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406Y1 - 손 자동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손 자동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406Y1
KR200257406Y1 KR2020010027565U KR20010027565U KR200257406Y1 KR 200257406 Y1 KR200257406 Y1 KR 200257406Y1 KR 2020010027565 U KR2020010027565 U KR 2020010027565U KR 20010027565 U KR20010027565 U KR 20010027565U KR 200257406 Y1 KR200257406 Y1 KR 200257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water
hot water
sterilization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택
Original Assignee
Si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i산업(주) filed Critical Si산업(주)
Priority to KR2020010027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40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을 온수로 1차 세척한 후 세척된 손을 건조하고 그 건조된 손을 다시 살균수로 살균 소독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손에 기생하는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을 없애면서 손과 접촉되는 원료 및 용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등 손의 위생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할수 있도록 하는 손 자동 소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 자동 소독장치{Device for disinfection automatic of a hand}
본 고안은 손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을 온수로 1차 세척한 후 세척된 손을 건조하고, 그 건조된 손을 다시 살균수로 살균 소독하여 손에 기생하는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을 없애면서 손과 접촉되는 원료 및 용기의 오염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손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을 제조할 때, 작업자는 원료 및 용기 등에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대부분 살균처리된 장갑을 착용하거나 또는 물로 손을 세척하거나 또는 살균 처리된 행주 등으로 손을 씻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갑의 경우 한번 사용을 하면 다음에 다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데, 상기 장갑을 폐기 처분할 경우에는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식당 등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대부분의 조리사가 손을 물로 씻거나 또는 살균 처리된 행주 등으로 손을 닦은 후 음식 재료를 만지도록 하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음식재료를 만지는 조리사가 음식재료를 만질때마다 반복적으로 손 세척을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더불어, 행주 등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그 사용된 행주는 한번의 사용으로 그 수명이 다하고 이를 재사용할 경우에는 오염된 행주를 다시 살균처리하거나또는 폐기처분하여야 하는 등 실질적으로 그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랐다.
즉,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손의 살균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음식물에 손으로 부터 기생하는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이 포함되면서 식중독 등을 유발(특히 여름)하는 등 손 관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을 온수로 1차 세척한 후 세척된 손을 건조하고 그 건조된 손을 다시 살균수로 살균 소독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손에 기생하는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을 없애면서 손과 접촉되는 원료 및 용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등 손의 위생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할수 있도록 하는 손 자동 소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손 자동 소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손 자동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손 자동 소독장치를 다단으로 구성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근접센서 2 ; 온수배출관
3 ; 급수호스 10; 온수기
11; 온수히터 20; 링블로워
21; 제 2 근접센서 30; 온풍히터
31; 송풍관 32; 배풍관
41; 살균수 공급탱크 42; 제 3 근접센서
40; 분사노즐 100; 소독본체
200a; 배수구 200b; 배수호스
300; 제어패널 A ; 건조공간부
B ; 살균공간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손 자동 소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손 자동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손의 접근상태에 따라 온수를 자동 배출시키도록 제 1 근접센서(1)를 갖는 온수배출관(2)을 중간부에 두고 상단부에는 건조공간부(A)와 살균공간부(B)를 갖는 손 자동 세척 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100)내의 하단에는 급수호스(3)를 통해 급수된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한 후 그 가열된 온수가 온수배출관(2)을 통해 자동 배출되도록 온수히터(11)를 내장시킨 온수기(10)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단 측면에는 건조공간부(A)로의 손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21)의 감지신호로 부터 동작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20)를 형성하고,
상기 링블로워(20)와 건조공간부(A)는 송풍관(31)과 배풍관(32)으로 연결하되, 상기 송풍관(31)에는 링블로워(20)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그 가열된 공기를 건조공간부(A)로 송풍시키는 온풍히터(30)를 형성하며,
상기 살균공간부(B)의 상단면에는 살균수 공급탱크(41)와 제 3 근접센서(42)를 두되, 상기 살균공간부(B)로 손이 근접하여 그 근접된 상태를 제 3 근접센서(42)가 감지할 때 살균수 공급탱크(41)에 저장된 살균수를 자동 분사시키는 살균수 분사노즐(40)을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200a는 배수구, 200b는 배수호스를 도시한 것이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300은 손 자동 세척장치의 제어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을 여러 단계에 걸쳐 자동으로 세척할수 있도록 손 자동 세척 본체(10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본체(100)의 중간부위에는 제 1 근접센서(1)를 갖는 온수배출관(2)은 물론 배수구(200a)와 배수호스(200b)를 둔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위에는 각각 제 2 및 제 3 근접센서(21)(42)를 갖는 건조공간부(A)와 살균공간부(B)를 두고, 상기 본체(100)내의 하단에는 급수호스(3)를 통해 물을 공급받음은 물론 그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또 다른 급수호스(3)를 통해 온수배출관(2)으로 공급하도록 온수히터(11)를 내장시킨 온수기(10)를 설치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의 하단 측면에는 제 2 근접센서(21)의 감지신호로 부터 동작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2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링블로워(20)는 건조공간부(A)와 송풍관(31) 및 배풍관(32)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송풍관(31)에는 링블로워(20)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그 가열된 공기를 건조공간부(A)로 송풍시키기 위한 온풍히터(30)를 형성하여 둔다.
한편, 상기 살균공간부(B)의 상단면에는 살균수 공급탱크(41)를 형성하여 두되, 상기 살균공간부(B)로의 손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제 3 근접센서(42)의 감지신호에 따라 살균수 공급탱크(41)에 저장된 살균수를 자동 분사시키도록 상기 살균공간부(B)의 상단면에는 살균수 분사노즐(40)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손 자동 세척장치의 동작은 제어패널(300)의 조작으로 부터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둔다.
따라서, 상기 제어패널(300)의 조작으로 부터 그 동작이 설정된 손 자동 세척 본체(100)의 온수배출관(2)으로 손을 근접시키면, 상기 손의 근접상태를 제 1 근접센서(1)가 감지하므로서, 상기 제 1 근접센서(1)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온수배출관(2)에서는 손을 씻을수 있도록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100)내의 하단에 형성된 온수기(10)는 그 내부의 온수히터(11)가 급수호스(3)를 통해 급수된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한 후 그 가열된 온수를 다시 또 다른 급수호스(3)를 통해 온수배출관(2)으로 공급하므로서, 사용자는 상기 온수배출관(2)으로 손을 근접시키면서 바로 손을 깨끗하게 씻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온수로 씻은 손을 건조시키고자 본체(100)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건조공간부(A)로 손을 넣으면, 상기 건조공간부(A)에 형성된 제 2 근접센서(21)가 그 근접상태를 감지하게 되므로서, 상기 제 2 근접센서(21)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본체(100)의 하단 측면에 형성된 링블로워(20)가 구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된 공기는 송풍관(31)을 통해 건조공간부(A)로 송풍된 후 배풍관(32)을 통해 그 배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송풍관(31)에는 온풍히터(30)를 형성하였는 바,
상기 온풍히터(30)는 링블로워(20)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그 가열된 공기를 건조공간부(A)로 송풍시키므로서, 상기 건조공간부(A)에 온수로 깨끗하게 씻은 손이 넣어질 때 상기 손에 묻은 물기를 자동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조된 손으로 부터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 등을 살균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시 건조된 손을 살균공간부(B)로 넣으면, 상기 살균공간부(B)의상단면에 형성된 분사노즐(40)에서는 소정량의 살균수를 자동으로 분사시켜 건조된 손에서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등을 살균시키는 작용을 실시한다.
즉, 상기 살균공간부(B)의 상단면에는 소정량의 살균수를 저장하는 살균수 공급탱크(41)와 살균공간부(B)로 손이 넣어질 때 이를 감지하는 제 3 근접센서(42)및 살균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40)을 갖고 있는 바,
상기 제 3 근접센서(42)로 부터 살균공간부(B)로 넣어진 손의 상태를 감지할 때 그 감지된 신호에 따라 분사노즐(40)에서는 살균수 저장탱크(41)에 저장되어 있는 살균수를 살균공간부(B)내에 분사하므로서, 온수에 의한 씻음과 건조 과정을 거친 사용자의 손을 살균하여 손에 기생하는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 등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고안은 온수에 의한 1차 씻음과 온풍에 의한 2차 건조 및, 살균수에 의한 3차 살균과정으로 부터 손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 관리를 보다 위생적으로 실시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손 자동 소독장치에 있어 온수배출관(2)과 건조공간부(A) 및 살균공간부(B)를 다단으로 구성하므로서, 보다 많은 작업자가 손의 청결을 유지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식품가공이나 조리는 물론 의약품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을 온수로 1차 세척한 후 세척된 손을 건조하고 그건조된 손을 다시 살균수로 살균 소독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손에 기생하는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을 없애면서 손과 접촉되는 원료 및 용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등 손의 위생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손의 접근상태에 따라 온수를 자동 배출시키도록 제 1 근접센서를 갖는 온수배출관을 중간부에 두고 상단부에는 건조공간부와 살균공간부를 갖는 손 자동 세척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내의 하단에는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된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한 후 그 가열된 온수가 온수배출관을 통해 자동 배출되도록 온수히터를 내장시킨 온수기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 측면에는 건조공간부로의 손 접근상태를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로 부터 동작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링블로워를 형성하고,
    상기 링블로워와 건조공간부는 송풍관과 배풍관으로 연결하되, 상기 송풍관)에는 링블로워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 후 그 가열된 공기를 건조공간부로 송풍시키는 온풍히터를 형성하며,
    상기 살균공간부의 상단면에는 살균수 공급탱크와 제 3 근접센서를 두되, 상기 살균공간부로 손이 근접하여 그 근접된 상태를 제 3 근접센서가 감지할 때 살균수 공급탱크에 저장된 살균수를 자동 분사시키는 살균수 분사노즐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자동 소독장치.
KR2020010027565U 2001-09-08 2001-09-08 손 자동 소독장치 KR200257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565U KR200257406Y1 (ko) 2001-09-08 2001-09-08 손 자동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565U KR200257406Y1 (ko) 2001-09-08 2001-09-08 손 자동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406Y1 true KR200257406Y1 (ko) 2001-12-24

Family

ID=7305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565U KR200257406Y1 (ko) 2001-09-08 2001-09-08 손 자동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4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23B1 (ko) 2005-12-26 2006-12-26 (주)동양시스템 핸드 크리너
KR100826944B1 (ko) * 2007-02-27 2008-05-02 이경은 손 소독기
KR200450753Y1 (ko) 2009-03-09 2010-10-29 (주) 디엔디전자 손소독기
KR101914600B1 (ko) * 2017-03-27 2018-11-02 백병선 다수개의 배수전 공기공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23B1 (ko) 2005-12-26 2006-12-26 (주)동양시스템 핸드 크리너
KR100826944B1 (ko) * 2007-02-27 2008-05-02 이경은 손 소독기
KR200450753Y1 (ko) 2009-03-09 2010-10-29 (주) 디엔디전자 손소독기
KR101914600B1 (ko) * 2017-03-27 2018-11-02 백병선 다수개의 배수전 공기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597B1 (ko) 손 세정 장치
US20040040586A1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63631B1 (ko) 젖병 소독건조기
KR100899230B1 (ko) 살균램프가 구비된 손소독기
KR200257406Y1 (ko) 손 자동 소독장치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KR20090053003A (ko) 초음파를 이용한 손 세척(살균)장치
KR101466865B1 (ko) 이동식 사용기능을 갖는 다기능 손 세정장치
KR20110087516A (ko) 정화기능을 지닌 손소독기
US11845111B2 (en) Countertop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CA2296152A1 (en) The hygiene controller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KR100568998B1 (ko) 다기능 손 살균 세척기
KR20120002912U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손 소독기 및 침상변기 소독기
CN211186994U (zh) 一种自动感应式消毒液的出液装置
JP2003105819A (ja) 自動手洗い装置
KR200246658Y1 (ko) 손 소독기
KR200287260Y1 (ko) 손 소독장치
KR20160150408A (ko) 손 소독기
KR200333887Y1 (ko) 소독약액이 분사되는 온풍 손 살균 건조기
KR20210037133A (ko) Uvc-led를 이용한 생리도구 살균 건조기
KR20070062352A (ko) 냉장고에 구비된 소독장치 및 소독장치의 제어방법
KR102165022B1 (ko) 손 세정장치
KR200363483Y1 (ko) 컵 세척장치
KR102443577B1 (ko) 핸드 샤워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