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09Y1 -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09Y1
KR200450009Y1 KR2020080007989U KR20080007989U KR200450009Y1 KR 200450009 Y1 KR200450009 Y1 KR 200450009Y1 KR 2020080007989 U KR2020080007989 U KR 2020080007989U KR 20080007989 U KR20080007989 U KR 20080007989U KR 200450009 Y1 KR200450009 Y1 KR 200450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neumatic
semi
do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967U (ko
Inventor
김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Priority to KR2020080007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0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반자동문의 안내레일에 설치된 감속부에 의하여 도어가 닫히는 속도가 감속되어지도록 구성된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중공형태를 갖는 실린더의 일측에 공압조절캡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실린더의 타측에 로드안내홈이 형성된 로드안내캡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피스톤이 끼워진 로드의 일측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로드의 타측이 상기 로드안내홈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지되, 상기 로드는 피스톤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로드의 표면에 보강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피스톤과 대응되는 로드의 끝에 마그네틱편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반자동문, 감속부, 실린더, 공압조절캡, 로드안내캡, 로드, 마그네틱편

Description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The semiautomatic door air pressure deceleration controller which uses an air pressure}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닫이 형태로 열리고 닫히는 반자동문의 안내레일 상측 전면으로 공압조절캡이 결합된 실린더에 로드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감속부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도어에 결합된 행거의 열결대가 로드에 맞대어져 감속되어진 상태로 닫히게 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로드가 피스톤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로드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에는 일정한 공간으로 구획되어지는 다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지고, 각각의 공간부에는 외부로부터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는 통상적으로 문틀에 도어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지고, 타측에 손잡이를 갖는 도어록킹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도어록킹 장치를 언록킹 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아 당김과 동시에 도어가 문틀에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힌지결합에 의하여 일측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는 도어작동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도어를 갑자기 오픈시켰을 경우, 반대측에 있던 다른 사람이 열리는 도어에 부딪쳐 다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작동공간의 범위내에 물건이나 기타의 돌출물이 있을 경우, 도어가 정상대로 열리지 못하게 됨에 따라 최소한 도어가 설치된 전후면에 소정의 자동 공간이 확보되어야 되는 공간 확보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닫이형 슬라이드 도어가 제안되어지고 있고, 제안된 슬라이드 도어는 상부에 설치된 안내레일의 하부에 로울러가 결합된 행거가 걸려진 상태로 결합되어지고, 행거의 하부에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가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슬라이드 도어에 돌출 또는 인입되게 결합되어진 손잡이를 좌우방향으로 밀게 됨에 따라 도어의 상부에 결합된 행거의 로울러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동식과 열릴때는 사용자가 밀어서 열고 닫힐때는 속도조절기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슬라이드 도어가 닫히는 반자동식이 제안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는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나, 수동식의 경우, 사용자가 슬라이드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 고, 반자동식의 경우, 슬라이드 도어를 닫는 동작이 필요없어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속도조절기에 의하여 닫히는 과정에서 열려진 슬라이드 도어가 닫히는 처음에는 천천이 이동되어지고, 중간에는 슬라이드 도어에 가속도가 붙어 세게 닫히는 원인이 있었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틀과 슬라이드 도어 사이에 사람이 있을 경우, 닫혀지는 슬라이드 도어가 사람에게 충격을 주는 원인과 슬라이드 도어가 슬라이드 도어틀에 부딪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미닫이 형태로 열리고 닫히는 반자동문의 안내레일 상측 전면으로 공압조절캡이 결합된 실린더에 로드가 삽입되어진 감속부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도어에 결합된 행거의 연결대가로드에 맞대어져 감속되어진 상태로 닫히게 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로드가 피스톤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로드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반자동문(100)의 안내레일(200)에 설치된 감속부(300)에 의하여 도어(400)가 닫히는 속도가 감속되어지도록 구성된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300)는 중공형태를 갖는 실린더(310)의 일측에 공압조절캡(32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실린더(310)의 타측에 로드안내홈(335)이 형성된 로드안내캡(33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린더(310)의 내부에 피스톤(341)(342)이 끼워진 로드(340)의 일측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로드(340)의 타측이 상기 로드안내홈(33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지되, 상기 로드(340)는 피스톤(341)(342)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로드(340)의 표면에 보강돌기(343)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피스톤(341)(342)과 대응되는 로드(340)의 끝에 마그네틱편(34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340)의 보강돌기(343) 양측으로 라이너홈(345)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라이너홈(345)이 로드안내홈(335)의 내면으로 형성된 라이너돌기(332)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편(344)의 전면에 천 또는 우레판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346)가 씌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압조절캡(320)은 조절캡 몸체(321)의 후방에 제1관통홈(322-1)이 형성된 제1플랜지(32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플랜지(322)에 직각이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홈(322-2)에 조절나사(323)가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조절캡 몸체(321)의 일측에 제1실링(324-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1삽입부(324)가 상기 실린더(310)의 일측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삽입부(324)와 대응되는 조절캡 몸체(321)의 타측에 필터(325-1)가 삽입된 필터관(325)의 일측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필터관(325)의 타측에 에어홀(326-1)이 형성된 필터캡(326)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삽입부(324)의 내측과 암나사홈(322-2) 및 필터관(325)을 연결하는 세관(327)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안내캡(330)은 조절캡 몸체(331)의 후방에 제2관통홈(332-1)이 형성된 제2플랜지(33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조절캡 몸체(331)의 일측에 제2실링(333-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2삽입부(333)가 상기 실린더(310)의 타측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제2삽입부(333)에 축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홈(33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삽입부(333)의 내부는 조절캡 몸체(331)가 관통되어지는 상기 로드안내홈(335)이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고안은 미닫이 형태로 열리고 닫히는 반자동문의 안내레일 상측 전면으로 공압조절캡이 결합된 실린더에 로드가 삽입되어진 감속부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도어에 결합된 행거의 연결대가 로드에 맞대어져 감속되어진 상태로 닫히게 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로드가 피스톤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 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로드가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로드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가 반자동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에 의하여 반자동문이 감속되어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자동문(100)의 안내레일(200)에 설치된 감속부(300)에 의하여 도어(400)가 닫히는 속도가 감속되어지도록 하여 상기 도어(400)가 닫히는 과정에서 소음과 충격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속부(300)는 중공형태를 갖는 실린더(310)의 일측에 공압조절캡(32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린더(310)의 타측에 로드안내홈(335)이 형성된 로드안내캡(33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310)의 내부에는 피스톤(341)(342)이 끼워진 로드(340)의 일측 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로드(340)의 타측이 상기 로드안내홈(33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압조절캡(320)은 로드(340)가 실린더(310)의 내부로 인입되어지는 과정에서 피스톤(341)(342)에 의하여 압축되어진 공기의 배출량이 조절되어지는 것으로, 조절캡 몸체(321)의 후방에는 제1관통홈(322-1)이 형성된 제1플랜지(32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플랜지(322)에 직각이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홈(322-2)에 조절나사(323)가 나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조절캡 몸체(321)의 일측에는 제1실링(324-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1삽입부(324)가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324)가 상기 실린더(310)의 일측에 기밀유지되도록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삽입부(324)와 대응되는 조절캡 몸체(321)의 타측에 필터(325-1)가 삽입된 필터관(325)의 일측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필터관(325)의 타측에 에어홀(326-1)이 형성된 필터캡(326)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부(324)의 내측과 암나사홈(322-2) 및 필터관(325)을 연결하는 세관(327)이 일체로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배출되어지며 상기 조절나사(323)에 의하여 배출되는 에어량이 조절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조절나사(323)을 세게 조였을 경우, 배출되어지는 압축공기의 량이 줄어들고, 조절나사(323)을 약하게 조였을 경우, 배출되어지는 압축공기의 량이 많아지게 된다.
상기 로드안내캡(330)은 실린더(310)의 내부에 삽입된 로드(340)가 용이하게 상기 실린더(310)의 내,외부로 인입출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조절캡 몸체(331)의 후방에는 제2관통홈(332-1)이 형성된 제2플랜지(33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조절캡 몸체(331)의 일측에는 제2실링(333-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2삽입부(333)가 상기 실린더(310)의 타측에 삽입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부(333)에 축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홈(334)이 형성되어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삽입부(333)의 내부는 조절캡 몸체(331)가 관통되어지는 상기 로드안내홈(335)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340)는 피스톤(341)(342)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로드(340)의 자체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이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로드(340)가 실린더(310)의 내,외부로 인입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로드(340)의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로드(340)의 표면에는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되게 보강돌기(343)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피스톤(341)(342)과 대응되는 로드(340)의 끝에는 마그네틱편(34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도어(400)에 고정된 행거(410)의 연결대(420)에 자력에 의하여 로드(340)의선탄이 탈부착 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틱편(344)의 전면에 천 또는 우레판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346)가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연결대(420)에 탈부착 되어지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잦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340)의 보강돌기(343) 양측에는 라이너홈(345)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홈(345)이 후술하는 로드안내캡(330)의 로드안내홈(335)의 내면으로 형성된 라이너돌기(332)에 끼워져 실린더(301)의 내,외부로 인입출되어지는 과정에서 회전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직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에 의하여 도어(400)가 감속되여 닫히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01)를 잡고 도어(4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오픈시킴과 동시에 도어(400)의 상부에 결합된 행거(41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행거(410)의 우측편에 감속부(300)를 구성하는 로드(340)의 끝에 결합된 마그네틱편(344)이 자력에 의하여 행거(410)의 연결대(42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으로써, 로드(340)가 실린더(3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로드(340)에 형성된 라이너홈(345)이 조절캡몸체(331)의 로드안내홈(335)에 형성된 라이너돌기(332)에 의하여 안내되어지는 상태로 인출되어지게 됨으로써, 로드(3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바르게 인출되어지게 된다. 로드(340)가 인출되어지는 과정에서 속도조절기(430)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430-1)가 행거(410)에 연결되어져 있음으로써, 속도조절기(430)로부터 와이어(430-1)가 와인딩(풀림)되어지게 된다.
다음, 도어(400)가 열려진 상태에서 손잡이(401)에서 손을 뗌과 동시에 속도 조절기(430)에서 풀려진 와이어(430-1)가 역방향으로 리와인딩(감김)되어지면서 도5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도어(400)가 닫혀지기 시작된다.
이때 도어(400)가 오픈되어지는 과정에서 도어(400)를 세게 열었을 경우, 연결대(420)에 자력으로 부착되어진 로드(340)에 결합된 마그네틱편(344)이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위치되어지고, 도어(400)의 이동으로 인하여 연결대(420)가 마그네틱편(344)에 부딪치는 과정에서 마그네틱편(344)에 씌워진 쿠션부재(346)에 의하여 그 충격이 완화되어짐과 동시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연결대(420)가 마그네틱편(344)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도어(400)가 닫히는 힘에 의하여 로드(340)가 실린더(310)의 내부로 인입되어지게 되고, 로드(340)에 결합된 피스톤(341)(342)이 실린더(3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어지게 됨에 따라 압축되어진 공기가 공압조절캡(320)에 형성된 세관(327) 및 필터관(325)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어지게 됨으로써, 도어(400)의 이동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이 같이 도어(400)의 이동속도가 현격하게 줄어든 상태에서 도어(400)가 완전히 닫히게 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도어(400)와 문틀 사이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도 도어(400)의 이동속도가 완전히 줄어들어 감속된 상태가 유지되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사람이 끼이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가 반자동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의 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감속 조절장치에 의하여 반자동문이 감속되어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반자동문 200:안내레일
300:감속부 310:실린더
320:공압조절캡 330:로드안내캡
335:로드안내홈 340:로드
341,242:피스톤 343:보강돌기
344:마그네틱편 400:도어

Claims (5)

  1. 반자동문(100)의 안내레일(200)에 설치된 감속부(300)에 의하여 도어(400)가 닫히는 속도가 감속되어지도록 구성된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300)는 중공형태를 갖는 실린더(310)의 일측에 공압조절캡(32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실린더(310)의 타측에 로드안내홈(335)이 형성된 로드안내캡(33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실린더(310)의 내부에 피스톤(341)(342)이 끼워진 로드(340)의 일측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로드(340)의 타측이 상기 로드안내홈(33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지되, 상기 로드(340)는 피스톤(341)(342)이 끼워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로드(340)의 표면에 보강돌기(343)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피스톤(341)(342)과 대응되는 로드(340)의 끝에 마그네틱편(344)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40)의 보강돌기(343) 양측으로 라이너홈(345)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라이너홈(345)이 로드안내홈(335)의 내면으로 형성된 라이너돌기(332)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 용 감속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편(344)의 전면에 천 또는 우레판으로 이루어진 쿠션부재(346)가 씌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캡(320)은 조절캡 몸체(321)의 후방에 제1관통홈(322-1)이 형성된 제1플랜지(322)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플랜지(322)에 직각이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홈(322-2)에 조절나사(323)가 나사 결합되어지고, 상기 조절캡 몸체(321)의 일측에 제1실링(324-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1삽입부(324)가 상기 실린더(310)의 일측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삽입부(324)와 대응되는 조절캡 몸체(321)의 타측에 필터(325-1)가 삽입된 필터관(325)의 일측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필터관(325)의 타측에 에어홀(326-1)이 형성된 필터캡(326)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삽입부(324)의 내측과 암나사홈(322-2) 및 필터관(325)을 연결하는 세관(327)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안내캡(330)은 조절캡 몸체(331)의 후방에 제2관통홈(332-1)이 형 성된 제2플랜지(33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조절캡 몸체(331)의 일측에 제2실링(333-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제2삽입부(333)가 상기 실린더(310)의 타측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제2삽입부(333)에 축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홈(33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삽입부(333)의 내부는 조절캡 몸체(331)가 관통되어지는 상기 로드안내홈(335)이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감속조절장치.
KR2020080007989U 2008-06-16 2008-06-16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KR200450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989U KR200450009Y1 (ko) 2008-06-16 2008-06-16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989U KR200450009Y1 (ko) 2008-06-16 2008-06-16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67U KR20090012967U (ko) 2009-12-24
KR200450009Y1 true KR200450009Y1 (ko) 2010-08-30

Family

ID=4424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989U KR200450009Y1 (ko) 2008-06-16 2008-06-16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57B1 (ko) 2010-04-14 2012-05-24 코르텍 주식회사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
KR20190083722A (ko) * 2018-01-05 2019-07-15 아성산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KR102070134B1 (ko) 2018-09-07 2020-01-28 진성호 반 자동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9394U (ko) 1977-11-16 1979-06-05
JPH1150737A (ja) 1997-08-01 1999-02-23 Daiken:Kk 自閉引き戸の閉止速度調整装置
JP2000282745A (ja) 1999-01-28 2000-10-10 Fuyumi Miyazawa 作動体の作動速度または作動開始時等を制御する作動体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070686A (ja) 2004-08-04 2006-03-16 Yutaka Miyai 引き戸の速度調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9394U (ko) 1977-11-16 1979-06-05
JPH1150737A (ja) 1997-08-01 1999-02-23 Daiken:Kk 自閉引き戸の閉止速度調整装置
JP2000282745A (ja) 1999-01-28 2000-10-10 Fuyumi Miyazawa 作動体の作動速度または作動開始時等を制御する作動体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070686A (ja) 2004-08-04 2006-03-16 Yutaka Miyai 引き戸の速度調節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57B1 (ko) 2010-04-14 2012-05-24 코르텍 주식회사 반자동 미닫이 도어 시스템
KR20190083722A (ko) * 2018-01-05 2019-07-15 아성산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KR102100888B1 (ko) * 2018-01-05 2020-04-14 아성산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KR102070134B1 (ko) 2018-09-07 2020-01-28 진성호 반 자동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67U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5152B2 (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rrangement
CA2535213C (en) Integrated sliding door/panel system
RU2406895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демпфер
JP5562507B1 (ja) ドア、シャッタ又は類似部材の制御された回転動作のためのピストン装置
KR200450009Y1 (ko)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US20050116593A1 (en) Self-closing drawer guides with integrated damping
AU2019336443B2 (en) 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drawer assembly
US20090273263A1 (en) Closing and Opening Device for Drawers
JP2017505391A (ja) 嵩の低い油圧式ヒンジ
MX2014003061A (es) Configuracion de bloqueo de viento para portones enrollables.
US20130199099A1 (en) Sliding door arrangement
AU2016254655A1 (en) Ejection devic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US20060207057A1 (en) Damping device for pieces of furniture with improved compensation system of volume variations
KR200459418Y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댐핑시스템
KR20100008206A (ko) 슬라이딩 개폐식 강화안전유리도어
KR101668607B1 (ko) 에너렉스 자동도어
EP2136021A2 (en) Return and damping device for sliding doors, drawers and the like
KR20130002258U (ko) 반자동문용 공압식 실린더 감속장치
KR200462632Y1 (ko) 미닫이 문의 자동 닫힘 장치
US11140984B2 (en) Furniture damper
WO2010126263A2 (ko) 충격완화 및 소음저감기능을 갖는 도어로크장치
KR102030671B1 (ko)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KR101860304B1 (ko) 에어실린더에 의한 미닫이문의 반자동 개폐장치
JPH07107344B2 (ja) 引戸のクッション装置
KR20170000103U (ko) 공압을 이용한 반자동문용 공압감속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