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734B1 -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734B1
KR101020734B1 KR1020100058946A KR20100058946A KR101020734B1 KR 101020734 B1 KR101020734 B1 KR 101020734B1 KR 1020100058946 A KR1020100058946 A KR 1020100058946A KR 20100058946 A KR20100058946 A KR 20100058946A KR 101020734 B1 KR101020734 B1 KR 10102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rail
zipper
rail portion
rails
independent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곤
박광식
Original Assignee
박광식
이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식, 이형곤 filed Critical 박광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734B1/ko
Priority to PCT/KR2011/0018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15446A2/ko
Priority to US13/635,434 priority patent/US91741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53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in which each part has simi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 또는 분리하기가 용이함과 동시에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상대적인 위치변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결합 구조는, 대략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1 지퍼레일부가 제1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또 다른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2 지퍼레일부가 제2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Structure for combining of plural respective objects having plane}
본 발명은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양면테이프, 벨크로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벨크로는 고장이 없고, 사용과 설치가 편리하여 단추, 지퍼와 함께 대표적인 결합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벨크로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제1 부재와, 고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제2 부재로 구성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대응되는 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훅에 걸림고리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이뤄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크로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분리시켜 위치를 변경한 후 재결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의 용이함과 동시에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호 간의 상대적인 위치변경이 용이한 결합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 또는 분리하기가 용이함과 동시에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대적인 위치변경이 가능한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합 구조는, 대략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1 지퍼레일부가 제1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또 다른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2 지퍼레일부가 제2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대략 판상의 중간 대상물이 더욱 구비되되,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3 지퍼레일부가 상기 중간 대상물의 일측 평면부에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또 다른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4 지퍼레일부가 상기 중간 대상물의 반대측 평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지퍼레일부는 상기 제1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중간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4 지퍼레일부는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 다른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지퍼레일부와 제4 지퍼레일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지퍼레일부와 제4 지퍼레일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호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대상물이 2 이상의 층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퍼레일부가 상기 대상물에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퍼레일부가 상기 대상물의 평면부에 접착식으로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는 책의 내부 페이지 면이며, 상기 제2 대상물은 상기 페이지 면에 형성된 배경과 대비되어 상대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는 콘텐츠 구성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는 팝업북의 내부 팝업 페이지 면이며, 상기 제2 대상물은 상기 팝업 페이지 면에 형성된 배경과 대비되어 상대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는 콘텐츠 구성물로 이뤄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는 게시판의 최상위 계층 게시면이며, 상기 중간 대상물은 상기 제1 대상물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중간 계층 게시면이고, 상기 제2 대상물은 상기 중간 대상물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최하위 계층 게시면으로 형성되어, 최상위 계층 게시면과 중간 계층 게시면, 최하위 계층 게시면이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 및/또는 순차적 이동 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 또는 분리하기가 용이함과 동시에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대적인 위치변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측과 반대측에 각각 지퍼레일부가 구비된 중간 대상물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중간 대상물의 각 지퍼레일부가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이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방향이 다수의 조합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퍼레일부가 대상물에 접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일반 대상물에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1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2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3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지퍼레일 및 수지퍼레일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1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2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3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대상물에 구비된 지퍼레일부의 제4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일부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제1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한 "1월"부재를 분리하고, "2월"부재, "3월"부재, "4월"부재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제2열에 위치한 "5월"부재를 분리하여 제1열의 가장 우측으로 이동하여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제2열의 "6월"부재, "7월"부재, "8월"부재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제3열에 위치한 "9월"부재를 분리하여 제2열의 가장 우측으로 이동하여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제3열의 "10월"부재, "11월"부재, "12월"부재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제3열의 가장 우측에 새로운 "1월"부재를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1월"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1월"부재의 제1열에 위치한 "1주"부재를 분리하고, "2주"부재, "3주"부재, "4주"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1월"부재의 제4열에 "5주"부재를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게시판의 "주간"부재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화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화책의 기차부재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팝업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뉴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뉴판의 항목부재, 가격부재가 이동 및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는, 대략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제1 대상물, 제2 대상물)을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제1 지퍼레일부와 제2 지퍼레일부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제1 지퍼레일부는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이뤄지고,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지퍼레일부는 탄성 재질로 이뤄진 또 다른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이뤄지고, 상기 제2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은 제1 지퍼레일부와 제2 지퍼레일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짐에 따라 상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경우에,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는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해 소정의 마찰력이 각각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는 암수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에 의해 상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의 상대 위치변경은,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간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제1 대상물 또는 제2 대상물을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시킴에 따라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퍼레일부 및 제2 지퍼레일부는 다양한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퍼레일부(ZR)는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암지퍼레일(F)이 대략 판상의 제1 대상물(11)의 일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퍼레일부(ZR)는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지퍼레일(M)이 대략 판상의 제2 대상물(21)의 일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대상물(11)의 평면부에 상기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1 지퍼레일부(ZR)가 구비되고, 제2 대상물(21)의 평면부에 상기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2 지퍼레일부(ZR)가 구비된 구조에 따르면, 제1 대상물(11)과 제2 대상물(21)은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 간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져 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대상물(11)과 제2 대상물(21)이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 간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11)과 상기 제2 대상물(21)이 지퍼레일(M, 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하다.
즉, 제1 대상물(11)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대상물(21)이 지퍼레일(M, 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2 대상물(21)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대상물(11)이 지퍼레일(M, 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1 대상물(11)과 제2 대상물(21)이 동시에 지퍼레일(M, F)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 대상물(11)의 평면부에 상기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1 지퍼레일부(ZR)가 구비되고, 제2 대상물(21)의 평면부에 상기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2 지퍼레일부(ZR)가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대의 구성으로 이뤄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대상물(11)의 평면부에 상기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1 지퍼레일부가 구비되고, 제2 대상물(21)의 평면부에 상기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2 지퍼레일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퍼레일부(ZR)는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대략 판상의 제1 대상물(11)의 일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퍼레일부(ZR)도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대략 판상의 제2 대상물(21)의 일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대상물(11)의 평면부에 상기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1 지퍼레일부(ZR)가 구비되고, 제2 대상물(21)의 평면부에 상기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된 제2 지퍼레일부(ZR)가 구비된 구조에 따르면, 제1 대상물(11)과 제2 대상물(21)은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 간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져 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대상물(11)과 제2 대상물(21)이 각각의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 간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11)과 상기 제2 대상물(21)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에 따른 제1 지퍼레일부(ZR)는, 예를 들어,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제2 지퍼레일부(ZR)는 상기 제1 지퍼레일부(ZR)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제1 지퍼레일부(ZR) 및 제2 지퍼레일부(ZR)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11, 22)에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11, 22)의 평면부에 접착식으로 부착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퍼레일부 및 제2 지퍼레일부 구성하는 지퍼레일은 복수개가 한 쌍으로 이뤄져 각 쌍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퍼레일부(ZR)를 이루는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호 간 압착에 의해 상기 암지퍼레일(F)의 내부로 수지퍼레일(M)이 압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지퍼레일부와 제2 지퍼레일부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상기 제1 지퍼레일부에 대응하는 제3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에 대응하는 제4 지퍼레일부가 구비된 대략 판상의 중간 대상물이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중간 대상물에 구비된 제3 지퍼레일부와 제4 지퍼레일부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대응하는 제3 지퍼레일부는 상기 중간 대상물의 일측 평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지퍼레일부와 대응하는 제4 지퍼레일부는 상기 중간 대상물의 반대측 평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3 지퍼레일부 및 제4 지퍼레일부는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이뤄진다.
한편, 상기 제3 지퍼레일부 및 제4 지퍼레일부는, 제1 지퍼레일부 또는 제2 지퍼레일부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암지퍼레일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수지퍼레일이 등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암지퍼레일과 수지퍼레일이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지퍼레일부와 제4 지퍼레일부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3 지퍼레일부는 상기 제1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중간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 지퍼레일부는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 다른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 대상물의 일측에 형성된 제3 지퍼레일부와 상기 중간 대상물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4 지퍼레일부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대상물(41)의 일측에는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제3 지퍼레일부(ZR)가 이뤄지고, 반대측에는 상기 암지퍼레일(F)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제4 지퍼레일부(ZR)가 이뤄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대상물(51)의 일측 및 반대측에 각각 암지퍼레일(F)이 동일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제3 지퍼레일부(ZR)와 제4 지퍼레일부(ZR)가 각각 이뤄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대상물(61)의 일측 및 반대측에 각각 수지퍼레일(M)이 동일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제3 지퍼레일부(ZR)와 제4 지퍼레일부(ZR)가 각각 이뤄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대상물(71)의 일측에는 암지퍼레일(F)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제3 지퍼레일부(ZR)가 이뤄지고, 반대측에는 수지퍼레일(M)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제4 지퍼레일부(ZR)가 이뤄지되, 암지퍼레일(F)의 배열 방향과 수지퍼레일(M)의 배열 방향이 대략 직각이 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지퍼레일(F)의 배열 방향과 수지퍼레일(M)의 배열 방향이 상호 직각 이외의 각도로 상호 경사지는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형태 이외에도, 상기 중간 대상물의 일측 또는 반대측에 암지퍼레일(F)과 수지퍼레일(M)을 번갈아 등간격으로 배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지퍼레일부, 제2 지퍼레일부, 제3 지퍼레일부, 제4 지퍼레일부의 구성이 적용된 제1실시예로서 "게시판"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의 게시판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재(100), 월단위부재(200), 주단위부재(300), 일단위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0) 최상위 계층 게시면으로서 벽체 등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앞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암지퍼레일(F)이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제1 지퍼레일부(ZR1)가 이뤄진다.
상기 월단위부재(2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중간 계층 게시면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앞면에 부착된다.
상기 월단위부재(200)의 뒷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지퍼레일(M)이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상기 제1 지퍼레일부(ZR1)와 탈부착 및/또는 상대이동이 가능한 제3 지퍼레일부(ZR3)가 이뤄진다.
상기 월단위부재(200)의 앞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암지퍼레일(F)이 수평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제4 지퍼레일부(ZR4)가 이뤄진다.
상기 주단위부재(300)는 상기 월단위부재(2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또 다른 중간 계층 게시면으로서 상기 월단위부재(200)의 앞면에 부착된다.
상기 주단위부재(300)의 뒷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지퍼레일(M)이 수평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상기 제4 지퍼레일부(ZR1)와 탈부착 및/또는 상대이동이 가능한 제3-1 지퍼레일부(ZR3')가 이뤄진다.
상기 주단위부재(300)의 앞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암지퍼레일(F)이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제4-1 지퍼레일부(ZR4')가 이뤄진다.
상기 일단위부재(400)는 상기 주단위부재(3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최하위 계층 게시면으로서 상기 주단위부재(300)의 앞면에 부착된다.
상기 일단위부재(400)의 뒷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지퍼레일(M)이 수직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상기 제4-1 지퍼레일부(ZR4')와 탈부착 및/또는 상대이동이 가능한 제2 지퍼레일부(ZR2)가 이뤄진다.
상기 일단위부재(400)의 앞면에는 각종 기록을 기재할 수 있는 기록판이 구비되며, 예를 들어, 상기 기록판에는 "일자"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베이스부재(100), 월단위부재(200), 주단위부재(300), 일단위부재(400)은 상호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 및/또는 순차적 이동 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게시판의 연간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게시판의 3개의 열을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제1열, 제2열, 제3열이라 명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제1열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1월부재(201), 2월부재(202), 3월부재(203), 4월부재(204)가 베이스부재(100)에 부착되고, 제2열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5월부재(205), 6월부재(206), 7월부재(207), 8월부재(208)가 베이스부재(100)에 부착되며, 제3열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9월부재(209), 10월부재(210), 11월부재(211), 12월부재(212)가 베이스부재(100)에 부착된다.
1월이 지나고 2월이 시작되어, 2월의 게시내용이 제1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월부재(201)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리하고, 2월부재(202), 3월부재(203), 4월부재(204)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2월부재(202)가 제1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2월부재(202), 3월부재(203), 4월부재(204)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은 4월부재(204)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3월부재(203), 2월부재(202)가 순차적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한 5월부재(205)를 분리시켜 제1열의 가장 우측에 부착시킨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열의 6월부재(206), 7월부재(207), 8월부재(208)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6월부재(206)가 제2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6월부재(206), 7월부재(207), 8월부재(208)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은 8월부재(208)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7월부재(207), 6월부재(206)가 순차적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한 9월부재(209)를 분리시켜 제2열의 가장 우측에 부착시킨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열의 10월부재(210), 11월부재(211), 12월부재(212)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11월부재(211)가 제3열의 가장 좌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10월부재(210), 11월부재(211), 12월부재(212)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은 12월부재(212)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11월부재(211), 10월부재(210)가 순차적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열의 가장 우측에 1월부재(201)를 부착시킨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술한 게시판의 월간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1주부재(301), 2주부재(302), 3주부재(303), 4주부재(304)가 순차적으로 부착된다.
1월의 첫째주가 지나고 둘째주가 시작되어, 1월의 둘째주의 게시내용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주부재(301)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리하고, 2주부재(302), 3주부재(303), 4주부재(304)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2주부재(302)가 가장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주부재(304)의 하측에 5주부재(305)를 부착시킨다.
도 2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게시판의 주간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2일부재(402), 3일부재(403), 4일부재(404), 5일부재(405), 6일부재(406), 7일부재(407), 8일부재(408)가 순차적으로 부착된다.
2일이 지나고 3일이 시작되어 3일의 게시내용이 가장 좌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2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일부재(402)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리하고, 3일부재(403), 4일부재(404), 5일부재(405), 6일부재(406), 7일부재(407), 8일부재(408)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3일부재(403)가 가장 좌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일부재(408)의 우측에 9일부재(409)를 부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지퍼레일부, 제2 지퍼레일부의 구성이 적용된 제2실시예로서 "동화책"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의 동화책은,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화책의 내부 페이지 면 일부에 암지퍼레일(F)로 이뤄진 제1지퍼레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퍼레일부에 상호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 및/또는 이동 배치가 가능하도록 수지퍼레일(M)로 구성된 제2지퍼레일부가 마련된 이동콘텐츠(T)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콘텐츠(T)는 해당 페이지 면이 펼쳐지지 않은 비사용 상태시에는 동화책과 별도로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화책을 읽는 아동이 어느 페이지를 펼쳤을 때, 해당 페이지 면의 배경내용(예를 들어, 기차 케릭터가 여행하는 상황을 묘사하기 위한 동네의 배경)과 관련된 이동콘텐츠(T, 예를 들어, 기차 케릭터)가 별도로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동화책을 사용하기 위해서 동화책을 읽는 아동이 펼친 페이지 면과 관련된 이동콘텐츠를 준비한 후 도 23과 같이, 제1지퍼레일부의 좌측에 이동콘텐츠의 제2지퍼레일부를 압입결합한 상태에서, 도 24와 같이, 제1지퍼레일부의 지퍼레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콘텐츠(T)의 상대 위치가 우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동화책의 페이지 면에 형성된 배경과 대비되어 상대 위치의 변경에 따라 이야기 흐름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팝업 페이지 면이 구비된 팝업북의 경우에, 팝업북의 내부 팝업 페이지 면 일부에 암지퍼레일(F)로 이뤄진 제1지퍼레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퍼레일부에 상호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 및/또는 이동 배치가 가능하도록 수지퍼레일(M)로 구성된 제2지퍼레일부가 마련된 이동콘텐츠(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콘텐츠(E)는 해당 페이지 면이 펼쳐지지 않은 비사용 상태시에는 팝업북과 별도로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북을 읽는 아동이 팝업북의 팝업 페이지 면을 펼쳤을 때, 해당 팝업 페이지 면은 입체적인 형상으로 펼쳐지며, 이때, 해당 팝업 페이지 면의 배경내용(예를 들어, 나무가 심어져 있는 땅의 배경)과 관련된 이동콘텐츠(E, 예를 들어, 지렁이 케릭터)가 별도로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다.
팝업북을 사용하기 위해서 팝업북을 읽는 아동이 펼친 페이지의 팝업 페이지 면과 관련된 이동콘텐츠(E)를 준비한 후 제1지퍼레일부의 좌측에 이동콘텐츠(E)의 제2지퍼레일부를 압입결합한 상태에서, 제1지퍼레일부의 지퍼레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콘텐츠(E)의 상대 위치가 우측으로 변경되면 상기 팝업북의 팝업 페이지 면에 형성된 배경과 대비되어 상대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지퍼레일부, 제2 지퍼레일부의 구성이 적용된 제3실시예로서 "메뉴판"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의 메뉴판은, 베이스판(500), 항목부재(501, 503, 505) 및 가격부재(502, 504, 5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500)의 전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1 지퍼레일부가 마련되고, 각 항목부재(501, 503, 505) 및 가격부재(502, 504, 506)의 배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2 지퍼레일부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뉴판은,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부재(501, 503, 505) 및 가격부재(502, 504, 506)의 위치나 가격 등을 조정 시 탈부착 결합 및/또는 이동 배치가 용이하게 이뤄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20, 30:결합부재
40, 50, 60, 70:중간 대상물
100:베이스부재
200:월단위부재
300:주단위부재
400:일단위부재
M:수지퍼레일
F:암지퍼레일
ZR:지퍼레일부

Claims (10)

  1.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로서,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1 지퍼레일부가 제1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또 다른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2 지퍼레일부가 제2 대상물의 평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퍼레일부와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판상의 중간 대상물이 더욱 구비되되,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3 지퍼레일부가 상기 중간 대상물의 일측 평면부에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뤄진 복수의 또 다른 지퍼레일이 평행으로 배치된 제4 지퍼레일부가 상기 중간 대상물의 반대측 평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지퍼레일부는 상기 제1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중간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4 지퍼레일부는 상기 제2 지퍼레일부의 상호 대응하는 개별 레일 간에 암수 결합이 이뤄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지퍼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 다른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로 사용가능 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퍼레일부와 제4 지퍼레일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퍼레일부와 제4 지퍼레일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호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5. 제1항 , 제3항,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대상물이 2 이상의 층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6. 제1항 , 제3항,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레일부가 상기 대상물에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7. 제1항 , 제3항,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레일부가 상기 대상물의 평면부에 접착식으로 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는 책의 내부 페이지 면이며,
    상기 제2 대상물은 상기 페이지 면에 형성된 배경과 대비되어 상대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는 콘텐츠 구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는 팝업북의 내부 팝업 페이지 면이며,
    상기 제2 대상물은 상기 팝업 페이지 면에 형성된 배경과 대비되어 상대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각적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는 콘텐츠 구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10. 제1항 , 제3항,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의 평면부는 게시판의 최상위 계층 게시면이며,
    상기 중간 대상물은 상기 제1 대상물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중간 계층 게시면이고,
    상기 제2 대상물은 상기 중간 대상물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최하위 계층 게시면으로 형성되어,
    최상위 계층 게시면과 중간 계층 게시면, 최하위 계층 게시면이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 또는 순차적 이동 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KR1020100058946A 2010-03-19 2010-06-22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KR10102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1881 WO2011115446A2 (ko) 2010-03-19 2011-03-18 결합 구조
US13/635,434 US9174142B2 (en) 2010-03-19 2011-03-18 Faste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4629 2010-03-19
KR1020100024629 201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734B1 true KR101020734B1 (ko) 2011-03-09

Family

ID=4398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946A KR101020734B1 (ko) 2010-03-19 2010-06-22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18B1 (ko) * 2014-08-27 2016-04-26 이승호 대상물의 결합구조
KR20180137996A (ko) * 2017-06-20 2018-12-28 이형곤 부착 신뢰성이 향상된 흡착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909A (en) * 1991-06-11 1993-02-16 Hiromichi Inagaki Zipper for closing the mouth of a bag
KR200344534Y1 (ko) * 2003-11-19 2004-03-11 (주)삼성출판사 이동완구와 부합되어 놀수 있는 양장제본의 아동용 책
KR20090009233U (ko) * 2008-03-11 2009-09-16 주식회사 핸즈 광고용 간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909A (en) * 1991-06-11 1993-02-16 Hiromichi Inagaki Zipper for closing the mouth of a bag
KR200344534Y1 (ko) * 2003-11-19 2004-03-11 (주)삼성출판사 이동완구와 부합되어 놀수 있는 양장제본의 아동용 책
KR20090009233U (ko) * 2008-03-11 2009-09-16 주식회사 핸즈 광고용 간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18B1 (ko) * 2014-08-27 2016-04-26 이승호 대상물의 결합구조
KR20180137996A (ko) * 2017-06-20 2018-12-28 이형곤 부착 신뢰성이 향상된 흡착구
KR101996823B1 (ko) * 2017-06-20 2019-07-11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부착 신뢰성이 향상된 흡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734B1 (ko)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Shalem Histories of Belonging and George Kubler's Prime Object
US9174142B2 (en) Fastening structure
Meier Objects on the Edge
JP3205710U (ja) テーブル
CN201167770Y (zh) 被子
CN105916410A (zh) 折叠式陈列架
CN202077982U (zh) 一种拼接式多功能被
KR101065763B1 (ko)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구조 및 그의 응용제품
Richards The Commedia dell'Arte Acting Companies
CN202720856U (zh) 一种活动展板
Stiefel Beyond synagogues and cemeteries: The built environment as an aspect of vernacular Jewish material culture in Charleston, South Carolina
CN205094879U (zh) 药品隔离装置
KR102327784B1 (ko) 캘린더
Kolešnik The Transition of New Tendencies from Neo-Avant-Garde Subculture to Institutional Mainstream Culture. An Example of Network Analysis.
CN104687868A (zh) 一种翻转展示台
Rider " So That You Can Live" Cinema Action (1981)
Gilbert Contemporary perspectives
Felix (Un) folding Office Spaces: How to balance the “me” and “we” in times of a nomadic work life? Putting the choice on the table: Unfolding the personal workspace.
Dayal Delhi Metro Museum: The chronicler of a new age revolution
Hurley Gary, The Most American of All Cities by S. Paul O'Hara
Lajos Expressions of Innocence and Eloquence: Selections from the Jane Katcher Collection of Americana
Conroy Youth and Empire: Trans-Colonial Childhoods in British and French Asia by David M. Pomfret
Shepard et al.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Center of Medieval Art
Strauch et al. ATG Interviews Mark Saunders, Director,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