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43Y1 -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43Y1
KR200452843Y1 KR2020080016667U KR20080016667U KR200452843Y1 KR 200452843 Y1 KR200452843 Y1 KR 200452843Y1 KR 2020080016667 U KR2020080016667 U KR 2020080016667U KR 20080016667 U KR20080016667 U KR 20080016667U KR 200452843 Y1 KR200452843 Y1 KR 200452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temperature
infrared panel
sauna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419U (ko
Inventor
신지호
Original Assignee
신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호 filed Critical 신지호
Priority to KR2020080016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4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 및 이동이 간편하고 전기 소비량을 줄이도록 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천장의 소정부분에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판넬과, 상기 원적외선 판넬의 주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과, 상기 케이스의 벽에 코팅되어 상기 원적외선 판넬에서 발생된 열을 받아 복사열을 방출하는 세라믹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적외선 판넬은 덮개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온도상실을 줄이고 필름의 온도를 보존하기 위해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절연체와, 두 개의 은 전극이 내장된 유리와, 전기를 인가하면 유도방출을 통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접착매질과, 알루미늄 틀과 뒷면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적외선 판넬, 조명등, 사우나 부스, 온도 조절장치

Description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A SAUNA BOOTH FOR PANEL EMITTING INFRARED RAY}
본 고안은 사우나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소비량을 줄이도록 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는 피로회복과 피부건강을 위해서 짧은 시간 내에 몸 안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땀을 통해서 몸밖으로 배출하는 건강증진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사우나 방식 등은 밀폐된 장소에서 통상 70℃ 이상의 고열을 몸에 직접 가온시켜 고정밀폐된 장소에서 강제적으로 땀을 배출하므로써 피부미용이나 건강 보조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우나를 실시할 경우 전용 사우나탕이나 대중 목욕탕 등에 마련된 대형 사우나시설을 이용함에 따라 필요시마다 장소를 방문하여야만 하므로 심신의 피로시 즉각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야기되며, 넓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동시에 들어가므로써 신체의 전신부위에 적외선이 골고루 조사되지 않아 사우나의 효과가 저감되는 단점이 따르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 가정에서 개인적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 사우나부스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우나 부스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사우나 부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우나 본체(S)의 각 면을 통상의 발열체(1)로 통상의 조립식 사우나 부스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한다.
상기 사우나 본체(S)의 전면에는 출입문(2)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의자(3)가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사우나 부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사우나 본체(S)의 각 면을 발열체(1)로 조립하고, 사우나 본체(S) 내부에 의자를 조립하고 전면에 출입문(2)을 조립함으로서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사우나 부스를 사용할 때는 컨트롤러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에 취향에 따라 온도를 맞추고 사우나 부스 내부의 의자(3)에 앉아 사우나를 즐기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개인용 사우나 부스는 기능에 비해 가격이 매우 고가임은 물론 그 부피가 과다하여 설치에 따른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특히, 고가의 원목을 원소재로 하여 단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무게가 과도하여 유통단계에서 포장 및 운반,이송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일단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추가적인 이동이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고온의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발열체로써 종래의 경우 대부분 면상발열 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면상발열체는 사우나 부스에 고정상태로 일체화 설치됨에 따라 파손시 이를 부분적으로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없고 사우나부스 전체를 교환해야만 하는 비합리적인 문제점이 야기되므로써 유지, 보수에 따른 어려움은 더욱더 극대화되는 것이었다.
또한, 고온의 열을 발산하기 위해 전기의 소모량이 증가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 및 이동이 간편하고 전기 소비량을 줄이도록 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천장의 소정부분에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판넬과, 상기 원적외선 판넬의 주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과, 상기 케이스의 벽에 코팅되어 상기 원적외선 판넬에서 발생된 열을 받아 복사열을 방출하는 세라믹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적외선 판넬은 덮개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온도상실을 줄이고 필름의 온도를 보존하기 위해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절연체와, 두 개의 은 전극이 내장된 유리와, 전기를 인가하면 유도방출을 통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접착매질과, 알루미늄 틀과 뒷면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우나 부스의 상면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판넬을 부착하고 벽면은 세라믹제로 코팅함으로써 시공 및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적은 전기 소비량으로 사우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원적외선을 이용한 사우나는 물론 물리요법에 의해 체지방을 감소할 수 있고, 피부요법을 통해 인체 탈 산성화를 이룰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특징인 원적외선 사우나는 태양의 따뜻함과 가장 잘 비교할 수 있는데,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광대한 양의 에너지는 여러 파장으로 분류되는 전자기 파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운반되고, 이러한 분류의 단위는 나노미터이다(1 ㎚=1밀리미터의 1 천분의 1).
각 파장은 특정한 양의 에너지를 운반하고. 이러한 파동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며, 파장이 짧아질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운반할 수 있다. 즉, 더 높은 주파수는 더 짧은 파장을 그리고 더 높은 에너지 레벨을 의미한다.
태양으로부터의 복사는 대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되고 지구에는 적은 일부만이 도달하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빛은 자외선(UV)으로 부터 가시광선을 거쳐 적외선(IR)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파장을 포함하고 있다.
자외선은 높은 주파수이므로 많은 에너지를 보유한 짧은 파장의 빛이고, 이러한 에너지는 장기간 노출되면 살갗을 태우거나 심지어 암을 야기할 수 있다. 가시광선은 보다 적은 에너지의 낮은 주파수이고, 적외선은 가장 낮은 에너지 레벨인 가장 낮은 주파수이다.
원적외선 판넬은 의학적으로 인체에 이로운 것으로 인정된 10,000㎚또는 10마이크로미터 파장의 보이지 않는 원적외선 또는 생체기반 적외선을 방출한다. 온도가 화씨 4,000도(섭씨 2,200도)까지 올라가는 적외선 램프를 사용하는 다른 적외선 정품과는 달리, 본 고안의 원적외선 판넬은 화씨 300도(섭씨 150도)이하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필름을 사용하고, 정상 동작 중 표면 온도는 보통 화씨 212도(섭씨 100도) 이하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판넬(100)은 덮개(10), 절연체(20), 접착매질(30), 유리(40), 외부 케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20)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온도상실을 줄여서 최소의 비용으로 필름의 온도를 보존하기 위해 유리 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리(40)는 전류를 흘리는 두 개의 은 전극(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접착매질(30)은 유도방출 현상을 일으키는데 사용되고, 전기는 반도체내의 광자를 여기시키는데 사용되며, 이는 광자들이 탈출할 때까지 계속된다. 각 광자는 또 다른 광자를 자극하여 방출하며 광자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적외선을 방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유도방출이라 부른다. 한편, 본 고안에서 열 에너지(광자)는 결정에서 생성되며 그 파장은 일정하다.
또한, 상기 접착매질(30)은 광자를 앞면으로 보내기 위해 흑체 접착매질 뒷면에 얇은 반사층(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10,000㎚ 혹은 10마이크로미터 고정 파장의 유도방출을 일으킨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적외선은 방사각 170°로 방출되며, 다른 온도에 의존하는 적외선 제품들의 방사각은 단지 90°정도만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케이스(50)는 알루미늄 틀과 뒷면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적외선 판넬(100)은 전기를 인가하게 되면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사우나를 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판넬을 주 열원으로 쓸 때 225-228제곱피트(20에서25m²)의 사우나 부스 전체를 쉽사리 데울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우나 부스에 이용된 원적외선 판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50) 상에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판넬(100)과,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 주위의 상기 플레이트(150)상에 구성되어 빛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110)과,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과 조명등(110)을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의 천장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의 벽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판넬(100)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고정장 치(101)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장치(101)를 천장에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천장에 배치하는 이유는 천장 배치는 열의 이상적인 분배를 보장하고, 보다 적은 열 손실 치(factor)로 인해 필름 동작온도를 유지하는 데에 보다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천장에 장착하기가 어려울 경우 도 4b에서와 같이 사우나 부스의 벽에 쉽게 장착 할 수 있다. 벽에 배선을 설치하고 그림 걸듯이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사우나 부스는 창조적이고 심미적이다. 선택할 수 있는 색상 외에도 (필름온도가 섭씨 110도 이하로 프로그램 된 경우), 원적외선 판넬에 원하시는 대로 그림을 그리거나 혹은 어떤 로고나 그림을 실크스크린으로 인쇄하여 장식품으로 만들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에 로고나 그림을 실크스크린을 인쇄하여 적정한 온도로 상승했을 때 모양들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 천장의 소정부분에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판넬(100)과,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의 주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120)과, 상기 케이스(200)의 벽에 코팅되어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에서 발생된 열을 받아 복사열을 방출하는 세라믹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사우나 부스의 내부에는 이용자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의자(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과 조명등(120)은 외부의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하게 되고,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이 작동하여 원적외선을 발생했을 때 상기 세라믹제(160)는 발생된 원적외선을 반사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우나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제(160)는 고인성, 고내마모성, 고강도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 지르코니아 세라믹스는 기계부품용 구조재료로서 주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근래에 이르러 지르코니아 세라믹스는 좀 더 다양하고 폭넓은 용도로의 적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고, 이에 산업에서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으로의 적용을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가 계속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서 이미지르코니아 칼, 가위 등의 각종 생활도구가 실제 우리의 생활에 이용되고 있고, 그 외에도 낚시대용 가이드 링, 라인 가이드 등의 제품, 우수한 연마가공성에 의한 고광택의 대체보석류로서 고가의 시계부품(베젤, 밴드) 등에도 적용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활에 직접 사용되어지는 제품에 대하여 개개인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색상 발현이라는 장식성이 요구되어 그에 따른 개발 노력도 다수 진행되어지고 있다.
다양한 색상의 지르코니아 세라믹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르코니아가 가진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온 소성에 있어서 색상을 그 대로 유지할 수 있는 고온안정성이 보장된 고온용 무기안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 세라믹스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고온용 무기안료로서 스피넬계 안료가 있다. 고온에서의 스피넬 안료의 다양한 발색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오래전부터 진행되어져 칼라 세라믹스 제조에 적용되고 있다.
이 스피넬계 안료의 연구는 일본에서는 1950년대부터 새로운 무기안료 개발의 일환으로 야마구치, 타카하시, 오츠카 등에 의해 다양한 스피넬계 안료 연구가 진행되어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고, 우리나라에서도 1970년대 MgO-Cr2O3계 스피넬 안료의 생성반응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색상의 무기안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아직 고온용 안료 제조 기술의 확립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안료의 대부분은 1300℃ 이하에서 안정된 발색을 하는 저온용 안료로서 고온용 세라믹스 제품으로의 응용이 어렵고, 현재 산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온 안료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다양한 색상의 고온용 안료 개발에 대한 연구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칼라 세라믹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안료의 개발뿐만 아니라 안료 첨가 시 제조공정의 확립도 필요하다. 첨가되는 안료의 종류와 사용용도에 따라 소성온도, 소성분위기 등이 달라지고, 본래의 세라믹스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험을 통해 각각의 소성조건에 따른 제품의 흡수율, 경도, 열전도율, 강도 등을 측정하여 최적의 소성조건을 확립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지르코니아 세라믹스의 우수한 특성을 그대로 유지시 키면서,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구조재료 및 실용 제품으로의 용도를 넓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1400℃ 이상에서도 안정한 발색을 하는 고온용 흑색 스피넬계 안료를 제조하고, 이후 지르코니아와의 적용 실험을 통해 최적 제조 조건을 규명함으로서 곧바로 산업 적용이 가능한 흑색 지르코니아 세라믹스 제조 기술로 제조된 세라믹제를 사우나 부스의 벽면에 코팅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벽면은 세라믹제로 코팅되고 천장은 원적외선 판넬이 부착된 사우나 부스는 원적외선 사우나 방식 즉, 복사열(빛)방식이어서 예열이필요없고 공기가열이 아니라 빛으로 복사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호흡하기도 편하다.
더욱 중요한건 60~80도가 넘는 고온 사우나는 오히려 몸에 해로운데도 땀이 나지않기때문에 자꾸 온도를 높이게되는데, 근적외선사우나 기가솔은 적외선빛이 피하조직까지 침투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노페물을 빼주기때문에 40~60도 저온사우나를 즐기시면서도 쉽게 땀이나는걸 경험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원적외선은 이미 병원에서도 입증된바로 많은 예방치료와 질병치료에 탁월한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세라믹재(160)를 사우나 부스의 벽면에 코팅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발열체를 형성하는 것보다 무게를 줄일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복사열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동작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우나 부스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장치(110)와, 상기 사우나 부스 내의 일측 공간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판넬(100)과, 출력 주기와 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을 제어하고,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의 필름 온도(내부 동작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온도 조절장치(110)로부터 실내의 온도를 전송받아 사우나 부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원적외선 판넬(100)의 주위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1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두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저 전류 신호를 받아 원적외선 판넬의 AC 전원스위치를 켜거나 끄고, 하나의 제어부는 여러 개의 릴레이 스위치(140)들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장치(110)는 US표준이며, 부스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부(130)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온도 조절장치(110)는 5볼트 루프와 28볼트 AC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는 에너지 절약을 보장하기 위해, 원적외선 판넬(100), 온도 조절장치(110), 제어부(130)의 형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적절하게 설치되고 프로그램된 사우나 부스에서 필름은 유도방출을 유지하기에 필요한 만큼의 전기만 받게 되며, 전원은 온도 조절장치(110)가 충분히 따뜻하다고 알릴 때까지 꺼짐과 켜짐을 여러 번 반복하게 된다. 이 동작은 이력현상(hysteresis; 히스테리시스)을 보이게 된다.
상기 온도 조절장치(110)와 이력현상의 상호작용은 원적외선 판넬(100)을 켜고 끄게 되는 변조과정으로 귀착된다.
상기 온도 조절장치(110)가 더 많은 열을 요구할 때 원적외선 판넬(100)은 설치 용량의 40에서 60%만을 발휘하게 된다(20%의 마진은 스크린의 종류, 제어 프로그래밍 그리고 날씨나 기초설계 같은 외부조건 변수요인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100)은 만지기에 위험하지 않다. 즉, 원적외선 판넬을 구성하는 유리는 높은 필름온도를 적당한 수준으로 낮추는 잘 알려진 절연체이므로 인위적으로 만지더라도 위험하지 않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에 원적외선 판넬(100)이 부착되고, 벽면에 세라믹제(160)이 코팅된 사우나 부스의 출입문을 개방하고, 사용자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사우나 부스내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우나 부스내에는 사전에 컨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우나 하기에 적당한 온도까지 상승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원하는 시간동안 사우나를 진행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사우나 부스의 내부에 의자를 설치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사우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에는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사우나를 진행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원적외선 및 복사열을 통해 사우나를 진행하기 때문에 적외선빛이 피하조직까지 침투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노페물을 빼주기때문에 40~60도 저온사우나를 즐기시면서도 쉽게 땀이나는걸 경험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경마장의 말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경마장의 축사에 도 8a와 같이 설치하여 경마를 끝내고 돌아온 말에게 도 8b에서와 같이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근육을 이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우나 부스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우나 부스에 이용된 원적외선 판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의 천장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의 벽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동작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의한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를 경마장의 말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적외선 판넬 110 : 온도 조절장치
120 : 조명등 160 : 세라믹제

Claims (4)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천장의 소정부분에 부착되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판넬과,
    상기 원적외선 판넬의 주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과,
    상기 케이스의 벽에 코팅되어 상기 원적외선 판넬에서 발생된 열을 받아 복사열을 방출하는 세라믹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적외선 판넬은 덮개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온도상실을 줄이고 필름의 온도를 보존하기 위해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절연체와, 두 개의 은 전극이 내장된 유리와, 전기를 인가하면 유도방출을 통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접착매질과, 알루미늄 틀과 뒷면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매질은 광자를 앞면으로 보내기 위해 흑체 접착매질 뒷면에 구성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우나 부스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장치와, 출력 주기와 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원적외선 판넬을 제어하고, 상기 원적외선 판넬의 필름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온도 조절장치로부터 사우나 부스내의 온도를 전송받아 사우나 부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KR2020080016667U 2008-12-16 2008-12-16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KR200452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67U KR200452843Y1 (ko) 2008-12-16 2008-12-16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67U KR200452843Y1 (ko) 2008-12-16 2008-12-16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19U KR20100006419U (ko) 2010-06-24
KR200452843Y1 true KR200452843Y1 (ko) 2011-03-25

Family

ID=4424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67U KR200452843Y1 (ko) 2008-12-16 2008-12-16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40B1 (ko) 2020-12-02 2021-06-07 넥스트원 주식회사 사우나용 면상 발열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754B1 (ko) * 2022-03-10 2022-11-10 유현옥 융염을 이용한 발효 건조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76A (ja) * 1995-06-28 1997-01-14 Misato Kk 赤外線サウナ室
KR19990069462A (ko) * 1998-02-09 1999-09-06 배기윤 원적외선을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 욕실
KR20050118626A (ko) * 2004-06-14 2005-12-19 평성인 피라미드와 원적외선을 이용한 기발생기
US20070294818A1 (en) 2004-11-24 2007-12-27 Reihi Tei Thermotherapic sauna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76A (ja) * 1995-06-28 1997-01-14 Misato Kk 赤外線サウナ室
KR19990069462A (ko) * 1998-02-09 1999-09-06 배기윤 원적외선을 이용한 조립식 사우나 욕실
KR20050118626A (ko) * 2004-06-14 2005-12-19 평성인 피라미드와 원적외선을 이용한 기발생기
US20070294818A1 (en) 2004-11-24 2007-12-27 Reihi Tei Thermotherapic sauna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40B1 (ko) 2020-12-02 2021-06-07 넥스트원 주식회사 사우나용 면상 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19U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764B1 (ko) 사우나 부스
KR200452843Y1 (ko)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사우나 부스
US6965097B2 (en) Control device for an infrared ray sauna facility
CN207101638U (zh) 石墨烯光波理疗装置及理疗床
KR200475856Y1 (ko) 전신 돔 사우나 장치
KR101346673B1 (ko) 근적외선 수면캡슐 침대형 사우나부스
KR20130063312A (ko) 엘이디가 포함된 찜질장치
KR100617988B1 (ko) 좌욕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반신욕 사우나기
CN209060375U (zh) 一种多用途的远红外光波房
US11364391B2 (en) Controllable photonic chamber
CN209123198U (zh) 一种远红外理疗光波板
KR20120045205A (ko) 찜질 겸용 건강 적송 사우나 부스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JP3132918U (ja) ボックス型岩盤浴室
KR20100006418U (ko) 원적외선 판넬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488339Y1 (ko) 근적외선 조리기
RU2226382C2 (ru) Баня маслова в.в.
CN205252007U (zh) 一种可自主加热的便携式泡脚盆
KR200389858Y1 (ko) 손 피부 관리장치
KR101658159B1 (ko) 원적외선 방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84264B1 (ko) 토르말린 혼합 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RU220874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й стеновой панели
KR20050028744A (ko) 기능성 빛 에너지 광욕기
KR102590417B1 (ko) 원적외선을 발산시키는 온열기
KR20110125081A (ko) 발열부가 구비된 조명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