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61Y1 - 플랜지형 셔터 - Google Patents

플랜지형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61Y1
KR200450861Y1 KR2020080005794U KR20080005794U KR200450861Y1 KR 200450861 Y1 KR200450861 Y1 KR 200450861Y1 KR 2020080005794 U KR2020080005794 U KR 2020080005794U KR 20080005794 U KR20080005794 U KR 20080005794U KR 200450861 Y1 KR200450861 Y1 KR 200450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blocking plate
shaft
mo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295U (ko
Inventor
홍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엠
Priority to KR2020080005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6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는 환기를 필요로 하는 주방이나 화장실 등의 배출장치와 배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주방이나 화장실에서 발생 되는 냄새를 배출시키고 배기관을 통하여 주방이나 화장실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되, 셔터 몸체(100)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01)와 타측 단부에 형성된 환형 돌기부(102)에 의해 배출장치와 배기관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셔터판의 회동축이 모터로 구동되는 모터축 또는 감속기의 최종 기어축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셔터판의 회동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셔터, 플랜지, 배출, 유로, 회동축, 차단판

Description

플랜지형 셔터{FLANGE TYPE SHUTTER}
본 고안은 환기를 필요로 하는 주방이나 화장실 등의 배출장치와 배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주방이나 화장실에서 발생 되는 냄새를 배출시키고 배기관을 통하여 주방이나 화장실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형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터 몸체 일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배출장치와 배기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 플랜지형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셔터(shutter)는 환기를 필요로 하는 장소, 예컨대 주방, 화장실, 전열교환기 등에 설치되어 내부로부터 외부로 오염된 공기, 냄새 등을 외부로 잘 배출되게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내부(실외로부터 실내로)로 오염된 공기나 냄새 등이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셔터의 내부에는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원판 형태의 차단판이 설치되어 차단판이 유로에 직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유로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차단판이 유로에 평행하게 회동되는 경우 유로를 개방하여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체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유로를 개폐하여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로 냄새가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는 배기 라인에 설치거나 전열교환기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셔터는 몸체의 일측에 자바라와 같은 플렉시블 관(flexible tube)이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환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환형돌출부 측보다 더 큰 직경의 확장부가 형성되어 오염된 공기나 냄새를 배출시키는 레인지 후드와 같은 배출장치에 연결된 배출연결관이 인입 연결된다.
그러나 레인지 후드와 같은 배출장치에 연결된 배출연결관이 셔터의 일측에 형성된 확장부 내로 삽입되어 결합 된 상태이므로 셔터의 교환이나 수리시에 환기용 배출장치의 배출연결관과 셔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셔터를 이동시켜 배출연결관과의 끼움 결합을 해제시켜야 하였으므로 배출연결관과 셔터의 분리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셔터(1)를 개폐하는 차단판(2)의 회동축(4)을 회전구동하는 최종 기어축(6)은 커플링(5)에 의해 회동축(4)과 기어축(6)이 연결된다. 예컨대 모터(7)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8)이 회전작동되면 모터축(8)에 결합된 웜기어가 다수의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 트레인(gear train)(9)을 통해서 소정 속도로 감속이 이루어지고, 기어 트레인(9) 중 최종적으로 연결된 종감속기어의 기어축(6)이 커플링(5)으로 연결된 차단판(2)의 회동축(4)을 소정 각도로(직각으로) 반복적으로 정,역회전시킨다.
여기에서 모터(7)는 직류모터 또는 교류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은 모터, 기어 트레인(9) 등이 설치되는 기판(PCB)이고, 미설명부호 11은 기판(10)을 보호하는 베이스커버이고, 미설명부호 12는 베이스커버를 셔터(1)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베이스커버(12)와 기판(10)은 뚜껑(도시되지 않음)으로 보호되어 기판(10)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터(7)에 의해 반복적으로 차단판(2)이 소정 각도 범위로 회전구동됨에 따라서 회동축(4)이 결합 된 커플링(5)에 유격이 발생 된다. 커플링(5)은 기어축(6)에 결합 되고, 커플링(5)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누름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 누름부는 모터축(8)의 회전에 의해 기어축(6)이 회전될 때 커플링(5)이 회전됨에 따라 기판(10)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여 차단판(2)이 소정 각도로 예컨대 직각으로 반복 회전되게 한다.
그러나 모터축(8)의 회전에 의해 커플링(5)의 반복회전되는 커플링(5)에 유격이 발생 되고 유격이 점차로 누적되어 차단판(2)이 90도 각도로 정확히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차단판(2)이 셔터(1)의 유로에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회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차단판(2)의 반복적인 정,역회전에 의해 셔터(1)의 유로 개방 및 밀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에서와 같이 차단판(2)의 회동축(4)이 기어트레인(9)의 최종 기어축(6)과 직접연결되지 않고, 모터의 축과 직접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시되지 않음)에도 커플링에 의해 차단판의 회동축이 소정 각도로 반복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차단판(2)의 둘레에 그리고 차단판(2)의 둘레 상,하면에 결합되는 연질판(3)이 차단판(2)의 반복 회전에 의해 결합력이 저하되어 연질판(3)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셔터의 몸체 구조를 개선하여 배출장치와 셔터의 설치 또는 배출장치의 연결관과 셔터의 조립 및 설치작업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플랜지형 셔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셔터의 차단판이 정확한 각도로 반복 회동되는 플랜지형 셔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셔터 몸체 일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타측에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일측은 배출장치의 연결관과 플랜지 연결을 하고 타측은 플렉시블 관을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은 모터로 구동되는 셔터판 회동축을 모터축 또는 감속기의 최종 기어축으로 형성하여 셔터판의 회동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는 셔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끼움 결합 대신에 플랜지로 연결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셔터판의 회동축이 모터로 구동되는 모터축 또는 최종 기어축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셔터판의 회동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는 셔터 몸체 내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셔터 몸체 내에 회동되게 차단판이 설치되고, 차단판의 둘레에 탄성 재질의 연질판이 결합되고, 차단판을 정,역회동시키도록 모터가 결합된 셔터에 있어서,
셔터 몸체 일측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타측에 환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일측은 플랜지 연결을 하고 타측은 플렉시블 관을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차단판은 셔터 몸체 내에 회동되게 지지 및 구동되도록 일측은 모터축과 결합되고 타측은 셔터 몸체에 지지되도록 공회전축으로 지지되고,
차단판은 차단판의 상,하에 결합 되는 연질판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차단판 둘레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연질판은 연장부가 더욱 형성되되 차단판의 관통공을 통해 일체로 더욱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는 원통 형태의 셔터 몸체(100)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101)에 배출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연결관(T2)을 플랜지(101)의 관통공(103)을 통해서 간단히 조립연결할 수 있고, 타측에 형성된 환형 돌기부(102)에 주름관과 같은 플렉시블 관(T2)을 끼움 결합하여 배기구 측과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101)가 형성된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는 원통 형태의 셔터 몸체(100) 내부의 공기 유로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반복 개폐작동에 의해 셔터의 공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원판형태의 차단판(110)이 셔터 몸체(100) 내부에 설치된다. 이 차단판(110)은 고무재질의 연질판(120)이 상,하 일체로 연결 되도록 차단판(110) 둘레에 인접하여 다수의 관통구멍(1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고무재질의 연질판(120)은 차단판(110)의 상,하면 둘레 일부분을 감싸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부(121)가 더욱 길게 형성되는 데 이 연장부(121)는 차단판(110)과 셔터 몸체(100)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탄력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셔터 내주면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단판(110)의 상,하면을 감싸는 연질판(120)이 차단판(110)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111)을 통해서 상,하 연질판이 상호 일체로 더욱 연결되어서 차단판(110)의 반복 개폐작동에 의해 연질판(120)이 차단판(1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차단판(110)은 모터(150)로 구동되는 감속기어의 최종 기어축으로 구성되는 회동축(112-1)이 차단판(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단판(1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공회전축(112-2)이 회동축(112-1)과 완전히 분리되어 회동축(112-1)의 타측에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12는 차단판(110)을 회동축(112-1)과 공회전축(112-2)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회동축(112-1)과 공회전축(112-2)은 차단판(110)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32는 회동축(112-1)과 공회전축(112-2)을 차단판(110)에 나사(S)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이다.
여기에서 회동축(112-1)은 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직접 구동되고, 공회전축(112-2)은 모터축에 직접 연결은 되어 있지 않으나 차단판(110)을 셔터 내에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회동축(112-1)의 회전시에 차단판(110)이 셔터 몸체(100) 내에서 올바르게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차단판(110)의 타측을 지지한다. 미설명부호 131은 모터를 포함하는 셔터구동부를 몸체(100)에 취부하기 위한 브라켓이고, 미설명부호 130-2는 셔터구동부를 브라켓(140)에 연결하기 위한 하부커버이고, 미설명부호 130-1은 셔터구동부의 상부 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셔터는 종래의 차단판과 같이 차단판(110)이 셔터 몸체(100) 내의 유로에 횡으로 정확히 말하면 직각방향으로 차단판(110)의 회동축과 공회전축이 셔터 몸체(100)에 설치되어 정,역방향으로 회동되고, 회동축은 모터(150)로 구동되는 최종 감속기어축이다.
따라서 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축에 의해 회동축(112-1)이 직접 정,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이 회동축(112-1)이 결합된 차단판(110)도 정,역 회전이 이루어져서 서터의 유로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이다.
모터(150)로 구동되는 최종 감속기어축인 회동축(112-1)에는 회동각도를 제어하도록 기판(140)에 원하는 각도로 리미트 스위치(170)가 설치되고, 회동축(112-1)에 결합된 누름부(161)가 리미트 스위치(170)의 각도 범위를 초과하 여 과도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71)가 회동축(112-1)과 리미트 스위치(17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누름부(161)는 회동축에 통상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잇고,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지 않는 누름부 후단 측 단부에 축결합구멍이 형성된 결합구가 회동축(112-1)에 끼움 결합된 후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차단판(110)의 정,역회전시에 차단판(110)의 둘레에 설치된 연질판(120)의 연장부(121)가 셔터 몸체(100)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셔터의 유로 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110)의 반복적인 정,역회전에 의해 셔터의 유로 내주면과 반복적으로 접촉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연질판(120)은 차단판(110)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구멍(111)을 통해서 차단판(110)의 상,하로 노출된 부분이 상호 일체로 더욱 연결되어 있어서 연질판(120)이 반복적으로 굽힘 또는 압축 작용을 받아도 차단판(110)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파열되지 않는다.
아울러, 연질판(120)의 연장부(12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셔터 내부와의 접촉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셔터 내부의 유로 밀폐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플랜지형셔터는 차단판(110)을 회동시키는 회동축(112-1)이 모터(150)로 구동되는 기어트레인(gear train)(160)의 최종 기어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차단판(110)이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일정하게 예컨대 90도 각도로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축에 의해 회동축(112-1)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회동축(112-1)이 고정된 차단판(110)도 타측이 공회전축(112-2)에 의해 몸체(100)에 지지되어 정·역회전되므로 차단판(110)에 의해 셔터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이다.
차단판(110)의 정·역회전시에 차단판(110)의 둘레에 설치된 연질판(120)의 연장부(121)가 셔터 몸체(100)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셔터의 통로 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110)의 반복적인 정·역회전에 의해 셔터의 통로 내주면과 반복적으로 접촉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연질판(120)은 차단판(110)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구멍(111)을 통해서 차단판(110)의 상,하로 노출된 부분(122, 123)이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질판(120)이 반복적으로 굽힘 또는 압축 작용을 받아도 차단판(110)에서 쉽게 벗겨지거나 파열되지 않는다.
아울러, 연질판(120)의 연장부(12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셔터 내부와의 접촉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셔터 내부의 유로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 변형 등에 의한 것은 당연히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 내에 설치된 차단판과 이를 모터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4는 차단판을 구동하는 기어축의 누름부와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셔터에 모터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차단판이 작동될 때 연질판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플랜지형 셔터에 주름관과 연결관이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셔터에서 차단판을 구동하는 회동축과 모터의 기어축이 커플링에 의해 결합 된 결합단면도 및 분해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셔터 몸체 101: 플랜지
102: 환형 돌기부 110: 차단판
111: 관통구멍 112-1: 회동축
112-2: 공회전축 120: 연질판
121: 연장부 150: 모터
140: 브라켓

Claims (3)

  1. 삭제
  2. 셔터 몸체(100) 내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셔터 몸체(100) 내에 회동되게 차단판(110)이 설치되고, 차단판(110)의 둘레에 탄성 재질의 연질판(120)이 결합되고, 차단판(110)을 정,역회동시키도록 모터(150)로 구동되는 회동축(112-1)이 차단판(110)에 결합되며, 셔터 몸체(100)는 일측에 플랜지(101)가 형성되고, 타측에 플렉시블 관이 끼움 연결되도록 환형 돌기부(102)가 형성된 플랜지형 셔터에 있어서,
    차단판의 회동축(112-1)은 감속기어의 최종 기어 축 또는 모터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셔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단판은 셔터 몸체 내에 회동 되게 지지 및 구동되도록 일 측에 모터 축 또는 최종 기어축으로 구성되는 회동축(112-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셔터 몸체(100)에 지지 되며 회동축(112-1)과 분리된 공회전축으로 지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셔터.
KR2020080005794U 2008-04-30 2008-04-30 플랜지형 셔터 KR200450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94U KR200450861Y1 (ko) 2008-04-30 2008-04-30 플랜지형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94U KR200450861Y1 (ko) 2008-04-30 2008-04-30 플랜지형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95U KR20090011295U (ko) 2009-11-04
KR200450861Y1 true KR200450861Y1 (ko) 2010-11-05

Family

ID=4155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794U KR200450861Y1 (ko) 2008-04-30 2008-04-30 플랜지형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88B1 (ko) * 2013-03-15 2014-04-30 (주)정민 열교환기용 전동댐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895A (ja) 2000-10-11 2002-04-19 Daikin Ind Ltd 空調用ダクトの接続構造
KR200379931Y1 (ko) 2005-01-13 2005-03-24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댐퍼 결합 구조
KR200398530Y1 (ko) * 2005-08-01 2005-10-12 주식회사 티비엠 후드용 댐퍼.
KR100661984B1 (ko) * 2005-12-13 2006-12-2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덕트용 댐퍼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895A (ja) 2000-10-11 2002-04-19 Daikin Ind Ltd 空調用ダクトの接続構造
KR200379931Y1 (ko) 2005-01-13 2005-03-24 상미에어텍 주식회사 댐퍼 결합 구조
KR200398530Y1 (ko) * 2005-08-01 2005-10-12 주식회사 티비엠 후드용 댐퍼.
KR100661984B1 (ko) * 2005-12-13 2006-12-2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덕트용 댐퍼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95U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2536B (zh) 电动扩散器
US8021218B2 (en) Linear travel air damper
JP5552123B2 (ja) 洗浄弁パネル及び真空吸引式トイレシステムの組み立て方法
KR200450861Y1 (ko) 플랜지형 셔터
WO2006088286A1 (en) Control device for exhaust regulating damper in dry air duct for apartment building
JP503447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0945891B1 (ko) 패킹타입셔터
JP2010216707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装置
KR200417400Y1 (ko) 전동 볼밸브
KR101195061B1 (ko) 캠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CN111140890B (zh) 烟管基座、抽油烟机
KR100612774B1 (ko) 공동주택용 건식 에어덕트의 배기조절차단판 개폐장치
KR20160049185A (ko) 힌지형 전동댐퍼
JP2014227946A (ja) 空気調和機
US7685653B2 (en) Odor extraction system with fluid tank valve
JP4307117B2 (ja) 管路の空気抜き装置
KR102079683B1 (ko) 유해가스 차단밸브 개폐장치
JP2010001640A (ja) 便器洗浄装置
JP2003097744A (ja) 空気流路切替装置
KR200274342Y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무단수 기어박스 교체 및 수리 장치
KR200379321Y1 (ko) 배기구의 전동 댐퍼 구조
AU2004202687A1 (en) Pressure pulse communication in an engine intake manifold
CN220320391U (zh) 一种换气扇的止回阀
KR20140061596A (ko) 환기구 덕트용 댐퍼
JP4200953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