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932Y1 - 다축 드릴링 기구 - Google Patents

다축 드릴링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932Y1
KR200451932Y1 KR2020090004811U KR20090004811U KR200451932Y1 KR 200451932 Y1 KR200451932 Y1 KR 200451932Y1 KR 2020090004811 U KR2020090004811 U KR 2020090004811U KR 20090004811 U KR20090004811 U KR 20090004811U KR 200451932 Y1 KR200451932 Y1 KR 200451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member
gear
drive
operating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693U (ko
Inventor
홍창진
Original Assignee
홍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진 filed Critical 홍창진
Priority to KR2020090004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6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물에 규격화된 다수개의 구멍을 한 대의 드릴링 기구로 동시에 뚫을 수 있는 다축 드릴링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는 구동수단에 연결된 구동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복수개의 작동기어, 상기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드릴부재, 상기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작동기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드릴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가공물 안착부를 포함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및 지지대 사이에 고정장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가공부 하단에 장착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축 드릴링 기구, 구동기어, 작동기어, 드릴부재

Description

다축 드릴링 기구{Multiple Spindle Drilling Machine}
본 고안은 다축 드릴링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공물에 규격화된 다수개의 구멍을 한 대의 드릴링 기구로 동시에 뚫을 수 있는 다축 드릴링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을 설치할 목적으로 지면 상부에 기둥을 고정시킬 때 지면 하부에 고정된 지지부재와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러한 시설물의 나사결합 부위에 구멍을 뚫을 때에는 규격화된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홀 간격과 일치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고도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통상적인 드릴링 기구는 회전축에 장착된 한 개의 회전드릴에 의해 가공물에 구멍을 한번에 한 개씩 뚫는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방식이었다. 이에 의해 기둥 하단면에 지지부재의 삽입홀 간격과 일치하는 위치에 마킹을 표시하고, 일일이 하나씩 구멍을 뚫었다. 이는 규격화된 다수개의 구멍을 뚫을 경우에도 한번에 하나의 구멍밖에 뚫을 수 없으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불량 발생이 많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면 상에 고정된 기둥들이 이루는 다각형 내부에 데크를 설치할 때에도 기둥과 부목을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킨다. 기둥과 부목의 나사결합 시에도 기둥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의 간격과 부목에 형성될 구멍의 위치를 일치시켜야 한다. 작업 중 실수로 인하여 규격화된 위치에서 약간이라도 벗어나게 되면 기둥에 형성된 구멍과 부목의 구멍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둥에 부목을 고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물에 규격화된 다수개의 구멍을 한 대의 드릴링 기구로 동시에 뚫을 수 있는 다축 드릴링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는 구동수단에 연결된 구동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복수개의 작동기어, 상기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드릴부재, 상기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작동기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가공부; 상기 가공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드릴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가공물 안착부를 포함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및 지지대 사이에 고정장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가공부 하단에 장착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에 일단이 지지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작동부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의 일 영역에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타단을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핸들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핸들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 안착부에는 가공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나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는 구동수단에 연결된 구동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며, 축고정부에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복수개의 작동기어, 상기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드릴부재, 상기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가공부; 상기 드릴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가공물 안착부; 상기 가공부 및 가공물 안착부를 지지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상에 고정되어 양측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사이에 고정장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축고정부에 장착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드릴부재는 작동회전축과 외경이 동일한 제1 드릴부재와, 상기 제1 드릴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제1 드릴부재보다 외경이 작은 제2 드릴부재의 2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드릴부재의 단부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드릴부재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는 동일한 평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을 하나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작동회전축은 상기 구동회전축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 동력전달부와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제1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회전축과 근접한 작동회전축의 일 영역에 설치된 보조 작동기어로 전달하고, 제2 동력전달부는 상기 보조 작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 안착부는 상기 드릴부재가 삽입되는 가공물의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드릴부재에 의해 제1면으로부터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 및 상기 경사홈을 따라 연장되어 제1면과 제2면에 수직되는 제3면에 연장홀을 형성하고, 제2 드릴부재에 의해 경사홈 단부를 평평하게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축고정부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의 일 영역에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타단을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재가 접철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공물에 규격화된 다수개의 구멍을 한 대의 드릴링 기구로 동시에 뚫음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설물을 설치할 목적으로 지면 상부에 기둥을 고정시킬 때, 일측이 지면 하부에 고정된 지지부재 타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홀을 기둥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에 맞추어 기둥과 지지부재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기둥 하부면의 고정홈 간격을 규격화된 지지부재의 삽입홀 간격과 일치하도록 복수개의 고정홈을 동시에 뚫을 수 있는 다축 드릴링 기구를 고안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는 가공부(10), 지지대(40), 작업대(20) 및 이송수단(30)을 포함한다.
가공부(10)는 지지대(40) 상에 설치되며, 구동기어(14), 작동기어(15), 드릴부재(17) 및 동력전달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기어(14)가 장착된 구동회전축(13)이 구동수단(11)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기어(14)와 연동하는 복수개의 작동기어(15)가 작동회전축(16)에 장착되어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된다. 작동회전축(13)의 일단에는 드릴부재(17)가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기어(14)의 동력을 작동 기어(1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8)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구동기어(14) 및 작동기어(15)는 톱니식 기어일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18)는 구동기어(14) 및 작동기어(15)를 둘러싸는 체인벨트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수단(11)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기어(14) 및 작동기어(15)가 동시에 회전하며, 작동기어(15)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나선형의 드릴부재(17) 역시 고속 회전하게 된다.
구동수단(11)에 전원을 인가하여 고속 회전하는 드릴부재(17)에 의해 가공물(22)에 구멍이 형성되므로, 드릴부재(17)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공물(22)을 고정시키는 가공물 안착부(21)가 작업대(20) 상에 설치된다. 가공물 안착부(21)에는 나사부재(23)가 형성되어 나사부재(23)의 조임에 의해 가공물(2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드릴부재(17)가 위치한 가공부(10)를 가공물(22)의 전후로 이동시키며 가공물(22)에 일정 깊이의 구멍을 형성하는데, 가공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31), 이동부재(34) 및 거리조절부(36)를 포함하는 이송수단(30)이 설치된다. 가이드부(31)는 작업대(20) 및 지지대(40) 사이에 고정장착되고, 이동부재(34)는 가공부(10) 하단에 장착되며, 가이드부(31)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32)이 구비된다.
또한, 가동부(10)가 가공물(22) 전후로 이동할 때, 드릴부재(17)가 일정 깊이만 가공물(22)에 삽입되도록 연결부재(35)와 핸들(33)이 구비된 거리조절부(36)가 이동부재(34)의 이동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핸들(33)의 일단이 지지대(40)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연결부재(35)의 일단은 가공부(10)에 장착되어 있으며 타단은 핸들(33)의 일 영역에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핸들(33)의 타단을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핸들(33)에 연결된 연결부재(35)와 핸들(33)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며 이동부재(34)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복수개의 작동회전축(16) 사이의 간격은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규격화된 지지부재의 삽입홀 간격과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가공물에 규격화된 복수개의 구멍을 동시에 뚫음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다축 드릴링 기구에 의해 가공물인 기둥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기둥을 지면 상에 고정시킨다. 이후, 기둥들이 이루는 다각형 내부에 데크를 설치하는데, 외부에서 결합 부위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를 이용하여 기둥과 데크를 연결하는 부목에 복수개의 경사홈 및 관통홀을 동시에 형성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후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는 가공부(70), 가공물 안착부(81), 작업대(60) 및 이송수단(90)을 포함한다.
가공부(70)는 작업대(60) 상에 설치되며, 구동기어(73), 작동기어(76), 드릴부재(77) 및 동력전달부(78)를 포함하는데, 구동기어(73)는 구동회전축(72)에 장착 되어 구동수단(71)에 연결된다. 그리고, 작동기어(76)는 축고정부(74)에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작동회전축(75)에 장착되며, 구동기어(73)와 연동한다.
작동회전축(75)의 일단에는 드릴부재(77)가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기어(73)의 동력을 작동기어(76)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8)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구동기어(73) 및 작동기어(76)는 톱니식 기어일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78)는 구동기어(73) 및 작동기어(76)를 둘러싸는 체인벨트일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73)와 복수개의 작동기어(7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설치되어, 구동기어(73)의 동력을 하나의 동력전달부(78)에 의해 동시에 복수개의 작동기어(76)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수단(71)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기어(73) 및 복수개의 작동기어(76)가 동시에 회전하며, 작동기어(76)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드릴부재(77) 역시 고속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드릴부재(77)는 2단으로 구성되어 가공물(82)에 복수개의 경사홈(83) 및 연장홀(84)을 동시에 형성한다. 제1 드릴부재(77a)는 작동회전축(75)과 외경이 동일하고, 제2 드릴부재(77b)는 제1 드릴부재(77a)로부터 연장되며 제1 드릴부재(77a)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1 드릴부재(77a)의 단부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드릴부재(77b)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구동수단(71)에 전원을 인가하여 고속 회전하는 드릴부재(77)에 의해 가공물(82)에 구멍이 형성되므로, 드릴부재(77)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공물(82)을 고정시키는 가공물 안착부(81)가 가공부(70)와 마주하도록 작업대(60) 상에 설치된다.
제1 드릴부재(77a) 및 제2 드릴부재(77b)로 구성된 드릴부재(77)가 위치한 가공부(70)를 가공물(82)의 전후로 이동시키며 가공물(82)에 경사홈(83) 및 연장홀(84)을 형성하는데, 가공부(70)를 이동시키기 위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93), 가이드부(96), 이동부재(95) 및 거리조절부(99)를 포함하는 이송수단(90)이 설치된다.
고정부재(93)는 양측단에 각각 제1 지지부(92) 및 제2 지지부(91)가 형성되어 작업대(60)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92) 및 제2 지지부(91) 사이에는 가이드부(96)가 고정장착되며, 관통홀(94)이 형성된 이동부재(95)가 축고정부(74)에 장착되어 가이드부(96)를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거리조절부(99)는 핸들(97)과 연결부재(98)를 포함하여 이동부재(95)의 이동거리를 조절한다. 여기서, 이동부재(95)에 형성된 관통홀(94)은 가이드부(9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거리조절부(99)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부(96)를 따라 이동한다.
거리조절부(99)는 핸들(97)과 연결부재(98)를 포함한다. 핸들(97)의 일단이 제1 지지부(92)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연결부재(98)의 일단은 축고정부(74)에 장착되고 타단은 핸들(97)의 일 영역에 나사결합됨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핸들(97)의 타단을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핸들(97)에 연결된 연결부재(98)와 핸들(97)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며 이동부재(95)의 이동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가공물 안착부(81)는 드릴부재(77)가 삽입되는 가공물(82)의 제1면으로부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은 이송수단(90)을 이용하여 가공부(70)를 가공물(82) 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드릴부재(77a)에 의해 제1면으로부터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83)이 형성되고, 경사홈(83)을 따라 연장되어 제1면과 제2면에 수직되는 제3면에 연장홀(84)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드릴부재(77b)의 단부가 'ㅡ'자 형상이므로, 경사홈(83) 단부를 평평하게 형성시킨다. 이는 추후 부목을 기둥에 나사결합시킬 때, 나사가 경사홈(83) 단부와 맞닿는 면에 평평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부목을 기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작동회전축(75a, 75b)이 구동회전축(72)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회전축(72)과 가장 근접한 작동회전축(75a, 75b)의 일 영역에는 보조 작동기어(79)가 설치된다. 이때, 구동기어(73)와 보조 작동기어(79)는 동일한 평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동기어(73)와 보조 작동기어(79)에 제1 동력전달부(78a)가 설치되어 구동기어(73)로부터의 동력을 보조 작동기어(79)로 전달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작동기어(76a, 76b)에 제2 동력전달부(78b)가 설치되어, 제1 동력전달부(78a)에 의해 구동되는 보조 작동기어(79)로부터의 동력을 복수개의 작동기어(76a, 76b)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구동기어(73)와 가장 근접한 작동기어(76a)가 헛돌지 않게 되어, 동력전달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물에 규격화된 다수개의 구멍을 한 대의 드릴링 기구로 동시에 뚫을 수 있음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 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작동 후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후방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기구의 후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70 : 가공부 11, 71 : 구동수단
13, 72 : 구동회전축 14, 73 : 구동기어
15, 76 : 작동기어 16, 75 : 작동회전축
17, 77 : 드릴부재 21, 81 : 가공물 안착부
31, 96 : 가이드부 32, 94 : 관통홀
74 : 축고정부 93 : 고정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구동수단에 연결된 구동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며, 축고정부에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복수개의 작동기어, 상기 작동회전축에 장착된 드릴부재, 상기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가공부;
    상기 드릴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가공물 안착부;
    상기 가공부 및 가공물 안착부를 지지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 상에 고정되어 양측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사이에 고정장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축고정부에 장착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를 포함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드릴부재는 작동회전축과 외경이 동일한 제1 드릴부재와, 상기 제1 드릴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제1 드릴부재보다 외경이 작은 제2 드릴부재의 2단으로 구 성되며, 상기 제1 드릴부재의 단부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드릴부재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다축 드릴링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는 동일한 평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을 하나의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로 전달하는 다축 드릴링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작동회전축은 상기 구동회전축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 동력전달부와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제1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구동회전축과 근접한 작동회전축의 일 영역에 설치된 보조 작동기어로 전달하고, 제2 동력전달부는 상기 보조 작동기어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복수개의 작동기어로 전달하는 다축 드릴링 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다축 드릴링 기구.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안착부는 상기 드릴부재가 삽입되는 가공물의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드릴부재에 의해 제1면으로부터 제2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 및 상기 경사홈을 따라 연장되어 제1면과 제2면에 수직되는 제3면에 연장홀을 형성하고, 제2 드릴부재에 의해 경사홈 단부를 평평하게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다축 드릴링 기구.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축고정부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의 일 영역에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의 타단을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재가 접철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다축 드릴링 기구.
KR2020090004811U 2009-04-22 2009-04-22 다축 드릴링 기구 KR200451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11U KR200451932Y1 (ko) 2009-04-22 2009-04-22 다축 드릴링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11U KR200451932Y1 (ko) 2009-04-22 2009-04-22 다축 드릴링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93U KR20100010693U (ko) 2010-11-01
KR200451932Y1 true KR200451932Y1 (ko) 2011-01-19

Family

ID=4420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811U KR200451932Y1 (ko) 2009-04-22 2009-04-22 다축 드릴링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3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707A (ja) * 1984-03-13 1985-09-30 Toyo Seiki Kogyo Kk 複数のヘツドを備える多軸ボ−ル盤
JPS6423305U (ko) * 1987-07-29 1989-02-07
JP2000176906A (ja) * 1998-12-18 2000-06-27 Hitachi Koki Co Ltd 木工用定置形ドリ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707A (ja) * 1984-03-13 1985-09-30 Toyo Seiki Kogyo Kk 複数のヘツドを備える多軸ボ−ル盤
JPS6423305U (ko) * 1987-07-29 1989-02-07
JP2000176906A (ja) * 1998-12-18 2000-06-27 Hitachi Koki Co Ltd 木工用定置形ド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693U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853A (en) Drill bit grinding machine
US6821063B2 (en) Tool, a machine, and a method for orbitally drilling an orifice
KR20090048402A (ko) 바 형상 또는 튜브형 공작물 절삭장치
KR20170011793A (ko) 다축 시프트 파이프 가공기
JP2016209934A (ja) 長尺材料用穴明け装置
KR100994914B1 (ko)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공구대
KR101605442B1 (ko) 다축 드릴링머신
KR200451932Y1 (ko) 다축 드릴링 기구
US5752789A (en) Right angle peck drill
KR100988070B1 (ko) 휴대용 파이프 면취장치
KR100671021B1 (ko) 포터블 보링 머신
CN111055139A (zh) 自动化切削机床
EP1808245B1 (en) Tool turret
KR100804811B1 (ko) 크랭크 샤프트 케이싱의 크랭크 보어를 가공하기 위한앵글헤드
KR20090021066A (ko) 내측 면취기
KR101461377B1 (ko) 이동형 보링머신
KR100918517B1 (ko)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KR100859435B1 (ko) 휴대용 보링 머신
CN212095310U (zh) 自动化切削机床
CN110919775A (zh) 一种手动钻孔工具
JP2008073797A (ja) ねじ部材締結装置および組立て体の製造方法
KR101541860B1 (ko) 건드릴머신용 소재 역회전장치
KR101489949B1 (ko) 건드릴용 고정지그
CN116921728B (zh) 一种工件换向钻孔工装
KR200394222Y1 (ko) 공작기계용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