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94Y1 -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94Y1
KR200375194Y1 KR20-2004-0030126U KR20040030126U KR200375194Y1 KR 200375194 Y1 KR200375194 Y1 KR 200375194Y1 KR 20040030126 U KR20040030126 U KR 20040030126U KR 200375194 Y1 KR200375194 Y1 KR 200375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water
freeze protection
pow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박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순 filed Critical 박종순
Priority to KR20-2004-0030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장치가 배열되며 피 고정체인 상수도의 관체 요소에 감겨지며 사용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에 있어서, 휨과 접힘이 가능한 박판 형상 또는 코일 형상의 발열체가 배열되며 한 쌍의 벨크로 테잎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발열체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수도의 동파 방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상수도를 연결하는 각 관체에 쉽게 감아서 사용하며, 또 외부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며 상수도관에 대해 열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과잉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Winter dam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pipe}
본 고안은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제시된 상수도의 동파 방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상수도를 연결하는 각 관체에 쉽게 감아서 사용하며, 또 외부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며 상수도관에 대해 열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과잉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상수도는 필요한 물을 모으는 취수시설, 수요지까지 운반하는 송수시설, 수질을 개량하고 정화하는 정수시설, 필요한 수압과 수량으로 시가지로 수송하여 수요자의 거주지 근처까지 배수하는 배수시설, 사용자의 부지 안이나 건물 안의 수도꼭지까지 배관하는 급수장치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모든 장치는 급수량과 급수처에 따라 직경이 다른 관체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배수시설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금속으로 제작된 급수관에 의해 급수를 받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급수관은 지중에 매설되더라도 수요자의 거주지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지상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즉, 급수관은 수돗물의 사용량을 체크하기 위하여 옥외에 있는 수도 계량기를 매개로 실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급수관은 부분적으로 지상으로 노출되거나, 지중에 매립된 계량 박스에 수용된다.
그러나, 급수관은 열 전도율이 양호한 금속재로 제작된 구조에 의해 특히 동절기와 혹한기에는 쉽게 동파되거나 급수관 내부에 잔류된 물이 얼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단열재를 급수관이나 수도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지만, 이러한 구조로는 동절기와 혹한기에 수도관 내부의 물이 얼거나 또는 계량기가 동파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랙시블한 수지로 제작된 열 전도부재의 양단부에 전선을 매입하고 그 전선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수지를 가열하여 수도관이나 급수관 또는 계량기 부근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도 제안되고 있지만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재질의 특성상 수도관이나 급수관 또는 계량기가 연결되는 관체에 감아서 사용하기가 불편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는 외부의 온도와 무관하게 상시 작동되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또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상수도의 동파 방지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수도의 동파 방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수도를 연결하는 각 관체에 쉽게 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며 상수도 관에 대해 열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과잉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장치가 배열되며 피 고정체인 상수도의 관체 요소에 감겨지며 사용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에 있어서, 휨과 접힘이 가능한 박판 형상 또는 코일 형상의 발열체가 배열되며 한 쌍의 벨크로 테잎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발열체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발열체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게재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발열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 표면에 일부 노출되거나 매입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발열체와 그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의 사이에는 외부 또는 상수도 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열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온도 감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용전원을 감압하는 아답터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변형 예는, 상기 아답터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경보음이나 점멸등으로써 인식시키는 경보장치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과잉 전류가 흐를 때 단전되는 휴즈가 장착된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는, 종래의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장치가 배열되며 피 고정체인 상수도의 관체 요소에 감겨진 상태에서 벨크로 테입(12)(12')에 의해 고정된다.
즉, 본 고안이 설치되는 관체는 상수도 관 또는 상수도 또는 수도 계량기와 인접된 관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부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는 보온성이 양호한 직물지로 구비되고 그 본체(10)에는 휨과 접힘이 가능한 박판 형상 또는 코일 형상의 발열체(20)가 배열되며 고정 수단의 기능을 하는 한 쌍의 벨크로 테입(12)(12')이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벨크로 테잎(12)(12')은 본체(10)를 피 고정체에 감은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이지만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른 밴드수단이나 클립 또는 후크장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서도 고정 가능하다.
물론, 상기 발열체(20)는 전원공급부(30)와 전선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발열체(20)와 상기 본체(10)의 사이, 또는 상기 발열체(20)가 매입되도록 단열재(11)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상기 발열체(2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표면에 일부 노출되거나 매입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체(20)는 원통형상의 관체에 감아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접거나 말아도 단선되지 않으면서 전원을 공급받으면 따뜻하게 발열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각종 히터가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발열체(20)와 그 발열체(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의 사이에는 외부 또는 상수도 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열체(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온도 감지수단(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감지수단(40)은 써미스터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감압하는 아답터로 구비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이를 좀더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답터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경보음이나 점멸등으로써 인식시키는 경보장치(31)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과잉 전류가 흐를 때 단전되는 휴즈(32)가 장착된 것이 더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은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동파의 우려가 있는 수도관(또는 상수 도관)의 적당한 곳 또는 계량기와 인접한 곳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수도관의 동파가 시작될 우려가 있는 혹한 기에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수도 계량기 또는 수도꼭지 근처에 감아서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상기한 본체(10)는 그 길이가 규격화 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관체의 조건에 따라 길거나 짧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긴 본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할 경우에는 본체(10)에 배열된 발열체(20) 또는 발열체에 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일부를 절단한 후 다시 그 발열체(20) 또는 전선을 접속한 후 사용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도관 또는 수도 계량기 근처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상용 전원은 전원 공급부(30)를 통하여 공급된 후 감압된 상태에서 발열체(20)를 발열하며 피 고정체에 대해 온기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피 고정체는 발열체(20)의 열을 전도받아 따뜻하게 데워지므로 피 고정체의 내측으로 흐르는 수돗물이 얼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한 온도 감지수단(40)은 상온의 온도, 또는 발열체(20)의 온도를 미리 셋팅하여 상온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영하 10℃에 도달되면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발열체(20)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40℃ 정도 이상의 온도로 발열되면 그 열을 차단하여 발열체(20)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온도 감지수단(40)은 써미스터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수도의 동파 방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상수도를 연결하는 각 관체에 쉽게 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효과도 있다.
또 본 고안은, 외부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며 상수도관에 대해 열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의 과잉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의 a는 본 고안의 제1 구성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구성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일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단열재
12,12';벨크로 테입 20;발열체
30;전원공급부 31;경보장치
32;휴즈 40;온도 감지수단

Claims (6)

  1.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장치가 배열되며 피 고정체인 상수도의 관체요소에 감겨지며 사용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에 있어서,
    휨과 접힘이 가능한 박판 형상 또는 코일 형상의 발열체가 배열되며 한 쌍의 벨크로 테입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발열체와 전선에 의해 연결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 표면에 일부 노출되거나 매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와 그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의 사이에는 외부 또는 상수도 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발열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온도 감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용전원을 감압하는 아답터인 것을 더 포함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경보음이나 점멸등으로써 인식시키는 경보장치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과잉 전류가 흐를 때 단전되는 휴즈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KR20-2004-0030126U 2004-10-25 2004-10-25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KR200375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126U KR200375194Y1 (ko) 2004-10-25 2004-10-25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126U KR200375194Y1 (ko) 2004-10-25 2004-10-25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94Y1 true KR200375194Y1 (ko) 2005-03-11

Family

ID=4367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126U KR200375194Y1 (ko) 2004-10-25 2004-10-25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68B1 (ko) * 2010-02-03 2010-09-03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열선이 내장된 보온관
KR200452318Y1 (ko) * 2010-06-19 2011-02-22 조광희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68B1 (ko) * 2010-02-03 2010-09-03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열선이 내장된 보온관
KR200452318Y1 (ko) * 2010-06-19 2011-02-22 조광희 동파방지용 상수도 계량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1988T3 (es) Conducto calefactable para fluidos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KR100979968B1 (ko) 열선이 내장된 보온관
US7461416B2 (en) Portable spa heater
US20070036528A1 (en) Heated hose electrical cord
KR101754973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온열 커버
CN206802608U (zh) 一种防冻管
JP5313597B2 (ja) 凍結防止ヒーターおよびその凍結防止システム
KR200375194Y1 (ko)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KR200375195Y1 (ko) 상수도관의 동파 방지장치
CN201747964U (zh) 节能直热水龙头
JPH1060959A (ja) ヒータ付配管
JP2010067575A (ja) ヒーター用ケーブルとそれを備えた凍結防止ヒーター
CN202577456U (zh) 一种水管防冻装置
WO2007097482A1 (en) An anti-freezing apparatus for a fluid tube
US99824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frozen pipes
JPH10321356A (ja) 自己制御型コードヒ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KR200277428Y1 (ko) 수도관 동파방지히터
CN209263141U (zh) 一种全智能节能型热水保温系统
CN203099065U (zh) 水管龙头升温器
KR101271231B1 (ko) 상수도 동파 방지 시스템
CN205824466U (zh) 饮用水加热软管
CN220747101U (zh) 一种供水管路防冻装置
CN217680088U (zh) 一种温室外落水管智能防冻装置
JP2935014B2 (ja) 水道管の凍結防止装置
KR200285485Y1 (ko) 수도관 동파방지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