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33Y1 - 음료수 음용기구 - Google Patents

음료수 음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33Y1
KR200451633Y1 KR2020080015761U KR20080015761U KR200451633Y1 KR 200451633 Y1 KR200451633 Y1 KR 200451633Y1 KR 2020080015761 U KR2020080015761 U KR 2020080015761U KR 20080015761 U KR20080015761 U KR 20080015761U KR 200451633 Y1 KR200451633 Y1 KR 200451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main body
drin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730U (ko
Inventor
변길태
변석준
Original Assignee
변석준
변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석준, 변길태 filed Critical 변석준
Priority to KR2020080015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음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료가 담긴 용기의 입구로부터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용기에 든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 빨대를 노출시켜 음료를 섭취하도록 함에 반하여 음료를 편하게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운전을 하거나 일을 하는 등의 경우에는 빨대 입구가 상부캡의 안쪽으로 숨겨지도록 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있다 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나 물이 용기 외부로 쏟아지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음료의 보관이 용이한 음료수 음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음용, 기구

Description

음료수 음용기구{APPARATUS FOR DRINKING WATER}
본 고안은 음료수 음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음료가 담긴 용기의 입구로부터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용기에 든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 빨대를 노출시켜 음료를 섭취하도록 함에 반하여 음료를 편하게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운전을 하거나 일을 하는 등의 경우에는 빨대 입구가 상부캡의 안쪽으로 숨겨지도록 하여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있다 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음료의 보관이 용이한 음료수 음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이나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이나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는 용기나 병에 담겨진 물이나 음료수를 컵에 따라서 마시거나 직접 병이나 용기를 들어 입에 병이나 용기의 입구를 댄 후 마시고 있다. 특히 주위에 컵이 없거나 직접 병이나 용기의 입구에 입을 대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속이 비어 있는 대롱 형태의 빨대를 이용하여 병이나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이나 음료수를 마시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은 빨대를 이용하여 물이나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안 정된 상태에서 물이나 음료수를 마시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운전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등 안정적이지 못한 상태에서 물이나 음료를 섭취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안정적이지 못한 환경에서는 자칫 용기나 병에 든 음료나 물이 외부로 쏟아져 나올 수 있으므로 컵이나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거나 직접 용기나 병을 들어 마시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등 비안정적인 환경에서도 병이나 용기에 내장된 음료나 물을 외부에 흘리거나 쏟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음료나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수 음용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음료나 물을 마실 때에는 입을 대어 마시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되, 음료나 물을 마시지 않을 때에는 음료출구 부분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위생적인 음료수 음용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는 음료용기의 용기입구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단부의 외주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중심부에는 아래를 향하여 일정한 직경의 본체유도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유도관에 끼워져 결합되는 빨대; 상기 빨대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성체; 상기 빨대의 상부가 아래로부터 삽입되어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상부의 중심에는 아래를 향하여 캡 유도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끼워진 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캡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 구조의 캡; 및 상기 캡 유도관을 관통하여 빠져나온 상기 빨대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수개의 주름으로 형성된 회동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으로 음료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유입시켜 상기 빨대로 이송하는 일측이 절곡된 스트로 형태의 음료유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공기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기유통로는 음료용기 내부에 대기압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음료가 쉽게 빨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향기를 발산시키는 물질이 도포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향기는 음료를 마시면서 동시에 본체의 내주면에 도포된 향기발산물질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부가하여 마시는 사람의 기분이 상쾌지도록 한다. 이때 향기발산물질로는 인체에 무해한 허브추출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는 상기 빨대의 상단부에 끼워져 이물질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는 상단부의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 캡 형태의 빨대보호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음용기구를 통해 운전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등 비안정적인 환경에서도 병이나 용기에 내장된 음료나 물을 외부에 흘리거나 쏟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음료나 물을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 음용기구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게 되면 음료나 물을 마실 때에는 입을 대어 마시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되, 음료나 물을 마시지 않을 때에는 음료출구 부분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위생적이라는 다른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요소인 캡의 구조를,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요소인 본체의 구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는 음료용기(10)의 용기입구에 걸쳐져서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는 용기 입구에 걸쳐지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에 끼워져 설치되는 빨대(200)와 빨대(2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3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캡(400)으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상기 용기입구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단부의 외주면에 가장 자리를 따라 본체걸림턱(11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중심부에는 아래를 향하여 일정한 직경의 본체유도관(130)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120)가 개구되어 있는 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몸체를 따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공기유통로(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대기압을 이용해 용기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를 섭취하는데 편리하다.
빨대(200)는 통상적인 빨대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유도관(130)에 삽입되어 음료흡입부(210) 부분이 하부로 돌출되어 끼워져 결합되며 빨대의 상부인 음용부(220) 부분을 통해 직접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 형태로 구성된 탄성체(300)는 상기 빨대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캡을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하여 끼운 후 캡 부분을 위에서 누르게 되면 상기 빨대(200)의 음용부(220)가 돌출되어 음료를 섭취할 수 있고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탄성체(300)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캡(40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빨대의 음용부(220)가 넘어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보호가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빨대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캡 형태의 빨대보호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캡(400)은 상기 본체(100)의 개구되어 있는 상부의 내주면에 닿는 캡 걸림턱(410)이 캡의 하단부의 가장자리에 일정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캡 걸림턱(410)은 일단 캡(400)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끼워진 후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캡(400)은 상부 중심에 캡유도관(430)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빨대(200)의 음용부(220)가 아래로부터 상부로 결합되어 캡 유도관입구(431)를 통해 관통되어 결합된다.
한편, 실제로 음료에 닿아서 음료를 취수하는 부분이 음료유입부(600)인데, 상기 본체유도관(130)을 통하여 하부로 빠져나온 상기 빨대의 하부를 구성하는 음료흡입부(210)에 일측이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수개의 주름으로 형성된 회동절곡부(6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유입시켜 상기 빨대(200)로 이송하는 일측이 절곡된 스트로 형태의 음료유입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는 상기 빨대(200)의 상단부에 끼워져 이물질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는 상단부의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 캡 형태의 빨대보호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400)의 상부를 아래로 눌러서 빨대(200)의 상부를 튀어나오게 한 후 입으로 음료를 빨아서 섭취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캡(400)의 상부에 힘을 주지 않으면 탄성체(300)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상기 빨대(200)의 상부 일정한 높이까지 캡(400)으로 보호가 되도록 하였다. 이에 나아가 빨대보호구(500)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빨대(200)의 상부에 형성된 음용부(220)가 이물질 등으로 인해 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를 실제로 병에 설치해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음료유입부(600)를 통하여 음료를 상기 빨대(200)로 이송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데, 음료유입부(600)는 그 중간에 회동절곡부(650)를 형성시켜 용기(10)의 내부 구석구석에 남아 있는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요소인 캡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의 요소인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음용기구를 실제로 병에 설치해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본체걸림턱
120 : 본체 상부 130 : 본체유도관
140 : 공기통로 200 : 빨대
210 : 음료흡입부 220 : 음용부
300 : 탄성체 400 : 캡
410 : 캡 걸림턱 420 : 캡 하부
430 : 캡 유도관 500 : 빨대보호구
600 : 음료유입부 650 : 회동절곡부

Claims (4)

  1. 음료용기의 용기입구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단부의 외주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중심부에는 아래를 향하여 일정한 직경의 본체유도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유도관에 끼워져 결합되는 빨대;
    상기 빨대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성체;
    상기 빨대의 상부가 아래로부터 삽입되어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상부의 중심에는 아래를 향하여 캡 유도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끼워진 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캡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 구조의 캡; 및
    상기 본체유도관을 관통하여 빠져나온 상기 빨대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수개의 주름으로 형성된 회동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으로 음료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유입시켜 상기 빨대로 이송하는 일측이 절곡된 스트로 형태의 음료유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음용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공기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음용기구.
  3. 제2항에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향기를 발산시키는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음용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의 상단부에 끼워져 이물질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는 상단부의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캡 형태의 빨대보호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음용기구.
KR2020080015761U 2008-11-27 2008-11-27 음료수 음용기구 KR200451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61U KR200451633Y1 (ko) 2008-11-27 2008-11-27 음료수 음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61U KR200451633Y1 (ko) 2008-11-27 2008-11-27 음료수 음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30U KR20100005730U (ko) 2010-06-07
KR200451633Y1 true KR200451633Y1 (ko) 2010-12-31

Family

ID=4424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761U KR200451633Y1 (ko) 2008-11-27 2008-11-27 음료수 음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174B1 (ko) * 2019-01-21 2020-06-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텀블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74A (ja) 1998-11-10 2000-05-23 Sukeetaa Kk 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装置
KR200391215Y1 (ko) 2005-03-11 2005-08-02 문기원 빨대가 형성된 음료 용기 뚜껑
KR200413867Y1 (ko) 2006-01-27 2006-04-11 신동우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JP2007040899A (ja) 2005-08-04 2007-02-15 Olympus Corp 試料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74A (ja) 1998-11-10 2000-05-23 Sukeetaa Kk 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装置
KR200391215Y1 (ko) 2005-03-11 2005-08-02 문기원 빨대가 형성된 음료 용기 뚜껑
JP2007040899A (ja) 2005-08-04 2007-02-15 Olympus Corp 試料容器
KR200413867Y1 (ko) 2006-01-27 2006-04-11 신동우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30U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44045A5 (ko)
US20080302754A1 (en) Closure Cap For Using With Containers to Allow Sharing Drinks in a Hygienic Manner
RU2007134596A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US5893472A (en) Spout for valve assembly
US20170013985A1 (en) Leak-proof spoutless toddler drinking apparatus
MY194267A (en) Beverage cup with beverage ingredient container and straw cup lid
KR200451633Y1 (ko) 음료수 음용기구
KR20100106817A (ko) 프리컵용 빨대 뚜껑
US8033517B2 (en) Liquid holding device with releasable suction base
US9833089B2 (en) Weaning clip
KR200438217Y1 (ko)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KR20200033447A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CN211443434U (zh) 一种带吸管的饮料包装物
KR102108267B1 (ko) 용기 마개장치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CN111017410A (zh) 一种带吸管的饮料包装物
CN202414440U (zh) 卫生、方便的酸奶瓶
KR200485642Y1 (ko) 음용수 용기 탈착형 위생 캡슐 장치 및 이를 갖는 음용수 용기
EP3569111A1 (en) Drinking vessel cover and drinking vessel
KR200301946Y1 (ko) 음료수 용기의 뚜껑
KR101407083B1 (ko) 음료수 병의 보호용기
CN105815982A (zh) 安全卫生的茶杯盖
KR200338615Y1 (ko)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파우치용 스파우터
KR200406456Y1 (ko) 액체용기 부착형 일회용 컵
CN205019439U (zh) 双通气防摔奶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