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40Y1 -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 Google Patents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40Y1
KR200452840Y1 KR2020100011599U KR20100011599U KR200452840Y1 KR 200452840 Y1 KR200452840 Y1 KR 200452840Y1 KR 2020100011599 U KR2020100011599 U KR 2020100011599U KR 20100011599 U KR20100011599 U KR 20100011599U KR 200452840 Y1 KR200452840 Y1 KR 200452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emitting
hair
light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섭
김병화
Original Assignee
김병화
정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정창섭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2020100011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8Shaving mirrors
    • A45D42/10Shaving mirrors 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용 거울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용 거울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프론트 케이스(1),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휀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1), 미들케이스(3), 거울(4), 발광수단(5), PCB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내부하우징(6), 휀(7), 휀(7)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외부하우징(8), 외부하우징(8)의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수단(9)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lighting mirror with a fan}
본 고안은, 이미용 거울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용 거울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프론트 케이스(1),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휀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1), 미들 케이스(3), 거울(4), 발광수단(5), PCB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6), 휀(7), 휀(7)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8), 외부 하우징(8)의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수단(9)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이미용 거울은 따로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일정한 조도이상의 광원이나 발광수단이 없으면 사용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광원이나 발광수단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미용실이나, 가정집 또는 화장을 전문적으로 하는 미용샵에서는 이미용 거울 주위에 다수개의 발광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여 조도를 높인 후에 섬세한 화장을 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엔 발광수단의 발열로 인하여 거울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여 화장하는 사람의 얼굴에 땀이 흐르는 등의 불편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탁상용 거울의 경우 별도의 휀이 구비되지 않은 관계로 바쁜 아침출근시간에 머리를 헤어드라이어로 건조 시킨 다음에 화장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샤워를 한 후 에는 안면부에 땀이 흘러 바로 화장을 할 수 없으며, 화장을 해도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이미용 거울은 상기에 언급한바와 같이 이를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어왔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이미용 거울은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9906호는, 안전망 커버의 중심부분에 거울을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선풍기의 전면에서 머리손질을 하거나 화장을 하는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풍기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502호는, 음이온 발생패드가 부착된 거울을 선풍기 안전망의 전면 중앙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선풍기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들은 단지 선풍기에 작은 거울을 부착한 것으로 별도의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어두운 곳에서 선풍기에 부착된 거울을 사용하기 불편하며, 거울의 크기도 작아서 화장을 하기에 매우 불편하고, 선풍기를 가동하였을 경우에 선풍기의 바람이 강하여 선풍기의 바람을 쐬면서 동시에 화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단지 장식적인 기능 이외의 효과를 달성하기는 힘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이미용 거울에 있어서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은,
프론트 케이스(1);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팬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1), 미들 케이스(3), 거울(4), 발광수단(5), PCB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6), 휀(7), 휀(7)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8), 외부 하우징(8)의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수단(9)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5)은, 냉음극형광램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5)은, 외부전극형광램프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5)은, 발광다이오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하우징(6)의 중앙부에는 제3통기구(1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하우징(8)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제2통기구(11)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은,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전방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후방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측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하고도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은,
프론트 케이스(1);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휀(7)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1), 미들케이스(3), 거울(4), 발광수단(5), PCB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내부하우징(6), 휀(7), 휀(7)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외부하우징(8), 외부하우징(8)의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수단(9)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은 전면부의 거울(4)을 중심으로 하여 전면부에는 그 외측에 프론트 케이스(1)가 구비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의 하단 일측에는 발광수단(5)의 조도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및 휀(7)의 바람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2-1)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들이 상기 버튼부(2),(2-1)를 조작하여 발광수단(5)이나 휀(7)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on/off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의 가장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부(13)가 구비되어 미들 케이스(3)의 걸림홈(14)과 맞물려 결속된다.
미들 케이스(3)는 그 하단 일측에는 발광수단(5)의 조도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및 휀(7)의 바람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2-1)가 수납된다.
미들 케이스(3)의 가장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의 걸림홈(14)이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1)에 구비된 결합돌기부(13)와 맞물려 결속된다.
도 1 , 도 2 및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미들 케이스(3)의 가장 테두리 부분의 전면부분은 안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휘어진 바람가이드(21)가 있는데, 휀(7)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의 바람이 휀(7)을 통하여 바람구멍(20)으로 나올때 나오는 바람을 안쪽을 모아준다.
상기 바람가이드(21)는 휀(7)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나 제2통기구를 통하여 이미용 거울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바람구멍(20)으로 토출될 때 안쪽으로 모아 주여 더욱 효율적으로 바람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거울(4)은 일반적인 거울인데, 거울(4)이라 함은 빛의 반사에 의해 상(像)이 맺히도록 뒷면에 알루미늄이나 은을 입힌 유리판이다. 고대 그레코로만 시대와 유럽의 중세기에 사용된 거울은 청동·주석·은과 같은 금속으로 된 단순한 볼록원판으로, 빛을 반사하기에 아주 좋은 광택면을 가지고 있었다.
16세기 베니스에서는 평평한 유리판의 뒷면에 얇은 금속막을 입히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었는데, 철과 수은의 아말감이 쓰였다.
유리 표면을 은으로 입히는 화학적인 방법은 1835년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발견했으며, 그의 발견으로 현대적 기술의 거울제작이 시작되었다.
현대식 거울은 유리판 뒷면에 있는 얇은 알루미늄이나 은의 막에 화학적 처리를 해서 만들어낸다.
상기 발광수단(5)은 일정한 세기의 조도를 유지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내부 하우징(6)의 광원결속부(16)에 결속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5)은, 냉음극형광램프이다.
상기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는 필라멘트의 가열 없이 저온에서 점등되는 형광등이다. 유리관 양끝에 전극이 있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수은과 아르곤, 네온 등의 혼합 가스가 들어 있으며, 유리관 내부 표면은 형광체가 도포된 일반 형광등과 동일한 구조와 원리를 갖는다.
일반 형광등은 가열에 의해 전자 방출이 시작되는 데 반해 냉음극 형광 램프는 두 전극에 가해진 고전압 전계에 의해 전자 방출이 일어난다. 전자 방출이 시작되면 수은이 여기되어 자외선이 발산되며, 이 자외선이 유리관 벽의 형광체와 충돌하면서 가시 광선을 발산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LCD) 디스플레이의 후면광(Back Light), 팩스, 스캐너, 복사기, 패널 디스플레이, 장식용 광원으로 활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5)은, 외부전극형광램프이다.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는 일반 형광등과 달리 전극이 램프 외부에 있고, 전극에 가해진 전계에 의해서 램프 내에 플라즈마 방전을 유도하여 빛을 내는 방식으로, 관 자체가 열을 발생하지 않아 방열이 적으며, 수명이 연장된 플라즈마 형광 램프. 구동 시스템은 기존보다 월씬 낮은 1.500V 정도로 여러 개의 램프를 동시에 병렬 구동할 수 있어, 기존의 CCFL 방식에 비하여 전력 소비를 최대 50%까지 절감하며 전극이 외부에 있으므로 램프의 수명도 대폭 연장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수단(5)은, 발광다이오드이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의 한 가지이다. 광 통신 분야에서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갈륨, 비소, 인 등이 사용된다.
내부 하우징(6)은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외형은 반구형으로 형상화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6)의 내부에는 메인 PCB회로기판이 구비되며, 내부 하우징(6)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광수단(5)이 결속되는 다수의 광원 결속부(16)가 구비된다.
상기 광원 결속부(16)은 발광수단(5)이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다수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하우징(6)의 중앙부에는 제3통기구(12)가 구비된다.
상기 제3통기구(12)는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하우징(6)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6)의 내부에 수납된 메인 PCB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용이하도록 형상화되어 구비된다.
상기 휀(7)은 외부 하우징(8)의 내부에 수납되어 구비된다.
외부 하우징(8)의 외형은 반구형으로 형상화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8)의 내부에는 상기 휀(7)이 수납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부하우징(8)의 중앙부에는 제1통기구(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통기구는 외부의 공기를 휀(7)으로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 하우징(8)의 외측 가장자리부분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부(15)는 상기 미들 케이스(2)에 구비된 걸림홈(14)에 결속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8)의 외측 하단부분에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9)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9)은 고정부(9-1)와 지지부(9-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9)은 지지부(9-2)와 고정부(9-1)에 의하여 그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발광거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휀(7)이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통기구(10)를 통하여 휀(7)에 유입되며 휀(7)을 통하여 그 속도가 빨라진 공기는 내부 하우징(6)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1)와 상기 미들 케이스(2)사이에 형성된 바람구멍(20)으로 빠져 나온다.
즉, 이미용 발광거울의 후면 제1통기구(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이미용 발광거울의 전면 프론트 케이스(1)와 미들 케이스(2) 사이에 형성된 바람구멍(20)을 통하여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전면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의 전면부에 앉아서 화장을 하는 사람은 화장을 하는 안면부에 직접적으로 바람을 맞지 않으므로 휀이 가동되어 바람이 불어도 화장을 할 수 있으며, 화장을 하는 동시에 안면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바람이 불어와 그 바람을 이용하여 머리를 손질하거나 건조시킬 수 있으며, 바람이 부는 위치로 안면부를 이동시켜 안면부에 난 땀을 편리하게 식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하우징(8)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제2통기구(11)가 구비된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휀(7)이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이미용 발광거울의 내부로 유입되어 프론트 케이스와(1) 미들 케이스(2) 사이의 바람구멍(20)으로 배출될시에, 제2통기구(11)로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더 효율적으로 바람구멍(20)을 통하여 발광거울의 전면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은, 그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의 조명이 없이도 편리하게 거울을 이용하여 화장이나 머리 손질 등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구비된 휀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동안에 안면부에 흐르는 땀이나, 머리를 말리면서 화장을 하거나 머리 손질 등을 할 수 있게 하여 세밀한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외출을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론트 케이스 2: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
2-1: 휀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
3: 미들케이스 4: 거울
5: 발광수단 6: 내부하우징
7: 휀 8: 외부하우징
9: 지지수단 10:제1통기구
11:제2통기구 12:제3통기구
13:결합돌기 14:걸림홈
15:결합돌기 16:발광수단 결속부

Claims (7)

  1. 이미용 거울에 있어서, 프론트 케이스(1),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 팬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부(2-1), 미들 케이스(3), 거울(4), 발광수단(5), PCB 회로기판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내부하우징(6), 휀(7), 휀(7)이 수납되어 결합되는 외부하우징(8) 및 외부하우징(8)의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수단(9)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5)은 냉음극형광램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5)은 외부전극형광램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5)은 발광다이오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6)의 중앙부에는 제3통기구(12)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8)의 외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2통기구(11)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8)의 외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제2통기구(11)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KR2020100011599U 2010-11-11 2010-11-11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KR200452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99U KR200452840Y1 (ko) 2010-11-11 2010-11-11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99U KR200452840Y1 (ko) 2010-11-11 2010-11-11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840Y1 true KR200452840Y1 (ko) 2011-03-21

Family

ID=4424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99U KR200452840Y1 (ko) 2010-11-11 2010-11-11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4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151B1 (ko) * 2017-07-14 2017-12-28 김회동 팬이 장착된 발광용 화장 거울
KR20180000346U (ko) * 2017-12-13 2018-02-02 선전 자이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채광 휴대용 선풍기
KR20180114269A (ko) * 2017-04-07 2018-10-18 (주)빛과소리 장식용 조명거울
KR20190003904A (ko) 2017-06-30 2019-01-10 안남진 미용 거울
KR20190000623U (ko) * 2017-08-31 2019-03-08 원저우 프리테크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송풍 기능을 가지는 거울
KR20190002010U (ko) * 2019-04-18 2019-08-07 한대익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WO2019151777A1 (ko) * 2018-01-30 2019-08-08 한가현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US11872938B2 (en) * 2017-02-23 2024-01-16 Munchkin, Inc. Mirror with integrated fa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998U (ko) 1976-03-08 1977-09-12
KR950009251U (ko) * 1993-09-16 1995-04-19 거울 및 사물꽂이가 형성된 선풍기
JP2004201709A (ja) 2002-12-20 2004-07-22 Toshiba Corp 化粧用鏡
US20100073792A1 (en) 2008-09-25 2010-03-25 Lisa Limjoco Make-up Mirror with Airflow Compon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9998U (ko) 1976-03-08 1977-09-12
KR950009251U (ko) * 1993-09-16 1995-04-19 거울 및 사물꽂이가 형성된 선풍기
JP2004201709A (ja) 2002-12-20 2004-07-22 Toshiba Corp 化粧用鏡
US20100073792A1 (en) 2008-09-25 2010-03-25 Lisa Limjoco Make-up Mirror with Airflow Component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2938B2 (en) * 2017-02-23 2024-01-16 Munchkin, Inc. Mirror with integrated fan
KR101953178B1 (ko) 2017-04-07 2019-05-20 (주)빛과소리 장식용 조명거울
KR20180114269A (ko) * 2017-04-07 2018-10-18 (주)빛과소리 장식용 조명거울
KR20190003904A (ko) 2017-06-30 2019-01-10 안남진 미용 거울
KR101952271B1 (ko) * 2017-06-30 2019-02-27 안남진 미용 거울
KR101802151B1 (ko) * 2017-07-14 2017-12-28 김회동 팬이 장착된 발광용 화장 거울
KR20190000623U (ko) * 2017-08-31 2019-03-08 원저우 프리테크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송풍 기능을 가지는 거울
KR200491902Y1 (ko) * 2017-08-31 2020-06-29 원저우 프리테크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송풍 기능을 가지는 거울
KR200490767Y1 (ko) 2017-12-13 2020-02-20 선전 자이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채광 휴대용 선풍기
KR20180000346U (ko) * 2017-12-13 2018-02-02 선전 자이완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채광 휴대용 선풍기
WO2019151777A1 (ko) * 2018-01-30 2019-08-08 한가현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20190002010U (ko) * 2019-04-18 2019-08-07 한대익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200493077Y1 (ko) 2019-04-18 2021-01-27 주식회사 에이투나인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송풍 장치 및 휴대용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840Y1 (ko) 휀이 구비된 이미용 발광거울
JP4773579B1 (ja) 照明付き鏡およびそれを備えたスタンド
WO2017214888A1 (zh) 一种led面板灯
KR20180126725A (ko)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101147292B1 (ko) 평판형 엘이디 등기구 조립체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CN215294749U (zh) 一种橱柜灯具及其橱柜
US20120286306A1 (en) Diffusely radiating led light system
CN211399415U (zh) 一种多功能小夜灯
JP6156796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制御方法
WO2012018277A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7132273U (zh) 配光元件、光学元件、光源模组和照明装置
TW202104793A (zh) 照明器具
CN207196214U (zh) 用于店面照明的灯具
RU78000U1 (ru) Светонаправляющ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CN211011045U (zh) 一种漫反射led面板灯
CN208237515U (zh) 高散热性照明灯具
CN220728026U (zh) 一种防眩光的led灯具
KR20120133929A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등
TWM423188U (en) Easy assembly/disassembly flat lighting device
TWM411840U (en) Cosmetic light device with heat dissipation features
CN210532248U (zh) 一种出光颜色可调的led灯具
CN209926165U (zh) 一种led面板灯
JP2013197007A (ja) Led照明用光学モジュール及び照明用光学モジュールを用いた局部照明灯具
CN211024243U (zh) 杀菌模组和浴室杀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