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45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45Y1
KR200451545Y1 KR2020100002078U KR20100002078U KR200451545Y1 KR 200451545 Y1 KR200451545 Y1 KR 200451545Y1 KR 2020100002078 U KR2020100002078 U KR 2020100002078U KR 20100002078 U KR20100002078 U KR 20100002078U KR 200451545 Y1 KR200451545 Y1 KR 200451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planting body
support body
exterio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건
Original Assignee
이수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건 filed Critical 이수건
Priority to KR2020100002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몸체, 상기 식재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 상기 식재 몸체를 받치고 있는 받침 몸체, 상기 받침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와 마주하는 제2 결합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 분위기를 연출하는 외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 건물외부 등에 설치되는 대형 화분은 인공적인 플라스틱 화분을 널리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목재 화분을 점차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목재화분의 경우 목재로만 화분을 구성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제작 기간이 오래 걸려 대량 생산을 할 수 없었으며, 전문 기술자만이 생산을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인건비, 화분의 원가 등이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목재로만 제작된 화분의 경우 화분 내부에 담겨 있는 상토 중에 수분이 화분 내면부 목재에 흡수되어 외면부에서 햇빛과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 되면서 화분내부의의 식재토를 건조시킬 뿐 아니라, 상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목재는 외부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재질의 변질을 초래하고 나아가 목재가 썩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목재로만 제작된 화분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면 보수가 어려워 대부분 버리게 되었으며, 버려지는 목재 화분의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자원이 낭비되었다.
목재 화분은 현장에서 만들기 어려워 공장 등에서 생산하게 되면서 그 부피에 의하여 운송 비용이 증가하며, 사후 관리가 다소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목재로만 제작된 화분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목재의 분위기를 그대로 연출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몸체, 상기 식재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 상기 식재 몸체를 받치고 있는 받침 몸체, 상기 받침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와 마주하는 제2 결합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식재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의 외관을 가리는 외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부는, 상기 식재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외장 몸체들, 상기 외장 몸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밴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 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장 몸체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그리고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재 몸체는 일측이 개방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식재 몸체의 바닥면에는 식재 몸체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흡수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관에는 상기 식재 몸체의 내부와 상기 받침 몸체의 내부를 연통시킨 복수의 흡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식재 몸체의 개방된 일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평행부, 상기 평행부와 수직하며, 상기 식재 몸체의 외부 둘레면과 마주하며, 상기 외장부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몸체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흡수관이 위치하고,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 중앙에는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평행부와 마주하며 리브 부재로 상기 받침 몸체에 연결된 안치면 및 상기 안치면과 수직하며, 상기 리브 부재와 마주하고, 상기 외장부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을 형성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은 식물이 식재 될 수 있는 식재부의 외측으로 목재나 기타 소재로 이루어진 외장부가 설치됨으로써 자연적인 미감을 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은 외장부가 식재 몸체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분위기에 맞추어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장부가 식재몸체를 감싸고 있으므로, 식재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파손 시 외장부만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사후 관리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분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분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분(1)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부(10), 식재부(10)를 받치고 있으며 유체가 채워질 수 있는 받침부(20), 그리고 식재부(10)와 받침부(20)의 외관을 가려 장식을 하는 외장부(30)를 포함한다.
식재부(10)는 식재 몸체(11), 흡수관(12), 그리고 제1 결합부(13)를 포함한다.
식재부(10)의 식재 몸체(11)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식재 공간(11a)이 형성되어 있다. 식재 공간(11a)에 나무, 화초 따위의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흙, 거름 따위가 채워질 수 있다. 식재 몸체(11)는 그 두께가 대략 3mm 내지 7mm 일 수 있다. 두께가 3mm 이하이면 외부 충격과 식재 공간(11a)에 있는 흙 따위의 내압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두께가 7mm 이상이 되면 식재 몸체(11)의 중량이 상승하고, 재료가 많이 들어가게 되어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식재 몸체(11)의 상하 높이는 400mm정도일 수 있다. 식재 몸체(11)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식재부(10)의 흡수관(12)은 식재 몸체(11)의 바닥면(11b)에서 식재 몸체(11) 하부로 복수 돌출되어 식재 몸체(11)를 지지한다. 흡수관(12)은 식재 몸체(11)의 바닥면(11b)을 따라 형성되거나, 바닥면(11b)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흡수관(12)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식재 공간(11a)과 연통 된 흡수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수공(12a)을 통하여 유체가 식재 공간(11a)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흡수공(12a)에는 유체를 흡수하는 흡수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식재 공간(11a)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된 유체가 흡수공(12a)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흡수공(12a)은 식재 몸체(11)의 바닥면(11a)에 형성될 수 있다. 흡수관(12)의 상하 높이는 140mm 정도일 수 있다. 흡수관(12)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높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식재 몸체(11)의 바닥면(11a)이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식재부(10)의 제1 결합부(13)는 외장부(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평행부(131), 그리고 제1 걸림턱(132)을 포함한다.
평행부(131)는 식재 몸체(1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평행부(131)의 끝에는 제1 걸림턱(132)이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턱(132)은 식재 몸체(11)의 외부 둘레면과 마주하며 그 사이에 외장부(30)의 일측이 끼워지는 제1 끼움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받침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받침부(20)는 받침 몸체(21), 배수관(22), 그리고 제2 결합부(23)를 포함한다.
받침 몸체(21)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흡수관(12)이 위치하며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식재 몸체(11)의 하부 또한 저수 공간(21a)에 수용될 수 있다. 이렇게 수용된 유체는 흡수공(12a)을 통하여 식재 공간(11a)으로 유입되어 식물에 공급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흡수공(12a)을 통해 식재 공간(11a)에서 배출된 유체가 저수 공간(2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저수 공간(21a)에 수용된 유체의 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받침 몸체(21)에는 수위 표시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 몸체(21)는 상하 높이가 대략 180mm 정도 일 수 있다. 받침 몸체(21)의 상하 높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저수 공간(21a)의 바닥면(21a)에는 배수공(22a)을 가지는 배수관(22)이 식재 몸체(11)의 저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흡수관(12) 사이에 위치하여, 흡수관(1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수관(22)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저수 공간(21a)에 유체가 가득 차면 배수공(22a)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관(22)의 개방된 일측에는 배수된 유체를 받기 위한 별도의 회수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받침 몸체(21)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24)가 결합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24)는 지면에 밀착되며, 지면에서 화분(1)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미끄럼 방지 부재(24)는 생략될 수 있다. 받침 몸체(21)의 저면에는 화분(1)을 쉽게 옮길 수 있도록 바퀴(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3)는 받침 몸체(21)의 하부 외측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리브 부재(231)로 받침 몸체(2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받침 몸체(21)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결합부는 안치면(232), 그리고 제2 걸림턱(233)을 포함한다.
안치면(232)은 리브 부재(231)에 의해 받침 몸체(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13)의 평행부(131)와 마주한다. 안치면(232)의 끝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한 제2 걸림턱(23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턱(233)은 리브 부재(231)와 마주하며 그 사이에 외장부(30)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 끼움홈(23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23)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30mm 정도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화분(1)을 옮길 때 제2 결합부(23)는 지면과 간섭되지 않는다.
이러한, 받침부(20)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식재부(10), 받침부(20)는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식재부(10) 및 받침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원형으로 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타입,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식재부(10)와 받침부(20)는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재부(10)와 받침부(20)는 성형이 쉽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외장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장부(30)는 식재부(10)와 받침부(20)를 가려 화분(1)의 외관미를 높이고, 식재부(2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외장 몸체(31), 그리고 밴딩 부재(32)를 포함한다.
외장부(30)의 외장 몸체(31)는 제1 결합부(13)와 제2 결합부(23)의 사이에 위치하여, 식재 몸체(11)와 받침 몸체(21)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배열되어 식재 몸체(11)와 받침 몸체(21)를 가릴 수 있다. 이때, 외장 몸체(31)의 상단부는 제1 결합부(13)의 제1 끼움홈(132a)에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지고, 외장 몸체(31)의 하단부는 제2 결합부(23)의 제2 끼움홈(233a)에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져 견고히 고정된다.
외장 몸체(31)는 목재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외부 표면에는 다양한 무늬(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외장 몸체(31)는 합성수지, 금속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외장부(30)의 밴딩 부재(32)는 복수의 외장 몸체(31)를 연결하며,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밴딩 부재(32)는 외장 몸체(21)의 내부 둘레면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외부 둘레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밴딩 부재(32)의 외부 표면에는 외장 몸체(31)의 표면과 동일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밴딩 부재(32)의 한쪽 끝은 외장 몸체(21) 보다 더 돌출되어 밴딩 부재(32)의 다른 쪽 끝에 중첩되어 있다. 중첩된 부분에는 잠금 부재(33)가 결합되어 밴딩 부재(32)를 고정한다. 밴딩 부재(32)가 고정되면 외장 몸체(31)는 식재 몸체(11)와 받침 몸체(21)의 외측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33)를 못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중첩된 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부(10)의 외측으로 외장부(30)가 설치됨으로써 화분(1) 목재로 만들어진 화분의 만들 수 있어 자연적 미감을 취할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식재부(10)를 보호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식재부 11: 식재 몸체
11a: 식재 공간 11b: 바닥면
12: 흡수관 12a: 흡수공
13: 제1 결합부 131: 평행부
132: 제1 걸림턱 132a: 제1 끼움홈
20: 받침부 21: 받침 몸체
21a: 저수 공간 21b: 바닥면
22: 배수관 22a: 배수공
23: 제2 결합부 231: 리브 부재
232: 안치면 233: 제2 걸림턱
233a: 제2 끼움홈 24: 미끄럼 방지 부재
30: 외장부 31: 외장 몸체
32: 밴딩 부재 33: 잠금 부재

Claims (7)

  1.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 몸체,
    상기 식재 몸체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식재 몸체의 외부 둘레면과 마주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
    상기 식재 몸체를 받치고 있는 받침 몸체,
    상기 받침 몸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와 마주하는 제2 결합부, 그리고
    상기 식재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 외측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식재 몸체의 외부 둘레면 사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를 가리는 외장부
    를 포함하는 화분.
  2. 제1항에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평행부와 마주하며 상기 받침 몸체와 리브 부재로 연결된 안치면 및
    상기 안치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치면에서 수직하게 상기 받침 몸체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브 부재와 마주하는 제2 걸림턱
    을 포함하며,
    상기 외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리브 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화분.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외장부는,
    상기 식재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는 외장 몸체들,
    상기 외장 몸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밴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 부재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중첩되어 있는
    화분.
  5. 제1항에서,
    상기 식재 몸체의 바닥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복수의 흡수관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흡수관의 내부는 상기 식재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관에는 상기 식재 몸체의 내부와 상기 받침 몸체의 내부를 연결하는 흡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
  6. 제5항에서,
    상기 받침 몸체는 상기 식재 몸체의 하부가 위치하는 저수공간을 가지며 상기 식재 몸체와 분리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바닥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수관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 상단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
  7. 제4항에서,
    상기 외장 몸체는 목재, 금속, 합성성수지, 그리고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화분.
KR2020100002078U 2010-02-26 2010-02-26 화분 KR200451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78U KR200451545Y1 (ko) 2010-02-26 2010-02-26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78U KR200451545Y1 (ko) 2010-02-26 2010-02-26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545Y1 true KR200451545Y1 (ko) 2010-12-21

Family

ID=4447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078U KR200451545Y1 (ko) 2010-02-26 2010-02-26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339B1 (ko) * 2019-08-26 2020-06-26 남궁주희 대형 목재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0954A (ko) * 2019-03-18 2020-09-28 김재민 외장구조체를 이용한 도로조경용 화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238Y1 (ko) 2000-06-21 2000-12-01 임영하 화분 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238Y1 (ko) 2000-06-21 2000-12-01 임영하 화분 커버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54A (ko) * 2019-03-18 2020-09-28 김재민 외장구조체를 이용한 도로조경용 화분
KR102260430B1 (ko) * 2019-03-18 2021-06-04 김재민 외장구조체를 이용한 도로조경용 화분
KR102117339B1 (ko) * 2019-08-26 2020-06-26 남궁주희 대형 목재 화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2368T3 (es) Método y sistema de riego de plantas
RU25760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стенного цвет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NL2014185B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US20080236040A1 (en) Plant container
US20100162624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8016958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KR101012028B1 (ko)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US20110296751A1 (en) Self contained system for growing perennial flowers in a rock-like or other ornamental planter
KR200451545Y1 (ko) 화분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JP5042779B2 (ja) 緑化植栽保護パネル
JP4657359B2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90177046A1 (en)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JP3904847B2 (ja) 芝生等植栽用の連結据置式緑化ユニット
KR200411876Y1 (ko) 급수 기능이 구비되는 화분
KR20130113907A (ko)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KR20110005110U (ko) 화분용 수조
KR200464609Y1 (ko) 수경식재형 플랜터
KR200257598Y1 (ko)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KR20110087721A (ko) 거리 경관용 화분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KR102253876B1 (ko) 패널형 화분 및 이를 구비한 벽면녹화구조물
KR102297778B1 (ko) 플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