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236Y1 -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 Google Patents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36Y1
KR200452236Y1 KR2020100008844U KR20100008844U KR200452236Y1 KR 200452236 Y1 KR200452236 Y1 KR 200452236Y1 KR 2020100008844 U KR2020100008844 U KR 2020100008844U KR 20100008844 U KR20100008844 U KR 20100008844U KR 200452236 Y1 KR200452236 Y1 KR 200452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tor
emergency vehicle
external power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석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김용택
조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택, 조광석 filed Critical 김용택
Priority to KR2020100008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2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having ejec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발생, 응급상황발생, 출동지시 등과 같은 상황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24시간 온(On)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전원케이블의 수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암커넥터를 구비한 긴급차량에 있어서, 상기 긴급차량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수단, 및 상기 암커넥터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변환수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전진 이동시 상기 암커넥터에 형성된 로드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연결된 수커넥터를 암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전원케이블을 수동으로 이탈시킬 필요가 없이 긴급차량에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외부전원케이블의 커넥터를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함과 함께 바로 긴급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출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Automatic separating device of connector for emergency vehicle}
본 고안은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긴급차량의 단말기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된 외부전원케이블의 커넥터를 긴급차량의 출동시 자동으로 이탈시킴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다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차, 응급차와 같은 긴급차량은 화재가 발생하거나 응급상황 등이 발생하는 경우 무엇보다 신속하게 화재장소나 응급상황이 발생한 장소로 출동하여 화재의 진압이나 응급환자의 이송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소방차와 같은 긴급차량의 내부에는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화재상황, 응급상황이나 이러한 상황에 따른 통제실로부터의 출동지시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단말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는 언제든 상기와 같은 상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24시간 온(On)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긴급차량은 소방서에 주차가 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가 온상태를 유지하여 항시 상황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 긴급차량의 시동을 계속 켜놓을 수는 없는 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부전원연결수단이 긴급차량에는 구비가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긴급차량의 외부전원공급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이러한 외부전원연결수단은 상기 단말기(2)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긴급차량(1)의 일측에 설치되는 암커넥터(3)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암커넥터(3)에 외부전원케이블(5)의 수커넥터(4)를 연결시킴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항상 단말기(2)의 온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긴급차량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외부전원케이블(5)을 연결한 상태에서 화재발생이나 응급상황발생에 따른 출동지시가 내려지게 되면, 출동하는 소방관들이 직접 외부전원케이블(5)의 수커넥터(4)를 암커넥터(3)로부터 수동으로 분리시켜야만 했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함과 함께 분리작업에 따른 시간의 소요로 인해 신속한 출동에도 일정부분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커넥터(4)를 분리시킨 후에도 외부전원케이블(5)이 길게 늘어져 있으면 탑승하는 소방관들에게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누군가는 이러한 외부전원케이블(5)을 수동으로 권취시켜 정리해주어야만 하는 불편함과 함께 역시 이에 따라 출동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출동지시에 따라 긴급차량에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외부전원케이블의 커넥터를 긴급차량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다 신속한 출동을 가능하게 하는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전원케이블이 긴급차량으로 이탈될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외부전원케이블을 권취시킴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다 신속한 출동을 가능하게 하는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화재발생, 응급상황발생, 출동지시 등과 같은 상황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24시간 온(On)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전원케이블의 수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암커넥터를 구비한 긴급차량에 있어서, 상기 긴급차량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수단, 및 상기 암커넥터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변환수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전진 이동시 상기 암커넥터에 형성된 로드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연결된 수커넥터를 암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키는 푸쉬로드와, 권취모터와, 상기 수커넥터의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권취모터를 구동시키는 감지작동부와, 상기 권취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드럼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권취기를 포함하는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상기 긴급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시동이 걸리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는,
외부전원케이블을 수동으로 이탈시킬 필요가 없이 긴급차량에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외부전원케이블의 커넥터를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함과 함께 바로 긴급차량을 출발시킬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출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구나 외부전원케이블의 커넥터가 이탈되면 이를 감지하여 케이블권취기에 의해 자동으로 외부전원케이블이 권취되므로 편리성이 더욱 향상됨과 함께 출동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고안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 긴급차량에 있어 단말기와 외부전원의 연결을 간략하게 예시한 종래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이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의 작동상태를 각각 예시한 작동예시도들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권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두고‘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과 도 4는 작동예시도들로서,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자동이탈장치가 설치되는 긴급차량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종래기술 부분에서 전술한 것처럼 긴급차량에는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고, 긴급차량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면서 외부전원케이블(5)의 수커넥터(4)가 끼워질 수 있는 암커넥터(3)가 설치되어 있음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암커넥터(3)에는 배면 중앙부에 본 고안에 따른 푸쉬로드(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로드공(3a)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는 모터(10)와, 동력변환수단(20)과, 푸쉬로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모터(10)는 상기한 구성의 긴급차량(1)에 설치가 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이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0)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은 긴급차량에 상기 모터(10)만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전원부(도면 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긴급차량의 자체 배터리(도면 미도시)와 연결시켜 긴급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10)가 자동으로 구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변환수단(20)은 상기 모터(10)와 후술할 푸쉬로드(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푸쉬로드(30)가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력변환수단(20)은 일 예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캠부재(21)와 커넥팅로드(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현이 될 수 있다.
즉, 캠부재(21)를 상기 모터(10)의 회전축(11)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넥팅로드(22)는 상기 캠부재(21)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그 타단은 상기 푸쉬로드(30)와 결합이 되도록 하여,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캠부재(21)가 회전되면 커넥팅로드(22)에 의해 푸쉬로드(30)가 왕복 직선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변환수단(20)은 다른 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10)의 회전축에 피니언기어를 결합시키고 푸쉬로드(30)에 랙기어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수단으로는 상기 예시된 구성 이외에도 당해기술분야에서 다양한 구성들이 공지되어 있는 바, 당해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푸쉬로드(30)는 상술한 동력변환수단(20)에 결합이 되면서 상기 암커넥터(3)의 후방에 설치가 된다.
이러한 푸쉬로드(30)는 모터(10)가 구동되면 상기 동력변환수단(20)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전진 이동시에는 상기 암커넥터(3)에 형성된 로드공(3a)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이 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푸쉬로드(30)는 암커넥터(3)에 끼워진 수커넥터(4)를 가압하여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암커넥터(3)에 끼워진 수커넥터(4)는 암커넥터(3)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부호 35는 상기 푸쉬로드(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자동이탈장치는 외부전원케이블(4)을 권취하기 위한 케이블권취기(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상기 케이블권취기(4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블권취기(40)는 권취모터(41)와, 감지작동부(42)와, 권취드럼(4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권취모터(41)의 축에 상기 권취드럼(43)이 결합되어 권취모터(41)가 구동되면 권취드럼(43)이 회전하면서 외부전원케이블(5)을 권취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모터(41)는 상기 감지작동부(42)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이 되는데, 상기 감지작동부(42)는 외부전원케이블(5)의 수커넥터(4)가 긴급차량(1)의 암커넥터(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권취모터(41)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작동부(42)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암커넥터(3)에 형성된 다수의 단자공(3b) 중에서 두 개의 단자공(3b)을 도선으로 연결하여 단락시킴으로써 수커넥터(4)의 단자핀(4a)이 끼워진 때는 폐회로가 되도록 하고 수커넥터(4)가 이탈될 때 오픈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권취모터(41)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암커넥터(3)나 수커넥터(4)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여 수커넥터(4)가 끼워졌다 이탈될 때 작동하는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신호를 받아 권취모터(41)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권취기(40)는 긴급차량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전원케이블(5)이 배치된 소방서의 벽면 등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작동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소방서에 긴급차량이 주차된 상태일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전원케이블(5)의 수커넥터(4)를 긴급차량의 암커넥터(3)에 끼워 연결시키며, 그에 따라 인가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긴급차량의 단말기(2)는 온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황정보를 계속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주차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출동지시가 단말기에 수신되면, 긴급차량을 즉시 출동시켜야 하는 바, 긴급차량의 시동을 걸게 된다.
이렇게 긴급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긴급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조등, 비상등과 같은 긴급차량의 모든 전장품에 전원이 인가됨과 함께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의 모터(10)로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인가된 전원에 의해 모터(10)가 구동되면서 동력변환수단(20)을 통해 푸쉬로드(30)가 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암커넥터(3)의 로드공(3a)을 통해 돌출되면서 암커넥터(3)에 끼워져 있던 수커넥터(4)를 푸쉬로드(30)가 밀어 암커넥터(3)로부터 수커넥터(4)를 자동으로 이탈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커넥터(4)가 암커넥터(3)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케이블권취기(40)가 작동하면서 외부전원케이블(5)을 권취시키게 된다.
이렇게 긴급차량의 출동을 위해 시동을 걸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자동이탈장치에 의해 수커넥터(4)가 암커넥터(3)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이 되고 외부전원케이블(5)의 권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커넥터(4)를 수동으로 이탈시킨 후 외부전원케이블(5)를 일일이 권취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하고 시동을 건 후 즉시 출동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출동시간의 지연없이 신속하게 화재현장이나 응급상황발생현장 등으로 긴급차량의 출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긴급차량 2: 단말기
3: 암커넥터 4: 수커넥터
5: 외부전원케이블
10: 모터 20: 동력변환수단
21: 캠부재 22: 커넥팅로드
30: 푸쉬로드 35: 가이더
40: 케이블권취기 41: 권취모터
42: 감지작동부 43: 권취드럼

Claims (3)

  1. 화재발생, 응급상황발생, 출동지시 등과 같은 상황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24시간 온(On)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전원케이블의 수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암커넥터를 구비한 긴급차량에 있어서,
    상기 긴급차량의 암커넥터 후방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수단;
    상기 동력변환수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하되, 전진 이동시 상기 암커넥터에 형성된 로드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연결된 수커넥터를 암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키는 푸쉬로드; 및
    권취모터와, 상기 수커넥터의 이탈을 감지하여 상기 권취모터를 구동시키는 감지작동부와, 상기 권취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외부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드럼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권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긴급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시동이 걸리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3. 삭제
KR2020100008844U 2010-08-25 2010-08-25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KR200452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44U KR200452236Y1 (ko) 2010-08-25 2010-08-25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44U KR200452236Y1 (ko) 2010-08-25 2010-08-25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236Y1 true KR200452236Y1 (ko) 2011-02-14

Family

ID=4424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44U KR200452236Y1 (ko) 2010-08-25 2010-08-25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42B1 (ko) * 2011-05-03 2012-11-16 이현주 자동분리기능 콘센트, 그리고 자동분리기능 전자제품플러그와 콘센트를 이용한 자동분리방법
KR101247386B1 (ko) 2013-01-08 2013-03-25 이병운 전후진 왕복 운동장치
US11787299B2 (en) * 2021-11-23 2023-10-17 Evject, Inc. Ej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516A (ko) * 2003-05-23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용 시동 퓨즈 단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516A (ko) * 2003-05-23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용 시동 퓨즈 단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42B1 (ko) * 2011-05-03 2012-11-16 이현주 자동분리기능 콘센트, 그리고 자동분리기능 전자제품플러그와 콘센트를 이용한 자동분리방법
KR101247386B1 (ko) 2013-01-08 2013-03-25 이병운 전후진 왕복 운동장치
US11787299B2 (en) * 2021-11-23 2023-10-17 Evject, Inc. Ej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9908B1 (en) Cord disconnect apparatus and methods
KR200452236Y1 (ko) 긴급차량용 커넥터 자동이탈장치
JP5842181B2 (ja) 電気自動車充電装置
US7431601B2 (en) Automatic power line disconnect apparatus
CN102781715B (zh) 给机动车电池充电的方法以及机动车
CN102802985B (zh) 可更换电池和车辆之间的联接器
JP5712418B2 (ja) 充電コネクタ
WO2014136678A1 (ja) 充電コネクタ
US20140326549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CN102161364A (zh) 电动二轮车
JP5298165B2 (ja) 充電コネクタ
US10158205B2 (en) Electric connector and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the electric connector
KR101723866B1 (ko) 자동차 변속상태 수동조작 장치
EP2180175A2 (en) Vehicle Starter Control System
JP2015088387A (ja) 車両用外部充電器接続構造
CN101887826B (zh) 用于断路器的辅助脱扣单元
JP2010234925A (ja) 電動車両および電動車両のイグニッション制御方法
JP2011187175A (ja) 充電プラグ
JPH05103403A (ja) 電気走行車のバツテリ用コネクタ接続装置
JP2008192332A (ja) 非常用照明器具
CN201852961U (zh) 一种dlc光纤连接器组件及其插头
JP2015072855A (ja) 車両用外部充電器接続構造
CN217563308U (zh) 一种继电保护实训用电压检测报警装置
CN202333655U (zh) 卡扣式快速连接软管接头
US20240157829A1 (en) Char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