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89Y1 -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89Y1
KR200455589Y1 KR2020090011235U KR20090011235U KR200455589Y1 KR 200455589 Y1 KR200455589 Y1 KR 200455589Y1 KR 2020090011235 U KR2020090011235 U KR 2020090011235U KR 20090011235 U KR20090011235 U KR 20090011235U KR 200455589 Y1 KR200455589 Y1 KR 200455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sk pack
face
zon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18U (ko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지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지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지락
Priority to KR2020090011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8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면부의 눈과 입을 제외한 이마와 코, 볼 및 턱 부분의 피부에 영양을 주는 영양액을 포함하고 있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안면부의 이마와 코 부위의 T-Zone(티존, 이하 티존부)을 도포하는 제1시트,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좌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2시트,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우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3시트로 분리되어 안면부에 마스크 팩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팩, 제1시트, 제2시트, 제3시트

Description

3단 분리형 마스크 팩{SEPERATING TYPE MASK PACK}
본 고안은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안면부의 눈과 입을 제외한 이마와 코, 볼 및 턱 부분의 피부에 영양을 주는 영양액을 포함하고 있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안면부의 이마와 코 부위의 T-Zone(티존, 이하 티존부)을 도포하는 제1시트,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좌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2시트,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우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3시트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이다.
통상적인 마스크 팩(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부의 타원형의 마스크 시트지에 눈과 입 부위를 제외하며 코 부위를 도포할 수 있도록 코 부위에 소정의 크기로 절개부(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고 있으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액을 마스크 시트지에 포함되어 형성된 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저마다 신체적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안면부의 크기나 형태 및 골격 등의 차이가 나는데, 통상적인 마스크 팩은 획일적으로 크기와 형태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팩을 안면부에 도포함에 있어서 마스크 팩(1)이 절개부(2)가 형성되어 있어도 코 부위나 눈 부위 등의 일부가 떠 마스크 팩이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마스크 팩의 효과를 보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차이에 따른 형태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마스크 팩의 사용자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며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마스크 팩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이 피부에 고루 흡수될 수 있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마스크 팩의 포장에 있어서 분리된 마스크 팩을 별도의 포장 용지에 각각 포장하며, 영양액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어 피부 타입과 피부 상황 등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안면부의 눈과 입을 제외한 이마와 코, 볼 및 턱 부분의 피부에 영양을 주는 영양액을 포함하고 있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안면부의 이마와 코 부위의 T-Zone(티존, 이하 티존부)을 도포하는 제1시트;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좌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2시트;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우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3시트;로 분리되어 안면부에 마스크 팩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를 각각 별도의 포장용지에 포장하 여 피부에 영양을 주는 영양액을 다르게 구성하여 피부 타입 또는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스크 팩의 그 소재를 면, 부직포, 겔, 젤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팩의 소재가 겔 또는 젤리형일 경우, 마스크 팩의 사용을 용이하도록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에 각각 분리층이 적층형성되어, 상기 분리층을 분리한 후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를 안면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마스크 팩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적 차이에 따른 형태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마스크 팩의 사용자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며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마스크 팩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이 피부에 고루 흡수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 팩의 포장에 있어서 분리된 마스크 팩을 별도의 포장 용지에 각각 포장하여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가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어 피부 타입과 피부 상황 등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라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은 안면부의 이마와 코 부위의 T-Zone(티존, 이하 티존부)을 도포하는 제1시트(10);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좌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2시트(20);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우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3시트(30);로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사람은 저마다 신체적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안면부의 크기나 형태 및 골격 등의 차이가 나는데, 통상적인 마스크 팩은 획일적으로 크기와 형태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팩을 안면부에 도포하기가 좀 난해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을 3단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팩을 안면부 전체를 완전히 밀착하여 마스크 팩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이 피부에 고루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에 있어서, 제1시트(10)와 제2시트(20) 및 제3시트(30)를 한 곳의 포장 용지에 투입하여 포장할 수 있겠지만, 피부 타입이나 피부 상황을 고려하여 제1시트(10)와 제2시트(20) 및 제3시트(30)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을 피부 타입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여 각 시트에 함유되도록 하여, 별도의 포장 용지에 제1시트(10)와 제2시트(20) 및 제3시트(30)를 각각 포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시트(10)와 제2시트(20) 및 제3시트(30)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을 피부 타입별 및 피부 상황 등에 따라 영양액의 성분을 다르게 구성하 여 이를 별도의 포장 용지에 각각 포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 타입이나 상황을 고려하여 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지성피부인 경우 이마와 코 부위의 피부는 유분은 많지만 수분이 부족하여 유분으로 인하여 번들거리지만 이와는 반대로 볼이나 턱 부위의 피부는 유분과 수분 모두 부족하여 매우 건조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지성피부인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사용함에 있어서 티존부는 제1시트(10)에 유분을 조절하면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영양액이 함유되어 있는 것과, 양쪽 볼과 인중 및 턱에는 제2시트(20)와 제3시트(30)에 유분과 수분을 적절히 공급할 수 있는 영양액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타입과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은 그 소재를 면, 부직포, 겔, 젤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면 또는 부직포인 경우 영양액을 함유하고 있어도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있어 각각의 시트를 접어서 포장 용지에 포장되어 있어도 이를 포장 용지에서 꺼내 펼쳐 사용함에 있어서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겔 또는 젤리인 경우 응집하려는 성질로 인하여 영양액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펼쳐 사용하기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마스크 팩의 소재가 겔 또는 젤리로 형성될 경우, 사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크 팩의 각 시트에 적층형성되어 있는 분리층(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스크 팩의 소재가 겔 또는 젤리로 형성될 경우, 각 시트에 적층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층(40)이 비닐 소재로 구성되어 겔 또는 젤리 형의 마스크 팩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겔 또는 젤리로 형성된 마스크 팩을 사용할 경우, 분리층(40)을 마스크 팩의 제1시트(10)와 제2시트(20) 및 제3시트(30)에서 분리한 후, 안면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마스크 팩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적 차이에 따른 형태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마스크 팩의 사용자의 사용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며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마스크 팩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이 피부에 고루 흡수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그 포장에 있어서 분리된 마스크 팩을 별도의 포장 용지에 각각 포장하여 제1시트(10)와 제2시트(20) 및 제3시트(30)가 함유되어 있는 영양액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어 피부 타입과 피부 상황 등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스크 팩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3단으로 분리되어 있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의 개략적인 정면도.
*주요부호설명*
10:제1시트
20:제2시트
30:제3시트
40:분리층

Claims (4)

  1. 안면부의 눈과 입을 제외한 이마와 코, 볼 및 턱 부분의 피부에 영양을 주는 영양액을 포함하고 있는 마스크 팩에 있어서,
    안면부의 이마와 코 부위의 T-Zone(티존, 이하 티존부)을 도포하는 제1시트(10);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좌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2시트(20);
    상기 티존부를 제외하며 코를 중심으로 안면부의 우측면의 볼과 턱 및 인중 부위를 도포하는 제3시트(30);
    로 분리되어 안면부에 마스크 팩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를 각각 별도의 포장용지에 포장하여 피부에 영양을 주는 영양액을 다르게 구성하여 피부 타입 또는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3. 제1항에 있어서, 마스크 팩의 그 소재를 면, 부직포, 겔, 젤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의 소재가 겔 또는 젤리형일 경우, 마스크 팩의 사용을 용이하도록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에 각각 분리층(40)이 적층형성되어, 상기 분리층을 분리한 후 제1시트와 제2시트 및 제3시트를 안면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KR2020090011235U 2009-08-27 2009-08-27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KR200455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35U KR200455589Y1 (ko) 2009-08-27 2009-08-27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35U KR200455589Y1 (ko) 2009-08-27 2009-08-27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18U KR20110002218U (ko) 2011-03-07
KR200455589Y1 true KR200455589Y1 (ko) 2011-09-15

Family

ID=4420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35U KR200455589Y1 (ko) 2009-08-27 2009-08-27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84B1 (ko) * 2020-06-30 2021-04-16 오창렬 마스크존을 케어하는 분리형 투웨이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28Y1 (ko) 2001-08-20 2002-03-18 강남석 얼굴 미용 맛사지 팩
KR200378451Y1 (ko) 2004-10-06 2005-03-11 (주)이사금 코리아 마스크팩
KR20050071394A (ko) * 2005-05-30 2005-07-07 박철하 목 부위 전용 마스크 쉬트(Mask Sheet)제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575B1 (ko) 2006-04-26 2006-12-20 이재호 파우더 흡착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28Y1 (ko) 2001-08-20 2002-03-18 강남석 얼굴 미용 맛사지 팩
KR200378451Y1 (ko) 2004-10-06 2005-03-11 (주)이사금 코리아 마스크팩
KR20050071394A (ko) * 2005-05-30 2005-07-07 박철하 목 부위 전용 마스크 쉬트(Mask Sheet)제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575B1 (ko) 2006-04-26 2006-12-20 이재호 파우더 흡착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18U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0776A1 (en) Facial Mask
WO2014069591A1 (ja) シート及びその加工方法
KR200455589Y1 (ko) 3단 분리형 마스크 팩
US20170259052A1 (en) Facial mask tray
CN204092609U (zh) 一种新型立体仿生面膜
JP3134542U (ja) 化粧用パックシート
KR20140003324U (ko) 마스크 팩
JP3187733U (ja) パック用フェイスマスク
CN202236250U (zh) 一种新型磁疗面膜罩
CN204280302U (zh) 贴片式护肤美容面膜加热装置
JP3141565U (ja) 化粧用パックシート
JP6228325B1 (ja) パック用シート
KR20100003016U (ko) 병풍형 마사지팩 포장 파우치
CN208828379U (zh) 面膜及眼膜包装组合
CN210096069U (zh) 一种艾草中药自发热眼罩
KR20170011228A (ko) 리프팅 에센스 마스크 팩
JP5457515B2 (ja) パック用シート及びその用法
US20140325742A1 (en) Deformable and self-adjustable mask structure
JP5066722B1 (ja) パック用シート
CN203953927U (zh) 一种自带热敷功能的眼贴及脸贴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CN203342060U (zh) 一种具有多功能的面膜
JP6368976B2 (ja) パック用シート
TWM520308U (zh) 面膜結構
KR102191236B1 (ko) 롤형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