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53Y1 - 손소독기 - Google Patents

손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53Y1
KR200450753Y1 KR2020090002642U KR20090002642U KR200450753Y1 KR 200450753 Y1 KR200450753 Y1 KR 200450753Y1 KR 2020090002642 U KR2020090002642 U KR 2020090002642U KR 20090002642 U KR20090002642 U KR 20090002642U KR 200450753 Y1 KR200450753 Y1 KR 200450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washing water
water
cas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16U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주) 디엔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엔디전자 filed Critical (주) 디엔디전자
Priority to KR202009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5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발생하는 치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소독수를 생성하여 손을 소독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겨울에도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열기가 설치된 손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방에 세척수배출구와 소독수배출구가 한 쌍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부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수싱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상단에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된 소독수저장조가 형성되고, 상기 소독수저장조의 일측에는 반응조가 형성된 소독수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하단에 다수개의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에는 외부에서 세척수관이 연결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와 이격되게 케이스의 내부하단 중앙에 식염수저장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손소독기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세척수와 소독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히터에 의해서 따뜻하게 데워진 세척수를 사용함으로써 겨울에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세척수, 치아염소산나트륨, 소독수, 히터, 식염수, 전기분해.

Description

손소독기{HAND DISINFECTOR}
본 고안은 손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발생하는 치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소독수를 생성하여 손을 소독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겨울에도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열기가 설치된 손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심각하게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많은 인구가 밀집하여 생활하기 때문에 세균성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에는 빠르게 전염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세균성전염병의 대부분은 손을 제대로 씻는 것만으로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학교나 대형건물의 식당 등 동시에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이용 장소일 경우에는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대단히 필요하다.
그러나, 손을 세척수(물)로만 씻을 경우에는 세균들이 잘 씻기지 않고, 비누 등의 세정제를 사용하더라도 잘 씻기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자는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특허공 보 제737990호에 치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소독수를 제공하여 손을 소독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등록공고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본 고안자가 개발한 손소독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다수가 동시에 이용하기에는 불편하다.
(2) 세척수로 손을 씻은 후, 자리를 이동하여 소독수로 다시 손을 씻어야 하므로 불편하다.
(3) 차가운 세척수와 소독수만 배출되므로, 겨울철에 사용하기 불편하다.
(4) 건조기가 함께 형성되어 장치가 복잡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전방에 세척수배출구와 소독수배출구가 한 쌍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세척수배출구와 소독수배출구를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수싱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상단에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된 소독수저장조가 형성되고, 상기 소독수저장조의 일측에는 반응조가 형성된 소독수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하단에 다수개의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에는 외부에서 세척수관이 연결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와 이격되게 케이스의 내부하단 중앙에 식염수저장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손소독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전방에 여러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다수가 동시에 이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2) 세척수배출구와 소독수배출구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장소이동 없이 한번에 손을 씻고 소독할 수 있다.
(3) 세척수가 히터에 의해서 데워지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사용하기 편리하다.
본 고안은 전방에 세척수배출구(112)와 소독수배출구(115)가 한 쌍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세척수배출구(112)와 소독수배출구(115)를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117)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수싱크(12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상단에 프레임(202)에 의해서 고정된 소독수저장조(210)가 형성되고, 상기 소독수저장조(210)의 일측에는 반응조(220)가 형성된 소독수부(20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하단에 다수개의 히터(310)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310)에는 외부에서 세척수관(320)이 연결되는 히터부(300)와;
상기 히터부(300)와 이격되게 케이스(100)의 내부하단 중앙에 식염수저장조(40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방에 배수싱크(120)가 형성되어,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싱크(120)의 상단에 이격되어 다수개의 배출구부(110)가 형성되며, 후방에 도어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부(110)는 세척수배출구(112)와 소독수배출구(115)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세척수배출구(112)는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히터(310)와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소독수배출구(115)는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소독수저장조(210)와 호스로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배출구(112)와 소독수배출구(115)는 각각의 스위치(117)에 의해서 작동하는데, 상기 스위치(117)는 누름스위치, 센서를 이용한 스위치 등이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독수부(200)는 소독수저장조(210)와 반응조(2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반응조(220)는 세척수관(320)과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반응조(220)는 소독수저장조(210)와 호스로 연결된다.
상기 반응조(220)는 등록특허공보 제737990호, 제0443894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식염을 첨가한 물에 전해반응을 일으켜 치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켜 소독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반응조(220)는 세척수관(320)과 호스로 연결될 때 식염수저장조(400)와 함께 호스로 연결된다.
상기 소독수저장조(210)는 세척수가 반응조(220)에서 전해반응을 마친 후의 소독수가 저장되는 곳이다.
상기 히터부(300)의 히터(310)는 세척수가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관을 통과할 때 열을 가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조가 형성되고 내부에 가열선이 형성되어 가열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310)에는 세척수관(320)이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고, 히터(310)의 상단에는 호스로 세척수배출구(112)와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손소독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세척수관(320)에 호스를 연결하고,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적당한 장소에 배치한다.
상기 손소독기의 식염수저장조(400)에 식염을 일정량 투여하여 준비하고, 전원을 공급하면, 반응조(220)에 세척수와 식염수가 동시에 공급되면서 전해반응이 일어나 생성된 소독수가 소독수저장조(210)에 저장된다.
또한, 세척수관(320)으로부터 세척수가 히터(310)로 공급되어 따뜻해진 세척수는 세척수배출구(122)에 호스로 연결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세척수를 쓰기 위해 스위치(117)를 누르면 세척수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되는 따뜻한 세척수로 1차로 손을 씻고, 소독수를 사용하기 위해 다시 스위치(117)를 누르면 소독수배출구(115)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수로 2차로 손을 씻게 된다.
상기 스위치(117)는 한번 눌러지게 되면 일정시간 후에 관로를 다시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센서를 활용하여 손을 감지한 후에 일정시간 세척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소독기와 이격되게 강한 바람으로 손을 말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건조기가 함께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한자리에서 세척수와 소독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히터(310)에 의해서 따뜻하게 데워진 세척수를 사용함으로써 겨울에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손소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라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손소독기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배출구부
112 : 세척수배출구 115 : 소독수배출구
117 : 스위치 120 : 배수싱크
200 : 소독수부 202 : 프레임
210 : 소독수저장조 220 : 반응조
300 : 히터부 310 : 히터
320 : 세척수관 400 : 식염수저장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방에 세척수배출구(112)와 소독수배출구(115)가 한 쌍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세척수배출구(112)와 소독수배출구(115)를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117)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수싱크(12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상단에 프레임(202)에 의해서 고정된 소독수저장조(210)가 형성되고, 상기 소독수저장조(210)의 일측에는 반응조(220)가 형성된 소독수부(20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310)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310)에는 외부에서 세척수관(320)이 연결되는 히터부(300)와;
    상기 히터부(300)와 이격되게 케이스(100)의 내부하단 중앙에 식염수저장조(400)가 구성되되,
    상기 히터부(300)의 히터(310)는 세척수가 코일형상으로 형성된 관을 통과할 때 열을 가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117)는 센서를 활용하여 손을 감지한 후에 일정시간 세척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소독기.
KR2020090002642U 2009-03-09 2009-03-09 손소독기 KR200450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42U KR200450753Y1 (ko) 2009-03-09 2009-03-09 손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42U KR200450753Y1 (ko) 2009-03-09 2009-03-09 손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6U KR20100009116U (ko) 2010-09-17
KR200450753Y1 true KR200450753Y1 (ko) 2010-10-29

Family

ID=4447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642U KR200450753Y1 (ko) 2009-03-09 2009-03-09 손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5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406Y1 (ko) 2001-09-08 2001-12-24 Si산업(주) 손 자동 소독장치
KR100737990B1 (ko) * 2006-06-20 2007-07-12 (주) 디엔디전자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406Y1 (ko) 2001-09-08 2001-12-24 Si산업(주) 손 자동 소독장치
KR100737990B1 (ko) * 2006-06-20 2007-07-12 (주) 디엔디전자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6U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289Y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CN102970913B (zh) 具有等离子体发生器的家用器具及其运行方法
KR20090059354A (ko)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CN106245727B (zh) 一种马桶
KR100899230B1 (ko) 살균램프가 구비된 손소독기
JP2000265529A (ja) 収納式便器
KR200450753Y1 (ko) 손소독기
ES2753233B1 (es) Lavazapatillas
JP2017180014A (ja) 衛生洗浄装置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CN211217896U (zh) 一种临床化学检验用试管清洗烘干装置
KR100737990B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KR20090004229U (ko) 손 소독 장치
KR200425399Y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101522849B1 (ko) 발소독기
KR20110009441U (ko) 가정용 주부 습진 방지용 손 건조기 및 행주 건조기
KR200475824Y1 (ko) 스팀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겸비한 비데
CN204654779U (zh) 医用洗手机
CN211049209U (zh) 壁挂折叠式泡脚盆
CN213309526U (zh) 一种厨房清洁消毒机
JP2001029439A (ja) 手洗い装置
CN202096589U (zh) 健痔宝
KR20120002912U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손 소독기 및 침상변기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