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32Y1 - 압력센서모듈 - Google Patents

압력센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32Y1
KR200454132Y1 KR2020090006455U KR20090006455U KR200454132Y1 KR 200454132 Y1 KR200454132 Y1 KR 200454132Y1 KR 2020090006455 U KR2020090006455 U KR 2020090006455U KR 20090006455 U KR20090006455 U KR 20090006455U KR 200454132 Y1 KR200454132 Y1 KR 200454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copper pipe
adapter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853U (ko
Inventor
홍치화
김영곤
진화진
Original Assignee
(주)신한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전기 filed Critical (주)신한전기
Priority to KR2020090006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더에 고정한 글라스베이스에 열팽창계수가 유사한 실링가이드를 사용하여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는 도입관연결튜브를 홀더의 하부에 설치한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하므로, 열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과 동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파이프에서 유입될 수 있는 전기적 노이즈를 절연할 수 있도록 된 압력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어댑터(110)와, 이 어댑터(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어댑터(110)와 케이스(120)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상기 어댑터(110)로 유입되는 매체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압저항 감지수단(130)과, 이 압저항 감지수단(130)이 연결구성되도록 된 회로기판(14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어댑터(110)는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동파이프(111)와, 이 동파이프(111)의 일단에 끼워져 용접되도록 드로잉 성형된 홀더(112)를 포함하는 압력센서모듈에 있어서, 상기 홀더(112)의 중심으로 돌출된 동파이프(111)를 수용하도록 고정된 글라스베이스(1100)와, 상기 글라스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브레이징된 유리재로 이루어진 실링가이드(1200)와, 상기 실링가이드의 중심에 끼워져 결착되되 상기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하부로 돌출된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지도록 된 도입관연결튜브(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센서, 모듈, 실링가이드, 글라스베이스,

Description

압력센서모듈{PRESS SENSOR MODULE}
본 고안은 압력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에 고정한 글라스베이스에 열팽창계수가 유사한 실링가이드를 사용하여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는 도입관연결튜브를 홀더의 하부에 설치한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하므로, 열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과 동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파이프에서 유입될 수 있는 전기적 노이즈를 절연할 수 있도록 된 압력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센서모듈은 차량 또는 에어컨등에 설치되어 매체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축기나 밸브 및 전자류의 제어를 하도록 된 것이다.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번호 제20-2008-5214호 "압력센서모듈"가 제안되어 있는바,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어댑터(110)와, 이 어댑터(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어댑터(110)와 케이스(120)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상기 어댑터(110)로 유입되는 매체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압저항 감지수단(130)과, 이 압저항 감지수단(130)이 연결구성되도록 된 회로기판(14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110)는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동파이프(111)와, 이 동파이프(111)의 일단에 끼워져 용접되도록 드로잉 성형된 홀더(112)와, 이 홀더(112)의 상부에 돌출된 주연플랜지(112a)에 걸려서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스(120)를 고정하도록 된 컬링캡(113)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112)와 케이스(120)의 밀착면에는 오링(16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12)의 중앙에는 일정한 두께로 구성된 베이스(170)가 안착되되, 상기 베이스(170)의 상부면 중심에는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하부로 돌출된 압력도입관(132)이 상기 베이스(17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끼워진다.
또한 상기 홀더(112)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12c)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12c)에 상기 동파이프(111)의 일단이 소정 길이 끼워지며, 상기 홀더(112)로 끼워져 돌출된 동파이프(111)를 수용하도록 베이스(170)가 상기 홀더(112)에 안착되되, 상기 베이스(170)는 상기 홀더(120)로 끼워져 돌출된 동파이프(111)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튜브수용홈(171)과, 상기 베이스(170)의 상부면 중심에는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하부로 돌출된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져 상기 동파이프(111)와 연통되도록 압력도입공(17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70)가 설치되어 상기 압저항감지수단(130)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 베이스(170)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파이 프(111)로 전달되는 노이즈등이 상기 압저항감지수단(13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압저항감지수단(1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세라믹재질의 상기 베이스(170)가 상기 홀더(112)의 내부에 밀착되어 에폭시로 고정하게 되는 구조는, 상기 동파이프(111)의 단부용접시 또는 상기 동파이프(111)와 홀더(112)의 용접시 온도가 상승하여 에폭시가 녹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170)가 홀더(112)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홀더(112)와 베이스(170)의 사이로 냉매가 유출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홀더에 고정한 글라스베이스에 열팽창계수가 유사한 실링가이드를 사용하여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는 도입관연결튜브를 홀더의 하부에 설치한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하므로, 열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과 동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파이프에서 유입될 수 있는 전기적 노이즈를 절연할 수 있도록 된 압력센서모듈을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글라스베이스의 내경으로 실링가이드를 안착시키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돌출내경부를 갖추어, 글라스베이스에 실링가이드를 안착시켜 브레이징노에서 결착시키기 용이하도록 된 압력센서모듈을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실링가이드의 두께는 상기 동파이프의 단부와 밀착되지 않도록 된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모듈을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입관연결튜브이 상기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는 곳은 압력도입관을 수용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하부는 압력도입관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모듈을 제공함에 제 4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센서모듈은,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의 일단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어댑터와 케이스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상기 어댑터로 유입되는 매체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압저항 감지수단과, 이 압저항 감지수단이 연결구성되도록 된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어댑터는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동파이프와, 이 동파이프의 일단에 끼워져 용접되도록 드로잉 성형된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중심으로 돌출된 동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고정된 글라스베이스와, 상기 글라스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브레이징된 유리재로 이루어진 실링가이드와, 상기 실링가이드의 중심에 끼워져 결착되되 상기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압저항 감지수단의 하부로 돌출된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도록 된 도입관연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베이스의 내경으로 실링가이드를 안착시켜 빠지지않도록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돌출내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가이드는 두께가 상기 동파이프의 단부와 밀착되지 않도록 된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입관연결튜브는 상기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는 곳은 압력도입관을 수용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하부는 압력도입관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압저항 감지수단의 높이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력센서모듈에 의하면, 열적으로 안정적이어서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저항 감지수단의 압력도입관과 동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파이프에서 유입될 수 있는 전기적 노이즈를 절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압력센서모듈에 의하면, 글라스베이스에 실링가이드를 안착시켜 브레이징노에서 결착시키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압력센서모듈에 의하면, 실링가이드의 두께는 동파이프의 단부와 밀착되지 않도록 된 두께로 이루어져 열적으로 안정되고,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압력센서모듈에 의하면, 도입관연결튜브가 압력도입관이 끼워지는 곳은 압력도입관을 수용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하부는 압력도입 관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되어 일정한 높이로 압저항 감지수단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모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종래 기술 및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부호는 인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F부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압력센서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어댑터(110)와, 이 어댑터(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어댑터(110)와 케이스(120)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상기 어댑터(110)로 유입되는 매체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압저항 감지수단(130)과, 이 압저항 감지수단(130)이 연결구성되도록 된 회로기판(14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어댑터(110)는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동파이프(111)와, 이 동파이프(111)의 일단에 끼워져 용접되도록 드로잉 성형된 홀더(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112)의 중심으로 돌출된 동파이프(111)를 수용하도록 고정된 글라스베이스(1100)와, 상기 글라스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브레이징된 유리재로 이루어진 실링가이드(1200)와, 상기 실링가이드의 중심에 끼워져 결착되되 상기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하부로 돌출된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지도록 된 도입관연결튜브(1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베이스(1100)는 상기 홀더(112)의 내부에 스폿용접이나 모재용접 또는 용제용접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압력도입관(132)이 글라스베이스(1100)에 유리재로 브레이징된 실링가이드(1200)에 의해 설치된 도입관연결튜브(1300)에 의해 열적으로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냉매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파이프(111)에서 유입될 수 있는 전기적 노이즈를 실링가이드(1200)에 의해 절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베이스(1100)의 내경으로 실링가이드(1200)를 안착시켜 빠지지않도록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돌출내경부(11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베이스(1100)의 돌출내경부(1110)에 실링가이드(1200)를 안착시키게 되면 이동이 자유롭고 또 브레이징노에서 실링가이드(1200)가 안착된 쪽에 도시되지 않은 지그를 받쳐놓고 브레이징을 하게 되면 이탈이 되지 않으면서 결착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가이드(1200)는 두께가 상기 동파이프(111)의 단부와 밀착되지 않도록 된 두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링가이드(1200)와 동파이프(111)의 단부가 밀착되지 않아 열적으로 안정되고,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도입관연결튜브(1300)는 상기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지는 곳은 압력도입관(132)을 수용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하부는 압력도입관(132)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경이 작은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입관연결튜브(1300)의 일정깊이로만 상기 압력도입관(132)가 끼워져 안정되게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압력도입관(132)이 더 이상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높이가 일정하게 맞추어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F부 상세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종래 압력센서모튤의 종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략한 설명>
111 동파이프 112 홀더
130 압저항 감지수단 132 압력도입관
1100 글라스베이스 1110 돌출내경부
1200 실링가이드 1300 도입관연결튜브

Claims (4)

  1.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어댑터(110)와, 이 어댑터(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케이스(120)와, 상기 어댑터(110)와 케이스(120)가 이루는 내측 공간에 상기 어댑터(110)로 유입되는 매체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압저항 감지수단(130)과, 이 압저항 감지수단(130)이 연결구성되도록 된 회로기판(140)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어댑터(110)는 매체 가스의 압력이 유입되는 소정 직경의 동파이프(111)와, 이 동파이프(111)의 일단에 끼워져 용접되도록 드로잉 성형된 홀더(112)를 포함하는 압력센서모듈에 있어서,
    상기 홀더(112)의 중심으로 돌출된 동파이프(111)를 수용하도록 고정된 글라스베이스(1100)와, 상기 글라스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브레이징된 유리재로 이루어진 실링가이드(1200)와, 상기 실링가이드의 중심에 끼워져 결착되되 상기 동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압저항 감지수단(130)의 하부로 돌출된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지도록 된 도입관연결튜브(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베이스(1100)의 내경으로 실링가이드(1200)를 안착시켜 빠지지않도록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돌출내경부(1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가이드(1200)는 두께가 상기 동파이프(111)의 단부와 밀착되지 않도록 된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관연결튜브(1300)는 상기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지는 곳은 압력도입관(132)을 수용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하부는 압력도입관(132)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력도입관(132)이 끼워지는 곳 보다 작은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모듈.
KR2020090006455U 2009-05-28 2009-05-28 압력센서모듈 KR200454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55U KR200454132Y1 (ko) 2009-05-28 2009-05-28 압력센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55U KR200454132Y1 (ko) 2009-05-28 2009-05-28 압력센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53U KR20100011853U (ko) 2010-12-08
KR200454132Y1 true KR200454132Y1 (ko) 2011-06-17

Family

ID=442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55U KR200454132Y1 (ko) 2009-05-28 2009-05-28 압력센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3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8639A (ja) 1997-10-15 199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圧力センサ
JP2906952B2 (ja) * 1993-11-29 1999-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圧力センサ
KR20080005214U (ko) * 2007-05-03 2008-11-06 (주)신한전기 압력센서모듈
JP2010014654A (ja) 2008-07-07 2010-01-21 Nippon Dempa Kogyo Co Ltd 水晶圧力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6952B2 (ja) * 1993-11-29 1999-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圧力センサ
JPH11118639A (ja) 1997-10-15 199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圧力センサ
KR20080005214U (ko) * 2007-05-03 2008-11-06 (주)신한전기 압력센서모듈
JP2010014654A (ja) 2008-07-07 2010-01-21 Nippon Dempa Kogyo Co Ltd 水晶圧力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53U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2295B2 (ja) 圧力と温度を組合わせて測定するための差込みセンサ
US8177425B2 (en) Temperature-measuring device
US7954994B2 (en) Combined pressure/temperature sensor having centric temperature measurement
US8425114B2 (en) Temperature sensor
JP4881951B2 (ja) 流体の特性を検知するセンサー装置
CN103674408B (zh) 气密玻璃密封传感器
CN102435330B (zh) 温度传感器
US8955373B2 (en) Exhaust sens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431459B1 (en) Liquid fuel-operated water heater or air heater of a motor vehicle
JP2009294203A (ja) 温度センサ
CN105486449A (zh) 耐高温压力传感器
EP3208589A1 (en) Pressure detection unit and pressure sensor using the same
KR200454132Y1 (ko) 압력센서모듈
US6063249A (en) Oxygen sensor
JP2017146137A (ja) 圧力検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圧力センサ、並びに圧力検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463128B2 (ja)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JP2010286332A (ja) ガス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及び保護カバー付きガスセンサ
US20150354997A1 (en) Gas sensor and method of making
KR200448151Y1 (ko) 압력센서모듈
JP5268874B2 (ja) 温度センサ
JP4551845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ロウ付け固定方法
CN113984843B (zh) 一种烟气含湿量检测装置
CN103245710A (zh) 用于确定有待分析的流体的组成部分的浓度的传感器以及方法
KR20200050857A (ko) 금속 부품의 부식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CN214308874U (zh) 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