06-12 2021-05-27 김광희 향신료 분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96Y1 (ko) * 2004-04-17 2004-07-09 박병래 식품분쇄기의 케이스
JP2006263727A (ja) 2003-02-27 2006-10-05 M & F Technology Co Ltd 混合粉砕装置、混合溶融方法およびバインダーが含浸されたセルロース系材料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727A (ja) 2003-02-27 2006-10-05 M & F Technology Co Ltd 混合粉砕装置、混合溶融方法およびバインダーが含浸されたセルロース系材料の成形方法
KR200355896Y1 (ko) * 2004-04-17 2004-07-09 박병래 식품분쇄기의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88U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307Y1 (ko) 향신료 분쇄장치
CN106861845A (zh) 干粉物料粉碎装置
CN205761553U (zh) 粉碎机
CN206853784U (zh) 一种高效物料碾碎机
CN213825178U (zh) 食品加工用粉碎机
KR20080107679A (ko) 폐비닐 분쇄기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100890226B1 (ko) 인공눈 제조장치
KR101152393B1 (ko) 양념 분쇄기
CN204485925U (zh) 砂辊碾玉米脱皮机及砂辊碾米装置
KR200346852Y1 (ko) 식품분쇄기
KR101861481B1 (ko) 분쇄기
KR100462908B1 (ko) 재료 분쇄기
KR102379177B1 (ko) 맷돌
CN215140614U (zh) 一种玉米粒粉碎机
CN219377414U (zh) 一种改进型粉碎机
CN217663525U (zh) 一种中成药粉碎机
CN220258197U (zh) 一种应用于椰子加工的椰肉粉碎机构
KR20010003122A (ko) 착즙기의 전면 케이스 착탈장치
CN213528790U (zh) 并列式多功能碾米、粉碎整体组合一体机
CN208302855U (zh) 一种砂仁粉碎机
CZ14748U1 (cs) Zařízení pro přípravu potravin
CN212065602U (zh) 一种果汁饮料制作用粉碎机
KR100628374B1 (ko) 왕겨 분쇄장치
KR200287797Y1 (ko) 만능 녹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