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373Y1 -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373Y1
KR200454373Y1 KR2020090010296U KR20090010296U KR200454373Y1 KR 200454373 Y1 KR200454373 Y1 KR 200454373Y1 KR 2020090010296 U KR2020090010296 U KR 2020090010296U KR 20090010296 U KR20090010296 U KR 20090010296U KR 200454373 Y1 KR200454373 Y1 KR 200454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erminal block
hub
modular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540U (ko
Inventor
정 곤 김
정 석 이
김영진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0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37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대 단자함에 설치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세는 세대 단자함에 설치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가 설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 양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방부가 서로 맞대어져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상부 가이드면과 좌우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하부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절개부와,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에 형성된 상부 단차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결합개방부와; 상기 결합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과 외측면을 폐쇄하는 윗면과 뒷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부의 상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앞면과, 상기 절개부의 하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밑면과, 상기 절개부의 좌우 가이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양쪽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부와, 상기 양 측벽의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후크로 이루어진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구, 결합구조, 절개부, 개방부, 단자대, 허브

Description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terminal block and hub}
본 고안은 세대 단자함에 설치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세는 세대 단자함에 설치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서로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는 서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착탈가능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화, 테이터통신, 화상통신 등 정보를 각 가정까지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주거용 건축물에는 통신용 세대 단자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통신용 세대 단자함에는 통신 케이블을 쉽게 접속하거나 끊을 수 있는 모듈러 단자대가 구비된다. 모듈러 단자대는 이용자가 고장 등의 문제 발생시 추가 배선이나 시험을 위하여 케이블을 쉽게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포트를 제공한다.
한편, 세대 단자함을 통신용으로만 사용할 때는 모듈러 단자대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기능 외에 데이터기능과 LAN(Local Area Net work)의 구성을 위해서는 허브(Hub)가 더 필요하다. 허브는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선(UTP)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PC에 설치된 LAN 카드와 연결되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 흐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중계한다.
일반적으로 세대 단자함에 설치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분리하여 별도로 설치하면, 설치 작업이 중복되고, 세대 단자함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일체로 결합하여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모듈러 단자대외 허브를 일체로 결합하면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세대 단자함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모두 교체하거나 모두 분리하여야 하므로 도리어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 동안 통신이 두절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서로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는 이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가 설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 양단에 제1 및 제2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가 맞대어져 형성되는 결합개방부에 결합구를 끼워넣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개방부는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 양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방부가 서로 맞대어져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상부 가이드면과 좌우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하부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절개부와,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에 형성된 상부 단차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결합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과 외측면을 폐쇄하는 윗면과 뒷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부의 상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앞면과, 상기 절개부의 하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밑면과, 상기 절개부의 좌우 가이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양쪽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부와, 상기 양 측벽의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후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개방부의 가이드판은 상부 가이드면과 하부 가이드면 사이에 설치되고, 좌우 가이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구의 가이드돌부는 상기 가이드판과 하부 가이드면 사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삽입되고, 상기 결합구의 가이드돌부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개방부에는 상기 가이드판이 밀접하게 접촉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하,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방부에 제1 및 제2 커버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커버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절개부와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면 절개부 그리고 맞대어지는 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절개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윗면과 뒷면 그리고 외측 단차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상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앞면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하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밑면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 의 단차 절개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외측 단차면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좌우 가이드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내측 수직면과, 상기 내측 수직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내측 수직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판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구를 이용하여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쉽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대 단자함에 설치할 때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결합하여 설치하도, 고장 시에는 어느 하나만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단순하게 되고 통신 단절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분리하여 사용할 때는 커버를 끼워 개방부를 폐쇄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은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는 필요에 따라 서로 맞대어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단자대(10)는 직사 각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국선단자를 분배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포트(17)가 구비된다. 상기 허브(50) 또한 직사각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다수 개의 통신 케이블을 분배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포트(5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포트(17)(57)에는 모듈러 잭이 접속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13)(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에는 도시되지 않은 세대 단자함에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홀(18)(5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는 일 측면은 서로 맞대어질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맞대어지는 면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개방부(15)과 제2 개방부(5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개방부(15)과 제2 개방부(55)은 대칭구조를 이루고,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를 서로 맞댈 때, 제1 및 제2 개방부(15)(55)도 서로 맞대어져서 결합구(70)를 끼울 수 있는 결합개방부(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는 일 측면을 맞댈 때 형성되는 상기 결합개방부(30)에 상기 결합구(70)를 끼우거나 분리하면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를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10)의 일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단자대(10)는 연결포트(17)가 형성된 상부케이 스(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연결포트(1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13)와, 상기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13)가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14)과, 상기 회로기판(14)이 고정되고 상부케이스(11)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1)의 맞대어지는 면의 양단에는 제1 개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방부(15)에는 제1 커버(65)가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브(50)의 일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50)는 크게 다수 개의 연결포트(57)가 형성된 상부케이스(51)와, 상기 상부케이스(51)의 연결포트(5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53)와, 상기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5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기판(54)과, 상기 회로기판(54)이 고정되고 상기 상부케이스(51)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51)의 맞대어지는 면의 양단에는 제2 개방부(55)가 형성되고, 이 제2 개방부(55)에는 제2 커버(85)가 결합된다.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의 맞대어지는 측면의 양쪽 모서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개방부(15)는 대칭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허브(50)의 맞대어지는 측면의 양쪽 모서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개방부(55)도 대칭구조를 갖는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1 개방부(15)와 제2 개방부(55)도 대칭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 개방부(15)과 제2 개방부(55)에 삽입되는 제1 커버(65) 및 제2 커버(85)도 대칭구조를 갖는다.
이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개방부(15)과 제2 개방부(55)가 맞대어지면,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의 양쪽에 두 개의 결합개방부(30)를 형성된다. 상기 결합개방부(30)는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결합구(70)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부(31)와, 상기 결합구(7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36)과, 상기 결합구(70)의 고정훅크(7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31)는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의 상부케이스의 상면(a)과 외측면(b)에 사각형으로 절개된 상면 절개부와 외측면 절개부와, 서로 맞대어지는 측면(c)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단차 절개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의 상부케이스의 상면(a)에 형성된 상면 절개부는 상부 가이드면(34)과 측면 가이드면(32)(33)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면(b)에 형성된 외측면 절개부는 하부 가이드면(35)과 측면 가이드면(32)(3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맞대어지는 면(c)에 형성된 단차 절개부는 상부 단차면(46)과 하부 단차면(47)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36)은 맞대어지는 면(c)에 형성된 상부 단차면(46)의 내측면에서 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설된다. 상기 가이드판(36)의 선단은 개구부(31)의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36)은 상부 가이드면(34)과 하부 가이드면(35) 사이에 위치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홈(38)은 결합구(70)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훅크(78)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듈라 단자대(10)와 허브(50)의 상판(a)의 저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결합개방부(30)에 끼워지는 결합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70)는 상기 결합개방부(30)의 상면 절개부와 외측면 절개부를 커버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윗면(71)과 뒷면(77)으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결합구(70)의 앞면(74)은 상기 상부 절개의 상부 가이드면(34)과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밑면(75)은 상기 외측면 절개부의 하부 가이드면(35)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70)의 양쪽 측면(72)(73)은 상기 절개부(31)의 좌우 가이드면(32)(33)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 측면(72)(73)의 내측면에는 소정 두께의 가이드돌부(76)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돌부(76)의 상면은 절개부(31)의 가이드판(36)의 저면과 상기 하부 가이드면(35) 사이에 밀착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양 측벽(72)(73)의 전면에는 소정 길이의 고정후크(78)가 탄성을 갖도록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후크(78)의 선단 상면에는 상판(a)의 저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고정홈(38)에 삽입되는 돌기(79)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부(76)의 상면과 윗면(71)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판(36)이 밀착되게 삽입되는 가이드개방부(8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개방부(81)의 높이는 가이드판(36)의 두께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70)를 결합개방부(30)에 끼워넣으면, 상기 결합구(70)의 양 측면(72)(73)은 절개부(31)의 좌우 가이드면(32)(33)에 접촉되어 안내되고, 상기 결합구(70)의 가이드돌부(76)는 가이드판(36) 저면과 하부 가이드면(35) 사이에 접촉되어 안내되며, 상기 결합구(70)의 가이드개방부(81)에는 가이드판(36)이 밀착하여 삽입되도록 안내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부(70)는 좌우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결합구(70)의 앞면(74)이 상기 절개부(31)의 상부 가이드면(34)과 닿도록 상기 결합구(70)을 밀어 넣으면, 상기 결합구(70)의 앞면(74)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후크(78)의 돌기(79)가 상부케이스(11)(51)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38)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70)는 이탈되지 않고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라 단자대(10)와 허브(5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개방부(30)에 각각 결합구(70)를 끼워넣으면, 상기 결합구(70)의 양 측면(72)(73)은 결합개방부(30)의 좌우 가이드면(32)(33)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결합구(70)의 가이드돌부(76)와 가이드판(36)은 상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결합구(70)의 고정후크(78)와 결합개방부(30)의 고정홈(38)은 결합구(70)가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모듈라 단자대(10)와 허브(5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구(70)의 윗면(71)의 상부케이스(11)(51)의 상면(c)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70)의 뒤면(77)은 상부케이스(11)(51)의 외측면(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한다.
한편,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를 결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개방부(15)(55)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된 제1 및 제2 개방부(15)(55)를 통해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내부의 구성이 외부에서 보이게 됨으로써 제품의 미관을 훼손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15)(55)를 폐쇄시키기 위한 커버(65)(85)가 별도로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모듈러 단자대(10)와 허브(50)의 제1 및 제2 개방부(15)(55)에 설치하는 제1 및 제2 커버(65)(8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커버(65)(85)는 결합구(70)의 반쪽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커버(65)(85)는 제1 및 제2 개방부(15)(55)의 상면(c)에 형성된 상면 절개부와 외측면(b)에 형성된 외측면 절개부 그리고 맞대어지는 측면(c)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절개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윗면(21)과 뒷면(27) 그리고 외측 단차면(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측 단차면(22)의 타측에는 내측 수직면(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65)(85)의 앞면(24)은 제1 및 제2 개방부(15)(55)의 상부 가이드면(34)과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밑면(25)은 제1 및 제2 개방부(15)(55)의 하부 가이드면(35)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커버(65)(85)의 외측 단차면(22)은 제1 및 제2 개방부(15)(55)의 상부 단차면(46)및 하부 단차면(47)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버(65)(85)의 내측 수직면(23)은 제1 및 제2 개방부(15)(55)의 좌우 가이드면(32)(33)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직면(23)의 내측면에는 소정 두께의 가이드돌부(26)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돌부(26)는 제1 및 제2 개방부(15)(55) 의 가이드판(36) 저면과 하부 가이드면(35) 사이의 간극에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직면(23)의 전면에는 소정 길이의 고정후크(28)가 탄성을 갖도록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후크(78)의 선단 상면에는 상판(a)의 저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고정홈(38)에 삽입되는 돌기(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부(26)과 윗면(21) 사이에는 가이드판(36)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가이드개방부(8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개방부(82)의 높이는 가이드판(36)의 두께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커버(65)(85)를 모듈라 단자대(10)와 허브(50)의 제1 개방부(15)과 제2 개방부(55)에 각각 끼워넣으면, 상기 제1 및 제2커버(65)(85)의 외측 단차면(22)은 제1 개방부(15)과 제2 개방부(55)의 단차 절개면에 의해 안내되고, 내측 수직면(23)은 좌우 가이드면(32)(33)에 접촉되어 안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버(65)(85)의 가이드돌부(26)는 가이드판(36)의 저면과 하부 가이드면(35) 사이에 접촉되어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개방부(82)에는 가이드판(36)이 밀착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커버(65)(85)의 앞면(24)이 제1 및 제2 개방부(15)(55)의 상부 가이드면(34)과 닿도록 끝까지 밀어 넣으면, 상기 고정후크(28)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29)가 고정홈(38)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라 단자대(10)와 허브(5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개방부(15) 및 제2 개방부(55)에 제1 및 제 2커버(25)를 끼워넣으면 개방부가 폐쇄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은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2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듈러 단자대 11; 상부케이스
15; 제1 개방부 17; 연결포트
30; 결합개방부 31; 절개부
32,33: 측면 가이드면 34; 상부 가이드면
35; 하부 가이드면 36; 가이드판
38; 고정홈 46; 상부 단차면
47; 하부 단차면 50; 허브
51; 상부케이스 55; 제1 개방부
57; 연결포트 65; 제1 커버
70; 결합구 72,73; 측면
74; 앞면 75; 밑면
76; 가이드돌부 78; 고정후크
81; 가이드개방부

Claims (3)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다수 개의 모듈러 플러그가 설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 양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개방부가 서로 맞대어져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상부 가이드면과 좌우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외측면에 하부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절개부와, 상기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맞대어지는 면에 형성된 상부 단차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결합개방부와;
    상기 결합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과 외측면을 폐쇄하는 윗면과 뒷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부의 상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앞면과, 상기 절개부의 하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밑면과, 상기 절개부의 좌우 가이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양쪽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부와, 상기 양 측벽의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후크로 이루어진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개방부의 가이드판은 상부 가이드면과 하부 가이드면 사이에 설치 되고, 좌우 가이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구의 가이드돌부는 상기 가이드판과 하부 가이드면 사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삽입되고,
    상기 결합구의 가이드돌부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개방부에는 상기 가이드판이 밀접하게 접촉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버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절개부와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면 절개부 그리고 맞대어지는 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 절개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윗면과 뒷면 그리고 외측 단차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상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앞면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하부 가이드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밑면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단차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외측 단차면과, 상기 외측 단차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개방부의 좌우 가이드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내측 수직면과, 상기 내측 수직면의 내측면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내측 수직면의 전면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판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KR2020090010296U 2009-08-06 2009-08-06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KR200454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96U KR200454373Y1 (ko) 2009-08-06 2009-08-06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96U KR200454373Y1 (ko) 2009-08-06 2009-08-06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40U KR20110001540U (ko) 2011-02-14
KR200454373Y1 true KR200454373Y1 (ko) 2011-06-30

Family

ID=4420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96U KR200454373Y1 (ko) 2009-08-06 2009-08-06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3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048B1 (ko) * 2020-03-24 2020-08-0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정보통신선용 옥내 설치식 멀티 단자대
KR102142050B1 (ko) * 2020-03-24 2020-08-0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간선통신선로의 세대별 분배용 배선함
KR20230082305A (ko) * 2021-12-01 2023-06-08 한국전력공사 상하 분리형 단독계기함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84Y1 (ko) 2001-03-27 2001-10-10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273519Y1 (ko) 2002-01-21 2002-04-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20042784A (ko) * 2002-05-08 2002-06-07 구성배 감열 개방식 밸브와 이를 이용한 살수패튼 형성장치,물분무패튼 형성장치 및 lpg 탱크로리 자동폭발방지장치
KR20020073519A (ko) * 2000-01-31 2002-09-2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라 망을 통한 데이터의 멀티-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30084158A (ko) * 2002-04-25 2003-11-01 주식회사 태평양 환원제 및 캐리어를 함유하는 헤어칼라 리무버 조성물
KR200384158Y1 (ko) 2005-02-25 2005-05-11 (주)엠텐기술 통합형 단자함
KR20080054110A (ko) * 2006-12-12 2008-06-17 주식회사 금광통신 단자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519A (ko) * 2000-01-31 2002-09-2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라 망을 통한 데이터의 멀티-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242784Y1 (ko) 2001-03-27 2001-10-10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273519Y1 (ko) 2002-01-21 2002-04-25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KR20030084158A (ko) * 2002-04-25 2003-11-01 주식회사 태평양 환원제 및 캐리어를 함유하는 헤어칼라 리무버 조성물
KR20020042784A (ko) * 2002-05-08 2002-06-07 구성배 감열 개방식 밸브와 이를 이용한 살수패튼 형성장치,물분무패튼 형성장치 및 lpg 탱크로리 자동폭발방지장치
KR200384158Y1 (ko) 2005-02-25 2005-05-11 (주)엠텐기술 통합형 단자함
KR20080054110A (ko) * 2006-12-12 2008-06-17 주식회사 금광통신 단자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048B1 (ko) * 2020-03-24 2020-08-0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정보통신선용 옥내 설치식 멀티 단자대
KR102142050B1 (ko) * 2020-03-24 2020-08-0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간선통신선로의 세대별 분배용 배선함
KR20230082305A (ko) * 2021-12-01 2023-06-08 한국전력공사 상하 분리형 단독계기함 구조체
KR102627605B1 (ko) 2021-12-01 2024-01-24 한국전력공사 상하 분리형 단독계기함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40U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896B1 (en) Dual multiport RJ connector arrangement
US10958012B2 (en) Cover assembly for a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US8795003B2 (en) Contact set arrangement for right angle jack
US7762839B2 (en) Patch panel assembly
US8696369B2 (en) Electrical plug with main contacts and retractable secondary contacts
US8715002B2 (en) Modular communications jack with user-selectable mounting
US8840426B2 (en) Telecommunications jack having offset stop latches and panel including the same
CA2676110C (en) Multi-piece coverplate assembly and modular device assembly
KR200454373Y1 (ko) 모듈러 단자대와 허브의 결합구조
KR200422110Y1 (ko) 통신기기용 모듈러 패치패널
KR200455582Y1 (ko) 개폐가 용이한 커버를 갖는 분전반
US6454595B1 (en) Modular jack with led
KR101662118B1 (ko) 보안 이더넷포트
JP6884631B2 (ja) パッチパネル
JP2006519472A (ja) 通信モジュールに組み立てるための機能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モジュールの取付け方法
KR200420053Y1 (ko) 멀티 커플러
CN114039226B (zh) 基于物理隔离技术的以太网业务隔离防误拔插组合装置
KR101098815B1 (ko) 통신선로용 접속 커넥터
KR20100032825A (ko) 전기 스위치를 갖는 셔터형 소켓
CN220857012U (zh) 一种具有屏蔽罩的网络接口
CN211019119U (zh) 一种带独立电源的面板型onu
KR102090097B1 (ko) 통신용 모듈러 잭
KR200405256Y1 (ko) 모듈러 아웃렛
CN201032721Y (zh) 宽带配线模块
JP2004171883A (ja) モジュラー中継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