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954Y1 - 예초기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954Y1
KR200455954Y1 KR2020090006471U KR20090006471U KR200455954Y1 KR 200455954 Y1 KR200455954 Y1 KR 200455954Y1 KR 2020090006471 U KR2020090006471 U KR 2020090006471U KR 20090006471 U KR20090006471 U KR 20090006471U KR 200455954 Y1 KR200455954 Y1 KR 200455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ver
string
cutting string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61U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2020090006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95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6Mounting or replacement of th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5Mounting of the cutter he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조립상의 안정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고안은 절단끈에 고속회전을 전달하도록 예초기의 회전축에 연결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삽되는 권취부에 절단끈이 선택적으로 권취되도록 상부의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커버; 및 상기 권취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출입홀을 통해 인입된 상기 절단끈이 밀착되게 관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절단끈을 고정시키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예초기, 절단장치, 부싱, 걸림방지리브

Description

예초기의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for brush cutter}
본 고안은 예초기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상의 안정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예초기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칼날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원리에 의해 잡초나 넝쿨에 대하여 예초(刈草)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예초기는 모터나 엔진 등과 같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일단부에 작업자가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와 스위치가 구비되는 작업봉과, 상기 작업봉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절단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예초기는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가동시키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칼날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고속 회전함으로써 잡초나 넝쿨을 절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예초기는 회전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기기의 손상 및 과부하를 초래하며, 특히 작업 도중에 고속 회전되는 회전칼날이 돌과 같이 단단한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 회전칼날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됨은 물론 그 파편이 원심력에 의해 고속으로 튕겨나가 작업자나 그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히는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으로 된 칼날 대신 굵고 단단한 나일론 재질로 된 절단끈을 사용한 예초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예초기의 절단장치는 절단끈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절단끈은 쉽게 마모됨으로써 자주 교체를 해야하므로 절단장치를 분리하지 않고 절단끈을 외부에서 투입하여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홀에 고정시켜 권취할 경우 상기 홀에 절단끈을 끼우기가 쉽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되지 못함으로써 권취를 위한 회전에 따라 절단끈의 풀림이 발생되어 조립상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므로 예초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을 위해서 커버에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단차지게 연결됨으로써 절단장치가 고속 회전하면 단차진 연결 부위에 잡초나 풀이 걸려 예초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므로 이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단끈을 용이하게 삽입하며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조립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손잡이의 측근에 풀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절단끈에 고속회전을 전달하도록 예초기의 회전축에 연결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삽되는 권취부에 절단끈이 선택적으로 권취되도록 상부의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커버; 및 상기 권취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출입홀을 통해 인입된 상기 절단끈이 밀착되게 관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절단끈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절단끈이 밀착되면서 관통되도록 상기 절단끈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연장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단끈이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싱은 입구부가 외측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절단끈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커버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커버에 단차지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고속회전에 따른 풀의 걸림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리브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래칫 결합된 회전부재와 형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함으로써 상기 커버에 고정된 상기 절단끈이 권취 및 권취해제 중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절단장치의 회전에 의한 권취 시 절단끈의 분리를 방지하는 부싱이 구비됨으로써, 권취 작업시에 절단끈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절단장치의 조립상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부싱은 입구부가 경사진 확관 구조로 절단끈의 인입이 용이하고 밀착되게 관통되어 절단끈과의 밀착력을 가지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어 휘어진 절단끈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절단끈이 커버의 회전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셋째, 홈구조의 연결부에 풀의 걸림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리브가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손잡이의 그립감이 유지되며 예초 작업에 따른 풀의 걸림이 방지되어 기존의 절단장치에 걸린 풀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므로 절단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절단장치의 분해시 커버에 권취된 절단끈의 풀림을 방지하는 홀딩부가 구비됨으로써, 절단장치의 분해 후 수리 작업등이 원활해 질 수 있다.
넷째, 커버가 케이스 내측에 래칫 결합된 회전부재와 함께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절단장치의 분해없이 절단끈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가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절단끈을 투입하기 위해 절단장치를 분리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절단장 치가 편리하게 사용되어 예초 작업의 능률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100)는 본체, 커버(140) 및 부싱(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본체는 절단끈(200)에 고속회전을 전달하도록 예초기(미도시)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 고정부재(120), 회전부재(130), 스프링(150), 걸림판(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20)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홀(112)에 다각 형상의 결합부(122)가 결합되어 고정 배치되며 일측에 래칫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래칫부(121)는 정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부(121b)와 역회전을 방지하는 직선부(121a)가 교차 형성된 기어 구조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축체결홀(123)을 통해 예초기(미도시)의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절단장치(100)가 회전축과 함께 고속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장치(100)의 고속회전에 의해 절단장치(100)의 양 측 외부에 일정 길이를 가지며 노출된 절단끈(200)이 팽창되어 고속회전됨으로써 기존의 칼날과 같이 풀을 베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130)는 원통 테두리 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재(120)의 외주를 감싸되, 내주 상단의 돌출된 부위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0)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지지되며, 상단에 상기 래칫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래칫부(121)에 기어 결합되는 형합부(131)가 구비된다.
한편, 회전부재(130)의 역회전시 절단끈(200)의 연속적인 풀림을 방지하는 걸림판(170)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판(170)은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상에 상기 고정부재(120)를 감싸며 구비되며 상면에 걸림수단(17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판(170)은 상기 커버(140)를 하측으로 가압한 후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절단끈(200)을 권취해제할 때 가압과 역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절단끈(200)이 연속적으로 많은 양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130)의 하단에 상기 형합부(131)에 대응되게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부(133)에 그의 걸림수단(171)이 간헐적으로 걸리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140)는 상기 본체의 케이스(110)에 내삽되는 권취부(141)에 절단끈(200)이 선택적으로 권취되도록 상부의 손잡이(142)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140)는 회전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량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권취부(141) 및 손잡이(142)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141)는 절단끈(200)이 권취되는 공간을 구획하여 커버(140)의 회전에 의해 절단끈(200)이 안정적으로 권취되도록 상하측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권취판(141a)과, 상기 권취판(141a)들의 중앙부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14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절단끈(200)이 권취되는 권취봉(14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호 대향되는 상기 권취판(141a)의 어느 일측에는 홀딩부(141d)가 구비되는데, 상기 홀딩부(141d)는 상기 커버(140)가 절단끈(200)이 권취된 채로 수리등을 위하여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절단끈(200)을 임시적으로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절단끈(200)의 권취가 풀리는 것이 방지한다.
즉, 절단장치(100)의 분해시 커버(140)에 권취된 절단끈(200)의 풀림을 방지하는 홀딩부(141d)가 구비됨으로써, 절단장치(100)의 분해 후 수리 작업등이 원활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42)는 상기 커버(14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절단끈(200)의 권취를 위한 상기 커버(140)의 회전을 수작업으로 수행할 때 사용된다. 상기 손잡이(142)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외주가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연결부(도 5의 145)와 단차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연결부는 손잡이(142)와 상측에 배치된 권취판(141a)의 상면을 연결하는 단면상 홈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커버(140)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커버(140)를 상기 케 이스(110)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부재(160)는 상기 커버(140)의 상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며 그의 결속홈(161)이 결속돌기(113)에 끼움 고정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커버(140)와 분리된 채로 가압하여 커버(140)가 회전가능하게 하며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140)의 상면 테두리부는 상기 결합부재(1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압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부재(160)와 케이스(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4)과 가이드돌기(16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140)는 내측 공간을 이루는 면상에 형성된 결합홈(144)이 상기 회전부재(130)의 외주에 형성된 결합돌기(132)에 형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3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140)는 상측으로만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140)는 권취부(141)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결합부재(16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20), 회전부재(130), 스프링(150) 및 걸림판(170)은 기어 결합등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며 내구성을 위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제외한 케이스(110), 커버(140) 및 결합부재(16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절단장치(100)가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커버(14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래칫 결합된 회전부 재(130)와 형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함으로써 상기 커버(110)에 고정된 상기 절단끈(200)이 권취 및 권취해제 중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140)가 그의 권취부(141)에 절단끈을 권취 또는 권취해제시키기 위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것은 고정부재(120), 회전부재(130) 및 스프링(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칫 결합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전하는 기어 또는 바퀴들의 결합을 말하되, 가압에 의해 구조적으로 역회전 가능한 결합을 말한다. 이를 위해 서, 상기 회전부재(130)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보장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40)는 래칫부(121)와 형합부(131)의 래칫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30)가 경사부(121b)측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외부에서 투입되어 커버(140)에 고정된 절단끈(200)이 권취부(141)에 풀림없이 권취되며, 상기 회전부재(130)가 하측으로 가압된 후 직선부(121a)를 넘어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 권취된 절단끈(200)이 권취해제되는 것이다.
즉, 커버(140)가 케이스(110) 내측에 래칫 결합된 회전부재(130)와 함께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절단장치(100)의 분해없이 절단끈(200)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가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절단끈(200)을 투입하기 위해 절단장치(100)를 분리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절단장치(100)가 편리하게 사용되어 예초 작업의 능률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취부(141)의 일측에 부싱(146)이 구비되는데, 상기 부싱(146)은 상기 케이스(110)의 출입홀(111)을 통해 인입된 상기 절단끈(200)이 밀착되게 관통하여 상기 커버(14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절단끈(200) 상기 절단끈(20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부싱(146)은 내측에 고정홀(147)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홀(147)은 절단끈(200)의 억지끼움에 의해 소정의 밀착력을 가지면서 관통되도록 절단끈(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를 가지며, 절단끈(200)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출입홀(111)에 대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140)와 케이스(110)의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147)이 상기 출입홀(111)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화살표등의 그림으로 표시되는 가이드표시(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싱(146)은 상기 권취판(141a)들을 연결하는 상기 권취봉(141b)의 외주에 형성된 돌출부(141c)에 내삽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41c)의 일정한 두께에 의해 부싱(146)이 절단끈(200)과 밀착되는 부위가 증가되므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싱(146)은 커버(140)의 내측에 삽입된 절단끈(200)이 회전부재(130)에 접촉되어 휘어지면서 부싱(146)에 형성된 걸림턱과 커버(140)에 형성되는 단턱에 차례로 걸림되어 커버(140)의 회전시에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부싱(146)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고정홀(147)의 표면이 정밀 가공에 의해 균일한 면을 가지므로 절단끈(200)의 억지끼움시 소정의 밀착력이 유지되면서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절단끈을 커버에 고정시키는 것은 커버에 절단끈의 크기에 대응되는 끼움홀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절단끈을 끼움홀에 억지끼움에 의해 끼움으로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상기 끼움홀은 플라스틱 소재의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끼움홀의 내경 표면은 불균일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절단끈의 관통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끼움홀에 절단끈의 일부가 걸림되더라도 커버의 회전시 굵고 단단한 나일론 소재의 절단끈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절단끈이 휘어지면서 쉽게 이탈하였다. 더욱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끼움홀을 다듬질하게 되면 끼움홀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절단끈의 관통은 용이하나 끼움홀에 의한 밀착이 느슨해짐으로써 약간의 회전으로도 쉽게 분리되었다.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부싱(146)을 사용하게 되면 금속 소재로 정밀 가공된 부싱(146)의 고정홀(147)은 내경의 표면이 균일하여 절단끈(200)의 관통이 용이하며 억지끼움에 의한 밀착력이 유지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절단끈(200)의 관통이 용이하여 절단끈(200)의 일정 길이만큼 커버(14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삽입된 절단끈(200)이 휘어지면서 걸림되어 추가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싱(146)은 절단끈(200)을 수용 및 지지하여 절단끈(200)이 커버의 회전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조립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출입홀(111)은 상기 케이스(110)에 탈착되는 삽입부재(115)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115)는 절단끈(200)의 출입 또는 절단 장치의 고속 회전에 의한 절단끈(200)과의 접촉으로 마모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삽입부재(115)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출입홀(111)이 정밀 가공되어 절단끈(200)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40)에는 상기 손잡이(142)를 상기 커버(140)에 단차지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도 5의 145참조)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140)의 고속 회전에 따른 풀의 걸림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리브(145a)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방지리브(145a)는 삼각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145)의 외주를 따라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조 편의성과 내구성을 위해 상기 커버(14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손잡이는 손잡이의 하면이 상측에 배치된 권취판(141a)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커버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재료가 많이 소모되어 재료비가 증가하며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걸림방지리브(145a)는 상기 연결부(145)의 외주를 따라 다수 개가 돌출되되, 외주에 굴곡을 갖는 상기 손잡이(142)의 하면 단부로부터 그립감을 유지하며 풀의 걸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홈구조의 연결부(145)에 풀의 걸림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리브(145)가 하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손잡이(142)의 그립감이 유지되며 예초 작 업에 따른 풀의 걸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기존의 절단장치에 걸린 풀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므로 절단장치(100)의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의 부싱에 절단끈이 관통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싱(146)은 입구부가 외측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절단끈(200)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싱(146)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출구부에 상기 커버(140)의 내측에 삽입되어 휘어진 상기 절단끈(200)이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고정부(146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싱(146)은 절단끈(200)이 인입되는 입구부에 형성되며 확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확장부(146a)와, 상기 확장부(146a)로부터 상기 절단끈(2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연장되어 상기 절단끈(200)이 밀착되면서 관통되는 밀착부(146b)와, 상기 밀착부(146b)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걸림턱을 형성시키며 상기 커버(14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46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출입홀(111)을 통해 인입되는 절단끈(200)은 출입홀(111)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고정홀(147)로 용이하게 접근하며 상기 확장부(146a)를 통해 접근 범위가 넓어지며 고정홀(147)측으로 좁아지는 경사에 의해 고정홀(147)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홀(147)측으로 인입된 절단끈(200)은 밀착부(146b)를 밀착되게 관통하여 밀착부(146b)와의 상호 간의 밀착력으로 1차 고정력을 가지게 되며, 밀착부(146b)를 관통한 절단끈(200)의 단부가 회전부재(130)등에 접촉되어 소정의 길이가 삽입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지면서 휘어진 부분이 고정부(146c)의 걸림턱 및 커버(140)의 단턱에 걸림되어 2차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절단끈(200)을 권취하기 위해 손잡이(142)로 커버(140)를 회전시키면 절단끈(200)은 1차적으로 밀착부(146b)에 의해 고정되며 2차적으로 절단끈(200)이 휘어지면서 고정부(146c)의 걸림턱 및 커버(140)의 단턱에 걸림된 것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절단끈(200)은 커버(140)의 회전에도 커버(14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즉, 부싱(146)은 입구부가 경사진 확관 구조로 절단끈(200)의 인입이 용이하고 밀착되게 관통되어 절단끈(200)과의 밀착력을 가지며 커버(140)의 내측에 삽입되어 휘어진 절단끈(200)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절단끈(200)이 커버(140)의 회전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절단장치(100)의 회전에 의한 권취 시 절단끈(200)의 분리를 방지하는 부싱(146)이 구비됨으로써, 권취 작업시에 절단끈(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절단장치(100)의 조립상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에 절단끈이 인입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절단장치에 절단끈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작동 과정 과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10)의 출입홀(111)을 통해 절단끈(200)의 일측 단부를 일직선상으로 관통시키면 내측의 권취봉(141b)의 돌출부(141c)에 대향되게 배치된 고정홀(147)로 상기 절단끈(200)이 접근된다. 이때, 돌출부(141c)의 돌출로 인해 절단끈(200)의 접근 거리가 줄어들어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이후, 고정홀(147)로 접근되는 절단끈(200)은 상기 부싱(146)의 입구부가 확장되어 확관으로 이루어지므로 접근이 더욱 용이하며 금속 소재의 부싱(146)에 의해 나일론 소재의 절단끈(200)이 고정홀(146a)을 안정적으로 관통하게 되며 관통된 절단끈(200)의 소정 길이가 커버(14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회전부재(130)에 접촉되면서 휘어지게 된다.
이후, 전술한 과정에 의해 절단끈(200)을 커버(140) 양측의 고정홀(147)에 각각 고정 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142)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경사부(121b)측으로 회전되면서 권취봉(141b)의 외면에 절단끈(200)이 권취된다.
이때, 커버(140)의 회전 시작과 함께 커버(140)의 내측에 삽입된 절단끈(200)은 밀착부(146b)와의 밀착력과 고정부(146c)의 걸림턱에 휘어진 부분이 걸림되어 고정홀(147)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146c)가 커버(140)의 내측 공간을 이루는 면과 간격을 가지게 되면서 형성된 커버(140)의 단턱에 절단끈(200)이 걸림으로써 고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직선부(121a)에 의해 커버(1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권취가 풀리지 않는다.
한편, 절단끈(200)이 마모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조금씩 잘려서 상기 권취봉(141b)에 권취된 부분이 없을 정도로 짧아지면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커버(140)의 내측으로부터 뽑아져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절단장치(100)의 절단끈(200)이 상기 권취봉(141b)에 권취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회전시에 부싱(146)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권취된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부싱(146)은 기존의 커버와 일체로 구성된 홀에 절단끈이 잘 끼워지지 않아 커버의 회전에 따른 고정력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하여 절단끈(200)이 용이하게 관통되어 삽입되게 하며 커버(140)의 회전에 따른 고정력을 보장하여 절단끈(200)의 조립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한 내용을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변형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의 부싱에 절단끈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절단장치에 절단끈이 인입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절단장치 110: 케이스
120: 고정부재 130: 회전부재
140: 커버 141: 권취부
142: 손잡이 145a: 걸림방지리브
146: 부싱 150: 스프링
160: 결합부재 170: 걸림판

Claims (5)

  1. 절단끈에 고속회전을 전달하도록 예초기의 회전축에 연결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삽되는 권취부에 절단끈이 선택적으로 권취되도록 상부의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는 커버; 및
    상기 권취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출입홀을 통해 인입된 상기 절단끈이 밀착되게 관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절단끈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절단끈이 밀착되면서 관통되도록 상기 절단끈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연장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절단끈이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초기의 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입구부가 외측 방향으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절단끈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절단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커버에 단차지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구 비되어 상기 커버의 고속회전에 따른 풀의 걸림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리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절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래칫 결합된 회전부재와 형합되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함으로써 상기 커버에 고정된 상기 절단끈이 권취 및 권취해제 중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절단장치.
KR2020090006471U 2009-05-28 2009-05-28 예초기의 절단장치 KR200455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71U KR200455954Y1 (ko) 2009-05-28 2009-05-28 예초기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71U KR200455954Y1 (ko) 2009-05-28 2009-05-28 예초기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61U KR20100011861U (ko) 2010-12-08
KR200455954Y1 true KR200455954Y1 (ko) 2011-10-05

Family

ID=4420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71U KR200455954Y1 (ko) 2009-05-28 2009-05-28 예초기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95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01A (ja) * 2003-10-24 2005-05-19 Shingu Shoko:Kk 刈払機のコード繰出し装置およびコード繰出し装置におけるコード配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01A (ja) * 2003-10-24 2005-05-19 Shingu Shoko:Kk 刈払機のコード繰出し装置およびコード繰出し装置におけるコード配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61U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5289A1 (en) String trimmer head with curved trimmer line guide
US20190059213A1 (en) Trimmer head
EP2737788B1 (en) Head for a trimmer and attachment therefor
US8973274B2 (en) Fixed line head for flexible line rotary trimmers
CA2867727C (en) Integrated string and blade trimmer system
JP5419219B2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KR101795453B1 (ko)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US20090100686A1 (en) Fixed-line rotary head for string trimmer machine
US20160227705A1 (en) String trimmer head
US6681865B2 (en) Rotary cutting device with quick-release blades
WO2008137061A1 (en) Top unloading fixed line trimmer head
CA2537078A1 (en) Vegetation trimmer apparatus
US20100122516A1 (en) Adapter for landscape trimmers
JP2013226072A (ja)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US10694672B2 (en) Multi-use tool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CN213586915U (zh) 一种手持割灌机
KR200455954Y1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DE2730171A1 (de) Vorrichtung zum maehen oder schneiden von pflanzenwuchs und schneidkopf dafuer
KR200455962Y1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WO2013081450A2 (en) A cutting device
KR20100119313A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KR20200027405A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KR20200143644A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KR102574531B1 (ko)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헤드
KR20130040442A (ko) 예초기용 와이어형 절단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