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119Y1 -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119Y1
KR200450119Y1 KR2020080001846U KR20080001846U KR200450119Y1 KR 200450119 Y1 KR200450119 Y1 KR 200450119Y1 KR 2020080001846 U KR2020080001846 U KR 2020080001846U KR 20080001846 U KR20080001846 U KR 20080001846U KR 200450119 Y1 KR200450119 Y1 KR 200450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rame
headrest
ch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217U (ko
Inventor
전은수
Original Assignee
전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수 filed Critical 전은수
Priority to KR2020080001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1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1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등받이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양단을 이어주는 이음대와 상기 이음대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쿠션부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로 형성하는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음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삽입개구부에는, 상기 쿠션부의 지지대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삽입개구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조립보스링이 더 마련되며, 상기 조립보스링과 상기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의자, 등받이, 등받이 프레임, 헤드레스트, 조립, 구조

Description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Structure of chair having headrest}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등받이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 간의 조립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용이해짐으로 인해 조립성 향상에 따른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일련의 용품이다. 책상과 함께 현대인들에게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구 용품 중에 하나이다.
간단한 의자는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과 그를 지탱하는 다리부재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여기에 등받이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간단하고 단순한 의자는 잠시 앉아 사용하는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예컨대 회사와 같이 장기간 앉아서 근무하는 곳에서 상기와 같은 의자에 오랫동안 앉아 있을 경우, 허리와 목, 특히 목 주변의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간단한 의자에는 보통 후방에서 헤드와 목을 지지해주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예전에는 헤드레스트가 없는 의자가 대부분이었지만,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지 않은 의자는 사용자의 헤드를 후방에서 받혀줄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편안한 안식처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으로 인해, 근자에 들어 제조사들은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개발을 끊임없이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예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4408호에는 헤드레스트 구조가 적용된 의자가 공지된 바 있다. 상기 문헌의 기술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 구조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자는, 좌판(120), 좌판(120)의 후방에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140), 등받이 프레임(140)에 삽입 설치되는 등받이(130), 등받이(130)의 상부에 장착된 헤드레스트 구조(200) 및 좌판(120)의 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다리부재(110)를 구비한다. 다리부재(110)에는 의자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112)들이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130)가 등받이 프레임(140)에 삽입 설치되기 위해, 등받이(130)의 양측 장변의 4군데 영역에는 고리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고리부(131)는 각각 등받이 프레임(1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구조(200)는 크게 등받이 프레임(140)의 양측에 삽입되어 상부를 이어주는 이음대(250)와, 이음대(250)의 중앙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헤드레스트(210)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210)는 그 후면에 장착되고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음대(250)에 삽입되는 지지대(230)를 구비하는데, 지지대(230)의 수직 중앙부에는 수직하방으로 길게 장공(2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대(250)는 등받이 프레임(140)에 대응되도록 양쪽으로 날개부(251,252)를 구비하고, 그 중앙부에는 헤드레스트(210)의 지지대(230)가 삽입되도록 삽입개구부(255)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날개부(251,252)의 끝단에는 각각 등받이 프레임(140)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돌편(253,2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개구부(255)가 형성된 이음대(250)의 중앙부에는 그 후면으로부터 삽입개구부(255) 내부로 관통홀(258)이 형성되고, 삽입개구부(255)의 내부로부터 관통홀(258)과 일직선상의 이음대(250) 전방 측에는 나사홀(25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58)과 나사홀(257)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톱퍼부재(240)가 제공된다. 스톱퍼부재(240)는 사용자가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241), 노브(241)에 일체로 형성되고 헤드레스트(210)의 지지대(230)를 눌러서 압착시키는 누름편(243) 및 나사홀(257)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45)를 포함한다.
이에,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의자를 조립하고자 할 때는, 우선 등받이(130)에 형성된 4개의 고리부(131)가 등받이 프레임(140)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여 등받이(130)와 등받이 프레임(140)을 조립한다.
다음, 헤드레스트 구조(200)의 조립을 위해, 지지대(230)를 삽입개구부(255)로 삽입시킨 후, 도 3과 같이, 스톱퍼부재(240)를 체결하여 이음대(250)와 헤드레 스트(210)를 조립하고, 이어 날개부(251,252)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돌편(253,254)을 등받이 프레임(140)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의자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는, 헤드레스트 구조(200)가 적용되어 사용상 편하기는 하지만, 그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30)와 등받이 프레임(140) 모두가 직선형상이 아닌 일 영역에서 휘어진 만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등받이(130)에 형성된 4개의 고리부(131)를 등받이 프레임(140)에 삽입 설치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매우 불편하다. 만약, 등받이(130)와 등받이 프레임(140)의 휘어진 각도가 서로 맞지 않을 경우라면 등받이(130)와 등받이 프레임(140) 간의 조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 구조(200)의 조립에 있어서도, 단순하게 지지대(230)가 삽입개구부(255)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지지대(230)와 삽입개구부(255) 간의 상대적인 크기와 부피가 정밀하게 맞지 않거나 혹은 두 구성의 휘어진 각도가 다를 경우에는 이들 간의 조립 역시 결코 쉽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의 종래기술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등받이(130)와 등받이 프레임(140) 간의 조립, 그리고 헤드레스트 구조(200)의 조립을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 조립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수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나아가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등받이, 등받이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 간의 조립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용이해짐으로 인해 조립성 향상에 따른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등받이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양단을 이어주는 이음대와 상기 이음대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쿠션부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로 형성하는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음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삽입개구부에는, 상기 쿠션부의 지지대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삽입개구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조립보스링이 더 마련되며, 상기 조립보스링과 상기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대는, 상기 쿠션부를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결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구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삽입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단면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 장되어 상기 등받이의 둘레 영역 상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등받이의 관통공과 체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집게부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나아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일측 장변의 중앙 영역이 타측 장변측으로 잘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비타원형 단면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삽입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단면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의 둘레 영역 하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등받이의 관통공과 체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집게부를 갖는 복수의 제1 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등받이, 등받이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 간의 조립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용이해짐으로 인해 조립성 향상에 따른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헤드레스트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등받이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등받이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받이(30)와, 등받이(3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등받이 프레 임(40)과, 등받이(30) 및 등받이 프레임(40)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50)를 구비한다.
물론, 의자가 조립되어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바퀴가 구비된 다리부재와, 다리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앉는 자리로서의 좌판이 더 구비되어야 하나,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퀴, 다리부재 및 좌판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등받이(30)는,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상체로 형성되어 해당 위치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종래의 의자를 보면, 등받이(30)가 평평하게 일자형상으로 제작된 경우도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의자에 채용되는 등받이(30)는 일정하게 만곡되어 굽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라인(line)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등받이(30)가 이러한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편안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등받이(30)의 판면에는 다수의 통기홀(30a,30b)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30a의 통기홀은 대략 일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참조부호 30b의 통기홀은 대략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다수의 통기홀(30a,30b)들은 등받이(30)에 강성을 부여하면서 등받이(30)를 통한 통기 작용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참조부호의 통기홀(30a,30b)이라도 그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기홀(30a,30b)들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등받이(30)를 정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을 갖는데, 이러한 등받이(30)에는 그 둘레 영역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31a~31d)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영역 2개의 관통공(31a,31b)은 후술할 제1 결속구(80a,80b)와, 상부 영역의 2개의 관통공(31c,31d)은 후술할 제2 결속구(90a,90b)와 상호작용하여 등받이(30)를 등받이 프레임(40)과 헤드레스트(50)에 결합시키는 장소로 활용된다.
등받이 프레임(40)은,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의 외곽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해당 위치에서 등받이(30) 및 헤드레스트(50)와 결합된다. 보통, 등받이(30) 및 헤드레스트(50)가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제작되고 있는데 반해 등받이 프레임(40)은 강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금속 재질의 선택 시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SUS)이 선택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40)의 하부 영역에는 도시 않은 좌판과의 결합을 위한 대략 “ㄱ”자 형상의 브래킷(41)이 더 구비되어 있다. 브래킷(41)의 판면에는 다수의 볼트공(41a,41b)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40)은 관상체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는 종래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다. 즉, 종래의 의자에서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는 원형상이나 혹은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의자에서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는 비타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장변(42a)의 중앙 영역이 타측 장변(42b)측으로 잘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비타원형 단면 구조(A)를 갖는 다. 이러한 구조적인 형상으로 인해 종래보다 강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헤드레스트(5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 및 등받이 프레임(40)의 상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헤드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헤드레스트(50)는 크게, 등받이 프레임(40)의 양단을 이어주는 이음대(60)와, 이음대(60)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쿠션부(70)로 이루어져 있다.
이음대(60)와 쿠션부(70)의 구조 및 그의 조립 방법은 후술한다. 다만, 이음대(60)에 대해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이음대(60)는 일측으로 뒤틀어진 꽈배기 구조의 형상을 가지므로, 종래에 비해 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외장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꽈배기 구조에 대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꽈배기 구조란 사각 단면의 봉을 한 방향으로 뒤틀어 놓은 형상을 가리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의 조립 구조가 종래와는 다른 방식으로 적용됨에 따라 그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다.
등받이 프레임(40)과 헤드레스트(50)를 조립하면서 이들 사이로 등받이(3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크게 제1 결속구(80a,80b)와 제2 결속구(90a,90b)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구(80a,80b)는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와는 별도의 독립된 부품으로 마련되어 등받이 프레임(40)과 등받이(30)를 상호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제1 결속구(80a,80b)는, 등받이 프레임(40)에 삽입되게 설치되도록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81a,81b)와, 제1 몸체부(81a,81b)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등받이(30)의 둘레 영역 하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집게부(82a,82b)를 구비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81a,81b)는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인 비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방향만 맞으면 제1 몸체부(81a,81b)는 등받이 프레임(4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집게부(82a,82b)는 등받이(30)의 둘레 영역 하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하는 부분인데, 이 부분은 앞서 기술한 등받이(3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관통공(31a,31b) 영역이 된다. 따라서 등받이(3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관통공(31a,31b) 영역에 한 쌍의 제1 집게부(82a,82b)가 배치되면, 별도의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집게부(82a,82b)에 형성된 통공(83a,83b)과 관통공(31a,31b)을 상호 체결함으로써 등받이(30)의 하부 영역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의 구조대로 제2 결속구(90a,90b)가 구비되며, 제2 결속구(90a,90b)는 등받이(30)의 상부 영역 조립을 담당하게 된다. 다만, 제1 결속구(80a,80b)가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와는 별도의 독립된 부품으로 마련되고 있는데 반해, 제2 결속구(90a,90b)는 헤드레스트(50)에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헤드레스트(50)의 이음대(60)는, 쿠션부(70)를 기준으로 등받이 프레임(4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부(61,62)를 갖는데, 이러한 한 쌍의 날개부(61,62)의 단부에 각각 제2 결속구(90a,90b)가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제2 결속구(90a,90b)는, 등받이 프레임(40)에 삽입되게 설치되도록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91a,91b)와, 제2 몸체부(91a,91b)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등받이(30)의 둘레 영역 상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집게부(92a,92b)를 구비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91a,91b)는 등받이 프레임(40)의 단면 구조인 비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방향만 맞으면 제2 몸체부(91a,91b)는 등받이 프레임(4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집게부(92a,92b)는 등받이(30)의 둘레 영역 상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하는 부분인데, 이 부분은 앞서 기술한 등받이(3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관통공(31c,31d) 영역이 된다. 따라서 등받이(30)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관통공(31c,31d) 영역에 한 쌍의 제2 집게부(92a,92b)가 배치되면, 별도의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2 집게부(92a,92b)에 형성된 통공(93a,93b)과 관통공(31c,31d)을 상호 체결함으로써 등받이(30)의 상부 영역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구조로 미루어 볼 때, 제1 결속구(80a,80b)는 등받이(30)와 등받이 프레임(40)을 상호간 조립하는 요소이고, 제2 결속구(90a,90b)는 등받이(30)와 등받이 프레임(40), 그리고 헤드레스트(50)를 상호간 조립하는 요소라 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등받 이(130)에 형성된 4개의 고리부(131)를 등받이 프레임(140)에 삽입 설치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매우 불편하였기 때문에 등받이(130)와 등받이 프레임(140) 간의 조립 작업이 어려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속구(80a,80b)와 제2 결속구(90a,90b)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등받이(30)와 등받이 프레임(4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헤드레스트(50)에서 이음대(60)와 쿠션부(70) 간의 조립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음대(60)의 중앙 영역에는 쿠션부(70)의 지지대(71)가 삽입되는 삽입개구부(63)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개구부(63)에 별도의 조립보스링(65)이 더 개재된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기술한 바와 같이, 단순하게 지지대(230)가 삽입개구부(255)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지지대(230)와 삽입개구부(255) 간의 상대적인 크기와 부피가 정밀하게 맞지 않거나 혹은 두 구성의 휘어진 각도가 다를 경우에는 이들 간의 조립 역시 결코 쉽지 않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조립보스링(65)을 더 마련하여, 이음대(60)와 쿠션부(70)를 상호 조립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의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조립보스링(65)은, 쿠션부(70)의 지지대(71)에 끼워진 후, 지지대(71)와 함께 삽입개구부(63)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요소이다. 이러한 조립보스링(65)으로 인해, 이음대(60)와 쿠션부(70) 간의 조립 작업이 수월해지게 된 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종래기술과 달리 쿠션부(70)의 지지대(71)와 조립보스링(65)을 1차로 결합시키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지지대(71)에는 레일홈(71a)이, 그리고 조립보스링(65)에는 레일블록(65a)이 마련된다. 이러한 레일홈(71a)과 레일블록(65a) 간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로 인해, 쿠션부(70)의 지지대(71)와 조립보스링(65)을 1차로 결합시키는 작업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레일홈(71a)을 조립보스링(65)에, 그리고 레일블록(65a)을 지지대(71)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의자의 조립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를 준비한 후, 등받이(30)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31a~31d)이 각각 제1 결속구(80a,80b)와 제2 결속구(90a,90b) 영역에 배치되도록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를 상호간 조립한다.
그리고는 각 구성들 간의 결합 영역을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손쉽게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30), 등받이 프레임(40) 및 헤드레스트(50) 간의 조립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용이해짐으로 인해 조립성 향상에 따른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 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헤드레스트 구조가 적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레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헤드레스트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등받이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등받이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등받이 31a~31d : 관통공
40 : 등받이 프레임 50 : 헤드레스트
60 : 이음대 65 : 조립보스링
70 : 쿠션부 80a,80b : 제1 결속구
90a,90b : 제2 결속구

Claims (3)

  1. 삭제
  2. 사용자의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등받이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양단을 이어주는 이음대와 상기 이음대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는 쿠션부를 가지며,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로 형성되고, 상기 이음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삽입개구부에는 상기 쿠션부의 지지대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대와 함께 상기 삽입개구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조립보스링이 더 마련되며, 상기 조립보스링과 상기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블록이 형성되는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음대는, 상기 쿠션부를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결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구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삽입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단면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의 둘레 영역 상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등받이의 관통공과 체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집게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일측 장변의 중앙 영역이 타측 장변측으로 잘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 비타원형 단면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삽입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단면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의 둘레 영역 하부를 집게 타입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등받이의 관통공과 체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집게부를 갖는 복수의 제1 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KR2020080001846U 2008-02-12 2008-02-12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KR200450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846U KR200450119Y1 (ko) 2008-02-12 2008-02-12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846U KR200450119Y1 (ko) 2008-02-12 2008-02-12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17U KR20090008217U (ko) 2009-08-17
KR200450119Y1 true KR200450119Y1 (ko) 2010-09-06

Family

ID=4130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846U KR200450119Y1 (ko) 2008-02-12 2008-02-12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1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13A (ko) 2017-11-20 2019-05-29 (주) 파트라 착탈식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2742A (zh) * 2011-10-13 2012-02-29 陈育 一种新型椅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662U (ko) * 1980-11-10 1982-05-20
JP2004121681A (ja) * 2002-10-04 2004-04-22 Paramount Bed Co Ltd 身体保護用手段を備えた折り畳み式側柵およびその身体保護用手段
KR200404408Y1 (ko) * 2005-09-23 2005-12-22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헤드레스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662U (ko) * 1980-11-10 1982-05-20
JP2004121681A (ja) * 2002-10-04 2004-04-22 Paramount Bed Co Ltd 身体保護用手段を備えた折り畳み式側柵およびその身体保護用手段
KR200404408Y1 (ko) * 2005-09-23 2005-12-22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헤드레스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13A (ko) 2017-11-20 2019-05-29 (주) 파트라 착탈식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17U (ko)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601B2 (en) Back structure for a chair
CA2629774C (en) Base plate for a chair
US20090127914A1 (en) Backrest device in a chair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200450119Y1 (ko) 의자의 헤드레스트 체결구조
US20150008712A1 (en) Anatomic desk chair comprising backrest with frame having a tire-type assembly system
KR20090008211U (ko) 의자 등받이의 체결구조
KR20090124048A (ko) 의자 등받이부 체결용 탄성결합부재
US8613484B2 (en) Detachable chair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20180070846A (ko)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428384Y1 (ko) 프레임 의자
CN111938355B (zh) 一种圈椅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CN210989241U (zh) 一种扶手
CN214595148U (zh) 装配型沙发椅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CN211092851U (zh) 椅子
CN211092850U (zh) 一种坐具
CN220403586U (zh) 一种座架结构及其沙发
KR200405813Y1 (ko) 좌식의자
JP7250498B2 (ja) 網を椅子部材に取り付けた構造
CN211092874U (zh) 一种座椅
CN214678327U (zh) 一种坐垫和靠背可转换的吧台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