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012Y1 - 현관문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012Y1
KR200453012Y1 KR2020100013597U KR20100013597U KR200453012Y1 KR 200453012 Y1 KR200453012 Y1 KR 200453012Y1 KR 2020100013597 U KR2020100013597 U KR 2020100013597U KR 20100013597 U KR20100013597 U KR 20100013597U KR 200453012 Y1 KR200453012 Y1 KR 200453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protrusion
fitting portion
do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집
Original Assignee
윤용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집 filed Critical 윤용집
Priority to KR2020100013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0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측단에 장착되어 열쇠장치를 보호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현관문 및 열쇠장치의 무단 해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관문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현관문(100)의 측단에 형성된 돌출부(120)에 끼워지는 홈(20)이 형성된 끼움부(2)와, 상기 끼움부(2)에 연장 형성되어 현관문(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착부(4)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2)는, 상기 돌출부(120)의 전면과 후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후면부재(22,24)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재(22) 또는 후면부재(24)에는 상기 홈(20)으로 내입되어, 상기 돌출부(120)에 밀착되도록 커팅에 의해 형성된 압착구(3,3')가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문 보호장치{DOOR SAFETY APPARATUS}
본 고안은 현관문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측단에 장착되어 열쇠장치를 보호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현관문 및 열쇠장치의 무단 해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관문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및 기타 사무실 등의 출입구에는 방화 및 방범을 목적으로 한 철재의 현관문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현관문의 구성(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10')과, 상기 문틀(10')에 결합되는 도어(20')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도어(20')의 일측에는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핸들(30')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문틀(10')에는 잠금쇠와 결합되는 잠금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0')의 외측 일면 모서리 부위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된 돌출부(40')가 일체화된 구조로 더 형성된다.
상기 이러한 돌출부(40')는 도어(20')의 잠금시 문틀(10')과 도어(2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상기 틈새로 불법 해정도구(철사 또는 얇은 판체)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40')는 비교적 작은 해정도구의 침입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이보다 큰 대형 드라이버나 쇠지렛대(일명 빠루) 및 노루발장도리와 같은 대형 공구에 대한 방어는 미약하다.
즉, 상기한 대형 공구를 문틀과 도어 틈새에 강제로 밀어넣고 제끼면 돌출부이 휘어짐은 물론 도어의 열쇠장치까지 파괴되어 무력화되므로 외부 침입을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9-0007126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2는 외부로 노출되는 현관문(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0)를 수용하기 위한 세로로 긴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의 일면의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장착부(120)를 포함하는 현관문 보조 기구(100)임을 알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20은 열쇠장치이다.
상기 선행기술 2의 장착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현관문의 돌출부(210)를 수용부(110)의 홈에 결합시키고,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B)을 구멍(120a)에 체결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2는 상기 체결 수단(B)의 체결 과정에서 현관문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문의 손상이 불가피하게 되므로 소비자가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관문의 돌출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어 문의 손상이 없이 가단하게 설치 가능하고, 외력으로 파손할 수 없는 강성을 갖도록 하여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관문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현관문의 측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현관문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돌출부의 전면과 후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후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재에는 내측으로 꺽여진 압착구가 다수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압착구에 의해 억지끼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보호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구는 후면부재에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구는 반원형이며 측방을 향하거나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구는 사각형이며 측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현관문의 손상이 없이 설치 가능하고,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며, 공구를 이용한 현관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어 무단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선행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II-II"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A1)는, 현관문(100)의 측단에 형성된 돌출부(120)에 끼워지는 홈(20)이 형성된 끼움부(2)와, 상기 끼움부(2)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현관문(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착부(4)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2)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금속판재를 절곡시켜 단면이 "⊂"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전,후면부재(22,24)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홈(20)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면부재(22,24)는 현관문(100)의 돌출부(120)의 전면과 후면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끼움부(2)의 소재로는 외력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4)는 후면부재(24)에 연장 형성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현관문(100)의 열쇠장치(130)에 대응되는 공간(40)이 중간에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재(22)에는 상기 홈(20)으로 내입되어 현관문(100)의 돌출부(120)에 밀착되는 압착구(3)가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구(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재(22)의 일부위를 레이저 커팅에 의해 반원형으로 절개하여, 일부는 전면부재(22)에 붙어있도록 한 후 그 외 커팅된 부위를 내측으로 꺽어 형성시킨 것으로, 이렇게 꺽여진 압착구(3)가 돌출부(12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압착구(3')는 레이저 커팅가공에 의해 "ㄷ"자 형으로써 일부는 전면부재(22)에 붙어있고 그 외 커팅된 부위가 내측으로 꺽여져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구(3,3')는 다수로 형성되며, 그 커팅된 부위가 측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는 다수의 압착구(3,3')는 그 커팅된 부위가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구(3,3')는 후면부재(24)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홈(20)에 현관문(100)의 돌출부(120)가 끼워지면 압착구(3)가 돌출부(12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억지끼움됨으로써 고정력이 발휘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부(4)는 현관문(100)의 측면에 밀착되고, 공간(40)에 열쇠장치(120)가 위치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현관문 보호장치(A)가 현관문(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현관문(100)을 닫으면 장착부(4) 및 후면부재(24)가 문틈에 끼워져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되고, 전면부재(22)만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본 고안의 현관문 보호장치(A)를 전방 또는 측방으로 빼려고 해도 장착부(4)와 전,후면부재(22,24)가 문과 문틈 사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빼낼 수 없게 된다.
또한 쇠지렛대나 드라이버를 억지로 전면부재(22)의 틈새에 밀어넣더라도 자체의 강성에 의해 변형이 쉽지 않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국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현관문 보호장치(A)에 의해 열쇠장치(130)의 잠금상태가 보존될 수 있어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A2)는, 현관문(100)의 측단에 형성된 돌출부(120)에 끼워지는 홈(20)이 형성되도록 "⊂"자 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면부재(22,24)가 형성된 끼움부(2), 상기 끼움부(2)의 후면부재(24)에 연장 형성되어 현관문(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착부(4), 상기 끼움부(2)의 전면부재(22)에 부착되며 상기 홈(20)에 위치되는 경사판(72)을 갖는 고정구(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7)는 금속판이며, 일부를 절개하여 경사지게 꺽어서 형성된 경사판(72)을 포함한다.
즉 금속판의 가운데를 "ㄷ"자 형태로 레이저 커팅 가공시킨 후 절개된 부위를 꺽어 경사판(7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7)를 끼움부(2)의 전면부재(22)의 내면에 용접시키거나 단순 밀착시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72)의 빗면이 홈(20)의 개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현관문(100)의 돌출부(120)가 홈(20)에 삽입되면 경사판(72)이 돌출부(120)의 외면에 밀착되어 억지끼움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고정구(7)를 지그재그형태로 배치하여 각각의 경사판(72)이 상반되게 배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경사판(22)의 빗면을 타고 현관문(100)의 돌출부(120)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끼워지기는 용이하나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끼움부(2)의 홈(20)을 현관문(100)의 돌출부(120)에 끼워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구(7)의 경사판(72)이 돌출부(12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억지끼움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강한 고정력이 발휘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보호장치(A2)의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 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끼움부 4 : 장착부
20 : 홈 22 : 전면부재
24 : 후면부재 40 : 공간
100 : 현관문 120 : 돌출부

Claims (5)

  1. 현관문(100)의 측단에 형성된 돌출부(120)에 끼워지는 홈(20)이 형성된 끼움부(2)와, 상기 끼움부(2)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현관문(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착부(4)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2)는,
    상기 돌출부(120)의 전면과 후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면부재(22) 및 후면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재(22) 및 후면부재(24)에는 상기 돌출부(120)에 밀착되는 다수의 압착구(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압착구(3,3')는 전면부재(22) 및 후면부재(24)를 커팅가공하여 반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커팅된 부위를 상기 홈(20)의 내측으로 꺽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압착구(3,3')는 커팅된 부위가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보호장치.
  4. 현관문(100)의 측단에 형성된 돌출부(120)에 끼워지는 홈(20)이 형성되도록 "⊂"자 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면부재(22,24)가 형성된 끼움부(2);
    상기 끼움부(2)의 후면부재(24)에 연장 형성되어 현관문(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장착부(4);
    상기 끼움부(2)의 전면부재(22)에 부착되며 상기 홈(20)에 위치되는 경사판(72)을 갖는 고정구(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보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7)는 다수로 구비되며, 지그재그형태로 배치하여 각각의 경사판(72)이 상반되게 배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보호장치.





KR2020100013597U 2010-12-30 2010-12-30 현관문 보호장치 KR200453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97U KR200453012Y1 (ko) 2010-12-30 2010-12-30 현관문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97U KR200453012Y1 (ko) 2010-12-30 2010-12-30 현관문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012Y1 true KR200453012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97U KR200453012Y1 (ko) 2010-12-30 2010-12-30 현관문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01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97Y1 (ko) 2005-06-11 2005-09-29 이용화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20090007126U (ko) * 2008-01-10 2009-07-15 김훈배 침입 방지용 현관문 보조 기구
KR100907799B1 (ko) 2009-02-17 2009-07-15 유수형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경보시스템
KR100915507B1 (ko) 2008-12-29 2009-09-03 이건무 문틀 모서리고정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97Y1 (ko) 2005-06-11 2005-09-29 이용화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20090007126U (ko) * 2008-01-10 2009-07-15 김훈배 침입 방지용 현관문 보조 기구
KR100915507B1 (ko) 2008-12-29 2009-09-03 이건무 문틀 모서리고정구 어셈블리
KR100907799B1 (ko) 2009-02-17 2009-07-15 유수형 출입문용 무단침입 방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842B2 (en) Crime prevention screw, embedding material of screw head, screw-use crime prevention seat and crime prevention screw set
US7177518B2 (en) Clips for holding fiber optic cables of a security fence
US8973751B2 (en) Protective case for a wildlife surveillance system
KR101310014B1 (ko) 자동차 트렁크에 적용되는 도난 방지 잠금장치
US20130111832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securing an openinng of a building structure
KR100770277B1 (ko) 도어유닛
KR200453012Y1 (ko) 현관문 보호장치
KR102064113B1 (ko) 프레임과 탄성 고정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US6076866A (en) Locking fitting for sliding leaf and burglary-safe device for such a fitting
KR200446826Y1 (ko) 보강용 비드가 구비된 도어 파손 방지장치
KR20170132542A (ko) 방범용 방충망이 구비된 샤시구조체
KR101489398B1 (ko)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JP5944110B2 (ja) 防犯スクリーン装置
JP5457645B2 (ja) 建具の防犯用受け具
KR200452551Y1 (ko) 현관문 무단 침입방지 장치
KR20090007126U (ko) 침입 방지용 현관문 보조 기구
JP4257394B2 (ja) サッシ窓、及びパネルの外れ止め具
US20050217329A1 (en) Anti-drilling structure of a latch
KR100893655B1 (ko) 현관문에 설치되는 방범장치
JP6694656B2 (ja) キーシリンダの取付構造
KR200355183Y1 (ko) 고정턱이 구비된 잠금 장치
GB2310454A (en) Reinforcing security plate arrangement for locks
KR100740212B1 (ko) 가스관 보호커버
AU2015200372B2 (en) Security screen frame assembly
GB2362895A (en) Security fence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