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72Y1 -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72Y1
KR200451572Y1 KR2020090000493U KR20090000493U KR200451572Y1 KR 200451572 Y1 KR200451572 Y1 KR 200451572Y1 KR 2020090000493 U KR2020090000493 U KR 2020090000493U KR 20090000493 U KR20090000493 U KR 20090000493U KR 200451572 Y1 KR200451572 Y1 KR 200451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wer tube
music stand
pressing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488U (ko
Inventor
윤국원
Original Assignee
윤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원 filed Critical 윤국원
Priority to KR2020090000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raw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단에 거치대가 구비된 상부관체를 다리부 측의 하부관체 내측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켜 슬라이딩 삽입결합하여 형성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단에 악보받침대가 구비된 상부관체가 다리부를 구비한 하부관체에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악보대에 있어, 상기 하부관체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상기 하부관체 내측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가 결합되며, 물체가 올려지는 상기 악보받침대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상부관체와; 상기 상부관체의 하부가 삽입되어 내측이 탄성가압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체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하부관체와; 상기 하부관체에 내삽되는 상부관체가 상기 하부관체의 중심부에서 유지되도록 보조하면서 상부 하부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악보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쉽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악보대, 높낮이, 지주, 탄성, 스프링

Description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regulating high and low of music-rack}
본 고안은 악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에 거치대가 구비된 상부관체를 다리부 측의 하부관체 내측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켜 슬라이딩 삽입결합하여 형성함으로써 악보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고안개발하여 출원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29057호를 더욱 개선하고 개량시킨 기술이다.
악보대는 연주자가 연주할 악보를 올려놓고 보기 위한 것으로 악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편리함과 이동의 간편함 등이 요구되는 기구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다양한 구조와 방식의 악보대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329057호('악보대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악보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 악보 대에서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고정부위에 대한 평면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종래 악보대(100)는 절첩이 가능한 지지다리(10)와, 지지다리(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길이를 안테나식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주(20)와,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절첩이 가능한 악보받침판(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악보대(100)에 있어, 상기 지주(20)는 파이프형의 하부부재(21)와 상부부재(22)가 안테나식으로 조립되어 그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 악보대(100)에서의 높낮이 조절수단은 도 2 및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부재(21)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부부재(22)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관체(40)와, 상기 고정관체(40)에 체결되어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고정관체(40)를 고정 및 해제토록 하는 조절캡(50)과, 상기 상부부재(22)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하부부재(21)내에서 승강안내되는 지지체(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고정관체(40)는 하부부재(21)의 상단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면서도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다수 개의 절개홈(41)에 의해 내측으로 신축자재되는 다수 개의 가압편(4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가압편(42)은 일측은 두께가 좁고 원주방향을 따라 타측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구배면(A)을 갖추어 구성되고,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끝단에는 외향 돌출되는 스톱퍼(43)가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관체(40)의 상부 끝단 즉, 각 가압편(42)의 끝단에는 외향 돌출되는 걸림턱(44)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할 조 절캡(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관체(40)는 각 가압편(42)이 내측으로 오므라 들어 하부부재(21)에 조립되는 상부부재(22)를 고정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벌어져 고정력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관체(40)의 외측에 체결되는 조절캡(5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고정관체(40)의 외측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정 또는 역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내경의 다수 곳에는 고정관체(40)의 각 가압편(42)을 누름작동토록 하는 누름돌기(51)가 형성된다. 그리고 누름돌기(51)는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관체(40)의 가압편(42)에 밀착됨으로써 조절캡(50)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각 가압편(42)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부부재(22)의 하단부에는 지지체(60)가 일체형으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체(60)는 하부부재(21)의 내경을 따라 승강작동되어 상부부재(22)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앞서와 같은 종래의 악보대(100)도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보다 새롭고 편리하게 악보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악보대가 갖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구조가 좋고 사용에 편리한 악보대라면, 많은 연주자들에게는 언제든지 요청되는 사안이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방식의 악보대가 제안되고 있지만, 구성요소의 수가 많고 내구성이 저하되어 조립이 매우 어려우며 그 결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앞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에 악보받침대가 구비된 상부관체가 다리부를 구비한 하부관체에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악보대에 있어, 상기 하부관체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상기 하부관체 내측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가 결합되며, 물체가 올려지는 상기 악보받침대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상부관체와; 상기 상부관체의 하부가 삽입되어 내측이 탄성가압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체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하부관체와; 상기 하부관체에 내삽되는 상부관체가 상기 하부관체의 중심부에서 유지되도록 보조하면서 상부 하부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조체를 포함하므로써, 외부에서 가압하여 조정한 높낮이 상태로 전체 형태가 유지되는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목적에 따른 본 고안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서의 각 구성부 및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각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는 간편한 조작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높이에서의 고정능력이 뛰어나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쉽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이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과 인건비 및 생산비용 절감에 큰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악보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 S-S' 선에 의한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부분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악보대(70)는, 크게 악보를 올려놓을 수 있는 악보받침대(70A)와, 악보대(7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지탱하는 다리부(70B)와, 상기 악보받침대(70A)와 다리부(70B)를 연결하고 기둥역활을 하는 중앙의 지주(70T)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는 중앙의 지주(70T)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단에 악보받침대(70A)가 구비된 상부관체(710)가 다리부를 구비한 하부관체(720)에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악보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720)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상기 하부관체(720) 내측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710`)가 결합되며, 물체가 올려지는 상기 악보받침대(70A)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상부관체(710)와; 상기 상부관체(710)의 하부가 삽입되어 내측이 탄성가압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체(710)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하부관체(720)와; 상기 하부관체(720)에 내삽되는 상부관체(710)가 상기 하부관체(720)의 중심부에서 유지되도록 보조하면서 상부 하부관체(72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조체(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부관체(710)에 결합되는 탄성가압부재(710`)는, 상기 하부관체(720)와 슬라이딩 삽입되는 일측단에 상기 상부관체(710)의 축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상기 가압작동을 위해 형성된 작동홈(715h)이 구비되는 부재바디(715)와; 중앙의 탄성체 양단으로 가압지지돌기(716x, 716y)가 결착된 형태로 상기 작동홈(715h)에 삽입되며, 최초 수축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체(710)가 상기 하부관체(72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하부관체(720) 내측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핀체(7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바디(715)는 일측단이 상기 상부관체(710)에 내삽되도록 외경이 상부관체(710)의 내경보다 약간 적어 빡빡한 상태로 결합되며,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부관체(710) 외측에서 핀이나 나사 등을 박아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바디(715)의 하단은 탄성가압핀체(716)의 결합을 위해 작동홈(715h)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핀체(716)는, 중앙의 위치하여 탄성 작동하여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716s)과; 상기 스프링(716s)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홈의 모양에 대응하는 외향으로 그 외주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관체(720)에 의 내측을 가압지지하기 위한 밀착면을 구비하는 가압지지돌기(716x, 716y)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스프링(716s)과 결착되는 각 가압지지돌기(716x, 716y)의 내측은 작동홈(715h)이 파여져 있고 이 작동홈(715h)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착된다.
그리고 부재바디(715)의 하부 작동홈(715h)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외연이 전부 둥그스럽지 않고 높낮이 조절작동의 편리를 위해 일부가 컷팅(cutting)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완전히 둥그스러운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압지지돌기(716x, 716y)의 외측은 악보대(70)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하부관체(720)의 내측을 효과적으로 밀착하고 가압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약간 튀어나온 모양의 불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 예컨대 타원,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지지돌기(716x, 716y)는 하부관체(720)의 내측을 효과적으로 밀착시켜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재료라면 모두 채택될 수 있 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계열의 수지재료를 적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 상기 상부관체(710)가 하부관체(720)로 슬라이딩 삽입된 다음 일정 길이로 길이조절이 되었으면, 결합보조체(730)에 의해 지지보조된다.
이 결합보조체(730)는 그 안쪽에 지지보조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중심을 맞추고 지탱할 수 있도록, 보조슬리브(730x)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 보조슬리브(730x)는 없어도 무방하지만, 보다 안정되고 지지보조의 효율이 좋도록 포함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악보대(70)에 있어 다리부(70B) 측의 하부관체(720)와, 같은 개념으로 악보받침대(70A) 방향으로 결합보조체(730) 및 보조슬리브(730x)가 삽입된 상태로 각각 준비한다.
하지만 본 악보대(70)의 조립결합은 순서를 바꿀 수도 있으므로, 다리부(70B)와 악보받침대(70A)는 먼저 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를 조립완성한 후에 조립결합해도 무방하다.
이 후, 탄성가압핀체(716)의 가압지지돌기(716x, 716y)를 안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관체(710)의 하단을 하부관체(720)로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이렇게 되면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프링(716s)에 의해 가압지지돌기(716x, 716y)에 탄성력이 발생되고 이때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지지돌기(716x, 716y)가 하부관체(720)의 내측을 밀어 가압시키게 된다.
이때의 탄성력과 가압력이 차후 본 악보대(70)를 세우더라도 하부관체(720) 상부에서 상부관체(710)가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악보대(70)를 일정길이로 변화시키는 것도 비교적 용이해야 하므로, 탄성력과 가압력이 일정한 정도의 범위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일정한 길이로 조정된 상태로 슬라이딩 삽입된 상부관체(710)와 하부관체(720) 사이에 보조슬리브(730x)와 결합보조체(730)를 각각 순서대로 끼움으로써, 본 실시예의 악보대(70)를 조립결합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과정을 통해 완성된 악보대(70)는 악보받침대(70A)에 악보와 같은 일정 무게의 책 등이 올려지거나 또는 마이크나 지휘봉 등 작은 물체들이 올려지더라도 지지상태를 유지하며 조정된 높낮이 상태로 직립하게 되므로써, 본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를 통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적용되는 또다른 형태로서 사각형태의 탄성가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는 지금까지 설명한 원형의 상부관체(710) 및 하부관체(720) 이외에도 사각, 육각, 팔각, 타원형 등 필요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도 8에 사각 형태의 상부관체(710) 및 하부관체(720)에 적용시키기 위한 사각형태의 탄성가압부재(710`)가 형성되고, 이러한 사각형태의 탄성가압부재(710`)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부재바디(715) 중앙의 작동홈(715h)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가압핀체(716) 전체가 통할 수 있도록 뚤려 질 수도 있지만, 본 도 8과 같이 중앙의 스프링(716s)만 삽입되도록 작동홈(715h)의 중간을 막고 여기에 스프링홈(715h')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 중앙의 스프링(716s)은 탄성력이 센 것을 사용할 경우 악보대의 지지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약한 것을 사용할 경우 지지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이러한 스프링(716s)도 원하는 형태를 사용하여 지지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실시예들로 구성된 본 고안은 비록 악보대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마이크 스탠드, 광고판 스탠드 또는 옷걸이 등 높낮이의 조절이 필요한 곳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329057호가 적용된 악보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 악보대에서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고정부위에 대한 평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악보대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S-S' 선에 의한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부분의 평면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에 적용되는 또다른 형태로서 사각형태의 탄성가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악보대
70A : 악보받침대 70B : 다리부
70T : 지주
710 : 상부관체 710` : 탄성가압부재
715 : 부재바디
715h : 작동홈 715h' : 스프링홈
716 : 탄성가압핀체
716s : 스프링 716x, 716y : 가압지지돌기
720 : 하부관체
730 : 결합보조체

Claims (3)

  1. 상단에 악보받침대가 구비된 상부관체가 다리부를 구비한 하부관체에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악보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체의 축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상기 하부관체 내측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가 결합되며, 물체가 올려지는 상기 악보받침대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상부관체와;
    상기 상부관체의 하부가 삽입되어 내측이 탄성가압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체를 지지하여 유지시키는 하부관체와;
    상기 하부관체에 내삽되는 상부관체가 상기 하부관체의 중심부에서 유지되도록 보조하면서 상부 하부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조체를 포함하므로써;
    외부에서 가압하여 조정한 높낮이 상태로 전체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하부관체와 슬라이딩 삽입되는 일측단에 상기 상부관체의 축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상기 가압작동을 위해 형성된 작동홈이 구비되는 부재바디와;
    중앙의 탄성체 양단으로 가압지지돌기가 결착된 형태로 상기 작동홈에 삽입되며, 최초 수축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체가 상기 하부관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 기 하부관체 내측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핀체는,
    중앙의 위치하여 탄성 작동하여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홈의 모양에 대응하는 외향으로 그 외주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관체에 의 내측을 가압지지하기 위한 밀착면을 구비하는 가압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90000493U 2009-01-14 2009-01-14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51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93U KR200451572Y1 (ko) 2009-01-14 2009-01-14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493U KR200451572Y1 (ko) 2009-01-14 2009-01-14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88U KR20100007488U (ko) 2010-07-22
KR200451572Y1 true KR200451572Y1 (ko) 2010-12-23

Family

ID=4445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493U KR200451572Y1 (ko) 2009-01-14 2009-01-14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588A (ja) 2005-11-24 2007-06-14 Takano Co Ltd 家具の高さ調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588A (ja) 2005-11-24 2007-06-14 Takano Co Ltd 家具の高さ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88U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027B1 (en) Adjustable sprinkler stand
US9961421B2 (en) Microphone stand adjusting structure
US2210047A (en) Knockdown stool
CN100498930C (zh) 一种音乐架高度调节装置
KR102162864B1 (ko)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A2659329A1 (en) Step barrel/chair exercise apparatus
AU2003223863A1 (en) Device for permanently extending elongate body parts
JP3143162U (ja) 携帯用バーナーの五徳
KR200451572Y1 (ko) 악보대 높낮이 조절장치
US10939768B2 (en) Physical activity devices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US6982373B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1123435B1 (ko) 목발
US10486299B2 (en) Supporter for woodworking table
CN211703904U (zh) 课桌
CN201511745U (zh) 组合画架与卷曲画板
JP3220799U (ja) 脇支持型杖の構造
CN113455831A (zh) 一种教学设备用便于组装的管材结构
CN208358727U (zh) 多功能夹紧台
KR20110023527A (ko) 조립식 보드
KR20090007052U (ko) 책걸상의 상,하부지주 연결커버 조립구조
KR200419135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29057Y1 (ko) 악보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9825438U (zh) 一种可变板凳的拐杖
JP3149852U (ja) 折畳み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