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284Y1 - 이중잠금보관함 - Google Patents

이중잠금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284Y1
KR200450284Y1 KR2020080000793U KR20080000793U KR200450284Y1 KR 200450284 Y1 KR200450284 Y1 KR 200450284Y1 KR 2020080000793 U KR2020080000793 U KR 2020080000793U KR 20080000793 U KR20080000793 U KR 20080000793U KR 200450284 Y1 KR200450284 Y1 KR 200450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means
double
opened
doubl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422U (ko
Inventor
권양섭
Original Assignee
권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양섭 filed Critical 권양섭
Priority to KR2020080000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8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4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잠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에 잠금수단이 구비된 이중도어 구조를 갖추고 이중잠금 되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확실한 도난 방지 및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중잠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보관함은, 정면이 개구된 몸체와,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 도어인 외측도어,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도어이며 외측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외측도어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내측도어 및 내측도어의 일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내측셔터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관함, 캐비넷, 이중도어, 잠금수단

Description

이중잠금보관함 {Case with double lock devices}
본 고안은 이중잠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에 잠금수단이 구비된 이중도어 구조를 갖추고 이중잠금 되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확실한 도난 방지 및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중잠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관공서나 군 기관, 대학교 등에서는 보안업무 관련 법령이나, 학칙 등에 의하여 비밀 유지가 필요한 중요 문서 기타 자료를 이중잠금장치가 구비된 보관함에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화된 개인정보의 상품화가 만연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로 인해 개인의 동의하에 작성된 개인정보 관련 문서의 유출 방지에 각별히 유의해야 할 필요와, 군 기밀문서 기타 군 기관에서 작성된 문서의 경우 국가 안보와 관련하여 최상급 수준의 보안 유지의 필요, 그리고 관공서에서 작성되는 국책사업 관련 문서나 치안 관련 문서 기타 비밀유지가 필요한 문서에 대한 보안 유지의 필요 등, 일반 자료와는 달리 보안 에 특히 유의해야 하는 중요 자료에 대해서는 보다 보안이 확실한 보관함에 의하도록 하는 제도적 마련인 것이다.
이에 종래의 이중잠금장치가 구비된 보관함을 살펴보면, 출하시 본래 잠금 장치가 없던 보관함에, 별도의 2 이상의 잠금장치를 구입하여 못질을 하거나 나사결합을 하여 잠금장치를 고정한 이중잠금보관함을 사용하거나, 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하나의 개폐도어가 설치된 캐비넷 류의 보관함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입하여 고정한 이중잠금보관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이중잠금보관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잠금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입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고정과정에서 기존의 도어가 손상될 수 있고, 둘째, 잠금장치를 숙련되지 않은 개인이 고정하게 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파손하여 도어를 여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셋째, 종래의 보관함은 단일 도어 구조가 일반적이어서 잠금장치를 구비하더라도 도어자체를 파손시켜 보관함을 개방하는 것 또한 어렵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 이중잠금보관함은 도난방지 및 보안에 있어서 안정적인 보관수단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안되는 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수단이 각각 구비된 이중의 도어가 설치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확실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보관함은, 정면이 개구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 도어인 외측도어; 상기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도어이며, 상기 외측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외측도어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내측도어; 및 상기 내측도어의 일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내측셔터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도어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이중도어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어자체를 파손시키거나, 잠금장치를 파손시켜 내부를 개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보다 견고하고 확실한 도난방지 및 보안수단이 된다.
또한, 내측도어에는 일정한 수납공간에 대해서만 간편하게 개폐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도어는 외측도어에도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빈출되는 자료나, 저수준의 보안이 허용되는 자료 등에 대해서는 보관함 전체를 개방할 필요 없이 필요한 자료를 쉽게 인출, 수납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보관함(1)은, 정면이 개구된 몸체(10)와, 몸체(10)의 측면판(11)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2)을 구비하는 외측도어(20) 및 몸체(10)의 측면판(11)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2)을 구비하며 외측도어(20)의 닫힘상태에서 외측도어(20)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내측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 및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보관함(1)에 있어서, 내측도어(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며 잠금수단(2)이 구비되는 내측셔터도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내측도어(30)의 일측에 내측관통공(31)이 형성되고 내측관통공(31)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잠금수단(2)이 구비되는 내측간이도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판, 배면판, 양 측면판(11) 및 저면판으로 구성되고 정면부가 개구되는 이중잠금보관함(1)의 몸체(10)가 구성되고, 여기에 몸체(10) 개구측의 측면판(11) 일측에 결합되는 외측도어(20)가 구비된다.
외측도어(20)는 몸체(10)의 정면부에서 몸체(10) 외부 일측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측면판(11) 모서리의 일측에 경첩(3) 등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측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몸체(10)의 외면은 돌출부가 형성됨이 없이 simple한 외관을 갖도록, 외측도어(20)의 배면의 일단이 측면판(11)의 모서리 내측과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도어(20)는 외문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어가 최대오픈상태가 되게 하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면, 외측도어(20)는 도어의 오픈상태에서 그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한쌍의 양문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서로 대칭되는 각 도어의 배면의 일단이 몸체(10)의 양 측면판(1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외측도어(20)가 닫힘상태에서 그 배면측에는 내측도어(30)가 더 구비되며, 내측도어(30) 역시 외측도어(20)와 같은 이유에서 한쌍의 양문형 도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도어(30)는 외측도어(20)가 열림상태에서 몸체(10)의 외부 일측으로 회동되면서 개폐 되도록 그 배면의 일단이 몸체(10)의 측면판(11) 일측에 경첩(3) 등 에 의해 힌지 결합되되,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도어(20)의 힌지 결합 부위와 중복되지 않도록, 외측도어(20)가 힌지 결합되는 측면판(11)의 일측에서 몸체(10)내부로 더 진입하여 결합된다.
이때, 내측도어(30) 및 외측도어(20)가 측면판(11)의 내측면을 동일면으로 하여 힌지 결합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내측도어(30)를 열때 열림상태의 외측도어(20)와 겹쳐지는 부분에서 내측도어(30)의 외측면 일측이 외측도어(20)의 힌지 결합부 또는 외측도어(20) 끝단의 모서리에 걸림되어 내측도어(30)의 열림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 1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도어(30)의 열림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측면판(11) 내측면에 몸체(10) 내부로 돌출되는 부가측면판(12)을 형성하고, 부가측면판(12)의 일측에 내측도어(30)의 배면 일단이 힌지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외측도어(20) 및 내측도어(30)에는 각각의 잠금수단(2)이 구비되어 외측도어(20)의 잠금을 해제해야만 내측도어(30)의 잠금수단(2)이 개방되고, 내측도어(30)의 잠금을 해제해야만 몸체(10)의 내부가 개방되는 이중잠금 및 이중도어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 및 3에서는, 일측도어와 타측도어로 한쌍을 이루는 각각의 내측도어 및 외측도어에 있어서, 일측도어의 일측에 돌출가능한 고정쇠가 내설된 키형이나, 다이얼형 기타 잠금수단의 본체부가 설치되고, 타측도어의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가 설치되어 본체부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쇠가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 부에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도어(30)의 일측에 내측셔터도어(32) 또는 내측간이도어(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부에는 횡 또는 종 방향의 받침대 혹은 칸막이를 구비하여 구획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수납공간 별로 보안수준 또는 인출횟수의 차이에 따라 문서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고, 저수준의 보안이 허용되거나 업무시간 중 빈출되는 문서의 수납공간에 대해서는 이중잠금보관함(1)의 전체를 개방시킬 필요없이 내측셔터도어(32) 또는 내측간이도어(33)를 오픈시켜 간편하게 해당 수납공간의 자료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도어(30)의 일측에 내측셔터도어(32)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셔터도어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다수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를 개략적으로만 살피면, 내측도어(30)의 일측에 내측관통공(31)을 형성하되, 내측관통공(31)의 양 측면은 수직방향에서 평행하게 형성되고, 양 측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는 셔터도어를 구비하며, 셔터도어의 오픈방향에 있는 내측관통공(31)의 가장자리에는, 셔터도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감기는 와인드축과 셔터도어의 상향이동 및 와인딩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도어오픈을 촉진시키는 코일스프링이 함께 내설되는 와인딩박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셔터도어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가이드레일이 셔터도어의 오픈방향에 있는 내측관통공(31)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내측도어(30) 배면 일측 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셔터도어는 와인딩됨이 없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내측도어(30) 배면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오픈되게 하는 등의 다양한 셔터도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셔터도어가 상/하 방향 뿐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 될 수 있도록, 내측관통공(31)의 상/하측이 평행하고 그 상/하측면에 가이드레일(32a)을 설치하여 셔터도어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도어(30)의 일측에 내측간이도어(33)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피면, 내측도어(30)의 일측에 내측관통공(31)이 형성되고, 내측간이도어(33)는 그 일단이 내측관통공(31)의 일측에서 경첩(3) 등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몸체(10) 외부 일측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된다.
내측간이도어(33)는 닫힘상태에서 내측관통공(31)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그 형상 및 넓이가 내측관통공(31)의 그것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측셔터도어(32)와 내측간이도어(33)에는 잠금수단(2)이 구비되며, 도 4 및 5에서는 내측셔터도어와 내측간이도어의 각 일측에 돌출가능한 고정쇠가 내설된 잠금수단의 본체부가 설치되고, 내측관통공(31)의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본체부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쇠가 고정홈에 고정되어 잠금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외측도어(20)의 열림상태에서 내측도어(30)를 여는 경우나, 내측셔터도어(32) 또는 내측간이도어(33)를 여는 경우, 어느 경우에서든 이중의 잠금수단(2)이 모두 해제되어야만 몸체(10) 내부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술한 내측셔터도어(32) 또는 내측간이도어(33)가 구비됨에 있어서, 외측도어(20)에도 마찬가지의 외측셔터도어 또는 외측간이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이중의 셔터도어 또는 간이도어를 구비하게 되면, 업무상 인출이 필요한 문서 외의 여타 문서를 불필요하게 노출시키지 않고도 전술한 셔터도어 또는 간이도어만을 오픈시켜 일부 수납공간에 수납된 문서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외측셔터도어 또는 외측간이도어가 설치되는 외측관통공은, 내측관통공(31)과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내측관통공(31)과 동일한 면적이거나 그보다 넓게 형성되고, 내측관통공(31)의 정면부에 위치하는 외측도어(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몸체(10)는 그 내부에 횡방향의 가로판을 구비하고, 상,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각각의 이중도어를 구비함으로써, 2단의 이중잠금보관함(1)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보관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잠금보관함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2단 이중잠금보관함의 사시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이중잠금보관함의 부분 절개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이중잠금보관함에서 내측셔터도어가 포함되는 이중잠금보관함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이중잠금보관함에서 내측간이도어가 포함되는 이중잠금보관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중잠금보관함 2 : 잠금수단
10 : 몸체 12 : 부가측면판
20 : 외측도어 30 : 내측도어
32 : 내측셔터도어 33 : 내측간이도어

Claims (9)

  1. 정면이 개구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 도어인 외측도어;
    상기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도어이며, 상기 외측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외측도어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내측도어; 및
    상기 내측도어의 일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내측셔터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도어의 일측이면서 상기 내측셔터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외측셔터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도어의 일측이면서 상기 내측셔터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관통공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외측간이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보관함.
  4. 정면이 개구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 도어인 외측도어;
    상기 몸체의 측면판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양문형도어이며, 상기 외측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외측도어의 배면측에 위치되는 내측도어;
    상기 내측도어의 일측에는 내측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통공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내측간이도어; 및
    상기 외측도어의 일측이면서 상기 내측간이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며,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외측셔터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보관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판 내측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되는 부가측면판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도어는 상기 부가측면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잠금보관함.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080000793U 2008-01-18 2008-01-18 이중잠금보관함 KR200450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93U KR200450284Y1 (ko) 2008-01-18 2008-01-18 이중잠금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93U KR200450284Y1 (ko) 2008-01-18 2008-01-18 이중잠금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22U KR20090007422U (ko) 2009-07-22
KR200450284Y1 true KR200450284Y1 (ko) 2010-09-16

Family

ID=4129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793U KR200450284Y1 (ko) 2008-01-18 2008-01-18 이중잠금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541Y1 (ko)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스마트기기용 이중 잠금 구조의 보관함
KR101968976B1 (ko) * 2018-12-03 2019-04-15 김민철 수처리를 위한 원방감시기 송수신용 계장계측 방호 함체장치 및 그 함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8291U (ko) * 1975-11-15 1977-05-20
KR100572073B1 (ko) * 2004-12-17 2006-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홈바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8291U (ko) * 1975-11-15 1977-05-20
KR100572073B1 (ko) * 2004-12-17 2006-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홈바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541Y1 (ko)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스마트기기용 이중 잠금 구조의 보관함
KR101968976B1 (ko) * 2018-12-03 2019-04-15 김민철 수처리를 위한 원방감시기 송수신용 계장계측 방호 함체장치 및 그 함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22U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152B2 (en) Locking system for a storage container
US8322566B2 (en) Lock box with sliding lid
US7322661B1 (en) Storage cabinet
US9328534B2 (en) Safe and lock mechanism
US2886392A (en) Safe cabinet locking device
KR200450284Y1 (ko) 이중잠금보관함
CN108397078B (zh) 信息安全用保密箱及其工作方法
KR200470342Y1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KR101127543B1 (ko) 우편함
KR101117812B1 (ko) 여닫이문 잠금 장치
KR20180033695A (ko) 카세트 모듈
KR102632627B1 (ko) 보관함
CN103299017A (zh) 含防撬门的安全容器
JPH10184138A (ja) 配送車の荷室施錠システム
JPS583887Y2 (ja) 共同溝等換気孔蓋錠
JP3114083U (ja) ノート型pc収納用キャビネット
CN219883568U (zh) 一种防丢失的票据盒
JP5923714B2 (ja) ロッカー装置
US1856913A (en) Wardrobe trunk
JPH0344952Y2 (ko)
RU2245978C2 (ru) Дверь
RU2344254C2 (ru) Замок
KR20230152951A (ko) 데스크의 서랍 조립체
JP2526960Y2 (ja) 収納装置
US6386121B1 (en) Safety deposit box lo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