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07Y1 -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07Y1
KR200452907Y1 KR2020080013955U KR20080013955U KR200452907Y1 KR 200452907 Y1 KR200452907 Y1 KR 200452907Y1 KR 2020080013955 U KR2020080013955 U KR 2020080013955U KR 20080013955 U KR20080013955 U KR 20080013955U KR 200452907 Y1 KR200452907 Y1 KR 200452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ate
personal information
recogni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86U (ko
Inventor
김낙원
허기석
Original Assignee
(주)동도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도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동도이엠아이
Priority to KR2020080013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0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devices carried by persons or objects, e.g. magnets or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 E05Y2800/42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against unauthorised use, e.g.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4Security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의 출입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간을 가지며 양측이 개폐되는 이동설치용 컨테이너; 컨테이너의 일측과 타측 중간부분을 차단하면서 설치되는 창살형태의 게이트; 게이트의 출구 방향과 입구 방향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제시하는 개인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 저장된 개인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인식판단부; 사전에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인식판단부의 요청이 있을 때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출입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GATE SAFETY EQUIPMENT OF CONSTRUCTION SITE}
본 고안은 건설현장의 출입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은 지나칠 정도로 개방적이다.
특히, 대형 건설현장의 경우 다양한 공종의 협력업체 근로자 수 백 여명이 드나드는데다 직접 공사와 관련 없는 기관, 단체, 조합 관계자와 상인들, 또는 지역주민들의 출입이 잦다.
결국 취약한 보안구조 및 관리 효율성, 민원인들의 무단출입으로 인한 공사 중단 및 안전사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건설현장의 정확하면서도 객관적인 출입관리로 안전사고 예방과 비인가자들의 출입을 제한하는 등 체계적인 출입관리가 요구되며, 건설현장의 특성상 견고하면서 악천후로부터 보호가능하며, 공사 완공 후에 필요한 다른 장소로 쉽게 이동시켜 바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출입 관리와 관련하여 출입안전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공간을 가지며 양측이 개폐되는 이동설치용 컨테이너; 컨테이너의 일측과 타측 중간부분을 차단하면서 설치되는 창살형태의 게이트; 게이트의 출구 방향과 입구 방향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제시하는 개인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 저장된 개인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인식판단부; 사전에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인식판단부의 요청이 있을 때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출입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컨테이너에 설치되므로 견고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본 고안은 컨테이너 자체를 이동시켜 설치가 가능하므로, 건설현장과 같이 공사기간 경과 후 또는 공사 진척에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컨테이너 내부에 장치가 수용되어 있어, 건설현장 등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자외선, 고온, 저온, 눈, 비 내지는 악천후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으며, 우발적 또는 불손한 의도에 의한 파손 및 점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게이트가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게이트 자체도 높아 넘어 다니기가 불가능하며, 인체인식정보의 판독 또는 보안카드의 인식을 통해서만 출입이 가능하므로, 보안성 향상 및 체계적으로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술의 이해를 돕도록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게이트와 인식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가 지며 양측이 개폐되는 이동설치용 컨테이너(11); 컨테이너(11)의 일측과 타측 중간부분을 차단하면서 설치되는 창살형태의 게이트(12); 게이트(12)의 출구 방향과 입구 방향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제시하는 개인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 저장된 개인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인식판단부(13); 사전에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인식판단부(13)의 요청이 있을 때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출입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하는 관리서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 중 상기 컨테이너(11)는 박스 형태의 본체(11a); 본체 양측(전후방)에 마련되어 개폐되는 도어(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a)는 내부에 경비실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b)는 열쇠와 자물쇠 또는 비밀번호 키와 같은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경비가 출입의 부정을 현장에서 제재(制裁)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컨테이너(11) 내부로 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게이트(12)는 양측의 수직프레임(12a);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b); 상기 수평프레임(12a) 중간 부분에서 직 하방의 컨테이너(11)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축설되는 회전축(12c); 상기 회전축(12c)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나열 설치되는 차단봉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도어(12d); 상기 수평프레임(12a)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판단부(13)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회전축(12c)을 90도 만큼씩 회전시키는 개폐수 단(12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2a)은 컨테이너(11)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볼트 고정)되는 기둥일 수 있으나, 상기 수직프레임(12a)은 컨테이너(11)의 내부 양 측 벽면으로 대체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d)은 상기 양측의 수직프레임(12a) 상방에 볼트 결합되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일 수 있고, 내부 공간은 덮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나, 상기 수평프레임(12b)은 컨테이너(11)의 내부 천정일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수직프레임(12a)과 수평프레임(12b)이 견고하게 게이트(12)를 형성하여 회전도어(12d)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2c)의 상 단부는 개폐수단(12e)과 연결되고, 수평프레임(12b) 내측에 고정된 베어링의 지지를 받으며, 하 단부는 컨테이너(11) 바닥면에 매립 고정된 베어링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도어(12d)는 봉에 의해 이루어질 있으나, 철망으로 이루어질 도 있고, 투명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질 도 있으며, 그밖에도 양측이 서로 연통되거나 보이는 구조 및 재질이면 만족한다.
이와 같이 되면, 양쪽에서 공히 출입자의 접근 및 출입을 눈으로 확인할 수 도 있고, 시각적으로도 철문보다는 거부감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2e)은 모터 또는 감속기어를 포함한 모터일 수 도 있고, 1사이클에 90도 회전하는 캠일 수 도 있으며, 클러치일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모터 또는 감속기를 포함한 모터의 경우 모터(특히 스텝 모 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축(12c)을 90도 만큼씩 회전시킬 수 있고, 캠의 경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캠과 회전축(12c)에 고정되어 반응하는 캠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축(12c)을 90도 만큼씩 회전시킬 수 있으며, 클러치의 경우 인식판단부(13)의 신호에 의해 90도 만큼씩 걸림/해제 동작하여 출입자가 손으로 밀어서 수동 오픈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인식판단부(13)는 출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수집수단(13a); 수집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4)로 전송하거나, 관리서버(14)로부터 비교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수단(13b); 수집된 데이터와 비교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수단(13c); 상기 비교수단(13c)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12e)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3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수단(13a)은 게이트(12)의 수직프레임(12a) 양측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인체인식수단일 수 도 있고, 카드리더수단일수 도 있으며, 인체인식수단과 카드리더수단 모두일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인체인식수단은 손혈관 인식기일 수 도 있고, 지문인식기일 수 도 있고, 음성인식기일 수 도 있고, 홍체 인식기일 수 도 있으며, 상기 카드리더수단은 RFID카드리더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사전에 추출된 개인 인체인식 데이터 또는 사전에 카드에 수록된 개인 신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13b)은 RF통신시스템일 수 도 있고, 근거리통신망(RAN)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비교수단(13c)은 정보수집수단(13a)에서 수집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호화하는 한편, 상기 관리서버(14)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체여부를 판단하는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이 탑제된 마이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3d)은 비교수단(13c)에서 비교 결과 출입 가능한 개인일 경우, HI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개폐수단(12e)의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드라이버회로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관리서버(14)는 사전에 추출된 개인 인체인식 데이터 또는 사전에 수록된 개인 신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4a); 상기 인식판단부(13)에서 수집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수단(14b); 상기 인식판단부(13)에서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2(14c)에 저장하는 한편, 리스트화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 출입관리수단(14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관리서버(14d)는 원격으로 상기 게이트(12)의 개폐수단(12e)을 제어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인식판단부(13)의 비교수단(13c)과 구동수단(13d)이 포함되어, 자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비교 동작 및 구동동작으로 통해 개폐수단(12e)을 동작시켜 회전도어(12d)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유사시에 현장에서 인식판단부(13)가 출입을 통제하지 않고 관리서버(14)에서 출입을 통제하여 보안성을 보다 확고히 할 수도 있으며, 순간적으로 출입이 집중되는 시간대에 인식판단부(13)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분산시켜 시 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관리서버(14)는 관리사무소 또는 본사에 설치되고, 게이트(12)와 인식판단부(13)를 포함한 컨테이너(11)는 건설현장의 원하는 위치에 이동 설치되어 출입구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게이트(12)와 인식판단부(13)를 포함한 컨테이너(11)를 원하는 장소와 원하는 현장으로 이동 설치가 가능하므로, 신속한 설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하여 컨테이너(11)가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입을 요하는 자가 상기 컨테이너(11) 내부로 진입 후, 게이트(12) 앞에 정지한다.
이후, 출입 가능 여부를 확인받기 위해 정보수집수단(13a)에 개인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정보수집수단(13a)이 인체인식수단일 경우, 예컨대, 손혈관 인식기일 경우에는 손혈관(손등)을, 지문 인식기일 경우에는 지문을, 음성 인식기일 경우에는 음성을, 홍체 인식기일 경우에는 눈을 가져다 댄다.
또한, 상기 정보수집수단(13a)이 카드리더수단일 경우에는 RFID태그 또는 카드를 가져다 댄다.
그리하면, 정보수집수단(13a)에서 수집된 개인정보는 통신수단(13b)을 통해 관리서버(14)로 전송되는 한편, 비교수단(13c)으로 제공되어 임시저장된다.
이때, 관리서버(14)로 개인정보가 전송되면, 관리서버(14)의 통신수단(14b) 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인식판단부(13)의 통신수단(13b)으로 전송하고, 통신수단(13b)은 비교수단(13c)으로 전달한다.
그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수단(13c)에 추출되어 임시 저장된 개인정보와 관리서버(14)에 전송된 비교를 위한 개인정보가 비교수단(13c)의 비교프로그램을 통해 비교하여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비교 판단하여 출입 가능한 자이면 비교수단(13c)에서 HI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HI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구동수단(13d)이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게이트(12)의 개폐수단(12e)을 동작시킨다.
그리하면,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c)이 90도 만큼 회전하여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도어(12f)가 상기 수직프레임(12a)의 일측에 설치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보조도어(12f)를 통해 현장 작업에 필요한 부피가 크거나 긴 공구 또는 자재를 운반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보조도어(12f)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개인정보의 비교 판단을 통해 출입이 가능할 수 도 있고, 상주하는 경비원의 통솔을 통해 출입이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때, 개인정보의 비교 판단을 통한 출입의 경우에는 인식판단부(13)의 비교수단(13c)에서 전달되는 HI신호가 솔레노이드를 개폐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수직프레임(12a)에 내장되고, 슬라이드되는 단부는 보조도어(12f)의 일측 단으로 인입/인출되면서 잠금/해제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2)가 수직프레임(12a)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큰 공사 현장과 같이 작업자의 출입이 많은 장소에 유용하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실시예적으로 건설현장을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비단 건설 현장에만 국한되지 않고, 간이적으로 설치되어 출입을 통제 관리하기 위한 정소에 설치될 수 도 있고, 지하철 개찰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게이트와 인식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입안전장치 11 : 컨테이너
11a : 본체 11b : 도어
12 : 게이트 12a : 수직프레임
12b : 수평프레임 12c : 회전축
12d : 회전도어 12e : 개폐수단
12f : 보조도어 13 : 인식판단부
13a : 정보수집수단 13b : 통신수단
13c : 비교수단 13d : 구동수단
14 : 관리서버 14a : 데이터베이스1
14b : 통신수단 14c : 데이터베이스2
14d : 출입관리수단

Claims (2)

  1. 공간을 가지며 양측이 개폐되는 이동설치용 컨테이너(11); 컨테이너(11)의 일측과 타측 중간부분을 차단하면서 설치되는 창살형태의 게이트(12); 게이트(12)의 출구 방향과 입구 방향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제시하는 개인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 사전에 설정 저장된 개인정보데이터와 비교하여 출입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인식판단부(13); 사전에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인식판단부(13)의 출입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출입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하는 관리서버(14);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게이트(12)는 양측의 수직프레임(12a); 수직프레임(12a)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b); 수직프레임(12a) 중간 부분에서 직 하방의 컨테이너(11)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축설되는 회전축(12c); 회전축(12c)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나열 설치되는 차단봉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도어(12d);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2a)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판단부(13)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회전축(12c)을 90도 만큼씩 회전시키는 개폐수단(12e)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관리서버(14)는 사전에 추출된 개인 인체인식 데이터 또는 사전에 수록된 개인 신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4a); 인식판단부(13)에서 수집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수단(14b); 상기 인식판단부(13)에서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2(14c)에 저장하는 한편, 리스트화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 출입관리수단(14d);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출입안전장치.
  2. 삭제
KR2020080013955U 2008-10-21 2008-10-21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KR200452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55U KR200452907Y1 (ko) 2008-10-21 2008-10-21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55U KR200452907Y1 (ko) 2008-10-21 2008-10-21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86U KR20100004386U (ko) 2010-04-29
KR200452907Y1 true KR200452907Y1 (ko) 2011-03-28

Family

ID=4419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55U KR200452907Y1 (ko) 2008-10-21 2008-10-21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75A (ko) * 2021-08-23 2023-03-03 (주)이노테크 2인 동시 출입 허용 구조를 포함하는 산업안전출입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538B1 (ko) * 2016-04-15 2018-05-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131A (ja) * 1994-09-19 1996-04-02 Toshiba Corp 入退室管理装置
JP2004339702A (ja) * 2003-05-13 2004-12-02 Toshiba Corp 入室管理システムと入退室管理システムと入室管理方法
KR200425011Y1 (ko) * 2006-06-16 2006-08-28 (주)목포샤링 통기구가 구비된 컨테이너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131A (ja) * 1994-09-19 1996-04-02 Toshiba Corp 入退室管理装置
JP2004339702A (ja) * 2003-05-13 2004-12-02 Toshiba Corp 入室管理システムと入退室管理システムと入室管理方法
KR200425011Y1 (ko) * 2006-06-16 2006-08-28 (주)목포샤링 통기구가 구비된 컨테이너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75A (ko) * 2021-08-23 2023-03-03 (주)이노테크 2인 동시 출입 허용 구조를 포함하는 산업안전출입문
KR102664623B1 (ko) * 2021-08-23 2024-05-09 (주)이노테크 2인 동시 출입 허용 구조를 포함하는 산업안전출입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86U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3250B2 (en) Access control device
EP2862988A1 (en) Containerized access control unit
AU20144031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ccess to restricted areas
US7221273B1 (en) Automated locking system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KR200452907Y1 (ko) 건설 현장의 출입안전장치
RU2696898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пропускной модуль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системы контроля
US20080127557A1 (en) Security cover for reciprocating gate arm
JP2009294708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及び駐車場管理方法
CN214846895U (zh) 一种建筑工地用实名制门禁管理装置
CN103670044B (zh) 防护系统
Abdulsalam et al. A microcontroller-based combinational lock system
Honey Electronic access control
KR102602862B1 (ko) 모바일출입증 기반 방문자-방문차량 통합 출입보안관리시스템
Simukali et al. Multi Factor Authentication for Student and Staff Access Control
McCOY Mantraps and Turnstiles
RU1870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граждающее управляемое с функцией шлюза
CN213876876U (zh) 安全防盗门控制系统
KR20230144176A (ko) 안전사고방지시스템 및 방법
RU942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граждающее, управляемое, маятникового типа, с функцией шлюза
JP2009003528A (ja) 共連防止システム
JP2007316735A (ja) 入場管理システム
CN2549135Y (zh) 自动柜员机防护装置
JP4323291B2 (ja) 通行管理システム
Baker et al. Acc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