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49Y1 - 다발 전선 포설기 - Google Patents

다발 전선 포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149Y1
KR200451149Y1 KR2020080004711U KR20080004711U KR200451149Y1 KR 200451149 Y1 KR200451149 Y1 KR 200451149Y1 KR 2020080004711 U KR2020080004711 U KR 2020080004711U KR 20080004711 U KR20080004711 U KR 20080004711U KR 200451149 Y1 KR200451149 Y1 KR 200451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bundle
tra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439U (ko
Inventor
심효일
Original Assignee
심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효일 filed Critical 심효일
Priority to KR2020080004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4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lines, e.g. needles, rods or ta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발로 이루어진 전선을 전선 트레이로 끌어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다발 전선 포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라의 구동을 이용하여 다발 상태의 전선을 한꺼번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고 정렬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 오차에 의한 롤라 구동 상의 문제점까지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전선 포설기는, 롤라의 구동에 의하여 전선 트레이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선 포설기의 이동수단체인 롤라의 연결축에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롤라가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어 탄지된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여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롤라가 연결축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유동되어 전선 트레이의 양측 레일에 항상 맞춰진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전선, 트레이, 다발, 롤라, 스프링

Description

다발 전선 포설기{cable bundle installation machine}
본 고안은 전선을 건물 천장에 설치할 경우, 다발로 이루어진 전선을 한꺼번에 전선 트레이로 끌어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다발 전선 포설기에 관한 것으로, 롤라의 구동을 이용하여 다발 상태의 전선을 전선 트레이로 용이하게 끌어 정렬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 오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신축 시에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위치마다 전선이 연결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 개의 전선이 다발 상태로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발 상태의 전선은 건물의 천장에 전선 트레이를 설치하고, 설치된 전선 트레이로 다발로 이루어지는 전선을 한꺼번에 끌어당겨 정렬되게 안착시켜 깔아 놓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 전선 트레이로의 전선 유입은 작업의 신속화를 위하여 수 개의 전선 다발을 한꺼번에 끌어당겨 전선 트레이에 정렬되게 배치토록 하는 것으로, 이때 전선의 유입은 모두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선의 설치 작업이 용이치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선 트레이의 양 측벽을 따라 회전되는 롤라의 구동에 의하여 다발 상태의 전선을 전선 트레이로 용이하게 끌어당겨 가지런히 배열된 상태로 안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되는 다발 전선 포설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 트레이는 수작업을 통하여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상의 문제는 물론 곡면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인하여 전선 트레이가 설치되는 시작 지점에서부터 종료되는 지점에 이르기까지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이 항상 동일하지 않고 약간의 오차 폭이 발생되기 때문에 롤라가 전선 트레이의 레일을 벗어나게 되거나 전선 트레이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이 변화되는 위치의 지점에서부터는 전선 포설기를 이용한 전선의 설치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롤라의 구동에 의하여 다발 상태의 전선을 전선 트레이로 용이하게 끌어당겨 전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롤라가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에 따라 롤라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유동되어 전선 트레이의 양측 레일에 맞춰진 상태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이 변화되는 부분에서도 원활한 전선의 설치가 가능한 다발 전선 포설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전선 포설기는 롤라의 구동에 의하여 전선 트레이로 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선 포설기의 이동수단체인 롤라의 연결축에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롤라가 스프링에 탄지된 상태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에 따라 스프링이 압축 또는 복원되어 양측 레일에 롤라가 항상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에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선 포설기를 이용하면, 다발 상태의 전선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고 정렬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고, 또한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이 일정치 않아 롤라의 구동을 이용하여 다발 상태의 전선 포설기를 이용한 전선 설치 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발 전선 포설기는, 전선(70)을 다발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전선 연결구(10)와 당김을 위한 로프(7)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로프 연결구(20)가 고정대(30)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30)의 상,하단에는 중앙 양측으로 롤라(40)의 연결축(41)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대(5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롤라(40)의 연결축(41)에는 스프링(42)이 장착되어 롤라(40)가 스프링(42)에 탄지된 상태에서 전선트레이(60)의 양측 레일(61)을 따라 회전되어 구동되도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대(50)의 중앙 양측에는 롤라(40)의 연결축(41)이 내입된 상태로 결합 고정되어 외압 작용 시 연결축(41)이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51a)를 갖는 고정축(5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41)에는 고정축(51)과의 결 합 고정을 위한 고정핀(52)이 관통되어 고정핀(52)이 관통된 상태에서 연결축(4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홀(41a)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대(50)는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4개의 레버(50a,50b,50c,50d)가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상기 고정대(30)의 상,하단과 고정축(51)에 각각 고정핀(53)(54)으로 축 결합되어 외압에 의한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절첩 각도의 조절에 따라 나비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용하고자하는 전선트레이(60)의 나비 폭에 따라 연결대(50)의 나비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선 연결구(10)는 상기 고정대(30)가 전방 중앙에 연결되는 본체(11)의 후방으로 다수의 체인(12)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12)의 각각에는 전선(50)의 일단을 내입시켜 당김에 의하여 길이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단면의 축소로 내입되어 있는 전선(50)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메쉬체(13a)가 형성된 전선 고정줄(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선 연결구(10)의 본체(11)는 고정대(30)가 연결되는 전방은 협소하고 체인(12)이 연결되는 후방은 넓은 평판체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전선 다발을 정렬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프 연결구(20)에는 당김에 의한 롤라(40)의 구동을 통하여 전선 트레이(60) 내에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로프(7)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전선 포설기는 전선 연결구(10)의 전선 고정줄(13) 각각에 설치하고자 하는 전선(70)을 각각 연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로프(7)를 끌어 당기면 로프(7)에 의하여 롤라(40)가 구동되어 전선 트레이(60)를 따라 이동되면서 전선 트레이(60) 내부에 다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전선(70)을 정렬되게 배치시켜 안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선트레이(60)를 이동하는 도중 전선트레이(60)의 나비 폭이 좁아지는 부분에서는 전선 트레일(60)의 레일(61)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고 있던 롤라(40)가 가압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라(40)의 연결축(41)이 좁아진 나비 폭만큼 연결대(50)의 고정축(51)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전선트레이(60)에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축(41)이 고정축(51)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연결축(41)에 장착되어 있던 스프링(42)이 롤라(40)에 의하여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후 전선트레이(60)의 나비 폭이 다시 넓어지는 부분에서는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2)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롤라(40)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롤라(40)가 항상 전선 트레이(60)의 레일(61)을 벗어나지 않고 레일(61)을 따라 항상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하여 전선의 균일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선 연결구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롤라 연결축에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의 확대도.
도 4는 전선 트레이의 나비 폭이 좁아진 부분에서의 본 고안 작동 상태도.
도 5는 연결대의 폭 조절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선 연결구 11: 본체
12: 체인 13: 전선 고정줄
20: 로프 연결구 30: 고정대
40: 롤라 41: 연결축
42: 스프링 50: 연결대
60: 전선 트레이 70: 전선

Claims (5)

  1. 삭제
  2. 전선(70)을 다발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전선 연결구(10)와 당김을 위한 로프(7)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로프 연결구(20)가 고정대(30)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30)의 상,하단에는 중앙 양측으로 롤라(40)의 연결축(41)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대(50)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롤라(40)의 연결축(41)에는 스프링(42)이 장착되어 롤라(40)가 스프링(42)에 탄지된 상태에서 전선트레이(60)의 양측 레일(61)을 따라 회전되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대(50)의 중앙 양측에는 롤라(40)의 연결축(41)이 내입된 상태로 결합 고정되어 외압 작용 시 연결축(41)이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내공간부(51a)를 갖는 고정축(5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41)에는 고정축(51)과의 결합 고정을 위한 고정핀(52)이 관통되어 고정핀(52)이 관통된 상태에서 연결축(4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홀(41a)이 형성된 다발 전선 포설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연결구(10)는 상기 고정대(30)가 전방 중앙에 연결되는 본체(11)의 후방으로 다수의 체인(12)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12)의 각각에는 전선(70)의 일단을 내입시켜 당김에 의하여 길이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단면의 축소로 내입되어 있는 전선(70)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메쉬체(13a)로 이루어진 전선 고정줄(13)로 이루어진 다발 전선 포설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50)는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4개의 레버(50a,50b,50c,50d)가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상기 고정대(30)의 상,하단과 고정축(51)에 각각 고정핀(53)(54)으로 축 결합되어 외압에 의한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절첩 각도의 조절에 따라 나비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발 전선 포설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연결구(10)의 본체(11)는 고정대(30)가 연결되는 전방은 협소하고 체인(12)이 연결되는 후방은 넓은 평판체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전선 다발을 정렬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다발 전선 포설기.
KR2020080004711U 2008-04-10 2008-04-10 다발 전선 포설기 KR200451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11U KR200451149Y1 (ko) 2008-04-10 2008-04-10 다발 전선 포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11U KR200451149Y1 (ko) 2008-04-10 2008-04-10 다발 전선 포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39U KR20090010439U (ko) 2009-10-14
KR200451149Y1 true KR200451149Y1 (ko) 2010-11-29

Family

ID=4155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711U KR200451149Y1 (ko) 2008-04-10 2008-04-10 다발 전선 포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23B1 (ko) * 2013-09-06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454627B1 (ko) * 2013-09-0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454625B1 (ko) * 2013-09-0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505795B1 (ko) * 2013-09-06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CN107425482A (zh) * 2017-07-20 2017-12-01 北京机电工程研究所 一种适用于防爆墙下电缆沟穿线的辅助穿线装置
KR102534674B1 (ko) * 2022-12-19 2023-05-26 주식회사 현이엔지 전기 케이블 가이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39U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49Y1 (ko) 다발 전선 포설기
JP6393318B2 (ja) 引出しシステム
WO2010063738A3 (de) Einzieheinrichtung für ein kabel in ein bestehendes rohrnetz
KR200455845Y1 (ko) 케이블 포설기
KR101289465B1 (ko)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US20180254617A1 (en) Wire puller and method of pulling wire
KR101314638B1 (ko) 휴대용 윈치를 이용한 전력선 긴선 공법
KR20150001385U (ko) 트레이 거치용 롤러기구
CN102239610A (zh) 拉线器
KR101454627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0312204B1 (ko) 케이블 당김구
KR101454625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CN113835180B (zh) 一种用于调节传感光缆张紧的拉力机
KR101599346B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100997102B1 (ko) 케이블 포설기
KR101505795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CN107265173A (zh) 制造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的拖链引导机构
KR101311429B1 (ko) 케이블 행거
JP6892401B2 (ja) 取着体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
US8684334B2 (en) Tension transmitting device
CN215494285U (zh) 一种用于调节传感光缆张紧的拉力机
CN212114633U (zh) 一种电缆桥架
CN110535068A (zh) 一种用于建筑工程使用的墙壁电路穿线装置
KR20170000927A (ko) 케이블 포설장치
JP6936164B2 (ja) 配線・配管材布設具の布設構造、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