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74Y1 - 광고용 간판 - Google Patents

광고용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74Y1
KR200449674Y1 KR2020080003176U KR20080003176U KR200449674Y1 KR 200449674 Y1 KR200449674 Y1 KR 200449674Y1 KR 2020080003176 U KR2020080003176 U KR 2020080003176U KR 20080003176 U KR20080003176 U KR 20080003176U KR 200449674 Y1 KR200449674 Y1 KR 200449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billboard
bent
frame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233U (ko
Inventor
윤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핸즈
Priority to KR2020080003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7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09F13/0447Frames compartmen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Signs, boards or panel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4Slidable panel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12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이나 문 등에 부착해 몸체는 교체하지 않으면서 광고판만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광고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는 광고용 간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를 위한 본 고안은
정면에 광고 표시면(111)이 형성된 광고판(110)과; 길이 방향으로 양단에 걸림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탄성띠(120)와;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이 체결되며, 벽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정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띠(120)가 지지리브(131) 사이에 즉, 마주보게 형성된 절곡부(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121)가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내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사이에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됨으로써 광고판(11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몸체프레임(130)과;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141a)와, 상기 배면부(141a)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41b)와, 상기 측면부(141b)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부(141c)와, 상기 정면부(141c)의 일단에서 몸체프레임(130)의 정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부(141d)로 된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걸림턱부(141d)에 구비되는 본체(142a)와, 본체(142a)로부터 탄성을 갖도록 절곡되어 몸체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편(142b)을 갖는 체결 브라켓(142)으로 이루어져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할 때 탄성편(142b)이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을 외측으로 밀며 체결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고, 간판, 광고판, 탈착, 탄성띠

Description

광고용 간판{Announcement Signboard}
본 고안은 광고용 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벽면이나 문 등에 부착해 몸체는 교체하지 않으면서 광고판만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광고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는 광고용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는 의도적인 활동을 지칭한다. 현재의 광고는 신문이나 전파 매체를 통한 광고 및 옥외나 옥내에 설치되는 광고수단을 이용한 광고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신문이나 전파 매체를 통한 광고는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과다한 광고 비용이 소요되며, 옥외나 옥내에 설치되는 광고장치를 이용한 광고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널리 애용되고 있다.
상기 옥외나 옥내에 설치되는 광고수단의 대표적인 예로 간판을 들 수 있다. 간판은 상점, 회사 등에서 그 상호, 판매상품, 영업종목 등을 표시해 그 표시된 내용이 보행자나 구매자의 눈에 인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간판은 설치되는 장소나 용도 등에 따라 보행나 구매자의 눈에 잘 보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간판의 설치 예를 들면, 간판은 통상 큰 규모로 제작되어 옥상이나 건물 벽면 등 주로 옥외에 설치되며, 옥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지하상가의 편의점이나 대형 음식점 등 비교적 넓은 광고 면을 확보할 수 있는 상점에 설치된다.
그리고, 소규모의 상점이 밀집되는 형태의 대형 상가인 경우, 각 소규모 상점의 상호나 취급품목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광고용 간판이 요구된다. 즉, 대형 의류 쇼핑몰, 건물 내의 대형 식당가 등의 각 상점에는 자신의 상호, 취급분야, 취급품목 등을 표시하는 광고용 간판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고용 간판은 문자, 그림 등을 표면에 인쇄한 단순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벽면에 접착제나 못 등을 통해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점의 이사 및 재입주 과정에서 상호 등의 변경으로 인해 폐기 처분되며, 그 과정에서 상가의 벽면에 접착된 광고용 간판을 강제로 떼어내는데 따른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된다. 더욱이, 광고용 간판의 부착된 위치에 접착제의 흔적이 남게 되므로, 그 자리에 새로운 광고용 간판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흔적을 지우는 번거로운 작업이 더 요구된다.
한편, 사무실의 각 부서를 구분하는 벽면이나 출입문에는 각 부서의 명칭이나 방의 용도 등이 표시된 표찰이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표찰은 사무실의 벽면이나 출입문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사무실 부서 간의 위치 이동이나 방의 용도 등이 변경되는 경우, 벽면이나 출입문에 접착된 표찰을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점의 입점시 상호, 취급분야, 취급품목 등을 표시한 새 광고판을 용이한 작업에 의해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고용 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상점의 입점시 기본 틀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실제 광고판만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광고용 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상점이 자신들의 광고판을 동일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시 설치된 광고판의 배치 상태를 용이한 작업을 통해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는 광고용 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광고용 간판은
정면에 광고 표시면(111)이 형성된 광고판(110)과;
길이 방향으로 양단에 걸림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탄성띠(120)와;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이 체결되며, 벽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정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띠(120)가 지지리브(131) 사이에 즉, 마주보게 형성된 절곡부(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121)가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내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사이에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됨으로써 광고판(11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몸체프레임(130)과;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141a)와, 상기 배면부(141a)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41b)와, 상기 측면부(141b)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부(141c)와, 상기 정면부(141c)의 일단에서 몸체프레임(130)의 정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부(141d)로 된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걸림턱부(141d)에 구비되는 본체(142a)와, 본체(142a)로부터 탄성을 갖도록 절곡되어 몸체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편(142b)을 갖는 체결 브라켓(142)으로 이루어져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할 때 탄성편(142b)이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을 외측으로 밀며 체결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광고용 간판은
정면에 광고 표시면(111)이 형성된 광고판(110)과;
광고판(110)의 배면에 부착되어 광고판(110)을 몸체프레임(13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측에 외향절고부(221)를 형성하여 이하 몸체프레임(130)의 절곡부(132) 삽입되도록 한 가이드레일(220)과;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이 체결되며, 벽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정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띠(120)가 지지리브(131) 사이에 즉, 마주보게 형성된 절곡부(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121)가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내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사이에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됨으로써 광고판(11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몸체프레임(130)과;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141a)와, 상기 배면부(141a)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41b)와, 상기 측면부(141b)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부(141c)와, 상기 정면부(141c)의 일단에서 몸체프레임(130)의 정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부(141d)로 된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걸림턱부(141d)에 구비되는 본체(142a)와, 본체(142a)로부터 탄성을 갖도록 절곡되어 몸체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편(142b)을 갖는 체결 브라켓(142)으로 이루어져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할 때 탄성편(142b)이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을 외측으로 밀며 체결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광고용 간판에 의해서, 실내 상점의 입점시 상호, 취급분야, 취급품목 등을 표시한 새 광고판을 용이한 작업에 의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점의 입점시 기본 틀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소형의 광고판만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광고판이 동시에 광고되면서, 필요에 따라 광고판의 배치가 용이한 작업을 통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은 광고판(110), 탄성띠(120), 몸체프레임(130)과 측면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고판(110)은 그 정면에 광고 표시면(111)이 형성되며, 본 실시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광고판(110)을 예로 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고판(110)은 얇은 금속판이나 기타 경량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판(110)의 정면에 표시되는 광고는 스티커 형태의 인쇄물이나 간판 판(110)에 직접 인쇄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띠(120)는 광고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탄성띠(120)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에 걸림돌기(12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21)를 통해 후술되는 몸체프레임(130)에 간판판(110)을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는 걸림돌기(121)가 탄성띠(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 구간의 복수 걸림돌기가 탄성띠(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1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 몸체프레임(130)은 광고용 간판(100)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고정되며 광고판(110)이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프레임(130)은 배면에 광고용 간판(100)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고정되며, 정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띠(120)는 상기 지지리브(131) 사이에 즉, 마주보게 형성된 절곡부(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121)가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내면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광고판(11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고, 몸체프레임(130)은 양면테이프에 의해 설치 벽면에 고정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나 못 등 기타 다양한 형태로 설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띠(120) 및 그 걸림돌기(121)는 탄성을 갖는 형태이므로, 탄성띠(120)는 한 쌍의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사이에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광고판(110)을 몸체프레임(130)의 정면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프레임(140)은 프레임 본체(141)와 체결 브라켓(142)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141)는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141a)와, 상기 배면부(141a)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41b)와, 상기 측면부(141b)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부(141c)와, 상기 정면부(141c)의 일단에서 몸체프레임(130)의 정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부(141d)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 브라켓(142)은 걸림턱부(141d)에 구비되는 본체(142a)와, 본체(142a)로부터 탄성을 갖도록 절곡되어 몸체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편(142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 브라켓(142)에 의해 프레임 본체(141)가 몸체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즉,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할 때 탄성편(142b)이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을 외측으로 밀며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광고용 간판(100)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몸체프레임(130)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광고판(110)이 그 배면의 탄성띠(120)를 통하여 몸체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광고판(110)의 정면에 표시되는 광고 내용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되므로, 광고용 간판(10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범위의 공간에서 광고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광고용 간판(100)의 광고판(110)이 몸체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광고용 간판(100)의 광고 내용을 새로운 내용으로 변경하거나, 광고용 간판(100)의 사용주가 바뀌어 새로운 광고판(110)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광고용 간판(100)의 광고 내용을 새롭게 변경시, 광고판(110)을 파지하여 당겨주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광고판(110)을 몸체프레임(130)에서 분리한 후, 광고판(110)의 광고 내용을 새롭게 변경한 다음 광고판(110)을 다시 몸체프레임(130)에 결합하면 된다. 또한, 광고용 간판(100)의 사용주가 바뀌는 경우, 새로운 사용주는 기존의 광고판에 자신의 희망하는 광고 내용을 표시하여 그대로 사용하여도 되고, 새 광고판으로 교체코자 할 경우 몸체프레임(130)은 그대로 사용하고 광고판(110)만 새것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광고용 간판(100)의 사용주가 자신의 광고 내용을 새것으로 교체할 경우, 사용주는 기존의 몸체프레임(130)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광고판(110)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종래의 광고용 간판 전체를 설치 벽면에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프레임(130)에 2개의 광고판(110)이 부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몸체프레임(130)의 크기 및 몸체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지지리브(131)의 개수를 달리하여 몸체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광고판(110)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빌딩의 지하상가 등 비교적 소규모의 상점이 밀집되는 공간에서, 소수의 상점이 하나의 몸체프레임(130)에 복수의 광고판(110)을 부착해 광고 기능을 얻을 수 있고, 이때 각 상점별로 광고판(110)의 위치를 몸체프레임(130)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200)은 광고판(110), 가이드레일(220), 몸체프레임(130)과 측면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 몸체프레임(130)(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과 비교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의 탄성띠(120) 대신 가이드레일(220)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200)은 가이드레일(220)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광고판(110)의 배면에 부착되어 광고판(110)을 몸체프레임(130)에 결합시키는 용도로, 몸체프레임(130)의 절곡부(132)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외향절곡부(2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몸체프레임(130)의 절곡부(132)를 갖는 지지리브(131)가 가이드레일(220)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레일 기능을 하도록 가이드레일(220)의 외측에 절곡부(132)가 삽입되도록 외향절고부(221)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가이드레일(220)이 하나의 긴 레일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레일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구성이거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 이상의 구성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220)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몸체프레임(130)은 양측 방향에 측면프레임(14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에서 설명한바, 본 실시예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광고용 간판(110)을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몸체프레임(130)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몸체프레임(130)에서 측면프레임(140)이 분리된 상태에서, 광고판(110)은 그 배면의 가이드레일(220) 매개로 몸체프레임(130)의 지지리브(13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렇게 몸체프레임(130)에 광고판(110)이 결합된 후 몸체프레임(130)에 측면프레임(140)이 재결합된다. 다시 말해, 광고판(110)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경우, 그 교체작업이 몸체프레임(130)의 좌우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측면프레임(140)을 분리한 후, 몸체프레임(130)에 광고판(110)을 가이드레일(220)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하고,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다시 결합하는 용이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고용 간판(200)에 의해 광고판(110) 정면의 표시 내용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되므로, 광고용 간판(20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범위의 공간에서 광고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광고판(110)이 몸체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광고용 간판(100)과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간판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광고용 간판 110 : 광고판
111 : 광고면 120 : 탄성띠
121 : 걸림돌기 130 : 몸체프레임
131 : 지지리브 132 : 절곡부
140 : 측면프레임 141 : 프레임 본체
141a : 배면부 141b : 측면부
141c : 정면부 141d : 걸림턱부
142 : 체결 브라켓 142a : 본체
142b : 탄성편 220 : 가이드레일
221 : 외향절곡부

Claims (5)

  1. 정면에 광고 표시면(111)이 형성된 광고판(110)과;
    길이 방향으로 양단에 걸림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광고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탄성띠(120)와;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이 체결되며, 벽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정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띠(120)가 지지리브(131) 사이에 즉, 마주보게 형성된 절곡부(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121)가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내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사이에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됨으로써 광고판(11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몸체프레임(130)과;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141a)와, 상기 배면부(141a)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41b)와, 상기 측면부(141b)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부(141c)와, 상기 정면부(141c)의 일단에서 몸체프레임(130)의 정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부(141d)로 된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걸림턱부(141d)에 구비되는 본체(142a)와, 본체(142a)로부터 탄성을 갖도록 절곡되어 몸체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편(142b)을 갖는 체결 브라켓(142)으로 이루어져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할 때 탄성편(142b)이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을 외측으로 밀며 체결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간판.
  2. 삭제
  3. 삭제
  4. 정면에 광고 표시면(111)이 형성된 광고판(110)과;
    광고판(110)의 배면에 부착되어 광고판(110)을 몸체프레임(13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측에 외향절고부(221)를 형성하여 이하 몸체프레임(130)의 절곡부(132) 삽입되도록 한 가이드레일(220)과;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이 체결되며, 벽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정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되어, 탄성띠(120)가 지지리브(131) 사이에 즉, 마주보게 형성된 절곡부(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121)가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내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리브(131)의 절곡부(132) 사이에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됨으로써 광고판(11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몸체프레임(130)과;
    몸체프레임(130)의 배면에 접하는 배면부(141a)와, 상기 배면부(141a)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41b)와, 상기 측면부(141b)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부(141c)와, 상기 정면부(141c)의 일단에서 몸체프레임(130)의 정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턱부(141d)로 된 상기 프레임 본체(141)와, 걸림턱부(141d)에 구비되는 본체(142a)와, 본체(142a)로부터 탄성을 갖도록 절곡되어 몸체프레임(1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편(142b)을 갖는 체결 브라켓(142)으로 이루어져 광고판(110)과 측면프레임(140)을 몸체프레임(130)에 체결할 때 탄성편(142b)이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광고판(110)과 몸체프레임(130)을 외측으로 밀며 체결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간판.
  5. 삭제
KR2020080003176U 2008-03-11 2008-03-11 광고용 간판 KR200449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6U KR200449674Y1 (ko) 2008-03-11 2008-03-11 광고용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6U KR200449674Y1 (ko) 2008-03-11 2008-03-11 광고용 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3U KR20090009233U (ko) 2009-09-16
KR200449674Y1 true KR200449674Y1 (ko) 2010-07-30

Family

ID=4153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76U KR200449674Y1 (ko) 2008-03-11 2008-03-11 광고용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6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71Y1 (ko) 2013-05-20 2014-11-21 김시회 광고지 게시 보조용 테이프
US9174142B2 (en) 2010-03-19 2015-11-03 Hyung-Gon Lee Fastening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34B1 (ko) * 2010-03-19 2011-03-09 박광식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388A (ja) 1998-12-14 2000-06-30 Toyo Terumii Kk 壁面直付型照明看板
KR100296087B1 (ko) 1999-04-16 2001-07-03 최유진 조립식 표지판
KR200297373Y1 (ko) * 2002-09-10 2002-12-11 왕희지 광고용 간판
KR20020097373A (ko) * 2001-06-20 2002-12-31 만도공조 주식회사 저소음을 위한 압축기의 파이프 구조
KR20040016244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냉장고용 메인컨트롤러의 방열 및 전자파차폐구조
KR200416244Y1 (ko) * 2006-02-09 2006-05-15 박민혜 시설안내표시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388A (ja) 1998-12-14 2000-06-30 Toyo Terumii Kk 壁面直付型照明看板
KR100296087B1 (ko) 1999-04-16 2001-07-03 최유진 조립식 표지판
KR20020097373A (ko) * 2001-06-20 2002-12-31 만도공조 주식회사 저소음을 위한 압축기의 파이프 구조
KR20040016244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냉장고용 메인컨트롤러의 방열 및 전자파차폐구조
KR200297373Y1 (ko) * 2002-09-10 2002-12-11 왕희지 광고용 간판
KR200416244Y1 (ko) * 2006-02-09 2006-05-15 박민혜 시설안내표시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142B2 (en) 2010-03-19 2015-11-03 Hyung-Gon Lee Fastening structure
KR200475271Y1 (ko) 2013-05-20 2014-11-21 김시회 광고지 게시 보조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3U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343A (en) Display assembly
EP2870594B1 (en) Electronic shelf label with attachment means for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such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6976329B1 (en) Illuminated sign unit
KR101144959B1 (ko) 간판용 테두리 마감재
US20130047478A1 (en) Sign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interchanging signs and banners
US9373273B2 (en) Marketing information display assembly
KR200449674Y1 (ko) 광고용 간판
US6898885B1 (en) Label holder assembly with end sign
KR101066169B1 (ko) 일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US10242603B2 (en) Display frame
KR200461459Y1 (ko) 상품 진열대용 복합 기능 착탈식 광고지 고정 홀더
KR100655088B1 (ko) 간판용 프레임 구조
KR20180078750A (ko) 양면형 광고간판
KR101579212B1 (ko) 광고 겸용 상품진열대
US6178678B1 (en) Menu board graphics display
KR200488700Y1 (ko) 상품정보 태그용 조립식 홀더
KR200478540Y1 (ko) 보조 홍보패널이 장착된 이중 홍보 장치
KR200474163Y1 (ko) 발광장치가 설치되어 야간에도 광고가 가능한 배너광고거치대
KR101472508B1 (ko) 측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스탠드 타입 키오스크
KR101066171B1 (ko) 양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20100008842U (ko) 광고판이 구비된 상품 진열대
KR200370760Y1 (ko) 돌출형 양면 간판의 프레임구조
US5367800A (en) Interchangeable display system
JP5703745B2 (ja) 電子棚札システム
JP200510707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