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96Y1 -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 Google Patents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96Y1
KR200452496Y1 KR2020080014547U KR20080014547U KR200452496Y1 KR 200452496 Y1 KR200452496 Y1 KR 200452496Y1 KR 2020080014547 U KR2020080014547 U KR 2020080014547U KR 20080014547 U KR20080014547 U KR 20080014547U KR 200452496 Y1 KR200452496 Y1 KR 200452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target
tube
inclination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793U (ko
Inventor
오창환
변희완
왕용길
이종은
이재훈
이번택
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20080014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에 대한 정밀한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관에 렌즈부를 형성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소정 배율로 확대하여 겨냥하는 조정관부와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영점이 맞춰지며 상기 조정관부가 상기 목표물을 겨냥하는 방향에 따라 기울어지는 경사도를 표시하는 틸트기 본체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는 조정관부를 통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정확이 겨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물에 대한 경사도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조정관, 틸트기, 렌즈, 경사도

Description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TILT APPARATUS OF HAVING S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인빌딩서비스를 위해 시설되는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고려하여 정밀한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틸트기는 두 지점간의 경사도(이하, 각도, 경사 각도와 동일한 의미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아나로그 틸트기와 디지털 틸트기로 구분된다.
아나로그 틸트기는 중심축으로부터 방사형 눈금이 형성되고, 단부에 무게추를 가지는 바늘이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어 항시 바늘이 12시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아나로그 틸트기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는 0도로 영점이 맞춰지며 아나로그 틸트기가 기울어지는 상태에 따라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눈금으로 경사도를 측정한다.
디지털 틸트기는 내부에 각도 센서가 구비되어 디지털 틸트기가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 측정되는 각도를 전기적으로 측정하여 외부로 표출한다. 디지털 틸트기는 아나로그 틸기에 비해 비교적 정밀한 단위(예; 0.1도)의 측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1을 통하여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반적인 틸트기를 이용한 경사도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틸트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평평한 지표면(20)상에 있는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물(30)을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의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면상에 틸트기(10)를 위치시킨다. 그러면, 틸트기(100)는 자신이 경사면에 따라 기울어진 경사도를 표출한다. 이 때, 상기 경사면상에 틸트기(10)가 물리적으로 평행하게 접촉되므로 비교적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를 통하여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틸트기(10)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원거리에 위치한 두 점간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틸트기를 이용한 원거리의 점대점(Point to Point) 간의 경사도 측정방법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사업자는 인빌딩서비스를 위한 안테나(Antenna) 설치시 안테나의 방사각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안테나의 틸트를 측정한다. 즉, 고층빌딩을 커버하는 지향성 안테나의 경우 방사패턴에 따른 전파의 각도가 한정되므로 상층 혹은 하층 지역에 전파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음역지역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사업자는 인빌딩서비스를 위한 안테나 시설시 미리 안테나의 틸트를 고려하여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2의 경우 빌딩의 A 지점(이하, "A"라 표기함)과 B 지점(이하, "B"라 표기함)간의 경사 각도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자가 틸트기(10)를 이용하여 A 에서 B로 혹은 B에서 A로 각각 해당 원거리의 목표점을 겨냥하여 경사도를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때, 도 1과 같이 경사면과 틸트기(10)와의 저촉이 없으므로 그 측정 값이 측정자의 측정방식 및 숙련도에 따라 다른 오차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목표물을 정확하게 겨냥하지 못하므로 A로부터 B를 목표점으로 한 측정값 θ와 B로부터 A를 목표점으로 한 측정값 θ'가 서로 다른 오차가 발생하며, 그로 인해 효과적인 인빌딩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여 고객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에 대한 정밀한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관에 렌즈부를 형성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소정 배율로 확대하여 겨냥하는 조정관부; 및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영점이 맞춰지며 상기 조정관부가 상기 목표물을 겨냥하는 방향에 따라 기울어지는 경사도를 표시하는 틸트기 본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는 조정관부를 통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정확이 겨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물에 대한 경사도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거리에 있는 관측자와 목표물간의 경사도 측정 값에 대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틸트기의 용도에 따라 조정관이 장착 혹은 탈착되므로 틸트기의 활용도와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 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100)는 조정관부(110)와 틸트기 본체(120)를 포함한다.
조정관부(1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조정관(111)에 렌즈부(112)를 형성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소정 배율로 확대함으로써 정확하게 겨냥하는 역할을 하며, 조정관(111)의 외부를 감싸는 마운트부(113)가 구비되어 틸트기 본체(120)의 상부에 고정된다.
렌즈부(112)는 유리 혹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조정관(111)의 양측 단부와 구멍 내에 결합된다. 이 때, 렌즈부(112)는 둘 이상의 렌즈가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의 규격 및 배열에 따라 목표물을 확대할 수 있는 배율이 결정된다. 그리고, 렌즈부(112)의 일부 유리 혹은 렌즈의 표면에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십자형태의 중심선(표적선)이 표시되어 목표물을 정확히 겨냥할 수 있도록 한다.
마운트부(113)는 조정관(111)이 틸트기 본체(120)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고정결합 하는 역할을 한다.
틸트기 본체(120)는 내부에 구비된 각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경사도를 표출하는 역할을 하며, 표시부(121), 조작부(122) 및 스피커부(123)를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상기 측정된 경사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조작부(122)는 틸트기 본체(120)의 전원 공급 및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포함한다.
스피커부(123)는 상기 측정된 경사도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틸트기 본체(120)의 구동에 따른 기능 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100)를 상기 도 2에 적용하면, 관측자가 안테나가 설치되는 B 지점에서 목표물인 빌딩의 A 지점을 조정관부(110)를 통하여 겨냥한다. 이 때 조정관부(110)는 렌즈부(112)를 통해 확대된 목표물을 관측자에게 보여준다. 관측자는 렌즈부(112)를 통해 표시되는 중심선(표적선)을 통해 A 지점을 겨냥하고, 조작부(122)를 통해 상기 겨냥된 A 지점간의 측정된 경사도 값이 입력되면 측정된 경사도 값이 표시부(121) 및 스피커부(123)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런 다음, 관측자는 상기 측정된 경사도 값과 안테나의 방사각도를 토대로 안테나의 지향방향 혹은 안테나의 시설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100)는 조정관부(110)를 통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정확이 겨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도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원거리에 있는 관측자와 목표물간의 경사도 측정 값에 대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형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100')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형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의 조장관부 탈착 및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형 고정관이 구비된 틸트기(100')는 상기 도 3의 구조와 유사하며, 조정관부(110)가 틸트기 본체(120)에 장착 혹은 탈착 되는 것만 다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형 고정관이 구비된 틸트기(100')는 조정관부(110)의 마운트부(113)하측에 다수의 결합돌기(114)가 형성되고, 틸트기 본체(120)의 상부에 다수의 결합돌기(114)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의 결합돌기(114)가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홈(1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여 첨부된 도 5와 같이 장착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틸트기로 사용하는 경우 조정관부(110)가 탈착된 상태로 사용하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원거리에 있는 점대점 간의 경사도를 측정할 경우 조정관부(110)가 장착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그 활용도와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틸트기 본체(120)를 디지털 틸트기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나로그 틸트기 본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정관(111)의 단부에 연결되는 후드를 더 구비하거나, 렌즈부(112)에 햇빛을 반사시키는 코팅처리를 함으로써 태양광으로부터 관측자의 눈을 보호하는 한편, 관측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틸트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틸트기를 이용한 원거리의 점대점(Point to Point) 간의 경사도 측정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중심선(표적선)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형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의 조장관부 탈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형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의 조장관부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8)

  1.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관에 렌즈부를 형성하여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소정 배율로 확대하여 겨냥하는 조정관부; 및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영점이 맞춰지며 상기 조정관부가 상기 목표물을 겨냥하는 방향에 따라 기울어지는 경사도를 표시하는 틸트기 본체
    를 포함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목표물을 확대하는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관은 상기 렌즈의 중심을 십자형태로 교차하는 중심선을 통해 상기 목표물의 특정 목표점을 겨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부는,
    상기 조정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고 상기 조정관을 상기 틸트기 본체의 상부에 평행하게 장착하는 마운트부를 더 포함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하부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틸트기 본체의 상부에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가 각각 대응하는 상기 다수의 결합 홈에 결합 혹은 결합 해제함으로써 조정관부를 장착 혹은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햇빛으로부터 관측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에 햇빛을 반사시키는 코팅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기 본체는,
    내부에 각도 센서가 구비되어 본체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측정되는 경사도를 전기적으로 측정하여 외부로 표출하는 디지털 틸트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틸트기는,
    상기 측정되는 경사도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측정되는 경사도를 외부에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전원공급 기능, 측정제어 기능, 출력제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은,
    인빌딩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지국 안테나의 틸트를 설정하기 위한 빌딩의 특정 목표점 혹은 상기 기지국 안테나의 특정 목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KR2020080014547U 2008-10-30 2008-10-30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KR200452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47U KR200452496Y1 (ko) 2008-10-30 2008-10-30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47U KR200452496Y1 (ko) 2008-10-30 2008-10-30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93U KR20100004793U (ko) 2010-05-11
KR200452496Y1 true KR200452496Y1 (ko) 2011-03-03

Family

ID=4424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47U KR200452496Y1 (ko) 2008-10-30 2008-10-30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11B1 (ko) * 2018-02-14 2021-09-07 (주)다스 방향 및 수평 레벨 탐지 표시용 전자 탐지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354A (ja) * 1993-03-12 1994-09-20 Ricoh Co Ltd 傾斜計
JP2000266542A (ja) 1999-03-18 2000-09-29 Stanley Electric Co Ltd 光学式傾斜センサ
JP2005345326A (ja) 2004-06-04 2005-12-15 Opcell Co Ltd 傾き測定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354A (ja) * 1993-03-12 1994-09-20 Ricoh Co Ltd 傾斜計
JP2000266542A (ja) 1999-03-18 2000-09-29 Stanley Electric Co Ltd 光学式傾斜センサ
JP2005345326A (ja) 2004-06-04 2005-12-15 Opcell Co Ltd 傾き測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93U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1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th alignment of directional antennas
US10739449B2 (en) Laser track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s
US20140307252A1 (en) Surveying device
JP6169339B2 (ja) 形状計測方法及び装置
US10816665B2 (en) Surveying system
CN104048620B (zh) 一种射电望远镜天线面形绝对定标装置和方法
CN102168990A (zh) 惯性定向设备的高精度检测标定装置及其检测标定方法
CN105674966A (zh) 激光发射装置
CN106052570A (zh) 一种纳米位移台六自由度校准装置
JP2010216679A (ja) 光軸校正装置
KR200452496Y1 (ko) 조정관이 구비된 틸트기
CN201193960Y (zh) 带对准装置的光学校准器
KR101604106B1 (ko) 광파 측량기 타겟 거치대
CN109974678A (zh) 一种超高精度水平线标定装置
CN103076000B (zh) 三维测距仪
RU2507495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оптико-электронных систем в рабочем диапазоне температур
CN201955098U (zh) 惯性定向设备的高精度检测标定装置
JP4536096B2 (ja) アンテナ装置
CN107677456B (zh) 一种望远镜光轴稳定性检测方法
CN108344427B (zh) 一种星敏感器的俯仰反射镜的检校方法及检校机构
CN205581292U (zh) 一种雷达天线校靶装置
CN110313238B (zh) 基于陀螺寻北仪的飞机惯性导航装置安装方位调校方法
CN106705941A (zh) 双目视觉导航装置
CN105403168A (zh) 低温面形摄影测量方法
CN111174751A (zh) 一种便携式天线光电测向测姿仪及其调整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