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131A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131A
KR20090014131A KR1020080106556A KR20080106556A KR20090014131A KR 20090014131 A KR20090014131 A KR 20090014131A KR 1020080106556 A KR1020080106556 A KR 1020080106556A KR 20080106556 A KR20080106556 A KR 20080106556A KR 20090014131 A KR20090014131 A KR 20090014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ventilation
foam
uni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08010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131A/ko
Publication of KR2009001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6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soun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침시 사람의 머리 부분을 받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이 조절, 통풍, 알림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의 머리 측을 받치고, 형상 변형될 수 있는 베개 폼과; 상기 베개 폼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개 폼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하나 이상의 형상가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를 개시한다.
베개, 베개 폼, 베개 패드, 숙면, 형상 가변, 나사, 통풍

Description

베개 {Pillow}
본 발명은 취침시 사람의 머리 부분을 받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람들의 숙면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중 하나이다.
이러한 베개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사람과 함께하고, 개인에 따라 가장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베개의 최적 형태가 다르고, 현대인들의 불면증, 스트레스가 늘어나고, 컴퓨터 보편화 등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서 장시간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있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인에 따라 베개의 높이, 너비 등 형태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됨으로써 쾌적한 휴식 및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 기능이 포함됨으로써 쾌적한 휴식 및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림 기능이 포함됨으로써 기능성이 다양한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람의 머리 측을 받치고, 형상 변형될 수 있는 베개 폼과; 상기 베개 폼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개 폼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하나 이상의 형상가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를 개시한다.
상기 형상가변유닛은 상기 베개 폼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개 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베게 폼의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하여 베게 폼의 높이를 조절하는 형상가변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가변구동부는 2개 이상의 지지브라켓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부재를 따라서 직선 운동을 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에 형성된 수나사부는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에는 상기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완충부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형상가변유닛은 상기 베개 폼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람의 어깨 측을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베개 폼에서 연장된 베개 패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개 폼에 설치되어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형상가변유닛이 상기 베개 폼의 형상을 변형시키도록 베개를 벤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감지유닛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통풍 가능한 베개 폼과; 상기 베개 폼의 내부에서 상기 베개 폼의 외부를 향하는 통풍을 발생시키는 통풍발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를 개시한다.
상기 통풍발생유닛은 공기를 펌핑하는 공압 실린더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압 실린더 기구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를 갖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공압 피스톤과, 상기 공압 피스톤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공압 모터와, 상기 공압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공압 피스톤에 전달하는 크랭크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에는 체크 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풍발생유닛은 통풍을 안내하는 통풍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개는 소리, 진동, 빛,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림유닛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를 벤 사람의 자세에 따라 베개의 형상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베개를 벤 자세와 상관없이 항상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숙면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고, 귀 눌림과 같은 국북적인 압력이나 목의 과도한 꺾임 등 신체에 무리한 자세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좋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를 벤 자세가 변화에 맞춰 베개의 형상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를 벤 자세에 따른 베개의 형상 조절이 표준 자세로 미리 설정되거나, 개인 조건에 맞춰 설정되거나, 베개를 벤 자세에 맞춰 그때마다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개인별 맞춤 설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나사 운동을 이용하여 베개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구조가 간소하고, 동작성이 우수하고, 견실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의 형상을 지지하는 지지로드에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부재가 조합됨으로써, 베개의 형상 조절시 충격이 방지될 수 있고, 완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베개의 형상을 보다 더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통풍성을 갖출 수 있어 땀이 나거나 습기가 차지않고 산소 부족과 같은 답답함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휴식,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를 벤 사람의 건강 위험이나 기상 시간 등을 알리는 알림 기능이 포함됨으로써, 기능성이 다양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람의 키에 대응하는 베개의 길이 방향을 화살표 X로 지시하고, 베개의 너비 방향으로 화살표 Y로 지시하고, 베개의 두께 방향을 화살표 Z으로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외형적으로 사람의 머리 측을 받칠 수 있는 베개 폼(2)을 포함한다.
상기 베개 폼(2)은 베개 폼(2)의 하면을 이루고 바닥에 접촉되는 베개 폼 베이스(10)와, 베개 폼(2)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를 이루고 사람의 머리와 접촉되는 베개 폼 쿠션(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베개 폼 쿠션(20)은 사람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 개의 부재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특히 사람의 머리 등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부위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개 폼 베이스(10)는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고, 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쉽게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고정적인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베개 폼 베이스(10)는 베개 폼 베이스(10)의 일부분만 바닥과 접촉되도록 평평하지 않은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고, 베개 폼 베이스(10)의 전 부분이 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베개 폼 쿠션(20)은 사람의 머리 등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충격이 없고, 베개 폼(2)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 너비 등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상 변형이 용이하게 제조된다. 즉 상기 베개 폼 쿠션(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완충 및 탄성 변형이 가능한 쿠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베개 폼 쿠션(20)은 베개 폼(2)의 상면이 평평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고, 베개 폼(2)의 상면이 굴곡을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여러 실시 예 중의 하나로서,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베개 폼 쿠션(20)에는 사람의 머리를 받치는 부 분과 사람의 목을 받치는 부분이 구분될 수 있도록, 베게 폼(2)의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나의 경계 라인(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베개 폼 쿠션(20)을, 경계 라인(20')을 중심으로 사람의 머리를 받치는 부분을 제 1 쿠션부(22)라 하고, 사람의 목을 받치는 부분을 제 2 쿠션부(24)라 한다.
상기 베개 폼 쿠션(20)의 상면에는 후술할 통풍발생유닛(80)에 의한 통풍이 원활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통풍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개 폼 쿠션(20)이 통풍성이 좋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특히 후술할 압력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베개 폼(2)으로부터 연장되어 사람의 어깨 측을 받칠 수 있는 베개 패드(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개 패드(4)는 베개 폼(2)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개 패드(4)는 바닥에 접촉될 수 있도록, 베개 폼(2) 중 베개 폼 베이스(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개 폼(2)과 베개 패드(4)는 외관의 미려함을 위해, 베개 커버(1)에 의해 씌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개 폼(2)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기구적 구성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설치공간(2')을 갖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베개 폼(2)의 설치공간(2')을, 제 1 쿠션부(22)와 대응되는 제 1 공간부(2A)와, 제 2 쿠션부(22)와 대응되는 제 2 공간부(2B)로 구분한다.
상기 베개 폼(2)의 설치공간(2')에는 베개 폼(2)의 두께, 너비 등 형태를 가변시키는 형상가변유닛(6)이 구비된다.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본 실시 예와 같이 베개 폼(2)의 제 1, 2 공간부(2A, 2B)에 각각 구비되는 등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의 제 1 공간부(2A)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베개 폼(2)의 제 2 공간부(2B)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베개 폼(2)의 제 1, 2 공간부(2A, 2B)에 걸쳐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의 일부분의 형태만 가변시킬 수도 있고, 베개 폼(2)의 전 부분의 형태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의 두께, 너비, 길이 중 어느 하나만을 가변시킬 수도 있고, 복수 요소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특히 사람의 목 부분의 받침 상태에 따라 베개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영향을 받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 특히 제 2 쿠션부(24)의 두께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의 측면도이다.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 특히 제 2 쿠션부(24)의 두께를 가변하기 위해, 베개 폼 베이스(10)와 베개 폼 쿠션(20) 모두의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고, 베개 폼 베이스(10)와 베개 폼 쿠션(20)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형상가변유닛(6)이 베개 폼 쿠션(20)의 형태만을 변 형한 예를 개시한다.
상기한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 특히 제 1 쿠션부(22) 및(또는) 제 2 쿠션부(24)의 두께 방향, 즉 Z 방향으로 베개 폼(2)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로드(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로드(30)는 베개 폼(2) 특히 제 1 쿠션부(22) 및(또는) 제 2 쿠션부(24)의 두께 조절을 위해, 베개 폼(2)의 수평 면과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하여 지지되는 베개 폼(2)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로드(30)의 제 1 힌지점(32)은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지지로드(30)의 제 2 힌지점(34)은 베개 폼(2)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로드(30)의 제 1 힌지점(32)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되고, 지지로드(30)의 제 2 힌지점(34)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된 예를 개시한다.
상기 지지로드(30)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개의 견실함을 위해 복수 개, 즉 두 쌍 즉, 4개가 구비된 예를 개시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로드(30)는 견실함을 위해, 적어도 2개씩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지지로드(30)가 하나의 쌍을 이루고, 복수 쌍의 지지로드(30)가 구비된 예를 개시한다. 상기 복수 쌍의 지지로드(30)는 견실하고 균일한 지지를 위해, 베개의 너비 방향 또는 베개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개 폼(2)의 제 2 쿠션부(24)의 너비는 넓은데 반해, 길이 는 상대적으로 짧은바, 복수 쌍의 지지로드(30)가 베개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된 예를 개시한다.
상기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베개 폼(2)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로드(30)와; 지지로드(30)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45)와, 지지부재(45)가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지지부재(45)를 직선 이동시켜 베게 폼(2)의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을 조절하여 베게 폼(2)의 높이를 조절하는 형상가변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가변구동부(40)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동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형상가변구동부(40)가 동력을 이용하는 예를 개시한다.
상기 형상가변구동부(40)의 동력은 지지로드(30)에 직접 또는 별도의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여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스크류 방식, 벨트 및 풀리 방식, 기어 세트 방식 등 동력 전달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크류 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형상가변구동부(40)는 2개 이상의 지지브라켓(47)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46A, 46B)가 형성된 스크류부재(46)와, 스크류부재(46)와 결합되어 스크류부재(46)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5)는 스크류부재(4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6A, 46B)와 나사결합되어 스크류부재(46)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부재(46)를 따라서 직선 운동을 하도록 암나사부(4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5)에는 지지로드(30)가 1개 연결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지지로드(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45)는 지지로드(30)와 연결 핀(5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 핀(50)은 지지부재(45)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지지로드(3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핀(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부재(45)에 복수 개, 즉 2개의 지지로드(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부재(45)에 복수 개, 즉 2개씩 구비된다. 특히 상기 연결 핀(50)은 균형을 위해 지지부재(45)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핀(50)은 지지로드(30) 특히 제 2 힌지 점(34) 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45)로부터 돌출되고 나사(52A)가 형성된 연결 핀부(52)와, 지지로드(30)와 연결 핀(50)의 결합시 견실하도록 연결 핀부(52)에 끼워진 지지로드(3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 핀부(52)의 나사(52A)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 1, 2 연결 핀 너트부(54, 5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46)는 지지부재(45)와 나사결합되는 로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스크류부재(46)에는 지지부재(45)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복수 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46)는 외주면에 지지부재(45)의 암나사부(45A)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46A, 46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부재(4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46A, 46B)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형성방향이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나사부(46A, 46B)가 왼나사부(46A) 및 오른나사부(46B)로 구성된 예로서, 왼나사부(46A) 및 오른나사부(46B)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재(45)는 스크류부재(46)의 회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룸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2개의 지지부재(45)의 직선 이동 범위를 최대한 좁힐 수 있어 상기 스크류부재(46)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부재(46)는 회전구동부(42)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벨트 및 풀리, 기어 세트, 클러치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47)은 스크류부재(46)를 안정적으로 지지토록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베개 폼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47)와 스크류부재(46) 사이에는 스크류부재(46)의 베어링(48)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한 형상가변유닛(6)은 베개 폼(2)을 균형적이면서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로드(30)와 베개 폼(2) 특히 베개 폼 쿠션(20) 사이에 배치되어 베개 폼(2)을 받치는 받침대(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는 베개 폼(2)을 받치는 받침부(52A)와, 각각의 지지로드(3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받침부(52A)의 하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지지로 드(30)의 제 1 힌지점(32)과 힌지 결합되는 브래킷부(5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의 받침부(52A)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벤 사람의 국부 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구조로 구비된다. 즉 상기 받침대(52)의 받침부(52A)는 섬유를 이용한 폼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젤이나 물 등의 유체를 이용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52) 특히 받침부(52A)는 후술할 통풍발생유닛(80)에 의해 발생된 통풍이 원활토록, 후술할 통풍발생유닛(80)과 연결되는 통풍부(53)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의 통풍부(53)는 받침대(52)의 내부에 구비된 소정 공간의 통풍 챔버(53A)와, 통풍 챔버(53A)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통풍발생유닛(80)과 연결된 통풍 유입구(53B)와, 받침대(52)의 타측에 구비된 통풍 토출구(5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의 통풍 유입구(53B)는 후술할 통풍발생유닛(80)이 받침대(52)보다 하측에 위치되는바, 후술할 통풍발생유닛(8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받침대(52)의 하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의 통풍 유입구(53B)는 하나 구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52)의 통풍 토출구(53C)는 베개 폼(2)의 상면으로 바로 토출될 수 있도록 받침대(52)의 상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2)의 통풍 토출구(53C)는 통풍발생유닛(80)에 의한 통풍이 널리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형상가변유닛(6)은 지지로드(3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회동을 완 충하도록 완충부재(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부재(60)는 지지로드(30)의 승강, 하강 동작 중 지지로드(30)의 하강 동작을 완충토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로드(30)의 하강시 지지로드(30)의 자중 및 지지로드(30)가 받치는 받침대(52) 및 베개 폼(2)의 무게, 그리고 때때로 베개 폼(2)을 베고 있는 사람의 머리 무게 등이 지지로드(30)에 작용하는데, 지지로드(30)의 하강시 완충부재(60)가 지지로드(30)에 반력으로 작용됨으로써 지지로드(30)의 급격한 하강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완충부재(60)는 코일 스프링, 태엽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쇽 업소버 등 완충 기능을 갖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60)는 지지로드(30)와 베개 폼(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지지로드(30)의 제 1, 2 힌지 점(32, 34)에 배치될 수도 있고, 지지로드(30)와 형상가변구동부(4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지지로드(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받침대(52)와 베개 폼(2) 특히 베개 폼 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60)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지지로드(30) 사이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60)의 부품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완충부재(60)가 충분히 완충 기능을 할 수 있고, 주변과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완충부재(60)가 베개(2)의 너비 방향으로 이격된 지지로드(30) 사이에 배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상기 완충부재(60)는 지지로드(30)와 스크류, 리벳, 접착, 용접, 후크 등의 여러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60)의 끝단부가 지지로드(30)에 형성된 완충부재 끼움부(30A)에 끼움된 예를 개시한다. 상기 지지로드(30)의 완충부재 끼움부(30A)는 홈 형태도 가능하고, 홀 형태도 가능하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있어서, 통풍발생유닛의 공압 피스톤 상승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있어서, 통풍발생유닛의 공압 피스톤 하강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 도 6A, 도 6B에 도시된 화살표 A는 통풍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상기 베개 폼(2)의 내부에서 베개 폼(2)의 외부를 향해 통풍을 발생시키는 통풍발생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80)은 부피가 크면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줄 수 있는바, 전체적인 구조가 조밀할 수 있도록 베개 폼(2)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80)은 공기를 펌핑하는 공압 실린더 기구(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압 실린더 기구(82)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90A)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90B)가 구비된 공압 실린더(90)와, 공기 유입구(90A)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 후에 토출구(90B)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공압 실린더(90)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공압 피스톤(92)과, 공압 피스톤(92)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공압 모터(94)를 포함한다.
상기 공압 실린더(90)의 유입구(90A)와 토출구(90B)는 각각 하나씩 짝을 이루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공압 실린더(90)에는 공압 피스톤(92)의 전진, 후진시 모두 공기가 펌핑될 수 있도록, 두 세트의 유입구(90A)와 토출구(9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압 실린더(90)의 유입구(90A)에는 통풍발생유닛(90)에 의한 통풍력의 역류 방지를 위해 체크 밸브(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압 실린더 기구(80)는 공압 피스톤(92)이 왕복 운동하고, 공압 모터(94)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바, 공압 모터(94)의 회전력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공압 피스톤(92)에 전달하는 크랭크로드유닛(9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로드유닛(96)은 각각 공압 피스톤(92)과 공압 모터(94) 중 어느 하나와 조합되고, 상호 힌지 결합된 제 1, 2 크랭크 로드(96A, 9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풍발생유닛(80)은 통풍발생유닛(80)에 의한 통풍력을 원하는 쪽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통풍 라인(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 라인(84)은 일측이 공압 실린더(90)의 토출구(90B)와 연결되고, 타측이 받침대(52)의 통풍 유입구(53B)와 연결된다.
상기 통풍 라인(84)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통풍 라인(84)은 받침대(52)가 승,하강함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자바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형상가변유닛(6)이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벤 사람의 자세에 따라 동작 제어될 수 있도록 자세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감지유닛은 베개를 벤 사람의 자세에 따라 베개를 벤 사람과 베개의 접촉 면적이 상이한바, 베개를 벤 사람과 베개의 접촉 면적을 감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세감지유닛은 베개는 사람에 의해 눌려 압력을 받기 때문에 사람과 접촉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압력 차이가 생기는바, 베개의 표면에 설치되어 베개의 각 부분의 압력 가중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압력센서(102, 104)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02, 104)는 베개를 베는 사람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압력센서 이외에도 광선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 개의 압력센서(102, 104)들은 베개 폼(2)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베개 패드(4)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베개 폼(2)과 베개 패드(4)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압력센서(102, 104)는 베개를 벤 사람의 자세에 따라 베개와 사람의 어깨 측의 접촉 면적이 눈에 띄게 차이 나기 때문에 가능한 베개 패드(4)에 설치됨이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개를 벤 사람의 정확한 자세 감지를 위해, 복수 개의 압력센서(102, 104)가 베개 폼(2)과 베개 패드(4)에 각각 설치된 예를 개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개 폼(2)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제 1 압력센서(102)라 하고, 베개 패드(4)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제 2 압력센서(104)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형상가변유닛(6)이 자세감지유닛(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 제어되는데, 이 형상가변유닛(6)의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형상설정유닛(110)을 더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베개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편안하게 벨 수 있고, 형상설정유닛(110)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베개 폼(2) 및 베개 패드(4)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형상설정유닛(110)은 베개 폼(2) 및 베개 패드(4)와 리모컨 형태로 무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베개 폼(2) 또는 베개 패드(4)의 일측에 부착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예와 같이 형상설정유닛(110)은 베개 외측에 위치된 베개 기능 조작패널(120)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은 사용자가 베개를 벤 자세에 따라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 제어를 세팅할 수 있도록 스위치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이얼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터치 패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이외 여러 구조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은 베개를 벤 자세에 따라 여러 개의 기 세팅된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 제어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은 베개를 벤 자세에 따라 상기 형상가변유닛(6)을 직접 다양하게 동작시켜서, 가장 편안한 상태의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 상태가 기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은 사용자가 제 1, 2 압력센서(102, 104)의 감지 결과와 상관없이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도록 수동 조작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형상설정유닛(110)의 조작 상황이나, 상기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 상황은 LED,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베개 기능 조작패널(1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상기 통풍발생유닛(80)이 사람이 베개를 벤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 동작될 수 있도록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는 사람이 베개를 벤 여부를 감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람 감지 센서는 베개에 가해진 압력이나, 베개 표면의 온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는 수동 조작이 가능토록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는 통풍발생유닛(8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는 통풍발생유닛(80)의 통풍력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키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통풍발생유닛(80)의 통풍력의 크기는 공압 피스톤(92)의 왕복 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에는 여러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 중 스위치 등의 수동 조작이 필요한 구성 요소는 조작이 용이토록 베개의 외측, 특히 베개 기능 조작패널(120)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발생유닛조작부(130)의 조작 상황이나 통풍발생유닛(80)의 동 작 상황이 베개 기능 조작패널(1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폼(2) 또는 베개 패드(4)에 구비되어, 소리, 진동, 빛,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알림을 표시하는 알림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유닛(140)은 베개 폼(2) 또는 베개 패드(4)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장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알림유닛(140)이 베개기능조작패널(120)에 위치된 예를 개시한다.
상기 알림유닛(140)은 베개를 벤 사람의 맥박을 체크하는 맥박감지센서(150)와 연계되어, 베개를 벤 사람의 건강 이상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상기 맥박감지센서(150)는 베개를 벤 사람의 맥박 감지가 용이토록 사람의 목 부분을 받치는 베개 폼(2)의 제 2 쿠션부(2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알림유닛(140)은 신속한 응급 요청을 위해 경찰서나, 소방서, 119 등으로 응급 상황을 알리는 외부통신유닛(160)과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통신유닛(160)은 인터넷을 이용할 수도 있고, 자동 송신 전화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알림유닛(140)은 기상 시간을 알릴 수 있도록 알람 타이머(170)와 연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음악이나 라디오를 들을 수 있도록 음성 플레이 기능, 안마 기능 등 여러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여러 기능은 베개 폼(2)의 내부 또는 베개 기능 조작패널(120)에 내장된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6)의 작용을,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이 베개를 베고 누우면, 자세감지유닛(100)에 의해 베개를 벤 사람의 자세 정보가 획득된다. 즉, 사람이 똑바로 누웠는지, 비스듬히 누웠는지, 아니면 돌아누웠는지 등이 판단된다.##
상기 자세감지유닛(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형상설정유닛(110)이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 제어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에 의해 설정된 바에 따라, 회전구동부(42)가 구동되고, 회전구동부(42)의 구동 방향에 따라 스크류부재(46)가 양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스크류부재(46)가 회전되면, 스크류부재(46) 및 지지부재(45)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2개의 지지부재(45)가 서로를 향해 이동되거나, 서로 이격되는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2개의 지지부재(45)가 서로를 향해 이동되면, 베개의 너비방향(화살표 Y)으로 각 지지로드(30)의 제 1, 2 힌지 점(32, 34) 간 거리가 멀어지면서 수평 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받침대(5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50)가 하강함에 따라 베개 폼(2)의 제 1, 2 쿠션부(22, 24)도 압축 변형되어 베개 폼(2)의 제 2 쿠션부(24)의 높이가 낮아진다.
반면, 상기 2개의 지지부재(45)가 서로 이격되는 쪽으로 이동되면, 베개의 너비방향(화살표 Y)으로 각 지지로드(30)의 제 1, 2 힌지 점(32, 34) 간 거리가 가 까워지면서 각각의 지지로드(30)가 베개의 높이방향(화살표 Z)에 대하여 수직 쪽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받침대(50)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50)가 상승함에 따라 베개 폼(2)의 제 1, 2 쿠션부(22, 24)도 팽창 변형되어 베개 폼(2)의 제 2 쿠션부(24)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상기 베개 폼(2)의 제 1, 2 쿠션부(22, 24)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사람이 각각의 성별이나, 체격, 나이, 취향에 따라 최적의 자세로 베개를 벨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개 폼(2)의 제 1, 2 쿠션부(22, 24)는 함께 높이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에는 베개를 벤 사람의 자세별로 체격, 성별, 나이별 등의 조건에 따른 표준 자세가 미리 기억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에는 사용자가 베개를 벤 자세에 따라 자신에게 맞춰 설정한 최적 자세가 기억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형상설정유닛(110)에는 상기의 기억된 표준 자세나 최적 자세와 상관없이, 사람이 베개를 벨 때마다 수동으로 형상가변유닛(6)의 동작 제어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통풍발생유닛(80)의 작용을, 도 1,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상기 공압 모터(94)가 구동되면, 공압 피스톤(92)이 왕복 운동된다. 그러면, 공기가 공압 실린더(90)의 입구(90A)를 통해 공압 실린더(90)의 내부로 유입되고, 공압 실린더(90) 내 공기가 공압 실린더(90)의 출구(90B)와 통풍 라인(84)을 통해 받침대(52)의 통풍부(53)로 토출된다.
상기 받침대(52)의 통풍부(53)로 토출된 공기는 베개 폼 쿠션(20)을 통과해서 베개 폼(2)의 상면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공압 피스톤(92)의 왕복 속도에 따라 통풍발생유닛(80)의 통풍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형상가변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있어서, 통풍발생유닛의 공압 피스톤 상승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있어서, 통풍발생유닛의 공압 피스톤 하강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제어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2 : 베개 폼 4 : 베개 패드
6 : 형상설정유닛 10 : 베개 폼 베이스
20 : 베개 폼 쿠션 22 : 제 1 쿠션부
24 : 제 2 쿠션부 30 : 지지로드
42 : 회전구동부 45 : 지지부재
46 : 스크류부재 52 : 받침대
60 : 완충부재 80 : 통풍발생유닛
82 : 공압 실린더 기구 84 : 통풍 라인
90 : 공압 실린더 92 : 공압 피스톤
94 : 공압 모터 102 : 제 1 압력센서
104: 제 2 압력센서 110 : 형상설정유닛
130: 통풍발생유닛조작부 140 : 알림유닛
150 : 맥박 감지 센서 160 : 외부통신유닛

Claims (6)

  1. 통풍 가능한 베개 폼과;
    상기 베개 폼의 내부에서 상기 베개 폼의 외부를 향하는 통풍을 발생시키는 통풍발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발생유닛은 공기를 펌핑하는 공압 실린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 기구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를 갖는 공압 실린더와, 상기 공압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공압 피스톤과, 상기 공압 피스톤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공압 모터와, 상기 공압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공압 피스톤에 전달하는 크랭크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에는 체크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발생유닛은 통풍을 안내하는 통풍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소리, 진동, 빛,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림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1020080106556A 2008-10-29 2008-10-29 베개 KR20090014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556A KR20090014131A (ko) 2008-10-29 2008-10-29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556A KR20090014131A (ko) 2008-10-29 2008-10-29 베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269A Division KR100902572B1 (ko) 2007-08-03 2007-08-03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131A true KR20090014131A (ko) 2009-02-06

Family

ID=4068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556A KR20090014131A (ko) 2008-10-29 2008-10-29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41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766A (zh) * 2018-04-12 2019-10-25 鲁光洙 功能性床上用品
KR102068062B1 (ko) * 2018-09-19 2020-01-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자동조절 베개
WO2020030551A1 (de) * 2018-08-06 2020-02-13 Huebscher Martin Dynamische lagerungsschale
KR20200001339U (ko) 2018-12-13 2020-06-23 양재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766A (zh) * 2018-04-12 2019-10-25 鲁光洙 功能性床上用品
WO2020030551A1 (de) * 2018-08-06 2020-02-13 Huebscher Martin Dynamische lagerungsschale
KR102068062B1 (ko) * 2018-09-19 2020-01-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자동조절 베개
KR20200001339U (ko) 2018-12-13 2020-06-23 양재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572B1 (ko) 베개
JP5227444B2 (ja) マットレスの構造
US9226593B2 (en) System of adjustable bed control via a home network
US9737155B2 (en) System for tandem bed communication
US9237814B2 (en) Feedback loop in control of an adjustable bed including a memory
US11896131B2 (en) Bed
KR20090014131A (ko) 베개
KR20220113316A (ko) 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422195B1 (ko) 진동마사지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CN211833642U (zh) 多功能支撑架
CN115349731B (zh) 一种智能家居装置
KR102646795B1 (ko) 회전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갖는 마사지 장치
KR102397060B1 (ko) 회전 지압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49748B1 (ko) 리클라이닝 기능을 갖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KR20240032757A (ko) 회전 가능한 팔 마사지부를 갖는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