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79Y1 -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 Google Patents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79Y1
KR200453579Y1 KR2020080009658U KR20080009658U KR200453579Y1 KR 200453579 Y1 KR200453579 Y1 KR 200453579Y1 KR 2020080009658 U KR2020080009658 U KR 2020080009658U KR 20080009658 U KR20080009658 U KR 20080009658U KR 200453579 Y1 KR200453579 Y1 KR 200453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rbage
inlet
trash
re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980U (ko
Inventor
김정제
Original Assignee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7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투입구로 투기 되는 쓰레기 봉투를 공기 흐름으로 이송관로로 흡인 수거하는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구 문으로서,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도중에 문간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여닫이 문과, 상기 여닫이 문의 내측에서 쓰레기 봉투의 크기 제한에 해당하는 면적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기준벽체와, 상기 문간의 안쪽에 부착되어서 쓰레기 봉투의 투입 통로 면적을 제한하는 차단판과, 상기 여닫이 문의 하부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서 개폐 시에 부하를 일으키는 감속수단을 갖춘 것이며, 상기 여닫이 문은 감속수단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서서히 열리게 되고, 또 여닫이 문의 안쪽 면에 형성된 기준벽체는 투기 가능한 쓰레기 봉투의 크기를 측정하여 볼 수 있게 하고, 문간의 차단판은 규정을 벗어난 크기의 쓰레기 봉투가 말단관로로 투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쓰레기 이송, 진공 흡인 수거, 슈트 투입구,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수거 설비

Description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bulk restriction type door for refuse in suction operated refuse ingathering chute means}
본 고안은 집단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를 이송관로 내의 공기 흐름으로 자동 수거하게 되어 있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쓰레기 봉투가 일정 크기 이내인 것만 투기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구조를 갖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에 관한 것이다.
집단 주거단지에 점차로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은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거단지의 건물 층마다 쓰레기 투입구(2)를 갖춘 말단관로(2a)가 부설되고, 그 끝은 이송관로(2b)에 통합 연통 되어서 수거지역(2c)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 말단관로(2a)와 이송관로(2b) 사이에는 밸브(G/V) 또는 문(L/C)이 배치되어서 양 통로 사이를 단속할 수 있게 배치되는 한편, 차단된 상태에서 이송관로(2b)의 내부 공기를 휀(2d)으로 배기하여 상기 말단관로(2a)와 이송관로(2b) 사이에 큰 기압 차가 생기게 해 놓고, 쓰레기 투입구를 통한 투기량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 말단관로(2a)와 이송관로(2b) 사이의 밸브(G/V) 또는 문(L/C)을 열어 주어 투기된 쓰레기 봉투가 흡인 기류를 타고 수거지역까지 이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한국 특허 등록 제679223호을 통해, 전면에 외기 흡입 그릴과 문이 배치되고, 내부는 쓰레기 수집 관로로 이어지는 말단관로의 선단과 이어지는 동체를 갖추고, 상기 말단관로는 그 직교 방향으로 작동되는 슬라이드밸브 또는 회전밸브로 개폐되고, 상기 동체의 외부에는 인증수단이 부착되어 허가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거나 쓰레기봉투의 진위를 감별하고, 현재 투기 가능한 쓰레기 종류를 동체 외부의 표시램프 및 스피커를 통해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며, 상기 동체에 비치된 문은 인증수단에서 감별된 정보로 작동되는 실린더의 전 후진에 추종하여 상하 개폐되는 구성이거나, 또는 외주 면의 일부가 일정 폭으로 열려서 입구로 형성된 원통상 문을 정역회전시켜 개폐하는 구성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인증수단은 RFID 인식, 자기카드 인식, IC 카드 인식, 또는 바코드 인식 방식으로 구성된 쓰레기 투입설비를 제안한 바 있다.
또 본 출원인은 한국 특허 등록 제794771호를 통해,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전체 수집 관로의 상황에 맞춰 개폐 제어될 수 있고, 설비하기가 용이한 구조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투입구 문을 제공한 바 있다.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에서는 투기 되는 쓰레기 봉투의 중량만 측정하여 과표 기준으로 삼고, 크기에는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서 쓰레기 투기에 부과되는 비용 분담 기준에 분쟁을 일으키기도 하는 사례가 있어서 근자에는 용적 제한 기능을 갖춘 문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쓰레기 봉투의 용적이 일정 크기 이내일 때만 수납되게 하려면, 투입구 문과 이어지는 통로에 차단판을 부착하여 투입구의 넓이를 제한하면 되지만, 이 경우 사용자가 쓰레기 봉투를 투기하기 전에 그 크기가 허용범위 이내인지를 계측하여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전에 쓰레기 봉투의 크기를 계측할 수 있게 하려면, 투입구 문이 상하방향으로 열고 닫히는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여닫이 방식의 문은 수평으로 열을 때 그 위로 쓰레기를 올려놓는 것으로 그 크기가 투기 가능한 크기인지를 가늠하여 볼 수 있고, 일정 크기 이내이면 단지 문을 들어올려 닫아 주는 것으로 쓰레기 봉투가 낙하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같은 여닫이 방식이라도 수평방향의 여닫이 방식은 문이 닫힐 때 쓰레기 봉투를 밀어내어야 하는 기구를 갖추어야 하는 불리한 점이 있다.
그렇지만, 상하방향의 여닫이 방식으로 문을 설치하였을 때에도 문제점은 나타나게 되는데, 문이 열리는 방향은 중력 작용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뜻하지 않게 문이 급속히 낙하하면서 사용자에게 신체적 위해를 가하게 될 염려가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상하방향의 여닫이 방식으로 문을 설치하여도 문이 열리 때에 급속하게 열리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 열리게 한 구조를 갖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과제 해결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쓰레기 투입구의 도중에 문간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여닫이 문과, 상기 여닫이 문의 내측에서 쓰레기 봉투의 크기 제한에 해당하는 면적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기준벽체와, 상기 문간의 안쪽에 부착되어서 쓰레기 봉투의 투입 통로 면적을 제한하는 차단판과, 상기 여닫이 문의 하부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는 감속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속수단은 문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브래킷을 갖추고 판 면에 래칫기어가 형성된 마운팅 패널과,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리는 래칫 핑거를 다수 갖추고 상기 래칫기어에 조합되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구성하는 클러치 링과, 판 면에 오리피스 공을 다수 구비한 1쌍의 베인이 내주에 쌍으로 대향 배치된 레이스와, 문틀에 부착 고정되는 블래킷을 양측에 구비하고 중심에는 볼베어링이 끼워진 축이 설치된 고정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패널과 고정 패널에 의해 양측이 폐쇄되는 상기 레이스의 내부에는 실리콘 오일이 충전된 구성으로 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여닫이 문의 안쪽에는 쓰레기 봉투가 놓이는 구역을 나타내기 위한 기준벽체가 설치되고, 이 기준벽체의 하단부는 쓰레기 봉투를 인도하기 위한 슬로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간의 상측 외부에 여닫이 문을 잠그기 위한 솔레노이드가 비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문간 내부의 차단판이 쓰레기 봉투의 통과 면적을 제한하게 되므로 크기가 일정 이내인 것만 투기할 수 있어서 용적 제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하로 열고 닫히는 여닫이 문의 안쪽으로 형성된 기준벽체는 투기 가능한 쓰레기 봉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쓰레기 봉투가 투기 가능한 크기인지를 미리 측정하여 볼 수 있다.
여닫이 문은 위에서 아래로 열고 그 위로 쓰레기 봉투를 올려놓고 투기하는 구조이므로 문의 개폐 조작이 수월하고, 특히 문이 닫힐 때는 감속수단에 충전된 실리콘 오일이 회전하는 베인에 저항력을 부여하게 되어 천천히 닫히게 작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위해를 가할 염려가 없다.
이러한 감속수단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슬로프를 더 구비한 예에서는 여닫이 문이 닫히면서 기준벽체 안으로 적재된 쓰레기 봉투가 자중의 작용으로 미끄러져 말단관로로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여닫이 문은 솔레노이드를 통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것이므로 통상의 인증수단과 컨트롤러로 제어되는 쓰레기 투입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투입구 문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쓰레기 투입구(2)의 도중에 문간(4)을 부착하고 여기에 상하방향의 여닫이 문(6)이 수평으로 열리게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닫이 문(6)의 안쪽에는 쓰레기 봉투가 놓이는 구역을 나타내기 위한 기준 벽(8)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측의 끝은 쓰레기 봉투를 인도하기 위한 슬로프(10)로 이어지며, 또 문간(4)의 안쪽에는 투입 통로의 면적을 제한하는 차단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문간(4)의 상측 외부에는 솔레노이드(14)가 비치되어서 통상의 빗장을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여닫이 문(6)을 잠그거나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서, 쓰레기 투입구(2)는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에서 콘크리트 벽체로 마련된 전용 공간(16)을 따라 부설되고, 여닫이 문(6)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여닫이 문(6)은 외부에서 솔레노이드(14)를 동작시켜야만 열 수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14)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 등록 제679223호에서 개시한 바와 같은 인증방식을 거쳐 정당한 사용자로 확인되었을 때에 작동되는 구성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3에서, 차단판(12)은 여닫이 문(6)에 부착된 기준벽체(8)를 초과하는 높이의 쓰레기 봉투는 통과할 수 없는 높이로 배치됨을 나타내고 있고, 또 여닫이 문(6)이 닫힌 상태에서는 기준벽체(8)의 하측으로 연결된 슬로프(10)가 비스듬한 경사를 제공함에 따라 투입된 쓰레기 봉투는 미끄러져 낙하하게 된다.
한편, 여닫이 문(6)은 하측 변의 한쪽 또는 양쪽에 감속수단(18)을 갖추고 있다.
감속수단(18)은 여닫이 문(6)이 열릴 때 천천히 하강 선회하도록 부하(負荷)를 가하는 구조이면 적용 가능하고, 이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감속수단(18)은 문(6)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브래킷(180)을 갖추고 판면에 래칫기어(182)가 링 모양으로 형성된 마운팅 패널(184)과, 상기 래칫 기어(182)에 맞물리는 래칫 핑거(186)를 다수 갖추고 상기 래칫기어(182)와 함께 일방향 클러치로 조합됨과 아울러 고정용 홈(188)이 테두리에 형성된 클러치 링(190)과, 판 면에 오리피스 공(192)이 다수 뚫려있는 베인(194)이 내주에 쌍으로 대향 배치된 레이스(196)와, 상기 마운팅 패널(184)과 유사한 형태로 양측에 형성된 블래킷(198)으로 문틀에 부착 고정되고, 중심에는 볼베어링(200)이 끼워진 축(202)을 갖춘 고정패널(204)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마운팅 패널(184)과 고정 패널(204)에 의해 양측이 폐쇄되는 레이스(196)의 내부에는 실리콘 오일이 충전되 어서 베인(194)에 저항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볼 베어링(200)은 양 베인(194)이 고정축(202)에 대하여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여 주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감속수단(18)은 사용자가 여닫이 문(6)을 손으로 잡고 열 때에 래칫기어(182)에 클러치 링(190)의 래칫핑거(186)가 맞물리는 상태로 되어 상기 여닫이 문(6)과 레이스(196)가 같은 방향(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 베인(194)은 볼 베어링(200)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그 과정에서 오리피스 공(192)을 통해 실리콘 오일이 유통되는 오리피스 작용으로 저항력이 생기게 되며, 이때의 저항력은 여닫이 문(6)이 열리는 방향에 반대로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여닫이 문(6)은 천천히 열리게 된다.
반대로 여닫이 문(6)을 닫을 때는 래칫핑거(186)가 래칫기어(182)를 타고 넘으면서 일방향 클러치가 해제되어 여닫이 문(6)은 무부하 상태로 되므로 가볍게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의 투입구 문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코드, 스마트카드, ID카드, RFID카드, 지문 감식, 자기 기록카드, 암호입력 등의 인증수단과 컨트롤러에 의해 개폐 제어되도록 하면 더욱 좋다.
이에 관련된 구성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 등록 제794771호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종래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련된 투입구 문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설치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 감속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감속수단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쓰레기 투입구 4: 문간
6: 여닫이 문 8: 기준벽체
10: 슬로프 12: 차단판
14: 솔레노이드 16: 전용공간
18: 감속수단 180, 198: 브래킷
182: 래챗기어 184: 마운팅 패널
186: 래칫핑거 188: 결합 홈
190: 클러치 링 192: 오리피스 공
194: 베인 196: 레이스
200: 볼 베어링 202: 고정축
204: 고정 패널

Claims (4)

  1. 삭제
  2. 쓰레기 투입구의 도중에 문간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여닫이 문;
    상기 여닫이 문의 내측에서 쓰레기 봉투의 크기 제한에 해당하는 면적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기준벽체;
    상기 문간의 안쪽에 부착되어서 쓰레기 봉투의 투입 통로 면적을 제한하는 차단판;
    상기 여닫이 문의 폐문 속도를 완만하게 감속시키기 위하여 문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브래킷을 갖추고 판 면에 래칫기어가 형성된 마운팅 패널과,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리는 래칫 핑거를 다수 갖추고 상기 래칫기어에 조합되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구성하는 클러치 링과, 판 면에 오리피스 공을 다수 구비한 1쌍의 베인이 내주에 쌍으로 대향 배치된 레이스와, 문틀에 부착 고정되는 블래킷을 양측에 구비하고 중심에는 볼베어링이 끼워진 축이 설치된 고정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패널과 고정 패널에 의해 양측이 폐쇄되는 상기 레이스의 내부에는 실리콘 오일이 충전된 감속수단;
    을 갖춘 구성으로 된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문의 안쪽으로 형성된 기준벽체의 하단에는 쓰레기 봉투를 통상의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말단관로로 인도하기 위한 슬로프가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4. 삭제
KR2020080009658U 2008-07-21 2008-07-21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KR200453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58U KR200453579Y1 (ko) 2008-07-21 2008-07-21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58U KR200453579Y1 (ko) 2008-07-21 2008-07-21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80U KR20100000980U (ko) 2010-01-29
KR200453579Y1 true KR200453579Y1 (ko) 2011-05-17

Family

ID=4419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658U KR200453579Y1 (ko) 2008-07-21 2008-07-21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23B1 (ko) 2017-10-16 2018-12-18 베솜 주식회사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옥내 층별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7213B2 (ja) * 2003-10-17 2009-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ルブ及び排気ガス再循環制御用バルブ又はバルブの組立て方法
KR200485794Y1 (ko) * 2016-02-23 2018-02-2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중량 계량형 투입구 문
KR101994633B1 (ko) * 2017-07-12 2019-07-0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각 층의 음식물쓰레기봉투 공용 투입구용 계량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5583U (ko) 1974-12-28 1976-07-08
KR820001701Y1 (ko) * 1981-03-04 1982-08-12 김창규 쓰레기 투입장치
KR900006029Y1 (ko) * 1987-09-07 1990-06-30 화신기업 주식회사 쓰레기 투입구
JPH09165902A (ja) * 1995-12-15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ッチンシュ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5583U (ko) 1974-12-28 1976-07-08
KR820001701Y1 (ko) * 1981-03-04 1982-08-12 김창규 쓰레기 투입장치
KR900006029Y1 (ko) * 1987-09-07 1990-06-30 화신기업 주식회사 쓰레기 투입구
JPH09165902A (ja) * 1995-12-15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ッチンシュ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923B1 (ko) 2017-10-16 2018-12-18 베솜 주식회사 측정오차를 최소화한 옥내 층별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80U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579Y1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용적 제한형 투입구 문
KR200485794Y1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중량 계량형 투입구 문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US3980166A (en) Device for dumping chute
KR101913725B1 (ko) 쓰레기 투입 장치
CN107000998A (zh) 用于控制电梯竖井入口的井道层站门锁定系统和方法
KR101721761B1 (ko) 쓰레기 수거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1685692B1 (ko)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10104104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안정적 운전을 위한 보호 시스템
KR200407980Y1 (ko)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투입부 구조
KR100986882B1 (ko) 악취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쓰레기투입기
KR102033638B1 (ko) 스마트 보안기능을 구비한 우편함
KR100958105B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101025253B1 (ko) 쓰레기 수거시 가속을 제공하는 쓰레기 투입구
CN205932455U (zh) 一种交易系统工作台
KR101994633B1 (ko) 각 층의 음식물쓰레기봉투 공용 투입구용 계량 모듈
KR100794771B1 (ko)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투입 설비용 투입구 도어 장치
KR100965063B1 (ko) 쓰레기 수거시스템용 용적 제한형 쓰레기 투입구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109158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N106960503A (zh) 一种基于点钞清分设备整改的存款机及存款系统
KR101929922B1 (ko) 고층건물용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20100127951A (ko) 매립형 쓰레기 수거용 컨테이너
JPH07116824B2 (ja) ダストシュート
US8096465B2 (en) Safe device for collecting coins and safe method for transferring and emptying coin boxes
KR200374729Y1 (ko)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옥내형 쓰레기 투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