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24Y1 -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24Y1
KR200453724Y1 KR2020090013894U KR20090013894U KR200453724Y1 KR 200453724 Y1 KR200453724 Y1 KR 200453724Y1 KR 2020090013894 U KR2020090013894 U KR 2020090013894U KR 20090013894 U KR20090013894 U KR 20090013894U KR 200453724 Y1 KR200453724 Y1 KR 200453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disposed
fixing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325U (ko
Inventor
황규범
Original Assignee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장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특장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3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2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프레임을 소망하는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타측에 수평상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장치와;
상기 힌지장치와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부쉬가 일단에 마련되며, 타단 길이방향으로는 관통된 고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일단에 마련된 제 2힌지부쉬와, 상기 적재프레임에 배치된 보강부재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 3힌지부쉬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홀과 동심한 위치에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 2프레임에 동심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록킹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광폭화물을 적재한 적재프레임을 소망하는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한 이점이 있다.
틸팅트레일러, 틸팅 고정장치

Description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A LOAD FRAME FIXING EQUIPMENT OF A FLAT TRAILER FOR TILTING TYPE}
본 고안은 평판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으로 틸팅(Tlting)되는 적재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틸팅한 상태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한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프레임(LF)이 일측으로 틸팅되며 경사를 형성하여 적재각도를 형성하는 틸팅 트레일러(TT)(이하, "트레일러"라 칭한다.)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 제 0807183호로 등록된 "광폭화물 운반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가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트레일러(TR)의 메인프레임(MF)은 도시하지 않은 견인차량에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전방이 견인되는 견인부(미도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가 양측에 장착된 액슬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주행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MF)은 길이방향으로 메인비임(MB)이 나란히 배치되고, 이 메인비임(MB)의 내측으로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보강부재(RM)가 배치된 다.
이 메인비임(MB)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사이드 프레임(SF)이 배치되고, 이 일측 사이드 프레임(SF)의 상측으로 힌지장치(HE)가 배치된다.
이 힌지장치(HE)는 상기한 메인프레임(MF) 상측에 배치되는 적재프레임(LF)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도시하지 않은 승강실린더에 의해 틸팅되는데, 이와 같이 틸팅되었을 때, 틸팅된 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장치(SE)가 메인프레임(MF)과 적재프레임(LF)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장치(SE)는 트레일러(TR) 상에 축봉(SB)의 중간지점으로 버팀대(SS)를 설치하므로서, 승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적재프레임(LF)이 경사가 형성된 상태가 되면, 회동실린더(RC)의 전진행정에 따라 상기한 축봉(SB)을 기점으로 상기한 버팀대(SS) 상단의 결합부(EA)가 회전상승하며, 적재프레임(LF) 저면의 고정부(FA)에 지지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장치(SE)의 버팀대(SS)는 틸팅되는 적재프레임(LF)의 고정각도가 어느 하나의 각도(45도)로 한정되기 때문에 그다지 폭이 넓지 않은 화물을 적재하고도 도시하지 않은 승강실린더를 최대 스트로트까지 작동함으로서, 적재와 하역하는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틸팅각도에서 다양한 너비(Width)를 가진 철판을 적재할 때, 철판의 너비에 따라 무게중심이 달라짐으로서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프레임을 소망하는 다양한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프레임을 철판 또는 적재화물의 너비에 따라 소망하는 각도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견인차량에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전방이 견인되는 견인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가 양측에 장착된 액슬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메인비임의 내측 등간격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배치되고, 외측으로는 사이드 프레임이 배치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 사이드프레임에 다수 배치된 힌지장치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힌지장치의 대향하는 타측에 다수 배치되어 적재프레임을 일측으로 틸팅시키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실린더장치 각 일측에 배치되어 틸팅된 적재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타측에 수평상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장치와;
상기 힌지장치와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부쉬가 일단에 마련되며, 타단 길이 방향으로는 관통된 고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일단에 마련된 제 2힌지부쉬와, 상기 적재프레임에 배치된 보강부재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 3힌지부쉬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홀과 동심한 위치에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 2프레임에 동심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록킹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형으로 이루어진 광폭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되는 화물의 폭(Width)에 따라 틸팅되는 적재프레임을 소망하는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재 및 하역시간을 단축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단축된 적재와 하역시간에 의해 물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한 효과가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틸팅 고정장치(100)(이하, "고정장치"라 칭한다.)는 힌지장치(110)와 제 1프레임(130)과 제 2프레임(150)과 제 2, 3힌지부쉬(151)(160)와 록킹장치(170)로 이루어진다.(이하, 메인 프레임(MF)과 적재프레임(LF)과, 상기 적재프레임(LF)의 일측 길이방향에 다 수 배치된 힌지장치(HE)와, 상기 적재프레임(LF)을 틸팅하는 실린더장치(미도시)등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힌지장치(110)는 도시한 보강프레임(SF)에 수평상 동심(同心)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서, 그 외형은 UCP베어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되고,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한 볼트(BT)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힌지장치(110)와 제 1프레임(130)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제 1프레임(130)은 그 단면이 4각 형태로 이루어진 각관(角管)(Square Pipe)으로서, 일단에 일측으로 돌출된 힌지브라켓(130a) 단부에 제 1힌지 부쉬(1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힌지 부쉬(131)는 상기한 힌지장치(110)와 수평상으로 나란히 동심(同心)한 상태에서 힌지핀(139)을 관통하여 힌지결합된다.
이 제 1힌지 부쉬(131)의 대향하는 타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홀(133)은 후술하는 제 2프레임(150)의 고정홀(153)과 동심할 경우, 후술하는 록킹장치(17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프레임(130)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제 2프레임(150)이 배치되는데, 이 제 2프레임(150)도 상기한 제 1프레임(130)과 마찬가지로, 그 단면이 4각 형태로 이루어진 각관(角管)으로서, 제 1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그 단면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프레임(150)의 일단에는 제 2힌지부쉬(151)가 배치되며, 타단에는 상술한 제 1프레임(130)의 고정홀(133)과 동심(同心)하도록 고정홀(153)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고정홀(133)(153)이 동심하면 록킹장치(170)를 관통시켜 적재프레임(LF)의 경사가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며 운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2프레임(150) 일단의 제 2힌지부쉬(151)는 트레일러(10)의 적재프레임(LF)에 배치된 보강프레임(RF)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 3힌지부쉬(160)와 동심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핀(159)이 관통하며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힌지핀(139)(159)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양단에 스프링 핀 또는 분할핀, 멈춤링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록킹장치(170)는 사이드 프레임(SF) 일측에 마련된 포켓(105)에 꽂아서 보관하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프레임(130)(150)의 각 고정홀(133)(153)을 관통시켜 경사가 형성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때, 빼서 사용한다.
계속해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적재프레임(LF)을 45도 각도로 고정되도록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고정한 것이다.
제 1프레임(130) 선단(빗금표시부위)의 고정홀(133)과 제 2프레임(150) 선단 의 고정홀(153)을 일치시켜서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170)를 관통시키면 도시한 바와 같이, 45도 각도로 적재프레임(LF)이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제 1프레임(130)에 고정홀(133)을 연속하여 2개를 형성함으로서,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도 5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130) 후단에 형성된 고정홀(133)과 상기한 제 2프레임(150) 선단의 고정홀(153)(빗금표시부위)을 일치시키면, 3도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 간격으로 상기한 제 1프레임(130)에 고정홀(133)을 더 증가시키면 더 다양한 각도로 고정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의 가)와 나)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조절하여 적재프레임(LF)의 경사각도를 35도와 32도 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제 1, 2프레임(130)(150)의 고정홀(133)(153) 수량을 도시한 수량보다 더 증가시키면, 적재프레임(LF)의 경사각도를 더욱 다양한 각도로 미세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와 규격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00)에 의하면, 적재되는 화물의 규격 또는 형태에 따라 소망하는 다양한 경사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재 및 하역시간을 단축함으로서, 그에 따른, 물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틸팅 트레일러의 고정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일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 "A"선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적재프레임의 경사각도에 따라 고정되는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2)

  1. 견인차량에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전방이 견인되는 견인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가 양측에 장착된 액슬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메인비임의 내측 등간격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배치되고, 외측으로는 사이드 프레임이 배치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 사이드프레임에 다수 배치된 힌지장치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힌지장치의 대향하는 타측에 다수 배치되어 적재프레임을 일측으로 틸팅시키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실린더장치 각 일측에 배치되어 틸팅된 적재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타측에 수평상 나란하게 배치된 힌지장치와;
    상기 힌지장치와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부쉬가 일단에 마련되며, 타단 길이방향으로는 관통된 고정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 1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일단에 마련된 제 2힌지부쉬와, 상기 적재프레임에 배치된 보강부재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 3힌지부쉬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홀과 동심한 위치에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제 2프레임과;
    상기 제 1, 2프레임에 동심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프레임의 각 고정홀은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수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적재프레임의 경사각도가 더욱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KR2020090013894U 2009-10-26 2009-10-26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KR200453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94U KR200453724Y1 (ko) 2009-10-26 2009-10-26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894U KR200453724Y1 (ko) 2009-10-26 2009-10-26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25U KR20110004325U (ko) 2011-05-04
KR200453724Y1 true KR200453724Y1 (ko) 2011-05-23

Family

ID=4424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894U KR200453724Y1 (ko) 2009-10-26 2009-10-26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2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831A (ko) * 2002-11-20 2004-05-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20050040900A (ko) * 2005-04-12 2005-05-03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20080005940U (ko) * 2007-05-31 2008-12-04 진도특장차(주) 트레일러의 사이드 가드프레임
KR200443831Y1 (ko) 2007-10-23 2009-03-19 아이씨피 주식회사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831A (ko) * 2002-11-20 2004-05-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20050040900A (ko) * 2005-04-12 2005-05-03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20080005940U (ko) * 2007-05-31 2008-12-04 진도특장차(주) 트레일러의 사이드 가드프레임
KR200443831Y1 (ko) 2007-10-23 2009-03-19 아이씨피 주식회사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25U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944A (en) Adjustable utility trailer
US20150060205A1 (en) Dog step attachment for receiver hitch of pickup truck
US20070104560A1 (en) Log Transport Device
US9162601B2 (en) Transport deck frame with separate tilt and dump pivot connections
US20140338137A1 (en) Loading ramp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US8702119B2 (en) Trailer having a variable width
US4101158A (en) Convertible trailer for hauling grain and a harvesting machine
US5676065A (en) Flatracks and load-carrying systems
KR200453724Y1 (ko)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US2838338A (en) Dismountable superstructure for transporting vehicles
US20170120794A1 (en) Dual Axis Tow Lift
US6505891B1 (en) End dump fifth wheel trailer
KR200458163Y1 (ko) 트레일러의 후방 슬라이드 장치
KR20090053473A (ko) 광폭 판재의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US91392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trailer
US9039029B2 (en) Transport trailer with adjustable-width swing arms
US8118368B1 (en) Saddle assembly for a side-dump trailer or truck
US8075013B2 (en) Mounting apparatus
KR200456883Y1 (ko)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틸팅 고정장치
KR101202064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US20130221729A1 (en) Tray assembly
US2924347A (en) Double end gate ramp and trailer
KR10110111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틸팅 트레일러
KR101196553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