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836Y1 -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 Google Patents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836Y1
KR200449836Y1 KR2020080005613U KR20080005613U KR200449836Y1 KR 200449836 Y1 KR200449836 Y1 KR 200449836Y1 KR 2020080005613 U KR2020080005613 U KR 2020080005613U KR 20080005613 U KR20080005613 U KR 20080005613U KR 200449836 Y1 KR200449836 Y1 KR 200449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up
blood
cupping
affect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149U (ko
Inventor
추래흥
윤희숙
Original Assignee
추래흥
윤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래흥, 윤희숙 filed Critical 추래흥
Priority to KR2020080005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3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필터는 부항컵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부풀어 오른 환부가 필터를 막아 시술을 저해하거나, 환부가 필터에 끼여 통증이 유발되거나, 필터에 흡수된 어혈의 응고로 인해 환부로부터 더이상 어혈을 빨아들일 수 없는 기존의 문제가 해소되어, 시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부항컵, 습식, 어혈, 필터, 진공, 알코올

Description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THE FILTER MOVABLE IN THE CUPPING GLASS AND THE CUPPING GLASS HAVING THE FILTER}
본 고안은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풀어 오르는 환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여 시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이란 부항컵을 부스럼 등과 같은 환부에 올려놓고 내부 공기를 빼냄으로써, 환부의 혈관을 확장시켜 어혈을 풀거나 환부의 고름 또는 독혈을 빨아내는 시술요법을 말하며, 부항컵은 도자기나 각종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된 여러가지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습식 부항요법시 부항컵에 고인 어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부항컵이 개시되어 있는데,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72913호 "부항치료기용 부항컵"이 그 예이다. 이 선행기술은 부항컵의 내부에 솜을 채운 필터를 장착하여 부항 치료시 발생되는 죽은 피나 고름 등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필터를 부항컵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안착구를 별 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품단가가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출원인은 2007년 11월 15일에 출원하여 2008년 4월 현재 미공개 상태인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2007-18438호 "어혈 흡수재를 구비한 일회용 부항컵 및 그것에 끼여서 사용하는 어혈제거구"에 의해서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별도로 어혈을 닦아내야 하는 불편함과 어혈로부터 병원균의 감염이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어혈을 흡수하는 필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부풀어 오른 환부가 필터를 막아 시술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환부가 필터에 끼여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필터에 흡수된 어혈의 응고로 인해 환부로부터 더이상 어혈을 빨아들일 수 없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풀어 오르는 환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고, 또한 어혈의 응고를 억제함으로써 시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필터는 부항컵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부항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어 부항컵의 내부에 내주면과는 사이를 두고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위요(圍繞)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이를 채워 고정구를 부항컵의 임의 위치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는 고정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흡수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터는 제1흡수층과 그 제1흡수층 위에 적층되는 제2흡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제2흡수층은 솜이나 펄프, 종이 뭉치 중 어느 하나를 내부에만 경부(硬部)가 형성되게 가압하여 형성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터는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한 알코올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부항컵은 부항컵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부항컵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이루어 부항컵의 내부에 내주면과는 사이를 두고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와, 그 고정구를 위요(圍繞)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이를 채워 고정구를 부항컵의 임의 위치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는 고정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흡수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터는 제1흡수층과 그 제1흡수층 위에 적층되는 제2흡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제2흡수층은 솜이나 펄프, 종이 뭉치 중 어느 하나를 내부에만 경부(硬部)가 형성되게 가압하여 형성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터는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한 알코올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부풀어 오른 환부가 필터를 막아 시술을 저해하거나, 환부가 필터에 끼여 통증이 유발되거나, 필터에 흡수된 어혈의 응고로 인해 환부로부터 더이상 어혈을 빨아들일 수 없는 기존의 문제가 해소되어, 시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필터가 부항컵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필터를 부항컵으로부터 빼낸 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필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필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필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10,100)는 부항컵(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며, 이중 필터(10)은 바람직하게는 고정구(11)와 흡수재(13)로 이루어짐이 좋다.
부항컵(1)은 하부만을 개구한 U자형의 형태로서, 개구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종(鐘)형이거나 원통형일 수 있는데, 상부 내벽면에 복수의 보강살을 돌출 형성하여 견고성이 보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항컵(1)은 상부에 진공펌프와 연계되어 부항컵(1)의 내부에 진공을 부여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밸브(3)를 설치하고 있고, 밸브(3)는 진공펌프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경우, 부항컵(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통로를 개방하였다가, 진공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순간, 소재의 특성에 의해서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항컵(1) 내부에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갖음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1)는 이와 같은 부항컵(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그 형상은 타원 형을 포함하는 원판 또는 반구형 등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부항컵(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부항컵(1)에 삽입되면 부항컵(1)의 내주면과는 소정 간극 즉, 사이(S)를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구(11)는 그 주위를 위요(圍繞)하는 즉, 감싸는 흡수재(13)에 의해서 부항컵(1)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며, 이는 고정구(11)를 감싸는 흡수재(13)가 사이(S)를 채우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고정구(11)는 소정 형태의 구멍(11a)을 형성하여 부항컵(1)의 내부 진공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흡수재(13)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멍(11a)은 도면 예시와 같이 고정구(11)의 중앙에 적정 크기로 천공된 대경공의 형태이거나, 고정구(11)의 중앙에 대경공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 다수개의 소경공을 배열한 형태이거나, 소경공만을 다수개로 배열한 형태 등일 수 있다.
또한 고정구(11)는 상면 또는 측면, 구멍(11a)의 둘레에 흡수재(13)를 걸 수 있는 다수개의 돌기들을 형성하여 흡수재(13)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흡수재(13)는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며, 솜이나 거즈(gauze), 여성용 생리대 또는 압축성 종이와 같이 흡수력이 뛰어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필터(10)는 고정구(11)의 지지를 받아 상기 사이(S)를 채우는 흡수재(13)에 의해서 부항컵(1)의 소정 위치에 정치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부항 컵(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필터(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흡수층(110)과 그 제1흡수층(110) 위에 적층되는 제2흡수층(120)으로 이루어진다.
제1흡수층(110)은 솜이나 거즈, 여성용 생리대 또는 압축성 종이와 같이 흡수력이 뛰어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제1흡수층(110)과 동일한 크기로 적층되는 제2흡수층(120)은 솜이나 펄프, 종이 뭉치 중 어느 하나를 내부에만 경부(硬部; 121)가 형성되게 가압하여 형성한 것이다.
즉 제2흡수층(120)은 솜이나 펄프, 종이 뭉치 중 어느 하나를 내부에만 경부(121)가 형성되게 가압하여 그 경부(121)의 주위(123)로 솜이나 펄프, 종이의 원상태가 그대로 남아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더 설명하면, 경부(121)에 해당하는 부위만을 눌러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흡수층(120)의 경부(121)는 상기 필터(10)의 고정구(11)와 마찬가지로 상기 필터(100)가 부항컵(1)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정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제1흡수층(110)과 제2흡수층(120)은 접착방식이나 압착방식 등으로 합지되어 상기 필터(100)를 형성하며, 이처럼 형성되는 상기 필터(100)는 경부(121)의 지지를 받는 주위(123)와 제1흡수층(110)에 의해서 부항컵(1)의 소정 위치에 정치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부항컵(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0,100)를 장착한 부항컵(1)을 환부에 대고 부항을 뜨면 즉, 부항컵(1)의 내부에 진공을 부여하면, 부풀 어 오르는 환부에 의해서 상기 필터(10,100)가 밀려 상승하고, 이처럼 상승하는 상기 필터(10,100)는 환부와 접촉하는 흡수재(13) 또는 제1흡수층(110)을 통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한다. 이때 제2흡수층(120)도 제1흡수층(11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어혈을 흡수한다.
보통 지방층이 많은 즉, 피부가 부드러운 환부에 부항을 뜨면,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필터가 고정되어 있으면, 부풀어 오른 환부가 필터를 막을 수 있다. 이처럼 필터가 막히면, 어혈을 빨아들일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시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나아가 환부가 필터에 끼여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10)는 부풀어 오르는 환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어혈을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문제, 즉 부풀어 오른 환부가 필터를 막아 시술을 저해하는 문제와, 환부가 필터에 끼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말끔히 해소한다.
더 설명하면, 피부가 부드러운 환부 뿐만 아니라 지방층이 적어 비교적 피부가 딱딱한 환부에도 부항을 뜰 수 있는데, 피부가 딱딱한 환부에 부항을 뜨면, 피부가 신축성이 작아 부풀어 오르는 정도가 매우 낮다. 결국 신체 부위에 따라 환부의 부풀어 오르는 정도는 많은 차이를 갖는데, 이 이유로 어혈을 흡수하는 필터는 본 고안과 같이 이동성을 가져야만 그 차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필터를 갖는 기존 기술과 비교해서 시술이 아주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10)는 알코올(15)을 함침할 수 있다. 부항을 뜨다 보면 환부 로부터 상기 필터(10,100)의 흡수량보다 더 많은 어혈을 빨아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알코올(15)은 흡수재(13)에 흡수된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여 환부로부터 더 많은 어혈이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흡수재(13)에서 어혈이 응고되면, 흡수재(13)의 기공들이 막히기 때문에 환부로부터 더이상 어혈을 빨아들일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 알코올(15)은 흡수재(13)에 흡수된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여 유체 상태로 머물도록 함으로서, 어혈이 흡수재(13)를 빠져나가 부항컵(1)의 상부에 고이도록 하여, 환부로부터 어혈의 유출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알코올(15)은 주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이 사용되는데, 혈소판의 기능을 저하시켜, 즉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는 토론복산(TXA2)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어혈의 응고를 억제한다.
알코올(15)은 스프레이수단으로 2∼3회 뿌려져 흡수재(13)에 함침되거나 알코올이 담긴 용기에 흡수재(13)를 침수시켜 함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부항컵은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필터는 상기 필터(10,100)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과 아울러 상기 필터(10,100)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함을 밝혀둔다.
정리하면, 본 고안의 부항컵은 부항컵(1)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이루어 부항컵(1)의 내부에 내주면과는 사이(S)를 두고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11)와, 그 고정구(11)를 위요(圍繞)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이(S)를 채워 고정구(11)를 부항컵(1)의 임의 위치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부항컵(1)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는 고정구(11)를 따라 이동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흡수재(13)로 이루어진 필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부항컵은 제1흡수층(110)과 그 제1흡수층(110) 위에 적층되는 제2흡수층(120)으로 이루어지고, 제2흡수층(120)은 솜이나 펄프, 종이 뭉치 중 어느 하나를 내부에만 경부(121)가 형성되게 가압하여 형성한 구조의 필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10,100)는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한 알코올(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부항컵은 상기 필터(10,100)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고, 또한 어혈의 응고를 억제함으로써 시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필터가 부항컵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필터를 부항컵으로부터 빼낸 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필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필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필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부항컵 3:밸브
10,100:필터 11:고정구
13:흡수재 15:알코올
110:제1흡수층 120:제2흡수층

Claims (8)

  1. 삭제
  2. 부항컵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되,
    부항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어 부항컵의 내부에 내주면과는 사이를 두고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위요(圍繞)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이를 채워 고정구를 부항컵의 임의 위치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는 고정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흡수재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한 알코올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삭제
  6. 부항컵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는 부항컵의 내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이루어 부항컵의 내부에 내주면과는 사이를 두고 삽입 설치되는 고정구와, 그 고정구를 위요(圍繞)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사이를 채워 고정구를 부항컵의 임의 위치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부항컵에 진공이 부여되면 부풀어 오르는 환부에 밀려 상승하는 고정구를 따라 이동하면서 환부로부터 빨아들인 어혈을 흡수하도록 한 흡수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필터를 갖는 부항컵.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어혈의 응고를 억제하기 위한 알코올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필터를 갖는 부항컵.
KR2020080005613U 2008-04-28 2008-04-28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KR200449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13U KR200449836Y1 (ko) 2008-04-28 2008-04-28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13U KR200449836Y1 (ko) 2008-04-28 2008-04-28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49U KR20090011149U (ko) 2009-11-02
KR200449836Y1 true KR200449836Y1 (ko) 2010-08-16

Family

ID=4155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613U KR200449836Y1 (ko) 2008-04-28 2008-04-28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50B1 (ko) * 2014-06-19 2015-01-06 최태수 노폐물막이판이 형성된 복층 부항단지와 이 복층 부항단지가 포함된 전동 부항기
US20210330876A1 (en) * 2020-04-28 2021-10-28 Eir on the Side of Health Aspirator head adap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6U (ko) * 1999-06-04 2001-01-05 김신 사혈요법용 부항 단지
KR200262779Y1 (ko) 2001-10-19 2002-03-18 윤상원 기능성 소재에 의한 온열 자극 부항장치
KR200368249Y1 (ko) 2004-08-30 2004-11-18 (주)굿테크놀로지 저주파치료기의 도자컵
KR200397196Y1 (ko) * 2005-06-10 2005-09-29 김정모 부항치료기 본체 내부의 어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고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6U (ko) * 1999-06-04 2001-01-05 김신 사혈요법용 부항 단지
KR200262779Y1 (ko) 2001-10-19 2002-03-18 윤상원 기능성 소재에 의한 온열 자극 부항장치
KR200368249Y1 (ko) 2004-08-30 2004-11-18 (주)굿테크놀로지 저주파치료기의 도자컵
KR200397196Y1 (ko) * 2005-06-10 2005-09-29 김정모 부항치료기 본체 내부의 어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고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49U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308B2 (en) Absorbent menstrual cup
JP6867337B2 (ja) 創傷被覆材
JP2935743B2 (ja) 灌注包帯
JP5166527B2 (ja) 減圧下において創傷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
US9302033B2 (en) Wound treatment device with elastically deformable vacuum producing element
AU2005300725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ounds using a vacuum
AU2005309089B2 (en) Drainag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ounds with application of a vacuum
CN1135101C (zh) 阴唇间的吸收制品
US202002461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ound debridement
JPH10512167A (ja) 液体管理用吸収性の製品
KR20110056415A (ko) 조직 부위에 감압을 작용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다층 드레싱
NZ255677A (en) Liquid removal system having a vacuum to draw fluid from a first to a second zone via a prewetted porous membrane
JP2001526087A (ja) 多層にされたタンポンカバー
KR20010013823A (ko) 생리혈 성분 처리에 적합한 음순간 장치
KR20000053307A (ko) 유체 펌프 요소를 갖는 흡수용품
US20150216742A1 (en) Absorbent Pad
KR200449836Y1 (ko) 부항컵에서 이동가능한 필터 및 그 필터를 갖는 부항컵
RO129921A2 (ro) Ansamblu pentru inserţie vaginală
MXPA01011821A (es) Articulo absorbente con mejor capacidad para manejar liquidos.
KR200362549Y1 (ko) 부항기의 부항컵
KR100930339B1 (ko) 부항컵용 일회용 어혈흡수패드
KR20090004791U (ko) 어혈 흡수재를 구비한 일회용 부항컵 및 그것에 끼워서사용하는 어혈제거구
WO2002080827A1 (en) Menstrual fluid collection device
TW201200185A (en) Liquid-collecting device for negative pressure wound care system and its assembly
CN210185813U (zh) 衡压可排液月经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