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39Y1 -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 Google Patents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39Y1
KR200452839Y1 KR2020090006001U KR20090006001U KR200452839Y1 KR 200452839 Y1 KR200452839 Y1 KR 200452839Y1 KR 2020090006001 U KR2020090006001 U KR 2020090006001U KR 20090006001 U KR20090006001 U KR 20090006001U KR 200452839 Y1 KR200452839 Y1 KR 200452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ilot
seat
military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538U (ko
Inventor
염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스타
Priority to KR2020090006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3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89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specially adapted for pi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19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with energy absorb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mitigating impact loads for passenger seats, e.g. at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6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110)이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공간부(122)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140)가 형성된 등받이 패드(1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높게 형성된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120)와, 상기 등받이 쿠션부(1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40)를 통해 상기 공간부(122)로 들어온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통공(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국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는 군용기 조종사 생환좌석용 착탈식 방석을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가예산을 줄일 수 있고, 외국의 제품보다 기능이 뛰어나면서도 제조 및 구입 비용이 싸고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해 전립선 부위의 압박 방지 및 혈액순환 장애를 제거할 수 있고, 엉덩이와 양 허벅지 사이의 사타구니에 원활한 통풍으로 낭습증, 질 질환을 예방하며, 냄새 및 습기를 분산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항공기, 조종사, 좌석, 개인 구명팩, 패드, 등받이, 방석

Description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A Pad for Returning Alive of Military Aircraft Pilot}
본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조종사의 방석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조종사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비행시 진동과 착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투기 또는 훈련기 중 외국에서 수입되는 좌석 또는 항공기는 서양인의 체형으로 제작되어 동양 조종사가 좌석에 앉았을 때 허리부분이 좌석과 맞지 않아 장시간 비행 후 요통을 호소하는 조종사가 많다. 이 때문에, 조종사들은 요통을 해소하기 위해 비행 전에 개인적으로 구입한 쿠션을 허리 뒤에 받치고 비행을 하지만, 급격한 선회기동 등으로 허리 쿠션이 자리를 이탈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조종사는 떨어진 쿠션을 찾거나 줍는 행위들로 비행을 위태롭게 하는 경우가 있으며, FOD(이물질에 의한 충격으로 오는 기기손상)가 되는 경우가 잦다.
특히, 장시간 비행시 긴장한 상태로 좁은 공간에서 움직이지 못하다보니 조 종사의 등에 많은 땀이 생겨나 등받이 패드 및 방석 패드를 땀에 젖게 만들며, 다음 비행을 위해 다른 조종사가 동 기체의 좌석에 앉았을 때는 전 조종사의 땀냄새로 심한 악취상태에 놓이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는 일반 메모리 폼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풍이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조종사의 몸에서 나온 땀을 그대로 흡수한 채로 배출을 전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드의 내부재질이 재활용 스폰지 또는 일반형 메모리 폼을 이용한 제품으로 쉽게 찢어지거나 쿠션이 약해져서 수시로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용하고 하고 있는 군용기의 개인 구명 팩 방석은 거의 다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외국 제작사에서 개인 구명팩을 세트(SET: 개인 구명 팩과 방석)로 판매하기 때문에 새 방석 1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세트(SET)자체를 고단가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국 제작사가 발주 후 제작하는 시스템으로 국내 항공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수년전에 미리 구매를 신청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국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는 군용기 조종사 생환좌석용 패드를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가예산을 줄이고, 외국의 제품보다 기능이 뛰어나면서도 제조 및 구입 비용이 싸고 저렴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 구명 팩 패드에서 오는 편안함과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한 전립선 부위의 압박 방지 및 혈액순환 장애를 제거할 수 있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 구명 팩 패드에 한개 또는 복수 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조종사가 좌석에 착석 시, 전립선 부위의 압박을 방지하여 혈액순환 장애를 예방하고, 등과 엉덩이 및 양 허벅지 사이의 사타구니에 원활한 통풍으로 낭습증, 질 질환을 예방하며, 냄새 및 습기를 분산할 수 있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패드의 내부재질을 통기성 에어 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을 사용하여 항공기 이착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패드의 후면에 밸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패드가 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패드의 외부재질을 비활성 천 및 방염처리 된 천을 사용하여 사고시 항공기 화재를 예방 할 수 있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 구명 팩 패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110)이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공간부(122)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140)가 형성된 등받이 패드(1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높게 형성된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120); 및 상기 등받이 쿠션부(1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40)를 통해 상기 공간부(122)로 들어온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통공(130);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210)이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물질(222)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 패드(2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높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물질(22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220); 및 상기 등받이 쿠션부(2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230);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삭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공간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320)가 형성된 방석 패드(3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엉덩이 부분에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방석 쿠션부(312); 및 상기 방석 쿠션부(312)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320)를 통해 상기 공간부로 들어온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통공(303);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내부에 탄성물질이 형성된 방석 패드(4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엉덩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탄성물질이 형성된 1개 이상의 방석 쿠션부(412); 및 상기 방석 쿠션부(412)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403);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고안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 라텍스 폼, 젤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고안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고안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후면에는: 낙하산 하네스를 끼워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에 똑딱단추 또는 밸크로테이프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고안은,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물질은: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국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는 군용기 조종사 생환좌석용 패드를 국내에서 생산하여 국가예산을 줄일 수 있고, 외국의 제품보다 기능이 뛰어나면서도 제조 및 구입 비용이 싸고 저렴한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항공기 조종사의 패드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조종사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비행시 진동과 이착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개인 구명팩 패드에 한개 또는 복수 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공기 순환이 자유롭게 되도록 함으로서, 등과 엉덩이 그리고 항문과 음낭 사이의 회음부 통풍으로 남성의 전립선과 여성의 질 질환 예방, 혈액순환장애 및 피부병 예방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안락감이 좋고 밀착에 의한 통증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각종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게다가, 개인 구명팩 패드의 내부재질에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 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을 이용하여 항공기 이착륙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조종사의 요통을 방지할 수 있고,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리 폼과 통기구멍을 통해 통기성이 뛰어나며, 사람의 체취를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라텍스 폼은 접촉면을 넓게하여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신체의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젤은 조종사가 앉았던 자리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좌석의 안락함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개인 구명 팩 패드의 내부 재질을 통기성 에어 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영하 30℃~영상 40℃ 사이의 온도 변화에서도 고유의 특성(점성)을 잃지 않고 제 역할을 다하며, 장시간 사용시간에도 자체성질을 유지하고 충격흡수가 좋으며 복원력이 뛰어나고 접촉면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신체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고, 조종사의 오랜 비행에서 발생하는 땀냄새를 흡수, 분산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구명팩 패드의 외부 재질를 비활성 천을 사용하거나 방염 처리된 천을 사용하여 항공기 사고 시 화재로부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대형 화재로의 확대와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기존 규격을 충실히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항공기 좌석에 장착되는 패드에 밸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패드가 좌석에서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조종석 내의 FOD(이물질에 의한 충격으로 오는 손상)를 예방하고, 요추받침 작용을 장시간 할 수 있어 조종사의 요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의 뒷면에 낙하산의 하네스가 통과하여 옆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연결구와 똑딱단추를 형성하여 낙하산의 하네스가 연결구 안쪽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낙하산 하네스를 쉽게 장탈착 하기 위해서 연결구에 밸크로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패드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항공기 좌석(1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구명 팩(20), 개인 구명 팩 방석(30),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40), 등받이 패드(50), 방석 패드(60) 등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은 항공기 좌석(10)내에 장착되어진 상기 등받이 패드(50)와 방석 패 드(60)의 형상을 개선하고 재질를 바꿔 각종 악취와 요통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등받이 패드(50)는 조종사의 등을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되며, 어깨 근처에 낙하산 하네스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40)이 두가닥으로 나뉜 형태로 형성되며, 조종사 허리부분에 밸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등받이 패드(5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방석 패드(60)는 조종사의 엉덩이를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되며, 하부에 밸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방석 패드(6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등받이 패드(50) 및 상기 방석 패드(6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100)의 제 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110)이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측면에 공기주입구(140)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120)와, 상기 등받이 쿠션부(1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복수 개의 통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30)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공간부(122)와 분리되어 형성된 분리막(1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120)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123)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 패드(10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등받이 패드(1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도 5와 같이, 낙하산 하네스를 끼워 연결하는 연결구(1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152)에 똑딱단추(151) 또는 밸크로테이프(153)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200)의 제 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210)이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물질(22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물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220)와, 상기 등받이 쿠션부(2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복수 개의 통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30)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탄성물질(222)과 분리되어 형성된 분리막(2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220)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 패드(20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등받이 패드(2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도 5와 같이, 낙하산 하네스를 끼워 연결하는 연결구(1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152)에 똑딱단추(151) 또는 밸크로테이프(153)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등받이 패드(200)의 몸체와 상기 탄성물질(222)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100)(200)의 후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100)(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패드(100)(200)의 후면에 연결구(152)를 형성하여 낙하산 하네스를 통과할 수 있게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152)에 똑딱단추(151) 또는 밸크로테이프(153)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를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등받이 패드는 일반 메모리 폼으로 되어있어 원활한 통풍이 되지 않 아 땀냄새로 인한 악취가 나고, 조종사에 의해 하중을 받았던 곳이 쉽게 복원되지 않으며, 쉽게 찢어지는 일이 자주 생겼으나, 본 고안의 등받이 패드(100)(20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냄새 및 습기를 분산시키고 외부공기를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 패드(100)(200)의 후면에 밸크로테이프(153)를 부착하여 조종사의 허리쿠션이 좌석에서 이탈되지 않고 요추를 받쳐주어 요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커버를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 된 천을 사용함으로써 항공기 화재 사고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제 1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300)의 제 1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에 공기주입구(320)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엉덩이 부분에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방석 쿠션부(310~312)와, 상기 방석 쿠션부(310~312)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복수 개의 통공(30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03)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공간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분리막(도 3 및 도 4 참조)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석 패드(30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방석 패드(3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도 8과 같이, 낙하산 하네스를 끼워 연결하는 연결구(3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333)에 똑딱단추(332) 또는 밸크로테이프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400)의 제 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탄성물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엉덩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탄성물질이 형성된 1개 이상의 방석 쿠션부(410~412)와, 상기 방석 쿠션부(410~412)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복수 개의 통공(40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403)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탄성물질과 분리되어 형성된 분리막(도 3 및 도 4 참조)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석 패드(40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방석 패드(4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도 8과 같이, 낙하산 하네스를 끼워 연결하는 연결구(3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333)에 똑딱단추(332) 또는 밸크로테이프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방석 패드(400)의 몸체와 상기 탄성물질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후면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후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300)(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석 패드(300)(400)의 후면에 연결구(333)를 형성하여 낙하산 하네스를 통과할 수 있게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333)에 똑딱단추(332) 또는 밸크로테이프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를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방석 패드는 일반 메모리 폼으로 되어있어 원활한 통풍이 되지 않아 땀냄새로 인한 악취가 나고, 조종사에 의해 하중을 받았던 곳이 쉽게 복원되지 않으며, 쉽게 찢어지는 일이 자주 생겼으나, 본 고안의 방석 패드(300)(400)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냄새 및 습기를 분산시키고 외부공기를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석 패드(300)(400)의 후면에 밸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조종사의 허리쿠션이 좌석에서 이탈되지 않고 요추를 받쳐주어 요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석 패드(300)(400)는 패드 커버를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 된 천을 사용함으로써 항공기 화재 사고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수송기를 제외한 전투기 및 훈련기의 조종석 내부(항공기좌석)는 조종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고정된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비행시 기체에서 올 수 있는 큰 진동부터 작은 진동까지 신체적으로 감수 할 수밖에 없는 실정으로서 장기간의 사용시간과 인체적 신진대사활동에 의한 땀 분비는 물론 몸으로 전해져오는 진동으로 인한 요통과 장시간 비행에서 오는 남성의 고환압박으로 전립선을 가압함에 따라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는 평면구조의 재활용 스폰지 또는 일반형 메모리폼으로 제작되어 있어 영하의 온도에서 밀도가 강해져 딱딱하게 변화하면서 점성을 거의 잃어버리고, 영상의 온도(20℃~40℃)에서는 반대 현상으로 밀도가 약해져 메모리 폼 고유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며, 셀 구조가 막혀 있어 조종사의 사타구니에 원활한 통풍이 되지 않아 낭습증, 질 질환, 엉덩이 땀띠, 요통, 악취 등이 생겼다.
하지만, 본 고안의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고급형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또는 젤 타입으로 제작된 후 복수 개의 통공이 상부 및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 및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여, 온도 변화에서도 고유의 특성인 점성을 잃지 않고, 냄새 및 습기를 분산시킬 수 있어 방석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 생환좌석용 패드는 개인 구명팩 패드에서 오는 편안함과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해 등과 엉덩이 그리고 전립선 부위의 압박 방지 및 혈액순환 장애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 뿐 아니라 모든 좌석의 등받이 또는 방석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등받이 패드의 후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방석 패드의 후면을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항공기 좌석 20 : 개인 구명 팩
30 : 개인 구명 팩 방석 40 : 낙하산 하네스
50 : 등받이 패드 60 : 방석 패드
100 : 등받이 패드 110 :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
120 : 등받이 쿠션부 121 : 분리막
122 : 공간부 123 : 가장자리부
130 : 통공 140 : 공기 주입구
151 : 똑딱단추 152 : 연결구
153 : 밸크로테이프
200 : 등받이 패드 210 :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
220 : 등받이 쿠션부 221 : 분리막
222 : 탄성물질 223 : 가장자리부
230 : 통공 300 : 방석 패드
301 : 상면 302 : 허벅지부
303 : 통공
310, 311, 312 : 방석 쿠션부 320 : 공기주입구
331 : 방석 패드 332 : 똑딱단추
333 : 연결구
400 : 방석 패드 401 : 상면
402 : 허벅지부 403 : 통공
410, 411, 412 : 방석 쿠션부

Claims (8)

  1.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110)이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공간부(122)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140)가 형성된 등받이 패드(1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높게 형성된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120); 및
    상기 등받이 쿠션부(1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40)를 통해 상기 공간부(122)로 들어온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통공(130);
    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2.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상부 양쪽에 낙하산 하네스 고정끈(210)이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물질(222)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 패드(2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등받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되,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높이와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높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탄성물질(22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등받이 쿠션부(220); 및
    상기 등받이 쿠션부(220)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230);
    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3.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공간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320)가 형성된 방석 패드(3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엉덩이 부분에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방석 쿠션부(312); 및
    상기 방석 쿠션부(312)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320)를 통해 상기 공간부로 들어온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통공(303);
    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4.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에 있어서,
    내부에 탄성물질이 형성된 방석 패드(400)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엉덩이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탄성물질이 형성된 1개 이상의 방석 쿠션부(412); 및
    상기 방석 쿠션부(412) 사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403);
    을 포함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 라텍스 폼, 젤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비활성 천 또는 방염처리된 천으로 구성된 패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후면에는:
    낙하산 하네스를 끼워 연결하는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에 똑딱단추 또는 밸크로테이프를 장착하여 상기 낙하산 하네스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8.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물질은:
    통기성 에어셀 구조의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 폼 또는 젤타입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KR2020090006001U 2009-05-19 2009-05-19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KR200452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01U KR200452839Y1 (ko) 2009-05-19 2009-05-19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01U KR200452839Y1 (ko) 2009-05-19 2009-05-19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38U KR20100011538U (ko) 2010-11-29
KR200452839Y1 true KR200452839Y1 (ko) 2011-03-21

Family

ID=4420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001U KR200452839Y1 (ko) 2009-05-19 2009-05-19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041B1 (ko) * 2019-06-27 2020-03-30 주식회사 페러글라이딩랜드 패러글라이더용 하네스
CN113815866A (zh) * 2021-11-01 2021-12-21 吴珍桂 一种飞机上的安全座椅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07Y1 (ko) * 2005-09-23 2005-12-22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200432191Y1 (ko) * 2006-08-28 2006-11-30 이대홍 통기공을 갖는 탄성 패드를 이용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407Y1 (ko) * 2005-09-23 2005-12-22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200432191Y1 (ko) * 2006-08-28 2006-11-30 이대홍 통기공을 갖는 탄성 패드를 이용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38U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82B1 (en) Headrest for head and neck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KR101493031B1 (ko) 힙 시트 캐리어
JP2015107744A (ja) 通気性シート
US6775851B1 (en) Structure of chest protector
KR200452839Y1 (ko) 군용기 조종사의 생환좌석용 패드
US9185945B2 (en) Neck collar
KR20170105908A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JP6778437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US20050234380A1 (en) Proection pad for the trochantheric region and device comprising the pad
KR20120005765U (ko) 기능성 방석
KR200452632Y1 (ko) 군용기 조종사 생환좌석용 착탈식 방석
KR102260087B1 (ko) 체중분산과 냉각 및 통기성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방석
CN210027140U (zh) 一种散热透气汽车坐垫
CN105768502A (zh) 一种减负书包
CN218558647U (zh) 护脊靠背及儿童安全座椅
KR101828820B1 (ko) 하중분산형 하네스
CN211195950U (zh) 一种新型汽车坐垫
CN212185254U (zh) 一种儿童防护口罩
CN217294334U (zh) 一种护脊垫及儿童安全座椅
CN219661327U (zh) 一种婴儿用防护背带
CN210390872U (zh) 具有网层的汽车椅
CN219467590U (zh) 安全座椅内衬垫及安全座椅
US9321624B2 (en) Saddle pad, in particular for use as a pad for a western saddle
CN210130997U (zh) 一种按摩眼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