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78Y1 - 티백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티백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78Y1
KR200451478Y1 KR2020080016616U KR20080016616U KR200451478Y1 KR 200451478 Y1 KR200451478 Y1 KR 200451478Y1 KR 2020080016616 U KR2020080016616 U KR 2020080016616U KR 20080016616 U KR20080016616 U KR 20080016616U KR 200451478 Y1 KR200451478 Y1 KR 200451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g
sealing
unit
tea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386U (ko
Inventor
김명재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16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7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백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티백의 실링의 불량을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티백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2020080016616
티백, 실링, 불량, 높이, 두께, 광센서

Description

티백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TEA BAG}
본 고안은 티백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고안은 티백의 실링의 불량을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티백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백은 입자로 된 소정량의 찻잎(녹차잎, 홍차잎 등의 내용물) 내용물을 여과지 재질의 티백용지로 제조되는 1회용 티백에 넣어 봉입한 것을 말한다.
찻잎(내용물)이 봉입된 티백을 적당량의 가열된 물에 투입하여 그 찻잎을 우려내어 차를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티백은 유연한 재질의 외피에 티백이 봉입된 상태에서 포장상자 등의 포장용기에 복수 개가 포장되어 제공된다. 물론, 유연한 외피가 아닌 고체 하우징에 복수 개의 티백이 봉입된 상태로 사용자게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유연한 외피는 종이 또는 비닐 등을 포개어 제작되어 포개진 외피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티백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포개진 종이 또는 비닐 등으로 제공되는 외피에 티백을 삽입하고 밀 봉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즉, 작업자가 양면의 외피를 벌려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티백을 삽입하는 과정은 능률이 떨어지고, 다량의 제품을 신속하게 생산해야 하는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고안은 티백의 실링의 불량을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티백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롤러에 의하여 절곡된 공급경로를 갖으며, 연속적으로 티백용지를 공급하는 티백용지공급부; 상기 티백용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티백용지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티백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공급부; 상기 내용물공급부에서 티백내용물이 공급된 티백용지의 양단을 열융착하여 실링부를 형성하는 티백열융착부; 및, 상기 티백열융착부에서 형성된 실링부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의 두께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실링불량감지부를 포함하는 티백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내용물공급부는 상기 티백용지의 양 가장자리가 접힌 상태로 상기 양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하는 티백용지의 중심부에 티백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백열융착부는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이 직립된 상태로 양측에서 열융착되어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불량감지부의 광센서는 빛을 투사하는 투사부와 상기 투사부에서 투사된 빛이 수신되는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불량감지부는 상기 티백열융착부에서 열융착된 실링부의 기 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광센서의 투사부에서 투사된 빛이 상기 수신부에 도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홀을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불량감지부를 통과한 티백의 실링부를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이는 누름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에 의하면, 티백의 실링의 불량을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에 의하면, 티백의 실링 불량을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완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에 의하면, 티백의 실링 불량을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화된 검출과정을 수행하므로,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티백의 제조원리를 단계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티백은 입자로 된 소정량의 찻잎(녹차잎, 홍차잎 등의 내용물) 내용물을 여과지 재질의 티백용지(100)로 제조되는 1회용 티백에 넣어 봉입한 것을 말한다. 찻잎(내용물)이 봉입된 티백을 적당량의 가열된 물에 투입하여 그 찻잎을 우려내어 차를 음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티백용지(1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티백용지의 중심부(110)에 티백 내용물이 공급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티백용지(100)는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제품의 생산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티백용지(100)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티백용지(100)는 티백 내용물(t)이 얹혀지는 티백용지의 중심부(110)와 상기 티백용지의 중심부(110)를 덮을 수 있도록 포개지는 티백용지의 가장자리(120) 그리고 후술하는 티백을 실링하기 위하여 열융착되는 티백용지의 양단(1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티백용지의 중심부(110)에 공급되는 티백 내용물(t)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내용물(녹차잎, 홍차잎 등을 포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티백 내용물(t)은 상기 티백용지(100)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티백 절취선(c)을 따라 절취되어 복수 개의 티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공급된다.
도 1b는 도 1a의 티백용지(100)가 티백 내용물(t)을 감싸도록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티백용지의 중심부는 상기 티백용지의 가장자리(120)에 의하여 덮히게 된다.
또한,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은 후술하는 열융착 과정을 통하여 실링부(S)를 형성한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단면 기준선을 기준으로 티백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실링부(S)의 열융착과정은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의 양측면을 열융착하게 된다.
상기 실링부(S)는 열융착과정이 종료되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링부(S)는 티백 내용물의 공급량이 일정하고, 열융착에 의한 실링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티백 실링부(S)의 두께(T(S))(이하 실링부(S)의 두께(T(S))라함)와 실링부(S)의 상단까지의 높이(이하, 실링부(S)의 높이(H(S))라 함)는 일정한 값을 갖게 된다.
상기 실링부(S)의 열융착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티백을 가열된 물에 담궈두는 경우, 상기 실링부(S)는 티백을 실링하지 못하고, 그 내부에 수용된 티백 내용물이 터져나올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티백을 사용하여 차 등을 음용하는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티백의 실링의 불량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상기 티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연한 재질의 외 피에 낱개로 포장될 수 있으며, 외피로 티백을 포장하는 작업 역시 자동화된다.
그러나, 외피로 티백을 포장하는 작업이 완료된 포장된 티백은 그 실링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쉽지 않다. 즉. 티백의 제조와 티백의 포장은 자동화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것이므로, 포장이 완료된 티백의 실링불량을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S)의 불량은 티백의 제조과정에서 티백 실링부(S)의 융착에 의한 실링이 완료된 직후 실링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S)의 두께(T(S))와 상기 실링부(S)의 높이(H(S))는 상기 실링부(S)의 열융착에 의한 실링불량을 판단한는 간접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불량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 또는 눈으로 검사하는 것은 제품의 단가 또는 수량을 고려할 때 현실성이 없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S)의 두께(T(S))와 상기 실링부(S)의 높이(H(S))를 측정하여 상기 실링부(S)의 열융착에 의한 실링불량을 판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실링부(S)의 두께(T(S))가 두꺼운 경우는,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겹쳐지거나 말린 경우 또는 티백용지의 양단(150) 사이에 티백 내용물, 예를 들어 찻잎 등이 개재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실링불량이라고 판단될 수 있으며, 가열된 물에 넣었을 때 티백 내용물이 터져나올 수 있다. 또한, 기준 두께(T(S))보다 얇은 경우는 상기 티백용자의 양단 중 하나의 두께(T(S))만이 측정되는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역시 실링불량에 해당된다.
마찬가지로, 실링부(S)의 높이(H(S)) 역시 실링부(S)의 높이(H(S))가 높은 경우는 티백용지(100)가 밀려 올라가거나 티백 내용물(t)이 빠져나온 경우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실링불량이며, 실링부(S)의 높이(H(S))가 낮은 경우는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말린 경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는 실링부(S)의 두께(T(S))와 실링부(S)의 높이(H(S))를 측정하여 실링불량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경우에 따라 티백제조장치에 의한 티백제조를 중단하거나 작업자에게 티백의 실링불량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롤러에 의하여 절곡된 공급경로를 갖으며, 연속적으로 티백용지(100)를 공급하는 티백용지(100)공급부(10), 상기 티백용지(100)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티백용지(100)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티백 내용물(t)을 공급하는 내용물공급부(20), 상기 내용물공급부(20)에서 티백 내용물(t)이 공급된 티백용지의 양단을 열융착하여 실링부(S)를 형성하는 티백열융착부(30), 및, 상기 티백열융착부(30)에서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열융착되어 형성된 실링부(S)의 두께(T(S))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실링불량감지부(300)를 포함하는 티백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티백용지(100) 공급부는 티백용지(100)가 롤 형태로 감겨진 티백롤(11)로부터 티백용지(100)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티백용지(100)공급부(10)는 적 어도 1개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여 티백용지(100)의 공급속도 또는 공급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백용지(100)공급부(10)는 공급롤러(13)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티백용지(100)를 수평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티백용지(100)공급부(10)에서 티백용지(100)가 공급되면 상기 내용물공급부(20)는 그 티백용지의 중심부(110) 상면에 티백 내용물을 공급한다.
상기 내용물공급부(20)는 상기 티백용지(100)의 양 가장자리를 접어, 상기 티백용지의 가장자리(120)가 접힌 상태로 상기 양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하는 티백용지의 중심부(110)에 티백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티백용지(100)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티백용지(100)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티백용지(100)를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내용물공급부(2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티백 내용물(t)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티백용지(100) 중심부 상면에 배치되는 티백 내용물(t)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공급부(20)에서 티백 내용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티백용지(100)의 양 가장자리는 티백용지의 중심부(110) 상부에서 그 양단이 접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티백용지의 양단(150)은 티백의 실링부(S)를 실링하는 부분이므로, 티백 내용물을 수용한 티백용지(100)는 내용물공급부(20)에서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내용물공급부(20)에서 상기 실링부(S)를 구성하는 티백용지의 양단(150)은 접합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공급부(20) 뒤에 구비된 상기 티백열융착부(30)는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직립된 상태로 양측에서 열융착할 수 있다.
상기 티백열융착부(30)는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의 외면을 열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티백열융착부(30)는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삽입된 상태로 일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가열하는 열융착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열융착 히터의 가열부분은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의 외측면이다. 상기 열융착 히터에 의하여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열융착된 후, 상기 실링부(S)의 열융착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는, 상기 티백열융착부(30)에서 상기 티백용지의 양단(150)이 열융착되어 형성된 실링부(S)의 두께(T(S))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실링불량감지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의 광센서는 빛을 투사하는 투사부(40,50)와 상기 투사부(40,50)에서 투사된 빛이 수신되는 수신부(40',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는 상기 티백 실링부(S)의 실링불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광센서는 광센서에서 투사되는 빛의 통과여부 등을 판단하여 티백의 실링불량을 판단한다.
광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투사부(40,50)에서 투사된 빛의 도달여부를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실링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실링부(S)의 높이(H(S))는 일정한 값 이하이지만, 실링불량이 발생한 경우, 실링부(S)의 높이(H(S))가 높아져 빛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 는 실링불량이 발생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실링부(S)의 두께(T(S))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링부(S)를 관통하는 빛이 투과여부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는 상기 티백열융착부(30)에서 열융착된 실링부(S)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S)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4)과, 상기 광센서의 투사부(40,50)에서 투사된 빛이 상기 수신부(40',50')에 도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62)이 형성된 가이드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0)는 상기 광센서의 투사부(40,50)에서 투사되는 빛이 수신부(40',50')에 도달하도록 관통홀(62)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S)가 직립된 상태로 상기 광센서에 의한 높이와 두께(T(S)) 측정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64)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60)는 그 하부에 티백 내용물이 포함된 티백이 이송되므로, 상방향으로 일정한 높이 이상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를 통과한 티백은 상기 실링부(S)를 눕혀서 다음 단계의 제조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누룸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누룸부재는 하부로 티백 내용물이 이송되며 실링부(S)를 일방향으로 눕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룸부재에 의하여 실링부(S)가 일방향으로 눕혀진 티백은 그 내용물을 컴팩트하게 압착하는 가압롤러(8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80)에 의하여 티백 내용물의 부피는 최소화될 수 있다. 하나의 완성된 티백은 양면으로 접혀서 제공되는 경우가 많고, 접는 과정에서 각각의 티백 내용물(t)의 부피가 최소화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는 티백의 제조과정에서 티백표면에 잔류하는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브러쉬(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브러쉬(90) 역시 그 하부로 티백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실링불량감지부(300)의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티백 실링부(S)의 높이(H(S))와 두께(T(S))를 감지하기 위한 2 개의 광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광센서는 투사부(40,50)와 수신부(40',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불량감지부(300)는 그 하면에 티백 실링부(S)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홈(64)과 상기 광센서의 투사부(40,50)에서 투사된 빛이 수신부(40',50')에 도달할 수 있도록 관통홀(62)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홈(64)과 상기 관통홀(62)을 상기 가이드부재(60)의 하면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64)에 안내되는 상기 실링부(S)는 상기 가이드홈(64)을 따라안내되며, 상기 관통홀(62) 내부에서 빛이 관통하며, 그 두께(T(S)) 또는 높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실링불량감지부(300)를 통과한 티백 의 추후처리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불량여부가 판단된 티백의 실링부(S)는 실링불량감지부(300) 뒤에 구비되는 누룸부재에 의하여 눌려져,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실링부(S')로 변화된다. 추후적인 포장단계에서 실링부(S)가 꺽이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70)에 의하여 실링부(S)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가압롤러(80)에 의하여 티백 내용물이 컴팩트하게 압착된다. 이후에 수행될 포장과정에서 포장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먼저 티백용지(100)공급부(10)에서 티백용지(100)가 공급(S100)되면, 내용물공급부(20)에서 티백 내용물이 공급(S200)되고, 상기 티백열융착부(30)에서 티백의 실링부(S)가 열융착(S300)된다. 상기 티백열융착부(30)에서 실링부(S)의 열융착이 완료되면, 실링불량감지부(300)에서 실링부(S)의 높이(H(S)) 또는/및 두께(T(S))를 감지(S400)하여 정상범위의 높이 또는/및 두께(T(S))와 비교(S500)된다.
상기 비교(S500) 결과, 실링불량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이와 같은 과정은 다시 처음으로 복귀(S600)하여 반복되며, 만일 상기 비교(S500) 결과, 티백의 실링불량이 발생되었다고 판단(S700)되면, 실링불량의 발생사실을 작업자에게 알리거나 작업을 중단(S800)하게 된다.
실링불량이 발생되었음을 결정하는 방식은, 단 한번의 실링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실링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을 중단하거나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티백의 제조단계에서 티백의 제조원리를 단계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실링불량감지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실링불량감지부를 통과한 티백의 추후처리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제조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 : 티백용지공급부 11 : 티백롤
13 : 공급롤러 20 : 내용물공급부
30 : 티백열융착부 40 : 제1광센서
50 : 제2광센서 60 : 가이드부재
70 : 누름부재 80 : 가압롤러
90 : 에어브러쉬 100 : 티백용지
110 : 티백용지의 중심부 120 : 티백용지의 가장자리
150 : 티백용지의 양단 t : 티백 내용물
s : 티백 실링부 c : 티백 절취선

Claims (4)

  1. 적어도 1개 이상의 롤러에 의하여 절곡된 공급경로를 갖으며, 연속적으로 티백용지를 공급하는 티백용지공급부;
    상기 티백용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티백용지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티백내용물을 공급하는 내용물공급부;
    상기 내용물공급부에서 티백내용물이 공급된 티백용지의 양단을 열융착하여 실링부를 형성하는 티백열융착부; 및,
    상기 티백열융착부에서 형성된 실링부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의 두께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실링불량감지부;를 포함하는 티백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불량감지부의 광센서는 빛을 투사하는 투사부와 상기 투사부에서 투사된 빛이 수신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불량감지부는 상기 티백열융착부에서 열융착된 실링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링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광센서의 투사부에서 투사된 빛이 상기 수신부에 도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 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홀을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제조장치.
KR2020080016616U 2008-12-15 2008-12-15 티백제조장치 KR200451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16U KR200451478Y1 (ko) 2008-12-15 2008-12-15 티백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16U KR200451478Y1 (ko) 2008-12-15 2008-12-15 티백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86U KR20100006386U (ko) 2010-06-24
KR200451478Y1 true KR200451478Y1 (ko) 2010-12-21

Family

ID=4445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16U KR200451478Y1 (ko) 2008-12-15 2008-12-15 티백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766A (ko) 2022-03-30 2023-10-10 우경희 초음파 티백 실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9686B2 (ja) * 2018-09-27 2020-04-15 Ckd株式会社 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包装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9086A1 (en) 2000-02-22 2002-10-03 Dante Ghirlandi Method and device for rejecting infusion bags in manufactur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9086A1 (en) 2000-02-22 2002-10-03 Dante Ghirlandi Method and device for rejecting infusion bags in manufactur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766A (ko) 2022-03-30 2023-10-10 우경희 초음파 티백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86U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0186B2 (ja) 薬剤分包装置
KR20190005187A (ko) 포장체의 화상 검사 시스템
JP2005516859A (ja) パケット連続ストリップの添え継ぎ方法
DK3110696T3 (en) DEVICE AND PROCEDURE FOR MANUFACTURING PORTION PACKAGES OF A SMOKED TOBACCO OR TOBACCO NOFT
KR200451478Y1 (ko) 티백제조장치
KR200451471Y1 (ko) 티백제조장치
JP2004132935A (ja) 品質検査方法及び品質検査装置
JP3376090B2 (ja) 包装体のシール不良検査方法
JP4239028B2 (ja) シール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102594612B1 (ko) 포장체의 제조 장치 및 포장체의 제조 방법
JP6243803B2 (ja) 充填状態検査装置および充填状態検査方法
JP2008150104A (ja) 容器検査方法及び容器検査装置
JP3908143B2 (ja) 品質検査方法
JP6531324B2 (ja) 包装装置及び包装方法
JP3943318B2 (ja) 充填包装機
KR20200138359A (ko) 테스트 스트립용 스틱팩-유형 패키징
JP2012162307A (ja) 包装袋封緘異常検出装置
JP3948732B2 (ja) 品質検査方法
KR102561836B1 (ko) 부피감소 가능한 마스크 포장방법
JP2004132713A (ja) 品質検査方法及び品質検査装置
JP2007119074A (ja) 充填包装機
JP2004138535A (ja) シール検査方法、シール検査装置及び包装充填機の診断方法
JP2004115113A (ja) 充填包装方法および充填包装装置
JP2007071841A (ja) 逆止弁検査装置とその方法
JP5377906B2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