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95Y1 - 구조요청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요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95Y1
KR200450895Y1 KR2020090003705U KR20090003705U KR200450895Y1 KR 200450895 Y1 KR200450895 Y1 KR 200450895Y1 KR 2020090003705 U KR2020090003705 U KR 2020090003705U KR 20090003705 U KR20090003705 U KR 20090003705U KR 200450895 Y1 KR200450895 Y1 KR 200450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emergency
emergency situation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98U (ko
Inventor
최범석
Original Assignee
최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범석 filed Critical 최범석
Priority to KR2020090003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9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요청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와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위시간당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와, 상기 맥박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입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판단부와, 상기 위급상황판단부를 통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는 손목장착부와; 상기 손목장착부를 착용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의 송신부가 송신하는 상기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상기 카메라부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를 제어한 후 상기 방향조절부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한 상태의 상기 카메라부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촬영데이터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구조대로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는 CCTV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판단부가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사용자가 납치, 유괴 등의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확보하여 이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CCTV부의 송신부가 119, 경찰서 등을 포함한 구조대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보다 용이사게 긴급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목장착부, CCTV부

Description

구조요청장치{APPARATUS FOR REQUESTING RESCUE}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와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위시간당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와, 상기 맥박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입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판단부와, 상기 위급상황판단부를 통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는 손목장착부와; 상기 손목장착부를 착용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의 송신부가 송신하는 상기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상기 카메라부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를 제어한 후 상기 방향조절부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한 상태의 상기 카메라부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촬영데이터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구조대로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는 CCTV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치안이 불안해지면서 납치, 유괴 등의 범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긴급구조요청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긴급구조시스템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긴급구조 요청 방법들은 위기상황에 처한 개인이 본인 스스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여 긴급 구조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위급한 상황에 처한 개인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확보하고, 침착하게 이를 동작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위기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자동적으로 119, 또는 경찰서 등의 구조대에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구조요청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판단부가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사용자가 납치, 유괴 등의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확보하여 이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CCTV부의 송신부가 119, 경찰서 등을 포함한 구조대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보다 용이사게 긴급구조할 수 있는 구조요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와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위시간당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측정부와, 상기 맥박측정부가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입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판단부와, 상기 위급상황판단부를 통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는 손목장착부와; 상기 손목장착부를 착용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손목장착부의 송신부가 송신하는 상기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 상기 카메라부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를 제어한 후 상기 방향조절부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한 상태의 상기 카메라부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와, 상기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촬영데이터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구조대로 송신하는 송신부로 구성되는 CCTV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손목장착부의 착용부재는 상기 맥박측정부, 위급상황판단부, 위치정보수신부 및 송신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로 상호체결되는 일측 및 타측 밴드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맥박측정부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위급상황판단부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 상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목장착부의 착용부재의 일측 및 타측 밴드에는 상기 충전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와; 상기 충전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단자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로 상호 체결될 시 상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는 상호접하게 되며, 상기 위급상황판단부는 상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접합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손목장착부의 착용부재에는 상기 위급상황판단부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착용부재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재가 더 구비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손목장착부의 위급상황판단부가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사용자가 납치, 유괴 등의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를 확보하여 이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CCTV부의 송신부가 119, 경찰서 등을 포함한 구조대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촬영데이터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보다 용이하게 긴급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위급상황판단부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발광부재의 빛의 색상이 상기 손목장착부의 착용부재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가 본인의 위급상황이 구조대로 전달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와, 충전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단자의 상호접합여부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판단부가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손목에서 상기 손목장착부가 외력 등에 의해 분리되어도 상기 위급상황판단부가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위급상황판단부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착용부재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부재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구조요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구조요청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구조요청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목장착부(10)와 CCTV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손목장착부(10)는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예를 들어, 시계형식으로 착용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10)와; 상기 착용부재(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와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위시간당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측정부(120)와; 상기 맥박측정부(120)가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입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판단부(130)와;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를 통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140)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한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는 예를 들어, 상기 맥박측정부(120)가 측정한 측정값, 즉 사용자의 단위시간당 맥박수가 미리 입력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가 납치, 유괴 등의 위급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40)는 예를 들어, GPS위성(141)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공지된 GPS수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CTV부(30)는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손목장착부(10)를 착용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히 사건사고가 빈번한 우범지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부(310)와;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송신부(160)가 송신하는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20)와;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330)와;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구동된 상기 카메라부(310)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3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340)와;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340)를 제어한 후 상기 방향조절부(340)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한 상태의 상기 카메라부(310)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와;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상기 카메라부(310)의 촬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360)와; 상기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360)에 저장된 촬영데이터와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119, 경찰서 등을 포함한 구조대(50)로 송신하는 송신부(37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330)는 예를 들어, 공지된 ON/OFF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부(310) 를 ON / OFF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310)는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OFF상태였다가 상기 수신부(320)가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ON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340)는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ON상태로 전환된 상기 카메라부(310)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310)를 예를 들어, 상하좌우로 회전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방향조절부(34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카메라부(310)를 좌우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카메라부(31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CCTV부(30)의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360)에 저장되는 상기 카메리부(310)의 촬영데이터는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크게, 상기 맥박측정부(120), 위급상황판단부(130), 위치정보수신부(140) 및 송신부(160)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로 상호체결되는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와; 상기 몸체(111)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충전지(미도시)와; 상기 충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재(114)와; 상기 맥박측정부(120)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114)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맥박측정부120)는 상기 일측 밴드(112)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상태로 상호체결될 시 사용자의 손목 하부와 접하여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와 송신부(160)는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위치정보수신부(140)는 상기 몸체(111)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몸체(111)의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현재시간은 물론 사용자의 맥박수와, 사용자의 위치를 숫자 및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일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기 일측 밴드(112)의 타단부에는 걸고리부(112a)가 구비되 고,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타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기 타측 밴드(113)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고리부(112a)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이(11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고리부(112a)가 다수의 상기 삽입공(113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로 상호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는 반드시 상기 걸로리부(112a)와 다수의 상기 삽입공(113a)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벨크로, 똑딱이 단추 등에 의해 상호체결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상태로 상호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충전지(미도시)는 예를 들어, 상기 몸체(111)의 타측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14)는 예를 들어, 공지된 3색 LED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발광부재(114)는 예를 들어,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 내장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충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평상시에는 녹색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상기 맥박측정부(120)의 측정값을 토대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발광부재(114)가 적색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114)의 빛의 색상이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가 본인의 위급상황이 구조대(50)로 전달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의 일측 밴드(112)에는 상기 충전지(미도시)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112b)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밴드(113)에는 상기 충전지(미도시)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단자(113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극단자(112b)와 음극단자(113b)는 예를 들어, 전도성 금속판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선 등의 라인(112c, 113c)을 통해 상기 충전지(미도시)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극단자(112b)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밴드(112)의 타단부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음극단자(113b)는 상기 타측 밴드(113)의 일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13d)내에 구비된다.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가 상호체결될 시 상기 양극단자(112b)는 상기 삽입홈(113d)에 삽입되어 상기 음극단자(113b)와 접하게 된다.
상기 양극단자(112b)와 음극단자(113b)가 상호 접하게 될 시 상기 발광부재(114)는 상기 착용부재(110)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충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는 상기 양극단자(112b)와 음극단자(113b)의 접합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손목장착부(10)가 납치, 유괴 등의 응급상황에서 외력 등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에서 강제로 분리될 경우 상기 양극단자(112b)와 음극단자(113b)의 접합상태는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114)는 빛을 발광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는 사용자가 극한의 위급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송신부(160)는 극한의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를 119, 경찰서 등을 포함한 구조대(50)로 직접 송신하게 된다.
상기 충전지(미도시)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양극단자(112b)와, 상기 충전지(미도시)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단자의 상호접합여부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손목에서 상기 손목장착부(10)가 외력 등에 의해 강제로 분리되어도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착용부재(110)의 몸체(111)상에는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착용부재(110)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등의 경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사용자가 납치, 유괴 등의 응 급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착용부재(110)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경보부재가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착용부재(110)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부재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주변에 알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위급상황판단부(130)가 사용자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사용자가 납치, 유괴 등의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확보하여 이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CCTV부(30)의 송신부(370)가 119, 경찰서 등을 포함한 구조대(50)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보다 용이하게 긴급구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구조요청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구조요청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손목장착부의 착용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손목장착부, 110; 착용부재,
111; 몸체, 111a; 디스플레이부,
112; 일측밴드, 112a; 걸고리부,
112b; 양극단자, 112c, 113c; 라인,
113d; 삽입홈, 114; 발광부재,
120; 맥박측정부, 130; 위급상황판단부,
140; 위치정보수신부, 141; GPS위성,
150, 360; 위급상황저장메모리부,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
160, 370; 송신부,
30; CCTV부, 310; 카메라부,
320; 수신부, 330; 구동부,
340; 방향조절부, 350; 제어부.

Claims (4)

  1.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10)와, 상기 착용부재(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부위와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위시간당 맥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측정부(120)와, 상기 맥박측정부(120)가 측정한 측정값과 미리 입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판단부(130)와,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를 통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140)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개인정보, 맥박수 및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60)로 구성되는 손목장착부(10)와;
    상기 손목장착부(10)를 착용한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310)와,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송신부(160)가 송신하는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20)와,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330)와,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구동된 상기 카메라부(310)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3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340)와,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340)를 제어한 후 상기 방향조절부(340)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향한 상태의 상기 카메라부(310)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와,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를 촬영한 상기 카메라부(310)의 촬영데이터가 저장되는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360)와, 상기 촬영데이터저장메모리부(360)에 저장된 촬영데이터와 상기 수신부(320)가 수신한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위급상황정보저장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구조대(50)로 송신하는 송신부(370)로 구성되는 CCTV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는 상기 맥박측정부(120), 위급상황판단부(130), 위치정보수신부(140) 및 송신부(160)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로 상호체결되는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와; 상기 몸체(111)에 구비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재(114)와; 상기 맥박측정부(120)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114)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의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에는 상기 충전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112b)와; 상기 충전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단자(113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밴드(112, 113)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로 상호 체결될 시 상기 양극단자(112b)와 음극단자(113b)는 상호접하게 되며,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는 상기 양극단자(112b)와 음극단자(113b)의 접합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장착부(10)의 착용부재(110)에는 상기 위급상황판단부(130)가 판단한 위급상황에 따라 상기 착용부재(110)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요청장치.
KR2020090003705U 2009-03-31 2009-03-31 구조요청장치 KR200450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705U KR200450895Y1 (ko) 2009-03-31 2009-03-31 구조요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705U KR200450895Y1 (ko) 2009-03-31 2009-03-31 구조요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98U KR20100009898U (ko) 2010-10-08
KR200450895Y1 true KR200450895Y1 (ko) 2010-11-08

Family

ID=4420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705U KR200450895Y1 (ko) 2009-03-31 2009-03-31 구조요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96B1 (ko) * 2016-04-15 2016-12-22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지역별 로밍 기능을 구비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자동 등록 방법
WO2018074745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지비콘 Lora 통신을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24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14B1 (ko) * 2013-12-06 2014-05-16 조원석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맥박측정과 자동촬영전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065A (ja) 2002-03-13 2003-09-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06014206A (ja) 2004-06-29 2006-01-12 Kyocera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とその方法および監視カメラ制御装置、携帯無線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065A (ja) 2002-03-13 2003-09-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06014206A (ja) 2004-06-29 2006-01-12 Kyocera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とその方法および監視カメラ制御装置、携帯無線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96B1 (ko) * 2016-04-15 2016-12-22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지역별 로밍 기능을 구비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의 자동 등록 방법
WO2018074745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지비콘 Lora 통신을 이용한 독거 노인 안전 24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98U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029B1 (en) Portable alarm video recording and transmitting device
US745687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wearabl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440176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90233573A1 (en) Portable Emergency Position Location Data Logging Communications Terminal
EP2848138A1 (en) Helmet and a method for dealing with an accident using the helmet
US7412264B2 (en) Lone worker monitor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7072802A (ja) カメラ付きヘルメットを用いた情報通信システム
KR200450895Y1 (ko) 구조요청장치
KR20200063012A (ko)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무선타입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US20160196736A1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CN204319548U (zh) 空气呼吸器的多功能告警安全设备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JP4303690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898041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카메라 장치
US5841345A (en) Two-way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mergency detecting component
TW201709834A (zh) 針對人之頭部的安全裝備以及藉此實施的派遣支持方法
ES2268102T3 (es) Procedimiento para determinar la posicion de un dispositivo movil, particularmente de un dispositivo de llamadas de emergencia, sistema de llamadas de emergencia asi como dispositivo de llamadas de emergencia.
KR101341895B1 (ko) 유아 및 노약자용 방범시스템
WO2007148318A1 (en) Underwater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a camera and dive computer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JP5014381B2 (ja) ヘルメット用多機能ユニット
ES2282584T3 (es) Radiotelefono portatil y sistema de radiocomunicacion que comprende dicho radiotelefono.
KR100788880B1 (ko) 수중 송수신 단말기
JP2008276632A (ja) ヘルメット警報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