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19Y1 - 핸드폰 보관함 - Google Patents

핸드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19Y1
KR200454119Y1 KR2020090008770U KR20090008770U KR200454119Y1 KR 200454119 Y1 KR200454119 Y1 KR 200454119Y1 KR 2020090008770 U KR2020090008770 U KR 2020090008770U KR 20090008770 U KR20090008770 U KR 20090008770U KR 200454119 Y1 KR200454119 Y1 KR 200454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hone
phone storage
storage box
pow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381U (ko
Inventor
윤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폰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폰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폰텔
Priority to KR2020090008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1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실과 같은 장소의 벽에 비치하여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함과 함께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학교나 공공기관과 같은 장소에서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도 동시에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제공한다.
핸드폰, 보관함, 전자파, 충전장치

Description

핸드폰 보관함{mobilephone keeping box}
본 고안은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실과 같은 장소의 벽에 비치하여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함과 함께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핸드폰 보급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핸드폰은 전국민에게 보급되어 핸드폰 보급이 약 3000만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특히, 10대 청소년의 핸드폰 보급률은 약 80%에 이른다고 한다. 한편, 청소년의 핸드폰 보급률이 증가함과 함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학생의 경우 학교 수업 중에도 핸드폰을 사용하여 문자를 보내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하여 수업분위기를 저해하기도 하며, 핸드폰 벨소리로 인하여 수업진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학교나 직장, 식당 등의 장소에서 복수 개의 핸드폰을 한꺼번에 충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자들은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 동시에 충전도 시킬 수 있는 핸드폰 보관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복수 개의 핸드폰 수납부에 핸드폰 충전장치를 구비하면 보관의 효율 및 충전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학교나 공공기관과 같은 장소에 핸드폰 보관함을 설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도 동시에 충전 가능한 핸드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드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시켜 핸드폰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는 핸드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학교나 공공기관 등의 장소의 벽에 걸 수 있게 하여 공간의 효율 및 미관을 고려하였고, 서류보관부나 조명장치 및 시건장치 등의 편의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핸드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핸드폰 보관함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의 층과 복수 개의 열로 형성되는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수납된 핸드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센서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각 핸드폰 보관부는 보조패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생기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 사이의 공간을 막는 전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사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핸드폰 주인에 대한 사항이 기입되는 메모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벽체에 걸리도록 하는 걸이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는 서류보관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는 전자파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에 돌출되는 충전커넥터를 구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주전원선; 상기 주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주전원선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 개의 직류 전원들로 분리하는 전원분리부; 상기 전원분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충전 커넥터;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리부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각 층마다 하나의 수납부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학교나 공공기관과 같은 장소에서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도 동시에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핸드폰 보관함을 본체와는 다른 재질로 분리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의 용이함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핸드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시켜 핸드폰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학교나 공공기관 등의 장소의 벽에 걸 수 있게 하여 공간의 효율 및 미관을 향상시켰으며, 서류보관부나 조명장치 및 시건장치 등의 편의장치를 구비하여 편리성을 극대화하였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관함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핸드폰 보관함의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핸드폰 보관함에 구비되는 충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관함(1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핸드폰 보관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나무나 합판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120)의 외부면에는 잠금장치(150)가 구비되어 있어 특정한 자만이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걸이수단(140)을 구비하고 있어, 학교나 공공기관 등의 벽에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상기 걸이수단(140)은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걸이 TV와 같이 걸이수단을 벽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110)를 걸이 수단에 장착하는 방법이나, 상기 본체(110)의 뒷면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걸이수단)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30)의 안쪽면에는 서류보관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각종 서류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에는 전자파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파 차단막은 상기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내면 및 외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핸드폰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전자파가 차단되므로 핸드폰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수업 중에도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막은 구리, 알루미늄, 에폭시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에도 필요하다면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12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121)는 복수 개의 층과 복수 개의 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수납부(121)에는 이름이나 번호 등 핸드폰 주인에 대한 사항을 기입할 수 있는 메모수단(165)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수납부(121)는 핸드폰이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122)가 구비되어 있다. 즉, 핸드폰이 상기 수납부(121)에 수납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22)는 점등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조명장치(122)가 점등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등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로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무게센서를 이용하였다.
또는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130)의 개폐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3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센서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22)가 점등되고, 상기 도어(13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센서는 작동을 멈추게 되어 상기 조명장치(122)가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폰 보관함(100)이 어두운 곳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안전하게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수납부(121)에는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커넥터(175)가 돌출되어 있다.
도 3은 핸드폰커넥터를 포함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보관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커넥터(175)를 포함한 충전장치(170)가 구비된 핸드폰 보관함을 볼 수 있다.
상기 충전장치(170)는 어댑터(171), 주전원선(172), 전원분리부(173), 종속전원선(174) 및 충전커넥터(17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어댑터(171)는 입력되는 상용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주전원선(172)은 상기 어댑터(171)에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17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전원분리부(173)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상기 주전원선(172)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개의 직류 전원들로 분리하여 종속전원선들(174)에 전달한다.
상기 종속전원선들(174)은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분리부(173)로부터 직류 전원을 받아서 상기 충전커넥터들(175)에 전달한다.
상기 충전커넥터들(175)은 상기 종속전원선들(174)에 하나씩 연결된다. 상기 충전컨넥터들(175)은 상기 수납부(121)에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 핸드폰의 포트 입출력 슬롯에 직접 결합되어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각 층마다 하나의 수납부(121)에 각각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7층과 7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 층의 가운데 수납부(121)에 구비되어 상기 종속전원선(174)들을 분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충전장치(170)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은 핸드폰 보관함의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배선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분리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핸드폰 보관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상기 본체(110)와는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에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복수 개로 제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두 개로 제조하여 결합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두 개로 제조하여 상기 본체(110)에 결합하여 복수 개의 층과 열의 수납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각각의 열만큼의 개수로 별도로 제조하여 상기 본체(1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부(121)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임의의 수납부(121)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각 핸드폰 보관부(120)는 보조패널(4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의 측면에는 홈(42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410)들은 상기 홈(420)에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보조패널(410)을 상기 홈(420)에 삽입한 후 오픈되는 공간은 전면패널(440)로 막을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와 상기 보조패널(4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4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홈(420)에 삽입되는 보조패널의 다른 형태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홈(420)은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510)은 바닥부(511)와 전면부(512)를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 보관함(120) 사이의 공간을 막고 있다. 상기 바닥부(511)는 상기 홈(420)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전면부(512)는 상기 바닥부(511)들을 연결하고 있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생기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 사이의 공간을 막고 있다. 이때,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와 상기 보조패널(5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5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패널(410, 510)과 상기 홈(420)은 상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핸드폰 보관부들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사출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아크릴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가 결합되는 수납장의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의 도어 본체 분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의 도어 본체 측면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의 도어 본체 이동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100)가 적용된 씽크대 수납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본체 이동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핸드폰 보관함 110 : 본체
120 : 핸드폰 보관부 121 : 수납부
122 : 조명장치 130 : 도어
140 : 걸이수단 150 : 잠금장치
160 : 서류보관부 165 : 메모수단
170 : 충전장치 175 : 충전커넥터

Claims (18)

  1. 핸드폰 보관함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의 층과 복수 개의 열로 형성되는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수납된 핸드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센서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각 핸드폰 보관부는 보조패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생기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 사이의 공간을 막는 전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사출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핸드폰 주인에 대한 사항이 기입되는 메모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벽체에 걸리도록 하는 걸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는 서류보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는 전자파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에 돌출되는 충전커넥터를 구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주전원선;
    상기 주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주전원선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 개의 직류 전원들로 분리하는 전원분리부;
    상기 전원분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충전 커넥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리부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각 층마다 하나의 수납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
KR2020090008770U 2009-07-07 2009-07-07 핸드폰 보관함 KR200454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70U KR200454119Y1 (ko) 2009-07-07 2009-07-07 핸드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70U KR200454119Y1 (ko) 2009-07-07 2009-07-07 핸드폰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81U KR20110000381U (ko) 2011-01-13
KR200454119Y1 true KR200454119Y1 (ko) 2011-06-16

Family

ID=4420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770U KR200454119Y1 (ko) 2009-07-07 2009-07-07 핸드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19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375A (zh) * 2013-03-26 2013-07-24 无锡机电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用于教室的手机收纳袋
CN103561187A (zh) * 2013-09-26 2014-02-05 王民 手机呼叫器
CN103812978A (zh) * 2014-03-04 2014-05-21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手机休息站
CN103825987A (zh)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翻板式手机休息站
CN103825988A (zh)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圆周展开型手机休息站
CN103825990A (zh)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巢式手机休息站
CN104433336A (zh) * 2014-12-23 2015-03-25 西南科技大学 一种教室用手机存放柜
KR200477541Y1 (ko)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스마트기기용 이중 잠금 구조의 보관함
CN110141031A (zh) * 2019-05-24 2019-08-20 安徽师范大学 一种收纳式充电宝储存架
CN110973862A (zh) * 2019-11-06 2020-04-10 安徽军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办公用品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9202S1 (en) 2012-02-29 2016-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h shaped display device
KR20130005736U (ko) 2012-03-23 2013-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내장 접시 및 이의 충전장치
KR102369199B1 (ko) * 2013-10-31 2022-03-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CN103825989B (zh) * 2014-03-04 2016-06-15 浙江水利水电学院 折叠架支承的大学课堂手机休息站
CN103795830A (zh) * 2014-03-04 2014-05-14 浙江水利水电学院 简易型大学课堂手机休息站
KR101725958B1 (ko) * 2016-08-25 2017-04-12 최원종 공용 휴대폰 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160A (ko) * 2002-08-06 2004-0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 회로
KR200414160Y1 (ko) 2006-02-03 2006-04-17 노병옥 휴대폰 수납 보관함
JP2007114182A (ja) 2005-09-22 2007-05-10 Denso Corp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100868292B1 (ko) 2007-06-21 2008-11-11 윤문도 휴대폰 보관용 접이식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160A (ko) * 2002-08-06 2004-0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터 슬레이브 플립플롭 회로
JP2007114182A (ja) 2005-09-22 2007-05-10 Denso Corp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200414160Y1 (ko) 2006-02-03 2006-04-17 노병옥 휴대폰 수납 보관함
KR100868292B1 (ko) 2007-06-21 2008-11-11 윤문도 휴대폰 보관용 접이식 가방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375A (zh) * 2013-03-26 2013-07-24 无锡机电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用于教室的手机收纳袋
CN103561187A (zh) * 2013-09-26 2014-02-05 王民 手机呼叫器
KR200477541Y1 (ko)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스마트기기용 이중 잠금 구조의 보관함
CN103812978A (zh) * 2014-03-04 2014-05-21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手机休息站
CN103825987A (zh)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翻板式手机休息站
CN103825988A (zh)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圆周展开型手机休息站
CN103825990A (zh)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大学课堂巢式手机休息站
CN104433336A (zh) * 2014-12-23 2015-03-25 西南科技大学 一种教室用手机存放柜
CN110141031A (zh) * 2019-05-24 2019-08-20 安徽师范大学 一种收纳式充电宝储存架
CN110973862A (zh) * 2019-11-06 2020-04-10 安徽军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办公用品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81U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119Y1 (ko) 핸드폰 보관함
RU2603536C2 (ru) Чехлы для портативных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US9879467B2 (en) Secure access mirror
US9300162B2 (en) Wireless charging storage stand
US20170245624A1 (en) Multipurpose bottle system
US20070247037A1 (en) Storage drawer assembly with power capability and modular drawer arrangement
US2016002062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torage and charging cabinet
US9337920B2 (en) Cabinet with power supply arrangement
US7813116B2 (en) Heart shaped structure with altering appearance
US20170163077A1 (en) Solar powered cell phone charging device
KR101657447B1 (ko)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US20180175654A1 (en) Portable Speaker Charging Structure
KR20080005127U (ko) 교실용 휴대폰보관함
CN204425264U (zh) 可通过太阳能充电的手机保护壳型移动电源结构
CN204425263U (zh) 一种可通过太阳能充电的手机保护壳型移动电源
KR100887677B1 (ko) 체결의 안정성과 용이성이 보장되는 컴퓨터 장착용 다목적물품수납함
CN205319723U (zh) 一种移动扩展设备
KR200478573Y1 (ko) 모듈 타입의 독서용 가구 어셈블리
JP3216624U (ja) 充電装置付きのスーツケース
GB2345595A (en) Multiple charger for mobile phones
CN203058673U (zh) 一种裸眼3d数码产品保护壳
CN206575188U (zh) 桌面广告充电桩
CN201742519U (zh) 固定壁装式多功能数码音响
CN211154262U (zh) Led化妆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