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148Y1 -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148Y1
KR200455148Y1 KR2020110003921U KR20110003921U KR200455148Y1 KR 200455148 Y1 KR200455148 Y1 KR 200455148Y1 KR 2020110003921 U KR2020110003921 U KR 2020110003921U KR 20110003921 U KR20110003921 U KR 20110003921U KR 200455148 Y1 KR200455148 Y1 KR 200455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ylinder
support
elb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Original Assignee
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 filed Critical 이훈
Priority to KR2020110003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다리(10)의 상부에 좌판(30)과 연결하기 위한 지지대(20)가 있고, 상기 지지대(20)에는 팔꿈치지지판(40)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5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의 가슴받이지지대(50)에는 회전통(50a)을 형성하여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에 끼워 회전할 수 있으며, 가슴받이지지대(50)의 회전통(50a)과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 사이에는 캡베어링(60)이 실린더외통(80)에 끼워져 걸쳐있도록 상부걸림부(61)와 지지대(50)의 회전통(50a)을 받쳐줄 수 있는 회전통걸림부(63)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실린더내통(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Chair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가슴받이를 구비한 지지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지대의 체결통과 의자지지대의 실린더를 체결하기 위한 베어링 역할을 하는 캡베어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의자용 가슴받이를 형성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여러가지 형태의 기술이 나타나 있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1은 가슴받이 의자의 사시도, 도2는 그 정면도, 도3은 그 측면도이며, 의자다리(101)의 상부에 좌판(1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 앞부분에 지지대(103)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팔걸이부(104)가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 가슴받이가 산등이 처럼 형성되어 사람의 앞 가슴부분을 받쳐주어 편안하게 허리를 곧게 펼 수 있는 구조가 개발되어 있었고, 좌판(102)이 상부판(102a)과 하부판(102b)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102b)의 측부에 지지대(103)가 고정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하부판(102b)의 측부에 지지대(103)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람이 앉으려고 할 경우나 의자에서 일어설려고 할 경우에는 가슴받이(105)가 좌판(102)과 사이가 아주 협소하거나 사람의 가슴 쪽에 밀착되어 움직이기가 힘들 경우가 허다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앉으려고 할 경우나 의자에서 일어설려고 할 경우에도 수월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가슴받이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사람이 수월하게 착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의자다리(10)의 상부에 좌판(30)과 연결하기 위한 지지대(20)가 있고, 상기 지지대(20)에는 팔꿈치지지판(40)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5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의 가슴받이지지대(50)에는 회전통(50a)을 형성하여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에 끼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슴받이지지대(50)의 회전통(50a)과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 사이에는 캡베어링(60)이 실린더외통(80)에 끼워져 걸쳐있도록 상부걸림부(61)와 지지대(50)의 회전통(50a)을 받쳐줄 수 있는 회전통걸림부(63)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실린더내통(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은 그 중앙부위에 가슴받이(42)가 팔꿈치지지판(40)의 수용홈(45)에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으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은 상하로 상부지지판(41a)과 하부지지판(41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판(41a)은 좌우로 각각 우측팔꿈치지지판(42aa)과 좌측팔꿈치지지판(41a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하부판(102b)의 측부에 지지대(103)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슴받이(105)가 좌판(102)과 사이가 아주 협소하거나 사람의 가슴 쪽에 밀착되어 움직이기가 힘들 경우에도 사람이 앉으려고 할 경우나 의자에서 일어설려고 할 경우에도 수월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의 정면도
도3은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개략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캡베어링 설치 개략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캡베어링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가슴받이부의 지지대 회전통의 개략 사시도
이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설명한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다리(10)의 상부에 있는 좌판(30)과 연결하기 위한 지지대(20)가 있고, 상기 지지대(20)에는 팔걸이지지대(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부 앞부분에 지지대(50)에 의하여 팔꿈치지지판(40)이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 가슴받이(42)가 팔꿈치지지판(40)의 수용홈(45)에 접혀져 있다.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은 상하로 상부지지판(41a)과 하부지지판(41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판(41a)은 좌우로 각각 우측팔꿈치지지판(42aa)과 좌측팔꿈치지지판(41ab)이 형성되어 필요시 사람의 팔꿈치를 올려 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지지판(41a)에는 수용홈(45)이 형성되어 가슴받이(42)가 세워질 수 있도록 좌우힌지부(47a)(47b)를 좌우측으로 형성하고 있고, 강선으로 된 지지부재(미도시)가 가슴받이(42)에 형성되어 있다.
이를 세월 경우에는 가슴받이부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눕힐 경우에는 책이나 노트 등을 올려 놀을 수 있는 평판이 되게 되어 있다.
도5~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팔꿈치지지판(40)의 지지대(50)는 회전통(50a)을 형성하여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에 끼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우 철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저항과 소리가 크게 발생되어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캡베어링(60)을 베어링을 형성하여 끼워지게 되어 있다.
상기 캡베어링(60)은 플라스틱제가 좋으며, 실린더외통(80)에 끼워져 걸쳐있도록 상부걸림부(61)와 지지대(50)의 회전통(50a)을 받쳐줄 수 있는 회전통걸림부(63)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실린더내통(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람의 자세를 바르게 하기 위하여 등받이(37)가 작게 형성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넓은 등받이 판을 제작하여 부착하여도 좋을 것이다.
10 : 의자다리
20 : 지지대
30 : 좌판
40 : 팔꿈치지지판
41a, 42b : 상부지지판, 하부지지판
42 : 가슴받이
45 : 가슴받이 수용홈
50 : 팔꿈치지지판 지지대

Claims (4)

  1. 의자다리(10)의 상부에 좌판(30)과 연결하기 위한 지지대(20)가 있고, 상기 지지대(20)에는 팔꿈치지지판(40)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50)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의 가슴받이지지대(50)에는 회전통(50a)을 형성하여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에 끼워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가슴받이지지대(50)의 회전통(50a)과 상하조절 실린더내통(70)과 실린더외통(80) 사이에는 캡베어링(60)이 실린더외통(80)에 끼워져 걸쳐있도록 상부걸림부(61)와 지지대(50)의 회전통(50a)을 받쳐줄 수 있는 회전통걸림부(63)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실린더내통(7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은 그 중앙부위에 가슴받이(42)가 팔꿈치지지판(40)의 수용홈(45)에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지지판(40)은 상하로 상부지지판(41a)과 하부지지판(41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판(41a)은 좌우로 각각 우측팔꿈치지지판(42aa)과 좌측팔꿈치지지판(41a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KR2020110003921U 2011-05-06 2011-05-06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KR200455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21U KR200455148Y1 (ko) 2011-05-06 2011-05-06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21U KR200455148Y1 (ko) 2011-05-06 2011-05-06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148Y1 true KR200455148Y1 (ko) 2011-08-22

Family

ID=4929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921U KR200455148Y1 (ko) 2011-05-06 2011-05-06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71B1 (ko) * 2010-11-09 2012-05-10 (주)디오네 바른 자세와 집중력 향상을 위한 체형교정용 의자에 탈부착할 수 있는 지지체
KR101153926B1 (ko) 2011-09-20 2012-06-08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의자용 가슴받이부의 지지대 체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978A (ja) * 1996-12-02 1998-08-18 Takumi Nozue もたれ具付きの椅子
JP2008062015A (ja) * 2006-08-10 2008-03-21 Itoki Corp 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978A (ja) * 1996-12-02 1998-08-18 Takumi Nozue もたれ具付きの椅子
JP2008062015A (ja) * 2006-08-10 2008-03-21 Itoki Corp 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71B1 (ko) * 2010-11-09 2012-05-10 (주)디오네 바른 자세와 집중력 향상을 위한 체형교정용 의자에 탈부착할 수 있는 지지체
KR101153926B1 (ko) 2011-09-20 2012-06-08 주식회사 청목코리아 의자용 가슴받이부의 지지대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5367B1 (en) Activating platform
US20140028067A1 (en) Seat pad adjustable chair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200455148Y1 (ko)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가슴받이지지대의 체결구조
KR200454758Y1 (ko)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접첩가능한 가슴받이의 체결구조
CN204337728U (zh) 一种阳台秋千椅
FI123099B (fi) Tyyny
KR200472678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학생용 의자
JP2013530786A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KR20120008048U (ko) 등받이 지지대를 일체로 하는 좌판하부카바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20130001249U (ko) 좌판하부카바의 등받이 지지대 체결구조
KR101293111B1 (ko) 흔들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JP3213872U (ja) 健康器具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JP3209331U (ja) フットレスト
KR101918838B1 (ko) 자세 교정용 외발 의자
JP3188269U (ja) キャスター座椅子
JP3193443U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120086961A (ko) 입식 간이의자
KR20130102965A (ko) 의자용 가슴받이지지대 체결구조
KR20130104601A (ko) 의자용 무릎받이 체결구조
JPWO2021111638A1 (ja) 座具
TWM593776U (zh) 情趣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