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63Y1 - 수면 방해 제어기기. - Google Patents

수면 방해 제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63Y1
KR200453763Y1 KR2020080012990U KR20080012990U KR200453763Y1 KR 200453763 Y1 KR200453763 Y1 KR 200453763Y1 KR 2020080012990 U KR2020080012990 U KR 2020080012990U KR 20080012990 U KR20080012990 U KR 20080012990U KR 200453763 Y1 KR200453763 Y1 KR 200453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noring
noise
sleep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557U (ko
Inventor
백동호
Original Assignee
백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동호 filed Critical 백동호
Priority to KR2020080012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6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들의 수면중에 발생할 수 있는 코골이, 이갈이, 잠꼬대, 괴성 등의 소음으로 인해 타인과 본인의 숙면(熟眠)을 저해하는 요소를 제어하여 안정된 숙면을 유도시키기 위하는 목적의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소음감지기능의 센서부분이 형성되고,
센서에서 소음이 감지되면 이를 알려주는 출력부가 형성; 상기 출력부에는 모터구동으로 이중분리제작된 베개가 좌/우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표출하며,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출력부가 표출할 수 있도록 인가하는 제어수단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출력부의 모터구동이 좌/우로 구동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메모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부가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 배터리부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취침중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코골이나 이갈이 잠꼬대 같은 소음으로 인해 본인은 물론 같은 장소에서 취침하는 타인의 수면에 큰 방해로 이어지는 바, 상기 기능이 장착된 전용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의 좌/우 구동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출력부의 기능으로 하여금 코골이 등의 소음시 고개를 옆으로 돌려 주거나 움직이게 하여 순간 충격의 효과를 주고 숨을 쉬는 기도를 열어 줌으로써 호흡을 쉽게 하게 하고 소음을 멈추게 하여 숙면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를 가져오며 나아가 요법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 방해 제어기기. {sleeping disturbance control machinery}
본 고안은 사람들의 취침시, 수면중에 의지와 상관없이 발생하여 타인과 본인의 숙면에 큰 방해가 되는 코골이나, 이갈이, 잠꼬대와 같은 잠버릇의 소음을 센서로 감지하고, 자동으로 소정의 충격요법 및 자세변경기능에 의해 코골이 등의 소음성 잠버릇을 제어시켜주는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정 소리를 감지 인식하는 센서로부터 그 소음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 보여주는 소음측정기는 현재 생산되어지고 있거나, 음성을 인식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자동연결하는 휴대전화의 음성인식 전환 기능은 흔히 볼 수 있다.
이렇듯 목적에 의한 기능을 달리하고 있으나, 종래에는 사람의 숙면을 방해하는 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성 잠버릇을 감지하고 강제 제어할 목적의 기능 방법으로 이중분리되어 있는 베개를 좌/우 구동시키는 방법의 베개는 없었다.
본 고안은 사람들의 취침 수면시,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코골이나, 이갈이 같은 소음성 잠버릇 때문에 함께 취침하는 타인은 물론 본인의, 수면에 크나큰 방해를 주는 바, 타인은 코골이 등의 소음을 멈추게 할 목적으로 수면 도중에 일어나서 수시로 고개를 돌려 주거나, 충격을 주어 잠버릇을 저지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깊은 숙면을 이루기가 어려운데 본 고안으로 하여금 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 발생시 센서로부터 감지하여 이중 분리되어 있는 베개가 자동으로 좌/우로 구동하는 방법으로 사람의 손길을 대신하는 효과로 인해, 깊은 수면에 들지 못해 생기는 피로감이나 스트레스를 방지하여 깊은 숙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사람의 수면중에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나는 코골이,이갈이 등과 같은 소음성의 잠버릇을 강제 중지시켜, 타인과 본인의 숙면유지를 위하는 목적의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에 관한 것으로, 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소음 감지 센서가 형성되고, 센서에 소음 감지가 되면 이를 알려주는 출력장치부가 형성; 상기 출력장치부 구성으로는 모터구동에 의해 이중 분리되어 있는 베개틀(베개상부틀,베개하부틀)의 베개상부틀이 좌/우로 움직일수 있도록 롤러구동이 설비되며,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부를 형성하며,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센서 감지에 따라 모터를 좌/우 반복 또는 멈출수 있게 구동할 수 있도록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최종적 목적(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성 잠버릇을 센서로 감지하여 베개의 상부틀(10)과 결합되는 모터로 상기 베개 상부틀이 좌/우로 구동하는)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부품등을 베개 상.하부틀의 소정의 위치에 따라 고정되어 소음성 수면방해 제어기기 베개가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취침시, 코골이,이갈이,잠꼬대등과 같은 소음성 잠버릇 때문에 타인과 본인의 숙면에 크나큰 침해를 주는 바, 이로 인해 밤새 수면을 깊이 이루지 못하는 데에서 오는 괴로움 및 피로감과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누적되면 심할 경우 여러가지 질병유발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코를 자주 고는 본인 또한 흡연, 대기오염에 노출되지 않아도 만성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높고, 또한 이를 갈때 심각한 치아손상을 가져온다는 연구결과가 있는 만큼, 강제적으로라도 이런 잠버릇을 멈추게 한다면 타인과 본인의 안락한 숙면으로 이어지는 건강유지와 나아가 습관성 코골이, 이갈이, 잠꼬대 같은 잠버릇이 개선되어질 것으로 야기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람들의 수면시에 사용되는 베개에 좌/우 구동될 수 있도록 상.하 이중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직접 머리와 맞닿는 부분의 쿠션을 제외하면 플라스틱류의 딱딱한 소재로 베개틀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에 관한 내부 구조로, 톱니 형태의 톱니판(11)이 톱니고정대(12)에 의해 베개 상부틀(10)에 고정되어 상기 베개 상부틀(10)이 형성되고, 베개 하부틀(20)에는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40)이 내장되고 구동력을 위한 모터(15)에; 톱니회전바퀴(14)와 상기 모터(15)를 고정시킬 모터고정판(25)이 일체되어 고정나사(16)를 이용하여 나사구멍(24)을 통해 상기 베개 하부틀(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고정구멍에 고정시키고, 소음감지센서(18)를 나사를(19) 이용하여 상기 베개 하부틀(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고정구멍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유무를 단속하는 온/오프 스위치(22)와 전원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부코드(23) 또는 배터리가 설치된 것을 상기 베개 하부틀(20)로 구성된 것으로 하여,
상기 베개 상부틀(10)과 상기 베개 하부틀(20)이 결합되어 도 3의 수면 방해 제어기기(31)로 완성된다.
이때 상기 베개 상부틀(1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지지대(13)를 상기 베개 하부틀(2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지지홈(21)에 들어갈 수 있도록 결합하여 베개가 도 2의 그림처럼 좌/우 구동할 때 서로를 받쳐주는 지지대 역할과 미끄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전원부코드(23)와, 온/오프 스위치(22)부와, 소음감지센서(18)와, 메모리(45)부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1)부와, 출력부 모터(15)를 상기 베개 하부틀(20)에 구비 설치한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22)는 상기 출력부인 모터(15)가 구동할 수 있도록 전원의 인가유무를 단속하고, 전원부코드(23)는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1)와 상기 메모리(45)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22)를 눌러 작동시킬때, 상기 소음감지센서(18)로부터 소음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출력부 모터(15)가 표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인가하고 좌/우로 반복 구동할 수 있게 변화시키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상기 모터(15)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부분이며, 26은 상기 소음감지센서(18)에 소리전달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스피커 역할을 하는 구멍이 뚫린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수면 방해 제어기기의 작용효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음감지센서(18)에 코골이, 이갈이 등의 소음성 잠버릇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상기 출력부의 모터(15)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15)와 일체되어 있는 상기 톱니회전바퀴(14)가 회전됨에 따라 맞물려 있는 상기 톱니판(11)이 힘에 의해 움직이게 됨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톱니판(11)과 일체 된 베개 상부틀(10)이 좌/우로 구동 현상이 일어난다.
수면중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코골이, 또는 이갈이 등과 같은 소음발생시 상기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가 좌/우로 움직여 줌에 따라 수면중 베개위의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게 해주고 기도를 열어 줌으로써 소음성 잠버릇을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본인은 물론 타인의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의 작동원리를 보인 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의 평상 모습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소음성 수면 방해 제어기기 베개의 제어수단을 보인 블럭도.

Claims (1)

  1. 사람들의 수면시 코골이, 이갈이, 잠꼬대등과 같은 소음성 잠버릇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상기 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이 감지되면 모터를 구동시켜 상.하 이중 분리되어 있는 베개의 상부틀을 움직여 수면시 머리를 옆으로 돌려 기도를 열어주는 효과로 잠버릇을 제어시켜 주는 소음성 수면방해제어기기 베개에 관한 것으로,
    베개상부틀(10)과 베개하부틀(20)로 상.하 이중으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이들 베개 상.하부틀(10).(20)의 끝단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지지대(13)와 끼움지지홈(21)에 서로 결합되어 상기 베개상부틀(10)이 좌/우 유동이 될수 있도록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베개 상.하부틀(10),(20)이 딱딱한 케이스 상자처럼 형성되는 수면방해제어기기에 있어서,
    내부 상단 면 중앙에 형성되는 톱니고정대(12)에 의해 톱니 형태의 톱니판(11)이 길게 고정되고 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이 베개하부틀(20)에 설치되는 소음감지 센서(18)로 전달되기 용이 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1개 이상의 구멍이 뚫린 스피커(26)가 형성되고 양쪽 가로 끝단이 상기 베개하부틀(20)의 끼움지지홈(21)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 유동이 될 수 있도록 끼움지지대(13)가 형성된 베개 상부틀(10):및
    내부 하단 면에 소음감지센서(18)가 상기 스피커(26) 구멍의 가장 근접한 직선 부위에 설치되고 또한 내부 하단 면에 상기 소음감지센서(18)로부터 감지된 코골이,이갈이 등의 소음의 신호로 마이크로프로세서(41)와 메모리(45)를 통해 좌/우측 및 멈춤 동작 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출력부인 모터(15)가 톱니회전바퀴(14)와 일체되어 장착되되 상기 베개상부틀(10)과 결합 될때 상기 톱니회전바퀴(14)가 상기 톱니판(11)과 맞물릴 수 있도록 위치하여 설치되고 외측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코드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인가 유/무를 단속 할 수 있도록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고 양쪽 가로 측면 끝단 부분에는 상기 끼움지지대(13)가 끼워져 유동(좌/우) 할 수 있도록 끼움지지홈(21)이 형성된 베개하부틀(20);을 포함하는
    좌/우 구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면방해제어기기.
KR2020080012990U 2008-09-24 2008-09-24 수면 방해 제어기기. KR200453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990U KR200453763Y1 (ko) 2008-09-24 2008-09-24 수면 방해 제어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990U KR200453763Y1 (ko) 2008-09-24 2008-09-24 수면 방해 제어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57U KR20100003557U (ko) 2010-04-01
KR200453763Y1 true KR200453763Y1 (ko) 2011-05-30

Family

ID=4448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990U KR200453763Y1 (ko) 2008-09-24 2008-09-24 수면 방해 제어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21B1 (ko) 2012-11-12 2013-11-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방지 베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35Y1 (ko) 2017-05-11 2018-03-26 이기오 애완견용 하네스
KR20190113309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네오팝 애완동물용 목줄 장치
KR102506954B1 (ko) * 2020-11-25 2023-03-06 주식회사 루나슬립 코골이 방지용 롤링 필로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695A (en) * 1976-02-18 1977-08-20 Oki Futoshi Health instrument
KR950001001Y1 (ko) * 1992-01-17 1995-02-18 박성돈 코골이 방지베개
KR200236225Y1 (ko) * 2001-03-03 2001-09-26 주식회사 성한앤드김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
KR20020036225A (ko) * 2000-11-09 2002-05-16 이종윤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695A (en) * 1976-02-18 1977-08-20 Oki Futoshi Health instrument
KR950001001Y1 (ko) * 1992-01-17 1995-02-18 박성돈 코골이 방지베개
KR20020036225A (ko) * 2000-11-09 2002-05-16 이종윤 피부질환 보호-치료용 생체막
KR200236225Y1 (ko) * 2001-03-03 2001-09-26 주식회사 성한앤드김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21B1 (ko) 2012-11-12 2013-11-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방지 베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57U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679B1 (ko) 코골이 방지용 베게
KR200453763Y1 (ko) 수면 방해 제어기기.
US8144001B1 (en) Vibrational awakening apparatus
JP2017527319A (ja) 枕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527319A5 (ko)
KR20180031098A (ko) 경추 지압 베개
KR20230040964A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0902572B1 (ko) 베개
KR101914113B1 (ko)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KR102041451B1 (ko)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용 롤링형 침대
JP4338602B2 (ja) 就寝者刺激装置
JP3884660B2 (ja) 体動検出装置
KR20090014131A (ko) 베개
JP2012196454A (ja)
JP2006014813A (ja) 睡眠日誌作成装置
KR20080072470A (ko) 베개에 배치한 센서 신호로 모터를 기동시키는 센서배치방법
TW201424657A (zh) 具自動調整與健康警示功能之止鼾枕頭結構
KR200318402Y1 (ko)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218127734U (zh) 一种电动床
KR102345266B1 (ko) 수면 캡슐
CN206525876U (zh) 震动按摩枕
KR102631393B1 (ko) 매트리스 위 사용자에게 진동자극을 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진동자극을 가하는 방법
JP4857053B2 (ja) いびき検出装置
JP6473557B2 (ja) 起床装置及びカプセルベッド
JP2001120621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