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38Y1 - 화분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화분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38Y1
KR200206238Y1 KR2020000017660U KR20000017660U KR200206238Y1 KR 200206238 Y1 KR200206238 Y1 KR 200206238Y1 KR 2020000017660 U KR2020000017660 U KR 2020000017660U KR 20000017660 U KR20000017660 U KR 20000017660U KR 200206238 Y1 KR200206238 Y1 KR 200206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t
assembly
fram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하
Original Assignee
임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하 filed Critical 임영하
Priority to KR2020000017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25Flower-pot stabilisers, i.e. means to prevent flower-pots from tipp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47G7/07Guiding means for flowers in vases, e.g. perforated co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을 보호하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화분커버는 하나의 몸체로서 그 크기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는 관계로, 화분의 종류(크기)에 따라 다수의 커버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더불어 하나의 몸체로 인해 특히, 대용량의 화분을 덮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운반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화분의 크기에 따라 조립으로 그 크기가 가변되는 화분커버를 구성하므로서, 화분의 이동 발생시 커버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조립을 통해 설치를 간편하게 하면서 화분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조립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종류)를 갖는 화분에 대응할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화분 커버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분 커버 구조{Cover structure for a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을 보호하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 크기에 따라 조립으로 그 크기가 가변되는 커버 구조를 통해 운반의 용이성과 함께 설치의 간편화를 이루어지면서 화분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화분 커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을 보호하기 위해 화분 주위에 설치되는 커버는 FRP나 합성수지로 사출하여 제작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화분커버(1)는 하나의 몸체로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을 이루고, 이러한 원통형의 화분커버(1)는 화분(2)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화분커버(1)는 하나의 몸체로서 그 크기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는 관계로, 화분(2)의 종류(크기)에 따라 다수의 커버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더불어 하나의 몸체로 인해 특히, 대용량의 화분을 덮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운반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분의 크기에 따라 조립으로 그 크기가 가변되는 화분커버를 구성하므로서, 화분의 이동 발생시 커버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조립을 통해 설치를 간편하게 하면서 화분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조립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종류)를 갖는 화분에 대응할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화분 커버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적용되는 화분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버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화분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화분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화분커버 2 ; 화분
10; 커버프레임 20,20'; 단차부
20a,20a'; 돌기삽입홈 30; 조립홈
40; 조립돌부 50; 상부프레임고정부
50a; 제 1 삽입돌기 60; 하부프레임고정부
60a; 제 2 삽입돌기 71; 지지면
71a; 배수구멍 72; 걸림부
73; 캐스터 100; 배수물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버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화분 커버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분(2)을 보호하는 화분커버(1)에 있어서,
상기 화분커버(1)는 화분(2)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도록 호(弧)를 이루어지면서 장방향의 수직길이를 갖는 다수의 커버프레임(10) 조립으로 형성하되,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는 돌기삽입홈(20a)(20a')을 갖는 단차부 (20)(20')를 형성하고 그 양측면의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는 다음단의 커버프레임과 조립될수 있도록 조립홈(30) 및 조립돌부(40)를 각각 형성하며,
조립홈(30) 및 조립돌부(40)의 체결 삽입으로 부터 원통형을 형성시 그 조립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부(20)에는 내측면에 제 1 삽입돌기(50a)를 갖는 원형링 형태의 상부프레임고정부(50)를 체결하고,
상기 커버프레임(10)의 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에는 내측면에 제 2 삽입돌기(60a)를 갖는 원형링 형태의 하부프레임고정부(60)를 체결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프레임(10) 및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는 그 외관의 수려(秀麗)함을 제공할수 있도록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는 그 형상을 동일하게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분(2)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도록 호(弧)를 이루어지면서 장방향의 수직길이를 갖는 다수의 커버프레임(10)을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하여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는 돌기삽입홈(20a)(20a')을 갖는 단차부(20)(20')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양측면에는 조립홈(30)과 조립돌부(40)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20')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내측면에 제 1 및 제 2 삽입돌기(50a) (60a)를 갖는 원형링 형태의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를 성형하여 구비한다.
이후,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조립홈(30)과 조립돌부(40)를 통해 다수 구비된 상기의 커버프레임(10)을 도 2 및 4에서와 같이 조립하여 원형으로 만든 후,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20')에 원형링 형태의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를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삽입돌기(50a)(60a)는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20')의 돌기삽입홈(20a)(20a')으로 삽입되는 바,
상기 다수의 조립으로 원형을 이루는 커버프레임(10)은 상기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에 의해 그 상,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화분커버(1)의 조립이 완료되고, 더불어 그 조립이탈이 방지되면서 화분(2)을 보호할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조립갯수는 가변적으로 늘리거나 줄일수 있는 바, 화분(2)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커버프레임(10)의 갯수를 늘려 그 지름을 크게 하고, 화분(2)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커버프레임(10)의 갯수를 줄여 그 지름을 작게 하므로서,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화분(2)을 간편하게 보호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서, 도 7은 화분커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화분커버의 사용 상태도 이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홈(30) 및 조립돌부(40)의 체결 삽입으로 커버프레임(10)이 원통형을 형성시 그 조립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20')에는 내측면에 제 1 및 제 2 삽입돌기(50a)(60a)를 갖는 원형링 형태의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를 체결하되,
상기 하부프레임고정부(60)는 화분(2)이 올려지면서 화분(2)의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중심부에 배수구멍(71a)을 갖는 지지면(71)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71)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구멍(71a)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을수 있는 배수물통(100)이 결합될수 있는 걸림부(72)를 형성하며,
그 가장자리면에는 화분(2)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캐스터 (73)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면에 형성된 조립홈(30)과 조립돌부 (40)를 통해 다수 구비된 커버프레임(10)을 조립하여 원형으로 만든 후, 상기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20')에 원형링 형태의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를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삽입돌기(50a)(60a)는 커버프레임(1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차부(20)(20')의 돌기삽입홈(20a)(20a')으로 삽입되는 바,
상기 다수의 조립으로 원형을 이루는 커버프레임(10)은 상기 상,하부프레임고정부(50)(60)에 의해 그 상,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화분커버(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고정부(60)에는 화분(2)이 올려지면서 화분(2)의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중심부에 배수구멍(71a)을 갖는 지지면(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면(71)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구멍(71a)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을수 있는 배수물통(100)이 결합되는 걸림부(72)를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지지면(71)으로 화분(2)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면(71)의 저면 가장자리면에는 캐스터(7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분커버(1)에 의해 보호되는 화분(2)의 이동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화분의 크기에 따라 조립으로 그 크기가 가변되는 화분커버를 구성하므로서, 화분의 이동 발생시 커버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조립을 통해 설치를 간편하게 하면서 화분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조립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종류)를 갖는 화분에 대응할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화분을 보호하는 화분커버에 있어서,
    상기 화분커버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도록 호(弧)를 이루어지면서 장방향의 수직길이를 갖는 다수의 커버프레임 조립으로 형성하되,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하면에는 돌기삽입홈을 갖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양측면의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는 다음단의 커버프레임과 조립될수 있도록 조립홈 및 조립돌부를 각각 형성하며,
    조립홈 및 조립돌부의 체결 삽입으로 부터 원통형을 형성시 그 조립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부에는 내측면에 제 1 삽입돌기를 갖는 원형링 형태의 상부프레임고정부를 체결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된 단차부에는 내측면에 제 2 삽입돌기를 갖는 원형링 형태의 하부프레임고정부를 체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커버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고정부에는, 화분이 올려지면서 화분의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중심부에 배수구멍을 갖는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의 저면에는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을수 있도록 배수물통이 결합되는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면의 가장자리면에는 화분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캐스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커버구조.
KR2020000017660U 2000-06-21 2000-06-21 화분 커버 구조 KR200206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60U KR200206238Y1 (ko) 2000-06-21 2000-06-21 화분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60U KR200206238Y1 (ko) 2000-06-21 2000-06-21 화분 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38Y1 true KR200206238Y1 (ko) 2000-12-01

Family

ID=1966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60U KR200206238Y1 (ko) 2000-06-21 2000-06-21 화분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45Y1 (ko) 2010-02-26 2010-12-21 이수건 화분
KR101573653B1 (ko) * 2015-03-06 2015-12-01 이유정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KR20200132229A (ko) * 2019-05-16 2020-11-25 조영태 조립식 화분
KR20220147279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현준산업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45Y1 (ko) 2010-02-26 2010-12-21 이수건 화분
KR101573653B1 (ko) * 2015-03-06 2015-12-01 이유정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KR20200132229A (ko) * 2019-05-16 2020-11-25 조영태 조립식 화분
KR102213943B1 (ko) * 2019-05-16 2021-02-08 조영태 조립식 화분
KR20220147279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현준산업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조립체
KR102535977B1 (ko) 2021-04-27 2023-05-26 주식회사 현준산업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68234S (en) Flower pot
USD424932S (en) Combined package with candle
USD437222S1 (en) Packaging box
KR200206238Y1 (ko) 화분 커버 구조
US4027429A (en) Plastic starter pot
KR980000031A (ko) 화분보호덮개
USD448125S1 (en) Combined bird bath and feeder
USD399456S (en) Flower pot cover
USD450549S1 (en) Automatic plant watering system
USD366855S (en) Flowerpot with water saucer
USD459653S1 (en) Bung for sealing a container
USD432232S (en) Wound drainage device
USD428357S (en) Molded pentagonal tree stand
EP0245336A1 (en) Protective lining for a container
USD444735S1 (en) Rubberized coir moulded pot specially designed for mechanical handling
JP3587565B2 (ja) 積層型吊り鉢
EP0727136B1 (en) Article having a flange protruding therefrom
USD427390S (en) Hydrant chew toy
KR102213943B1 (ko) 조립식 화분
KR200310062Y1 (ko) 분재용 화분
USD361302S (en) Flower pot cover with fins
USD368445S (en) Flower pot cover with fins
KR200295138Y1 (ko) 조립식 화분 장식 커버
USD360167S (en) Flower pot cover with fins
USD382918S (en) Toy UF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