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107Y1 -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107Y1
KR200452107Y1 KR2020100008188U KR20100008188U KR200452107Y1 KR 200452107 Y1 KR200452107 Y1 KR 200452107Y1 KR 2020100008188 U KR2020100008188 U KR 2020100008188U KR 20100008188 U KR20100008188 U KR 20100008188U KR 200452107 Y1 KR200452107 Y1 KR 200452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er
pile
reinforc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639U (ko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2020100008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10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1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파일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받침대로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관통홀과, 상기 철근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 및 상부 타이체결홀을 갖는 중공형의 상부받침대; 상기 상부받침대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파일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하부받침대로서, 상기 철근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삽입구와, 상기 철근삽입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 및 상부 타이체결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부 결합부 및 하부 타이체결홀을 갖는 하부받침대; 상기 철근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철근삽입구에 삽입지지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에 연결되는 보강 철근;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를 서로 연결시키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로서, 양단(兩端)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 및 상기 하부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갖는 연결지지대; 및 상기 상부받침대에 형성된 상부 타이체결홀 및 상기 하부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타이체결홀을 통과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간의 체결상태를 강화하는 타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A HEAD REINFORCEMENT ASSEMBLY FOR PILE}
본 고안은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의 항두 작업 후 파일을 안정적으로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의 구조물 기초 공사시에는 내진 및 지반이 함몰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공사장비나 구조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반의 보강작업이 실시된다.
이러한 지반의 보강작업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공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파일을 지반에 직접 항타하는 직항타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직항타 공법은 파일을 지반에 세운 상태에서 항두를 항타하여 지중에 최대한의 깊이로 박아 넣고, 항타작업이 완료되면 지면 위로 노출된 파일의 항두를 수평정리한다. 그리고 파일의 항두정리가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데, 이 때 콘크리트가 파일의 중공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두보강 조립체가 설치된다.
종래의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는 상부면에 원주를 중심으로 다수의 삽입구가 구비되며, 파일의 중공부 상단에 끼워져 소정 깊이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판; 원형판의 외주면에 상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부에 다수의 절개홈을 가진 경사판을 갖는 접시형 본체; 내주면에 보조강선이 부착되는 원형링 구조의 파일받침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12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는 원형판이 접시형 본체의 경사판에 의해 파일의 중공부에 밀착 지지됨으로 인해, 펌프카 등을 통해 파일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울 경우 그 방출압력이 강하여 원형판의 설치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원형판의 삽입구에 보조강선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그 설치상태에 어느 정도 안정성은 있으나, 펌프카를 통한 콘크리트의 방출압력을 견디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로 인해, 현재에는 작업자가 파일의 내부만 1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 펌프카를 통해 다시 2차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보조강선을 파일받침대에 용접에 의해 결합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고, 지반 공사 현장에 철근이 용접된 상태로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고 운반 차량의 적재 공간을 차지하여 운송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기능성, 사용성 및 운반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전체적인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 및 운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부받침대 및 하부받침대를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는, 파일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받침대로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관통홀과, 상기 철근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 및 상부 타이체결홀을 갖는 중공형의 상부받침대;
상기 상부받침대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파일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하부받침대로서, 상기 철근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삽입구와, 상기 철근삽입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 및 상부 타이체결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부 결합부 및 하부 타이체결홀을 갖는 하부받침대;
상기 철근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철근삽입구에 삽입지지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에 연결되는 보강 철근;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를 서로 연결시키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로서, 양단(兩端)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 및 상기 하부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갖는 연결지지대; 및
상기 상부받침대에 형성된 상부 타이체결홀 및 상기 하부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타이체결홀을 통과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간의 체결상태를 강화하는 타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양단에는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는 나사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양단에는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지지대를 통해 상부받침대 및 하부받침대를 서로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받침대에 철근관통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연결지지대가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착탈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이를 통해 상부받침대 및 하부받침대의 연결상태를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기능성, 사용성 및 운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연결지지대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고안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고안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는 파일(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중공형의 상부받침대(20); 상부받침대(20)와 이격되어, 파일(1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하부받침대(30);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에 연결되는 보강철근(40);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받침대(20)에는 철근관통홀(22)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파일(1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지지날개(24)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철근관통홀(2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그 형성개수 및 배치형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부받침대(20)에는 복수의 철근관통홀(22) 사이에 슬릿(slit) 형상의 상부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부 결합부(26)는 연결지지대(5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부받침대(20)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받침대(20)가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0.8mm 내지 1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받침대(30)의 테두리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판(34)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사판(34)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받침대(30)가 파일(1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된다.
하부받침대(30)의 바닥면에는 상부받침대(20)의 철근관통홀(22)과 대응되는 철근삽입구(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부받침대(30)에는 상부받침대(2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철근삽입구(32) 사이에 슬릿 형상의 하부 결합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부 결합부(36)는 연결지지대(5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받침대(30)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받침대(30)가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1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강철근(40)은 상부받침대(20)의 철근관통홀(22)을 관통하여 하부받침대(30)의 철근삽입구(32)에 삽입 지지되며, 철근삽입구(32)는 보강철근(4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보편적으로 보강철근(40)으로는 직경이 13mm인 철근을 사용한다.
연결지지대(50)는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를 서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대(50)가 상·하부받침대(20, 30)를 견고하게 연결시킴으로써 펌프카 등으로 파일(10)의 항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도 그 방출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연결지지대(50)는 일체로 성형되며, 내구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지지대(50)는 바(Bar) 형상을 가지며, 양단에는 한 쌍의 후크부(52a,5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양단에 후크부(52a,52b)가 형성된 연결지지대(50)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의 후크부(52a,52b)는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 형상의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52a,52b)는 3개의 분기된 연장부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연장부들 중 가장 외곽이 있는 날개형의 연장부들에 힘을 가하면 날개형의 연장부들은 안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되고, 인가된 힘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따라서, 후크부(52a,52b)의 날개형 연장부들에 힘을 가해 후크부(52a,52b)를 결합 슬릿 형태의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로 밀어 넣게 되면 날개형 연장부들은 안쪽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 안쪽으로 안내되면서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결합시 인가된 힘이 해제되어 날개형 연장부들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날개형 연장부들의 단턱 부분이 결합 슬릿 형태의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에 걸리게 되면서 후크부(52a,52b)와,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와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후크부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즉, 후크부(52a,52b)의 형상은 탄성적인 유동에 의해 상부받침대(20)의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받침대(30)의 하부 결합부(36)에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부받침대(20)의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받침대(30)의 하부 결합부(36) 역시 슬릿 형상이 아닌 후크부(52a,52b)가 결합될 수 있는 잭(Jack)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는 나사 구멍으로 형성되고, 연결지지대(50)의 양단에는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 경우 연결지지대(50)의 양단의 나사산을 상부 결합부(26) 및 하부 결합부(36)의 나사구멍에 맞추면서 돌리게 되면 연결지지대(50)는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의 상부받침대(20); 상부받침대(20)와 이격 배치되며, 상부받침대(20)의 철근관통홀(22)과 대응되는 철근삽입구(3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받침대(30); 상부받침대(20)의 철근관통홀(22)을 관통하여 하부받침대(30)의 철근삽입구(32)에 삽입되는 보강철근(40);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를 서로 연결시키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대(50);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를 서로 연결시키는 타이(Tie)(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받침대(20) 및 하부받침대(30) 각각에는 일정의 크기 및 형상을 지닌 상부 타이체결홀(28) 및 하부 타이체결홀(3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부 타이체결홀(28) 및 하부 타이체결홀(38)을 통해 타이(60)를 체결하게 된다.
상부 타이체결홀(28) 및 하부 타이체결홀(38)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60)는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체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타이(60)를 제외한 다른 기술적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파일 20 : 상부받침대
22 : 철근관통홀 26 : 상부 결합부
30 : 하부받침대 32 : 철근삽입구
36 : 하부 결합부 40 : 보강철근
50 : 연결지지대 52a,52b : 후크부
60 : 타이

Claims (1)

  1. 파일의 항두에 설치되는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받침대로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관통홀과, 상기 철근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 및 상부 타이체결홀을 갖는 중공형의 상부받침대;
    상기 상부받침대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파일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하부받침대로서, 상기 철근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삽입구와, 상기 철근삽입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 및 상부 타이체결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하부 결합부 및 하부 타이체결홀을 갖는 하부받침대;
    상기 철근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철근삽입구에 삽입지지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에 연결되는 보강 철근;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를 서로 연결시키면서 지지하는 연결지지대로서, 양단(兩端)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 및 상기 하부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부를 갖는 연결지지대; 및
    상기 상부받침대에 형성된 상부 타이체결홀 및 상기 하부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타이체결홀을 통과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받침대 및 상기 하부받침대 간의 체결상태를 강화하는 타이를 포함하는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KR2020100008188U 2010-08-05 2010-08-05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KR200452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188U KR200452107Y1 (ko) 2010-08-05 2010-08-05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188U KR200452107Y1 (ko) 2010-08-05 2010-08-05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511A Division KR20100002570A (ko) 2008-06-30 2008-06-30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39U KR20100009639U (ko) 2010-10-01
KR200452107Y1 true KR200452107Y1 (ko) 2011-02-01

Family

ID=4420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188U KR200452107Y1 (ko) 2010-08-05 2010-08-05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10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684Y1 (ko) 2002-04-16 2002-07-22 비비엠코리아(주)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020082684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제우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방송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40012821A (ko) * 2001-06-20 2004-02-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비 자기정렬 SiGe 이질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200412821Y1 (ko) 2006-01-02 2006-04-03 양근영 콘크리트 파일 캡 조립체
KR100795437B1 (ko) 2006-05-02 2008-01-17 병 균 임 항두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684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제우커뮤니케이션 인터넷 방송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40012821A (ko) * 2001-06-20 2004-02-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비 자기정렬 SiGe 이질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200282684Y1 (ko) 2002-04-16 2002-07-22 비비엠코리아(주)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0412821Y1 (ko) 2006-01-02 2006-04-03 양근영 콘크리트 파일 캡 조립체
KR100795437B1 (ko) 2006-05-02 2008-01-17 병 균 임 항두막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39U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580B2 (en) Rebar chair and supporting plate
US8028490B2 (en) Rebar chair
KR101423613B1 (ko) 지지력 보강부 및 이를 구비한 파일
KR200452107Y1 (ko)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KR101575789B1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KR200216366Y1 (ko) 강관 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100002570A (ko) 파일용 항두보강 조립체
KR101736575B1 (ko) 조립식 파일용 두부 보강캡
KR200426656Y1 (ko)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100423933B1 (ko) 콘크리트와 볼트 합성식으로 보강되는 강관 말뚝용 머리보강장치
KR101151877B1 (ko) 파일캡
KR100947591B1 (ko) 파일캡
KR200449148Y1 (ko) 파일캡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101784114B1 (ko) 지주 기초석 구조
KR101313046B1 (ko) 강관이 콘크리트 파일에 삽입된 복합파일
KR20090027918A (ko) 원추형 기초용기
KR20100001611U (ko) 파일 보강캡
KR100959882B1 (ko) 항두보강용 조립체
KR102186608B1 (ko) 소일 네일링용 간격재
KR100397847B1 (ko) 강관 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0258900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지지장치
JP2009161922A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3729B1 (ko) 강관말뚝 머리부 보강장치
CN211344483U (zh) 公共设施地埋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