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318Y1 -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 Google Patents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318Y1
KR200452318Y1 KR2020100006484U KR20100006484U KR200452318Y1 KR 200452318 Y1 KR200452318 Y1 KR 200452318Y1 KR 2020100006484 U KR2020100006484 U KR 2020100006484U KR 20100006484 U KR20100006484 U KR 20100006484U KR 200452318 Y1 KR200452318 Y1 KR 200452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meter box
cover
freez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희
전민수
황준수
Original Assignee
조광희
황준수
전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희, 황준수, 전민수 filed Critical 조광희
Priority to KR2020100006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기존 상수도 계량기함의 덮개 내측에 동파 방지를 위하여 단열재와 보호판을 설치함과 함께 전원이 인가되도록 발열체를 설치하여 겨울철 동파로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덮개(1)내측에 단열재(3)가 설치되어 있어 덮개(1)외측의 겨울철 냉기로부터 차단시켜 주므로 덮개(1)내측의 계량함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3) 하단에 온도센서(5)를 가진 발열체(6)가 설치되어 있어 겨울철 온도를 감지하다가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므로 발열체(6)로부터 열이 발생되어 상수도 계량기함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A waterworks a weighing machine for a freeze and burst prevention}
본 고안은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계량기함의 덮개 내측에 동파 방지를 위하여 단열재와 보호판을 설치함과 함께 전원이 인가되도록 발열체를 설치하여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계량기함은 가옥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건물의 벽 외부에 매립 설치하거나 또는 땅속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대부분의 건물에 이러한 계량기함이 가옥의 바깥쪽에 설치되므로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동파되기 쉬운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계량기함의 동파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헌옷이나 스티로폼을 계량기함에 넣거나 수도관에 전기가 통하도록 동선을 두르고 또는 가끔 뜨거운 물을 부어주기도 하나, 이와 같은 재래식 방법은 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계량기함의 동파를 사전에 방지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동파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도 막대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상수도 계량기함의 덮개를 제거하고 발열체와 단열재가 포함된 개선된 덮개를 설치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자동적으로 발열체로부터 열이 발생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는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열체는 면상 혹은 선상의 발열체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점검구를 가진 상수도계량기함의 덮개 내측에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 설치되어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발열체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존 상수도계량기함의 덮개를 제거하고 발열체와 단열재를 가진 덮개를 설치하거나 내부 일 측면에 발열체가 설치된 상수도계량기함을 신축건물에 설치하여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땅속에 설치된 경우에도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체로 하여금 발열을 하도록 하여 겨울철 동파로부터 상수도 계량기함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발열체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 계량기함 덮개의 구성도로, 덮개(1)에 점검구(2)가 형성되고, 덮개(1)내측에 단열재(3)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3)내측에 단열재(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4)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4)의 내측에 점검구(2)아래로 온도센서(5)를 가진 발열체(6)가 설치되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6)는 높이 조절구(7)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상수도계량기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경우는, 기존 상수도계량기함(10)의 덮개를 제거하고 본 고안의 개선된 덮개(1)를 설치하는 경우이다.
즉, 본 고안의 덮개(1)는 도 1과 같이, 덮개(1)내측에 단열재(3)가 설치되어 있어 덮개(1)외측의 겨울철 냉기로부터 차단시켜 주므로 덮개(1)내측의 계량기와 상수도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단열재(3)하단에는 발열체(6)가 설치됨과 함께 온도센서(5)가 설치되어 있어 겨울철 온도를 감지하다가 예를 들어,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므로 발열체(6)로부터 열이 발생되어 계량기와 상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하면 덮개(1)의 내측에 설치된 단열재(3)와 발열체(6)에 의해 겨울철에도 계량기와 상수도관이 동파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발열체(6)는 높이조절구(7)에 의해 설치높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파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상수도계량기함(20)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덮개(11)내측은 물론 상수도계량기함(20)내측으로 단열재(12)가 설치되고, 벽체내부의 단열재(12)내측으로 발열체(13)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는, 건물벽체에 상수도계량기함(20)이 설치되는 경우로, 덮개(11)내측으로 단열재(12)를 설치함과 함께 계량기함(20)내측에 전체적으로 단열재(12)를 설치한다.
또한, 덮개(11)반대쪽의 벽체내부에 설치된 단열재(12)에 발열체(13)가 설치되고 이 발열체(13)에 전원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겨울철에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인가하면 발열체(13)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열을 발생하게 되므로 계량기와 수도배관이 동파되지 않으며 이렇게 발생된 열은 단열재(12)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오랜 시간 지속된다.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는 기존 상수도계량기함이 아닌 새로 건축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단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땅속에 상수도계량기함(30)이 설치되는 경우로 단독주택이나 일반상업용건축물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땅속에 상수도계량기함(30)이 설치되는데 상수도계량기함(30)의 내부에 단열재(31)를 설치하여 열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하고, 도 5와 같이 일측에 설치된 보호판(32)에 단열재(31)를 설치함과 함께 이 단열재(31)내측으로 발열체(33)와 보호판(32)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 3실시예의 경우, 땅속에 상수도계량기함(30)을 설치하고, 이 상수도계량기함(30)내부에 단열재(31)를 설치하므로 열이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단열재(31)내측으로 발열체(33)가 설치됨과 함께 이 발열체(33)에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겨울철에 전원선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체(33)를 통하여 열이 발생되어 계량기함(30)내부를 동파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체(33)는 상수도계량기함의 침수시에도 합선이나 감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1:덮개 2:점검구
3:단열재 4:보호판
5:온도센서 6:발열체
7:높이조절구

Claims (3)

  1. 덮개(1)에 점검구(2)가 형성된 계량기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1)의 내측 또는 계량기를 둘러싸도록 단열재(3)를 설치하되, 상기 단열재(3)내측에 온도센서(5)를 가진 발열체(6) 및 단열재(3)를 포함하는 보호판(4)을 설치함과 함께 높이조절구(7)에 의해 발열체(6)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6484U 2010-06-19 2010-06-19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KR200452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484U KR200452318Y1 (ko) 2010-06-19 2010-06-19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484U KR200452318Y1 (ko) 2010-06-19 2010-06-19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18Y1 true KR200452318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484U KR200452318Y1 (ko) 2010-06-19 2010-06-19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1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08Y1 (ko) * 2001-04-18 2001-10-11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동파방지용 센서부착 및 검침이 용이한 공동주택용수도계량기함
KR20020038308A (ko) * 2000-11-17 2002-05-23 이충전 홀 센서를 구비한 모터
KR20030075194A (ko) * 2001-02-15 2003-09-22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냉동장치
KR200375194Y1 (ko) * 2004-10-25 2005-03-11 박종순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308A (ko) * 2000-11-17 2002-05-23 이충전 홀 센서를 구비한 모터
KR20030075194A (ko) * 2001-02-15 2003-09-22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냉동장치
KR200238308Y1 (ko) * 2001-04-18 2001-10-11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동파방지용 센서부착 및 검침이 용이한 공동주택용수도계량기함
KR200375194Y1 (ko) * 2004-10-25 2005-03-11 박종순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18Y1 (ko)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CN208174033U (zh) 一种地埋式防水散热环网柜
KR101673170B1 (ko)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KR101314342B1 (ko)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KR100978892B1 (ko) 지상개폐기의 결로방지용 차단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208364176U (zh) 一种寒区公路隧道排水沟加热保温防冻设施
CN204440207U (zh) 一种宽工况型电控箱
KR101638785B1 (ko) 동파 방지 밸브 시스템
JP5056343B2 (ja) 発電装置の地下埋設構造
RU145278U1 (ru) Шкаф приборный капсульного типа
KR20140052515A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CN206697880U (zh) 一种高压电缆分接箱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CN107171260A (zh) 一种分接箱
RU89200U1 (ru) Взрывозащищ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апсульного типа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RU1347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вективного нагрева
KR101194229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0584654B1 (ko) 상수도 파이프 동파 방지장치
CN207010196U (zh) 一种高压电缆分支箱
CN209389548U (zh) 一种预装式变电站
CN205670486U (zh) 一种互感器用防水散热型底座
KR200415979Y1 (ko) 수도 계량기 동파 방지 장치
CN205385232U (zh) 户外保温型动力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