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642Y1 -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 Google Patents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642Y1
KR200453642Y1 KR2020090003211U KR20090003211U KR200453642Y1 KR 200453642 Y1 KR200453642 Y1 KR 200453642Y1 KR 2020090003211 U KR2020090003211 U KR 2020090003211U KR 20090003211 U KR20090003211 U KR 20090003211U KR 200453642 Y1 KR200453642 Y1 KR 200453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sphere
main
therapy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532U (ko
Inventor
박준수
Original Assignee
박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수 filed Critical 박준수
Priority to KR2020090003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64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6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球)체의 수정을 사용하는 수정요법에서 받침대를 적용하여 수정구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여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정적인 수정요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는 수정으로 형성되고,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여 위치되는 메인 재치홀(22)이 형성되는 받침대(20)를 사용하여 구체로 형성되는 메인 수정구체(30)를 받치어 수정요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체의 수정구를 사용하여 수정요법을 행할 때 수정구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편리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서 받침대(20)의 두께와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메인 수정구체(30)가 메인 재치홀(22)에 놓였을 때 메인 수정구체(30)의 삽입 하측이 받침대(20)의 하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하여 메인 수정구체(30)가 요구되는 위치에서 신체에 닿도록 하므로, 수정요법에서 인식된 수정과 인체의 역학관계를 최대한 수용한 구조로 형성되어 받침대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재치홀(22)의 둘레로 보조 수정구체(30) 또는 수정 육각체(50)를 설치하므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정요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DEVICE FOR CRYSTAL HILING}
본 고안은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球)체의 수정을 사용하는 수정요법에서 받침대를 적용하여 수정구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여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안정적인 수정요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크리스탈 힐링(Crystal Hiling)은 우리 몸 안에서 신체적 문제를 야기할 만한 원치않는 진동들을 없애는 섬세한 에너지들과 함께 작용하는 신체자극요법으로, 인체의 기{氣; 차크라(Chakras}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래에 많은 임상 결과와 활발한 연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크리스탈 힐링은 크리스탈류(석영류)에 속하는 광물을 가지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수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수정요 법에 의하면, 수정은 에너지를 흡수증폭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 결정의 양단에 전기적인 분극이 생기고 1초에 32.786KHz의 진동수로 진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수정요법에 의하면, 수정은 분자구조가 육각구조로 인체의 기본적인 분자구조와 연결되므로, 인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물을 통해 수정의 진동이 영향을 미처 수정과 공명하게 되어, 수정의 에너지는 직접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는 강력한 힐링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통상 크리스탈 힐링은 수정요법, 수정치유요법 등으로 불리고 있어, 본 고안에서는 수정요법으로 지칭한다.
한편, 수정요법은 동양의 기(氣)치료와 유사하게 인체의 각 부분(경락)에 수정을 위치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그리고, 원석보다는 구(球)형의 수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형의 수정은 인체의 각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어렵고, 더욱이 자극요법을 받는 사람이 약간 미동할 경우 자극요법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요법을 지속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구체의 수정을 사용할 때, 접시 등을 받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수정요법에 다른 재질이 사용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거부감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체의 수정구를 사용하여 수정요법을 행할 때 수정구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편리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받침대를 적용하여 수정구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여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편리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정구를 받치는 받침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수정요법에서 인식된 수정과 인체의 역학관계를 최대한 수용한 구조로 받침대를 제공하므로써, 받침대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구(球)체의 수정을 사용하는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구체로 형성되는 메인 수정구체(30) 및; 수정으로 형성되고,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여 위치되는 메인 재치홀(22)이 형성되는 받침대(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서 상기 받침대(20)의 두께와 상기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상기 메인 수정구체(30)가 상기 메인 재치홀(22)에 놓였을 때 상기 메인 수정구체(30)의 삽입 하측이 상기 받침대(20)의 하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서 상기 메인 수정구체(30)보다 작은 크기의 구체로 형성되는 보조 수정구체(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메인 재치홀(22)의 둘레로 상기 보조 수정구체(30)가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 재치홀(24)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 따르면, 수정으로 형성되고,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여 위치되는 메인 재치홀(22)이 형성되는 받침대(20)를 사용하여 구체로 형성되는 메인 수정구체(30)를 받치어 수정요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 구체의 수정구를 사용하여 수정요법을 행할 때 수정구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편리하게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서 받침대(20)의 두께와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메인 수정구체(30)가 메인 재치홀(22)에 놓였을 때 메인 수정구체(30)의 삽입 하측이 받침대(20)의 하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메인 수정구체(30)가 요구되는 위치에 닿도록 하므로, 수정요법에서 인식된 수정과 인체의 역학관계를 최대한 수용한 구조로 형성되어 받침대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재치홀(22)의 둘레로 보조 수정구체(30) 또는 수정 육각체(50)를 설치하므로써, 다양한 형태의 수정요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메인 수정구체(30)와 받침대(20)를 구비하여 구(球)체로 형성되는 메인 수정구체(30)를 사용하는 수정요법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받침대(20)는 수정으로 형성되고,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며, 중심에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여 위치되는 메인 재치홀(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대(20)는 천연 수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형성방법은 기계가공 등 다양한 가공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의 받침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수정구체(30)가 인체에 닿도록 하므로써, 수정요법에서 요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대(20)의 두께와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메인 수정구체(30)가 메인 재치홀(22)에 놓였을 때 메인 수정구체(30)의 삽입 하측이 받침대(20)의 하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받침대(20)의 두께와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메인 수정구체(30)의 크기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다양한 형태로 전해져 오는 수정요법 중에서 구체의 수정을 적용하는 경우, 구체의 수정을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수정요법(크리스탈 힐링)과 관련된 기술내용, 수정의 특성 및 가공방법 등의 에 대한 구성 및 작용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중심에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이도록 하고, 그 주변으로 메인 수정구체(30)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수정구체(40)들을 배치하여 더욱 효과적인 수정요법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메인 수정구체(30), 보조 수정구체(40) 및, 받침대(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인 수정구체(30)와 보조 수정구체(40)는 구체의 수정으로 형성되는데, 보조 수정구체(30)는 메인 수정구체(30)보다 작은 크기의 구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20)는 수정으로 형성되고,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며, 중심에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여 위치되는 메인 재치홀(22)이 형성되고, 이 메인 재치홀(22)의 둘레로 보조 수정구체(30)가 삽입되는 크기로 보조 재치홀(24)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의 받침대(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수정구체(30)와 보조 수정구체(40)가 인체에 닿도록 하므 로써, 수정요법에서 요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20)의 두께와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메인 수정구체(30)가 메인 재치홀(22)에 놓였을 때 메인 수정구체(30)의 삽입 하측이 받침대(20)의 하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하는데, 보조 수정구체(40)는 필요(놓는 위치의 굴곡)에 따라 그 끼움정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보조 재치홀(24)은 메인 재치홀(22)을 중심으로 육각형의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받침대(20)가 수정요법에서 인식된 수정과 인체의 역학관계를 최대한 수용한 구조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받침대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이질감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더욱이, 이와 같은 보조 재치홀(24)에 끼워지는 보조 수정구체(40)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의 수정요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보조 수정구로 수정 육각체(50)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받침대(20)에는 수정 육각체(5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육각홀(26)이 형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육각홀(26)은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 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6개의 보조 재치홀(24) 중에서 서로 대응되는 2개의 홀(대각선 방향)을 선택하여 형성하므로써, 균형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정 육각체(50)는 바닥면(52)이 육각으로 형성되고, 바닥 중심(53)이 약간 뾰족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필요시 피부에 자극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수정요법은 동양의 기(氣)치료와 유사하게 인체의 각 부분(경락)에 수정을 위치시키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수정구를 인체의 원하는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정요법시 수정은 머리, 가슴, 배, 손바닥 등 신체의 각 부분에 놓이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10)는 구체의 수정을 필요한 각 부분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보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20 : 받침대
22 : 메인 재치홀 24 : 보조 재치홀
26 : 육각홀 30 : 메인 수정구체
40 : 보조 수정구체 50 : 수정 육각체
52 : (수정 육각체) 바닥면 53 : (수정 육각체) 바닥 중심
60 : 받침대 외측 테두리 62 : 받침대 내측 테두리

Claims (3)

  1. 구(球)체의 수정을 사용하는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구체로 형성되는 메인 수정구체(30) 및;
    수정으로 형성되고,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메인 수정구체(30)가 놓여 위치되는 메인 재치홀(22)이 형성되는 받침대(2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20)의 두께와 상기 메인 재치홀(22)의 내경은 상기 메인 수정구체(30)가 상기 메인 재치홀(22)에 놓였을 때 상기 메인 수정구체(30)의 삽입 하측이 상기 받침대(20)의 하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메인 수정구체(30)보다 작은 크기의 구체로 형성되는 보조 수정구체(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메인 재치홀(22)의 둘레로 상기 보조 수정구체(30)가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 재치홀(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3211U 2009-03-19 2009-03-19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KR200453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11U KR200453642Y1 (ko) 2009-03-19 2009-03-19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11U KR200453642Y1 (ko) 2009-03-19 2009-03-19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32U KR20100009532U (ko) 2010-09-29
KR200453642Y1 true KR200453642Y1 (ko) 2011-05-17

Family

ID=4419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11U KR200453642Y1 (ko) 2009-03-19 2009-03-19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64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324U (ko) * 1990-02-28 1991-11-14
JPH119647A (ja) 1997-06-23 1999-01-19 Sumiji Sato 足裏療法専用反射区棒
JP3133270U (ja) * 2007-04-09 2007-07-05 株式会社クリエイション・ルネ 磁気治療器
WO2007132490A1 (en) * 2006-05-16 2007-11-22 Gibo Sarl Improved massag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324U (ko) * 1990-02-28 1991-11-14
JPH119647A (ja) 1997-06-23 1999-01-19 Sumiji Sato 足裏療法専用反射区棒
WO2007132490A1 (en) * 2006-05-16 2007-11-22 Gibo Sarl Improved massaging device
JP3133270U (ja) * 2007-04-09 2007-07-05 株式会社クリエイション・ルネ 磁気治療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32U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6973T3 (es) Dispositivo de vibración portátil novedoso
US76011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issue repair in mammals
RU200711750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TWM488322U (zh) 跨顱電刺激裝置
AR036713A1 (es) Implante para corregir una deformidad de la columna vertebral.
US20080203249A1 (en) Arm support device
ES2534280T3 (es) Dispositivo de masaje
SK287162B6 (sk) Masážny vibrátor na uľahčenie od bolesti
KR200453642Y1 (ko) 수정요법을 위한 기구
ES2306630B1 (es) Dispositivo antiflacidez y antiarrugas.
KR101177534B1 (ko) 니들 조립체
CN204337258U (zh) 一种多球按摩器
RU2247551C1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рефлекторной физиотерапии
CN204428364U (zh) 一种用于头高脚低体位手术的手术床
KR101551551B1 (ko) 3축 침 발진 장치
CN108294860B (zh) 眼部理疗眼罩
ES2584255B2 (es) Dispositivo terapéutico portátil para el tratamiento de la artritis mediante estimulación magneto-térmica
KR20160073184A (ko) 지압용구
KR200338393Y1 (ko) 지압구
JP7392215B2 (ja) 波動療法器
CN109157314A (zh) 一种骨科椎体复位装置
WO2019243639A1 (es) Aguja protegida y de alta visibilidad ecográfica para realizar técnicas de electrólisis o neuromodulación percutánea ecoguiada
CN213249504U (zh) 一种骨科钻孔导向装置
JP3169414U (ja) 健康・美容器具
CN103989548B (zh) 医用夹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