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83Y1 -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83Y1
KR200454583Y1 KR2020100006616U KR20100006616U KR200454583Y1 KR 200454583 Y1 KR200454583 Y1 KR 200454583Y1 KR 2020100006616 U KR2020100006616 U KR 2020100006616U KR 20100006616 U KR20100006616 U KR 20100006616U KR 200454583 Y1 KR200454583 Y1 KR 200454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ase
lubricant
cap
fill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시식
Original Assignee
전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시식 filed Critical 전시식
Priority to KR2020100006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9Devices to connect parts of a boom or an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3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단부에 걸림부(1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수나사부(102)를 형성하며, 양측에 각각 오링설치홈(103)을 형성한 핀(1)과;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내측면에는 설치홈(201)을 형성한 캡(2)과;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양측 캡(2) 사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윤활제충진실(302)을 형성하고, 주벽 일측에는 상기 윤활제충진실(302)에서 외주면으로 이어지는 오일주입부(303)를 형성하며,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설치홈(301)을 형성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윤활제충진실(302) 양측 입구에 삽설되어 윤활제충진실(302)을 관통하는 핀(1)을 지지하도록 외측 단부에 걸림턱(401)을 형성한 부싱(4)과; 상기 캡(2)과 케이스(3)에 각각 형성된 설치홈(201, 301) 내부에 각각 삽설되어 서로 대향하는 밀착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오일실(5)과; 상기 핀(1)의 수나사부(102)에 나사 결합되어 핀(1)에 끼워진 캡(2)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너트(6)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충진된 윤활제가 새는 것을 방지하여 중장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윤활제를 빈번하게 재충진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누유된 윤활제로 인한 관절부의 각종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관절부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The joints connecting devices Heavy equipment}
본 고안은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장비의 관절부에 설치하여 반복적인 윤활제의 보충 없이도 부드러운 관절 동작이 가능케 함으로써, 사용과 유지 관리가 편리하게 한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는 다양한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는 여러 부분에 관절부를 형성하여 이 관절부에 끼워지는 핀을 축으로 하여 관절부의 축선회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경우에는 굴삭기의 몸체에 축선회 할 수 있게 설치된 부움(8)의 선단부에 버켓(9)이 관절작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움(8)의 선단부에 하우징을 형성하여 이 하우징에 핀(1)을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버켓(9)의 연결부를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그리하여 실린더를 이용하여 버켓(9)을 관절작동시키면 부움(8)의 하우징 내부에 끼워진 핀(1)이 축선회하면서 버켓(9)의 관절작동이 가능케 된다.
그런데 중장비의 특성상 관절부의 작동 과정에서 하중이나 동작에 따라 많은 운동 부하가 발생함으로써, 그로 인한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사용 환경상 비나, 눈, 먼지 등 다양한 외부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외부 영향을 받게 되면, 금속으로 된 관절부에 부식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어 관절부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로 관절부에 형성된 하우징에 윤활제주입부를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에 윤활제를 일정한 주기마다 주입함으로써, 운동부하에 따른 마모를 억제함과 동시에 비나, 눈, 먼지 등 각종 외부 영향으로부터 관절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윤활제를 반복적으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윤활제와 윤활제주입기를 상시 휴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일정 주기로 윤활제를 주입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장비의 관절부에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주입된 윤활제는 관절부가 작동함에 따라서 하우징에 끼워진 핀과 핀을 지지하는 부싱 사이의 틈으로 윤활제가 새면서 윤활제에 먼지 등이 엉겨붙어서 관절부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처럼 누유가 발생하게 되면, 관절부의 하우징 내부에는 윤활제가 부족하게 되어 관절부의 작동시 핀과 하우징 사이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하우징이나 핀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할 뿐만 아니라, 마모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게 되면, 하우징에서 핀이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손상된 핀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하우징을 손상시켜야 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핀(1)과 하우징을 동시에 보수해야 하기 때문에 수선, 유지비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와 핀으로 구성된 장치 내부에 주입된 윤활제가 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중장비의 관절부에 설치 후 윤활제의 추가 주입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부에 걸림부(1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수나사부(102)를 형성하며, 양측에 각각 오링설치홈(103)을 형성한 핀(1)과;
삭제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내측면에는 설치홈(201)을 형성한 캡(2)과;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양측 캡(2) 사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윤활제충진실(302)을 형성하고, 주벽 일측에는 상기 윤활제충진실(302)에서 외주면으로 이어지는 오일주입부(303)를 형성하며,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설치홈(301)을 형성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윤활제충진실(302) 양측 입구에 삽설되어 윤활제충진실(302)을 관통하는 핀(1)을 지지하도록 외측 단부에 걸림턱(401)을 형성한 부싱(4)과;
상기 캡(2)과 케이스(3)에 각각 형성된 설치홈(201, 301) 내부에 각각 삽설되어 서로 대향하는 밀착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오일실(5)과;
상기 핀(1)의 수나사부(102)에 나사 결합되어 핀(1)에 끼워진 캡(2)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너트(6)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3)의 외주면에는 결합돌부(304)를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핀에 끼워진 부싱에 의해 케이스와 핀 사이에 윤활제충진실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충분한 양의 윤활제를 충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과 오일실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윤활제충진실에 충진된 윤활제가 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중장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윤활제를 빈번하게 재충진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관절부에서 누유되는 윤활제가 없기 때문에 누유된 윤활제로 인한 관절부의 각종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관절부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누유 방지로 인해 핀이나 내부 부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핀이 손상되더라도 케이스에서 쉽게 탈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중장비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심부에 설치되는 핀(1)과, 그 핀(1)의 양단부에 중심부가 끼워지는 캡(2)과, 양측에 끼워지는 캡(2)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되는 부싱(4)과, 캡(2)과 케이스(3)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오일실(5)과, 모든 부속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6)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요소의 구조와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핀(1)은 일단부에 걸림부(101)를 형성함으로써, 핀(1)에 끼워진 캡(2)의 외측면이 상기 걸림부(101)에 밀착되면서 캡(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핀(1)의 타단부에는 수나사부(102)를 형성함으로써, 모든 부속이 설치된 후 체결너트(6)의 체결을 통해서 모든 부속의 결합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핀(1)의 걸림부(101) 내측과, 수나사부(102) 내측에는 각각 한 쌍씩의 오링설치홈(103)을 형성하여 이 오링설치홈(103)에 오링을 끼운 상태에서 핀(1)에 캡(2)을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핀(1)의 외주면과 캡(2)의 중심공 사이의 틈으로 윤활제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캡(2)은 상기 핀(1)의 양단부에 중심부가 끼워져 설치되는데 양측 캡(2)의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하되 그 내측면에는 설치홈(201)을 형성함으로써 그 설치홈(201) 내부에 오일실(5)을 삽설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케이스(3)는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양측 캡(2) 사이에 설치되는데, 케이스(3)의 중심부에는 윤활제충진실(302)을 형성하여 이 윤활제충진실(302)을 핀(1)이 관통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3)의 주벽 일측에는 상기 윤활제충진실(302)에서 외주면으로 이어지는 오일주입부(303)를 형성함으로써, 전체 조립 후 오일주입부(303)를 통해 윤활제충진실(302)에 윤활제를 충진한 후 오일주입부(303)의 입구를 볼트와 같은 마감재를 이용해 마감함으로써, 오일주입부의 누유를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캡(2)의 내측면과 맞닿아 설치되는 케이스(3)의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설치홈(301)을 형성함으로써 그 설치홈(301) 내부에 오일실(5)을 삽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3)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돌부(304)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3)를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부움(8) 단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용접 없이 삽입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의 손상 발생시에 교체나 수리와 같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의 부싱(4)은 일측 단부에 걸림턱(401)을 형성하여 그 걸림턱(401)이 상기 케이스(3)의 윤활제충진실(302) 입구에 걸리도록 한 쌍의 부싱(4)을 윤활제충진실(302)의 양측 입구에 서로 대칭으로 삽설하게 된다.
그리하여 삽설된 부싱(4)에 핀(1)을 관통시킴으로써 부싱(4)이 케이스(3)의 윤활제충진실(302)을 관통하는 핀(1)을 지지하게 되는데 부싱(4)의 두께로 인하여 케이스(3)의 윤활제충진실(302) 내주면과 핀(1)의 외주면 사이에 윤활제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핀(1)의 외주면에는 항상 윤활제가 작용하기 때문에 핀(1)의 축선회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오일실(5)은 윤활제충진실(302)을 형성한 케이스(3)의 양측 단부와 상기 케이스(3)의 양측 단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캡(2)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설치홈(201, 301) 내부에 각각 삽설된다.
이때, 삽설되는 오일실(5)은 합성고무제로 된 오링을 금속제로 된 커버링과 조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캡(2)의 설치홈(201)에 설치된 오일실(5)과 케이스(3)의 설치홈(301)에 설치된 오일실(5)의 금속제로 된 커버링의 밀착면이 서로 밀착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부움(8) 단부에 케이스(3)를 고정하고, 그 케이스(3)에 삽설된 핀(1)에 버켓(9)을 연결하여 버켓(9)의 관절 동작이 이루어질 때, 핀(1)에 끼워진 캡(2)도 핀(1)과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처럼 핀(1)과 캡(2)이 회전하더라도 케이스(3)와 캡(2)에 각각 설치된 오일실(5)이 강한 압력으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케이스(3)와 캡(2)의 밀착면을 통해 윤활제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체결너트(6)는 핀(1)에 케이스(3)와 캡(2) 및 부싱(4)과 오일실(5)의 설치와 결합이 모두 완료된 후에 최종적으로 캡(2)의 외측면에 밀착하도록 핀(1)의 수나사부(102)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그 체결력에 의해 케이스(3)와 캡(2)의 밀착면이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케이스(3)와 캡(2)의 밀착면을 통해서 누유가 발생하거나, 밀착면으로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핀 101: 걸림부
102: 수나사부 103: 오링설치홈
104: 오링 2: 캡
201: 설치홈 3: 케이스
301: 설치홈 302: 윤활제충진실
303: 오일주입부 304: 결합돌부
4: 부싱 401: 걸림턱
5: 오일실 6: 체결너트

Claims (2)

  1. 일단부에 걸림부(1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수나사부(102)를 형성하며, 양측에 각각 오링설치홈(103)을 형성한 핀(1)과;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내측면에는 설치홈(201)을 형성한 캡(2)과;
    상기 핀(1)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양측 캡(2) 사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윤활제충진실(302)을 형성하고, 주벽 일측에는 상기 윤활제충진실(302)에서 외주면으로 이어지는 오일주입부(303)를 형성하며,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설치홈(301)을 형성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윤활제충진실(302) 양측 입구에 삽설되어 윤활제충진실(302)을 관통하는 핀(1)을 지지하도록 외측 단부에 걸림턱(401)을 형성한 부싱(4)과;
    상기 캡(2)과 케이스(3)에 각각 형성된 설치홈(201, 301) 내부에 각각 삽설되어 서로 대향하는 밀착면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오일실(5)과;
    상기 핀(1)의 수나사부(102)에 나사 결합되어 핀(1)에 끼워진 캡(2)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너트(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의 외주면에는 결합돌부(304)를 형성한 것을 포함하는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KR2020100006616U 2010-06-23 2010-06-23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KR200454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16U KR200454583Y1 (ko) 2010-06-23 2010-06-23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16U KR200454583Y1 (ko) 2010-06-23 2010-06-23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583Y1 true KR200454583Y1 (ko) 2011-07-12

Family

ID=4929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616U KR200454583Y1 (ko) 2010-06-23 2010-06-23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32B1 (ko) 2011-08-23 2013-08-14 주식회사 지비 유압브레이커의 위치고정장치
KR200479519Y1 (ko) 2014-08-06 2016-02-18 류상욱 굴삭기 아암의 링크 연결구
KR20230110864A (ko) *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듀얼 마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44A (ja) * 1995-07-18 1997-02-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軸受装置
JPH10153218A (ja) 1996-11-21 1998-06-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軸受装置
JP2004205004A (ja) 2002-12-26 2004-07-22 Oiles Ind Co Ltd ピン結合部構造
KR20070094809A (ko) * 2005-01-25 2007-09-2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베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44A (ja) * 1995-07-18 1997-02-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軸受装置
JPH10153218A (ja) 1996-11-21 1998-06-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軸受装置
JP2004205004A (ja) 2002-12-26 2004-07-22 Oiles Ind Co Ltd ピン結合部構造
KR20070094809A (ko) * 2005-01-25 2007-09-2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베어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32B1 (ko) 2011-08-23 2013-08-14 주식회사 지비 유압브레이커의 위치고정장치
KR200479519Y1 (ko) 2014-08-06 2016-02-18 류상욱 굴삭기 아암의 링크 연결구
KR20230110864A (ko) *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듀얼 마운트
KR102642831B1 (ko) * 2022-01-17 2024-03-05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의 듀얼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583Y1 (ko) 중장비의 관절부 연결 장치
CN105605102A (zh) 一种工程机械、矿业工程机械、轴承座及其油腔清洗系统
CN107108090A (zh) 挠性接头式管形螺纹接头组件的阳端部或阴端部保护器
CN206952381U (zh) 锁紧装置
RU2731952C2 (ru) Самосмазывающееся колебательное штифт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KR101014221B1 (ko) 스위벨 조인트
CN211039861U (zh) 一种波纹管截止阀
CN201322041Y (zh) 球头销组件
CN210599797U (zh) 一种便于拆卸的紧固型螺栓
JP6558112B2 (ja) 鋼管の洗浄装置
JP3233135U (ja) 消火設備用管継手
KR200429403Y1 (ko) 주유기 멀티 스위벨
CN210510591U (zh) 不锈钢波纹管多密封快插型接头
CN220488537U (zh) 一种高压供油泵的管路连接结构
US11143348B2 (en) Gas pipe joint
CN211259911U (zh) 一种石油管道密封装置
JP7253778B2 (ja) 流体移送用コネクタ
KR101332140B1 (ko) 굴착기용 클램프의 유압호스 연결장치
KR20120034315A (ko) 유압커플러
CN213744391U (zh) 柴油发动机
KR102394703B1 (ko) 그리스 주입 건
KR100594855B1 (ko) 회동핀
CN216867145U (zh) 一种油缸密封用接头
CN216553802U (zh) 一种活接头及清蜡防喷组件
CN113324077B (zh) 一种密封稳定的高压安全溢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