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818B1 - 대상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대상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818B1
KR101615818B1 KR1020140112095A KR20140112095A KR101615818B1 KR 101615818 B1 KR101615818 B1 KR 101615818B1 KR 1020140112095 A KR1020140112095 A KR 1020140112095A KR 20140112095 A KR20140112095 A KR 20140112095A KR 101615818 B1 KR101615818 B1 KR 10161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upling
base portion
coupling struct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202A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4011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8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강력한 결합력을 구비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대상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수고정부의 돌출면에 수용홈을 구비하고 암고정부의 내측에 돌기부를 구비하여 벨크로 등에 비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 등 원하는 힘의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으며, 양면으로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결박용 와이어, 테이프, 지퍼, 벨트, 길이조절용 끈, 밀폐용 패킹, 건축자재, 자동차, 전기, 전자 등의 조립부품의 조립방식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물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combining of objects}
본 발명은 대상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강력한 결합력을 구비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대상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개의 독립적 대상물을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양면테이프, 벨크로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벨크로는 고장이 없고, 사용과 설치가 편리하여 단추, 지퍼와 함께 대표적인 결합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벨크로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제1부재와, 고리 형상을 갖는 다수의 걸림고리가(루프) 형성된 제2부재로 구성되고, 제1부재와 제2부재가 대응되는 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훅에 걸림루프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이뤄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크로는 결합력이 낮으며, 결합강도나 결합 방향을 선택할 수 없고, 암(루프),수(후크)의 구분이 있어서 같은 극끼리 결합할 수 없는 등 사용에 한계가 많다. 기존 암수의 요철구조를 이용한 결합구조방식은 결합강도를 높이려면 요철(수)의 단면 넓이가 요홈(암)의 단면 넓이 보다 넓게 하여 강제로 밀어 넣어야 하는데 이는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10-1065763호에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결합력이 크지 않아 결박용 와이어나 테이프 등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구조간의 결합력을 높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벨크로보다 강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구비하면서도 결합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암수 구분이 없고 양면과 단면 사용이 가능하며 결박이 용이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 양상은
수고정부가 암고정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구조로서 상기 수고정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하거나 다른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수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의 수용공간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는 상기 절개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결합구조에 관계한다.
상기 결합구조가 베이스 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암고정부와 수고정부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가 상기 베이스 부의 일면에 암고정부 또는 수고정부가 위치하고, 상기 암고정부 또는 수고정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수고정부 또는 암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가 제 1 베이스 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암고정부가 형성된 제 1 결합부 ; 및 제 2 베이스 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수고정부가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고정부가 상기 암고정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강한 결합력을 갖기위해 수고정부의 돌출면에는 절개부를 구비하고 암고정부의 내측에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결합시 압력으로 수고정부에 형태적 변형을 주거나 걸림턱에 밀어 넣거나, 부피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주어 벨크로나 기존 암수의 퍼즐구조 등에 비해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 등 원하는 힘의 방향과 강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의 일면과 반대쪽 일면에 대응되는 암, 수의 결합구조를 배치하면 말아서 결합이 가능하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암수구조를 교대로 반복하면, 접어서 결합이 가능하며 별도의 암 베이스와 수 베이스를 구분할 필요없이 자유로운 결합이 가능하고, 양면구조로도 응용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결박용 와이어, 테이프, 지퍼, 벨트, 길이조절용 끈, 밀폐용 고무패킹, 건축자재, 자동차, 전기, 전자 등의 조립부품의 조립방식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시적 반복결합은 물론,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영구결합 또는 반영구 결합에 사용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결합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복수 결합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관한 상세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돌기부와 절개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하나의 베이스부에 복수 결합구조가 양면에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 도 10은 본 발명의 수고정부 암고정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기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제 1 결합구조물과 제 2
결합구조물을 결합하는 착탈용 테이프를 나타낸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결박용 제품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결박용 제품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길이 조절용 밴드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지퍼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결합구조를 밀폐용기의 고무패킹으로 사용된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결합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복수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복수결합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결합 구조는 제 1 결합부(110)와 제 2 결합부(120)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구조이다. 상기 결합구조는 바람직하게는 도 2 또는 도4 와 같이 베이스 부(111,112)를 따라 가로방향, 세로방향의 레일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는 직선, 파형, 곡선 등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 간격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결합부(110)는 제 1 베이스 부(111)의 일면에 암고정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20)는 제 2 베이스 부(121)의 일면에 수고정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수고정부(122)가 상기 암고정부(112)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 1 결합부(110)와 제 2 결합부(120)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수고정부(122)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에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1221)를 구비하고,
상기 암고정부(112)는 상기 수고정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21)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1122)를 구비한다.
상기 암고정부(112)는 제 1 베이스부(111) 내측의 요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고정부(122)는 상기 제 2 베이스부(121)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요철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고정부(122)와 암고정부(112)가 상기 각 베이스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고정부(112)의 수용공간(1121)에는 상기 절개부(1221)에 삽입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1122)를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1221)는 상기 수고정부를 소정 깊이로 절단한 절개선 또는 상기 수고정부의 상면에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요홈 이나 홀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21)는 수고정부를 소정 깊이로 절개해 놓은 영역으로서, 상기 돌기부(1122)가 눌려 삽입되면, 상기 절개부(1221)는 갈라져 각각의 암고정부의 수용공간(1121)으로 밀려들어간다.
상기 수고정부(122)의 측벽에는 결합돌기(1222) 또는 결합홈(1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고정부(112)의 수용공간 외측에 결합돌기(1123) 또는 결합홈(1124) 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5는 상기 결합 구조의 결합 과정을 A → B → C 로 나타낸다.
도면1의 B과정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암고정부에 수고정부가 1차 결합되면 암고정부의 결합돌기(1123)과 수고정부의 결합돌기(1222)과 부딪쳐 수고정부의 절개부(1221)를 벌어지게 하여 암고정부의 돌출부(1122)가 손상없이 절개부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1의 C를 참고하면 압력에 의한 2차 완전결합을 나타낸 것인데, 암고정부와 수고정부에 각각 배치된 결합돌기(1123, 1222)과 결합홈(1223, 1124)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암고정부와 수고정부가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1차 결합은 수고정부가 자연스럽게 암고정부에 끼워지는 것이고, 2차 결합은 압력에 의해 수고정부의 절개부 내측으로 암고정부의 돌기부가 삽입되어 수고정부에 형태적 변형을 주어 결합력을 높이는 완전결합을 말한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복수의 결합구조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은 상기 결합구조가 베이스부에 복수로 배열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수고정부(220)와 암고정부(230)의 단면은 암수가 교대로 반복되는 요철과 요홈구조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구조는 베이스부(210), 수고정부(220) 및 암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암고정부(230)에는 수용홈(231)이 구비되고, 상기 암고정부에는 상기 절개부(222)에 삽입되는 돌기부(232)가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1의 단수구조와는 달리, 상기 결합구조가 복수구조로 이루어지면 베이스부(210)가 a~c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의 끝단c로부터 d까지가 요철로 형성된 수고정부(220)이며, 암고정부는(230) 베이스부의 끝단c로부터 수고정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b~c)의 요홈으로 형성된다.
기존의 암수결합구조는 수고정부의 단면의 폭이 암고정부의 단면의 폭보다 넓어 억지로 끼워넣는 강제결합방식인데 이럴 경우 결합이 쉽지 않다. 이에 반해 상기 결합구조는 수고정부(220)의 단면이 암고정부(230)의 단면보다 좁다. 그러므로 수고정부가 암고정부에 자연스럽게 들어와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면서도 상기 수고정부가 암고정부에 삽입 후에는 암고정부의 돌기(232)가 절개부(222)와 결합하여 단면이 넓어지고, 꺾여 있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등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가 되어 강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암고정부의 수용홈(231)은 돌기(232)의 끝을 중심으로 대칭구조일 수 있으며 돌기의 빗변 단면형태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1→B1→C1의 결합 과정을 참고하면 앞서 설명한 도면1의 단수 결합구조의 결합과정과 유사하다. 상기 돌기부(232)가 절개부(222)에 삽입되면서 절개부가 벌어지게 되고, 따라서, 수고정부 상부측 절개부가 측방으로 팽창하여 상기 암고정부의 수용공간으로 밀착하게 되며 완전결합 후에는 수고정부에 위치한 요홈(223)(또는 돌기, 걸림홈, 걸림턱)과 이에 대응되는 암고정부의 수용홈(231) 내측에 위치한 돌기(233)(또는 요홈, 걸림홈, 걸림턱)와 결합하여 고정되고, 탄력을 지닌 재질일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고착되는 성질에 의해 두 개의 결합구조는 더욱 공고한 결합이 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암고정부는 베이스 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수고정부 사이의 공간(b)에 형성되어, 수고정부의 단면의 넓이(a)보다 넓어야 결합이 용이한데, (c)와 같이 수고정부 끝단의 단면을 좁혀 수고정부가 암고정부로 쉽게 들어오도록(1차 결합) 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수고정부 외측면의 돌기(돌기 홈)와 암고정부의 내측의 돌기 홈(돌기)의 수를 조절하여 결합 강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베이스 부로부터 수고정부의 돌출된 높이와 암고정부의 홈의 깊이, 그리고 단면의 넓이가 되는 암고정부와 수고정부의 간격(a,b) 등으로도 결합강도를 제어 할 수 있다.
도 6에는 다양한 절개부(22), 돌기부(32) 및 수용홈(31)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구조의 돌기부(32)는 바람직하게는 끝단이 뾰족한 테이퍼링 구조이거나 상기 돌기부는 끝단이 좁고 하단으로 내려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 즉 수고정부의 절개부(22)를 벌어지게 하여 암고정부의 수용홈(31) 측방으로 밀어 넣도록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32)의 끝단이 뾰족해야 절개부 안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고, 테이퍼링 또는 경사 구조여야 절개부를 점차 벌어지게 할 수 있다. (A)의 예처럼 테이퍼링 또는 경사 방향을 따라 결합력의 강화를 위해 요철구조(32A)일 수 있다. (C)의 32C와 같은 마름모 형태는 수고정부를 꺽이게 하는 형태적 변형을 주어 결합 후 다시 분리되지 않게 하여 결합력을 높이는 구조이다.
(A)를 보면 절개부는 절개선(221)으로 만들고 끝단에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절개 요홈(24)을 구비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222와 같이 절개부 내측에 요홈이나 요철구조로 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B)의 223과 같이 절개부가 U자 홀인구조, 224와 같이 v자 홀인 구조, 절개부의 손상을 막기 위해 (C)의 형태의 225와 같은 모양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C)와 (D)의 예와 같이 꺽임구조와 걸림턱구조는 강한 결합력을 지닌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결합구조를 이루는 전체가 탄성을 지닌 재질이거나, 적어도 수고정부는 탄성을 지닌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32)는 강한 압박과 잦은 결합과 분리과정에서도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베이스부 또는 암고정부, 수고정부와 다른, 보다 강한 재질로 부착되거나, 강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부터 가로로 단면, 양면에 상기 결합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단면 또는 양면에 수고정부와 암고정부가 반복되어 형성되었는데 이를 결합하면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의 장력은 매우 강력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도 7의 양면구조 확대도와 같이, 양면의 암수배열은 베이스 부의 강도를 고려하여 제작되거나, 앞, 뒤 양면의 결합구조가 서로 독립적인 결합을 할 경우 원하는 결합위치를 위해 자유롭게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응용한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구조의 돌기부와 절개부를 중심으로 비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암고정부 수용홈의 일면이 걸림턱 구조 또는 경사 구조로 형성되어 각기 다른 두 개의 수용홈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한쪽방향(g)으로는 결합력이 강하나 반대방향(h)으로는 분리가 용이하다. 중력과 같이 일방으로만 힘이 작용하는 경우 잦은 결합 분리가 이뤄지는 목적으로 결합구조를 상기 결합구조와 같이 변형 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구조(300)는 수고정부의 끝단을 좁게하여 암고정부로 쉽게 들어 갈 수 있도록 모따기(337) 형태를 주었고, 돌기부가 마름모의(332) 형태로 이루어져 결합 시 수고정부가 벌어졌다가 다시 좁아져 꺽이게 되는 형태의 변형을 줄 수 있다. 수고정부의 꺽인 부분과 암고정부의 측벽에 결합돌기(333)와 돌기홈을 주어 다시 분리되기 어렵게 하여 강한 결합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도 10은 수고정부에 걸림홈(423)을 암고정부의 수용홈에 걸림턱(433)을 형성시킨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참고하면, 상기 암고정부에 돌기부(43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걸림턱(433)에 수고정부 외측면에 위치한 걸림홈(423)을 밀어 넣을 만큼의 넓이로 제작된다.
상기 걸림턱 구조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강한 결합력을 가지며, 걸림구조(423,433)의 걸림각을 조절하거나,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추가하여 결합력 및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결합구조 응용 제품에 관계한다.
도 11은 제 1결합구조물과 제 2 결합구조물을 포함하는 응용제품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결합구조물(1100)은 상기 수고정부(1120)와 암고정부(1130)가 상기 베이스 부(1110)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접착제(1140)가 부착된다.
상기 제 2 결합구조물(1200)은 상기 수고정부(1220)와 암고정부(1230)가 베이스 부(1210)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에는 접착제(1240)가 부착된다.
상기 제 1 결합 구조물(1100)과 제 2 결합구조물(1200)이 서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다.
상기 접착제에는 부착 대상물이 접합된다.
상기 부착대상물은 도 11과 같이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체결부속, 또는 자체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결합 구조물에 부착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결박용 제품을 나타낸다. 도 12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결박용 제품은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131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 양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가로 방향으로 암고정부(1330, 1330')와 수고정부(1320, 1320')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를 길이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감으면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고정부(1320)와 암고정부(1330)는 상기 타측면에 형성된 암고정부(1330')와 수고정부(132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수고정부에는 수용홈(1321)이 상기 암고정부에는 돌기부(1332)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과 돌기부가 결합된다.
상기 수고정부와 암고정부는 앞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결박용 제품은 상기 베이스부 내측으로 와이어 등 보강제(134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결박용 제품은 결박용 와이어, 결박용 밴드 또는 결박용 로프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결박용 제품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결박용 제품은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141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 양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 암고정부(1430)와 수고정부(1420)가 교대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410)를 길이방향으로 나선형태로 감으면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고정부(1420)와 암고정부(1430)는 상기 타측면에 형성된 암고정부(1430')와 수고정부(1420')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수고정부(1420,1420')의 절개부와 상기 암고정부(1430,1430')의 돌기부(1431, 1431')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421,1421')와 돌기부(1431,1431')가 결합된다.
상기 수고정부와 암고정부는 앞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결박용 제품은 결박용 와이어, 결박용 밴드 또는 결박용 로프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길이 조절용 밴드를 나타낸다. 상기 길이조절용 밴드는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151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1510) 일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가로 방향으로 암고정부(1530)와 수고정부(1520)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길이 조절용 밴드는 상기 베이스부(1510)를 접어 포개면 상부측의 상기 수고정부와 암고정부는 하부측의 암고정부와 수고정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수고정부에는 절개부(1521)가 상기 암고정부에는 돌기부(1532)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와 돌기부가 결합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지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지퍼는 서로 마주 보는 상기 두 개의 결합구조, 예를 들면 제 1 결합구조(1500) 및 제 2 결합구조(160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a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결합부(1500)는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1510), 상기 베이스 부 일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고정부(15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500)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600)는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1610), 상기 베이스 부 일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암고정부(1630)가 형성된다.
도 16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구조의 베이스부(1510, 1610)는 띠 또는 밴드 형상이고, 상기 베이스 부 일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암고정부(1530, 1630)와 수고정부(1520, 16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구조(1500)의 상기 수고정부(1520)와 암고정부(1530)는 마주보는 제 2 결합구조(1600)의 암고정부(1630)와 수고정부(16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퍼는 앞에서 상술한 결합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결합력과 밀폐력이 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6의(a)는 암고정부와 수고정부가 각각 다른 베이스위에 하나씩 위치한다. 도 16의(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복수 배열하면 암수의 요철구조가 되어 한쪽 베이스에 암고정부와 수고정부를 함께 구비하여 암수구분이 없이도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6은 상기 결합구조를 복수 또는 단수로 구비하여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세로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세로형 결합구조를 응용하면 지퍼, 또는 밀폐용 고무패킹에도 응용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결합구조를 밀폐용기의 고무패킹으로 사용된 예를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밀폐용기의 하부 고정모서리(a, c)에 제 2 결합구조(1600), 상부 고정모서리(b, d)에 제 1 결합구조(1500)가 고정 부착된다. 제 1 결합구조(1500)와 제 2결합구조가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밀폐용기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수고정부가 암고정부의 내측에 끼워지는 결합구조로서, 상기 수고정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하거나 다른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수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의 수용공간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는 상기 절개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양면에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가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는 수고정부와 암고정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된 수고정부와 암고정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는 암고정부와 수고정부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길이방향으로 말아서 감으면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된 수고정부와 암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형성된 암고정부와 수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나선형태로 감겨져 일체형으로 결속되고,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가 결합될 때, 상기 암고정부의 돌기부가 상기 수고정부의 절개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고정부의 단면에 형태적 변형을 주어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고정부를 소정의 깊이로 절단한 절개선이거나 또는 상기 수고정부의 상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요홈이나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끝단이 뾰족한 테이퍼링 구조이거나, 끝단이 뾰족하되 일면만 테이퍼된 구조, 요철 구조, 또는 마름모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절개부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또는 절개부는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고정부는 암고정부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끝단이 모따기 되어 있거나 끝단이 중심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암고정부는 베이스부의 끝단에서 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고정부의 수용공간은 돌기부의 형태 또는 부피만큼 양측으로 밀려들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고정부의 측벽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고정부의 수용공간 외측에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부를 따라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대각선 방향 또는 베이스부 일면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레일처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고정부와 암고정부의 단면은 수고정부의 절개부와 암고정부의 돌기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판상 구조 또는 띠나 밴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18. 삭제
  19. 삭제
  20.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 ;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1항,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를 길이방향으로 말아서 감으면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구조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구조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나선형태로 감겨져 일체형으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박용 제품.
  21. 띠 또는 밴드 형상의 베이스부 ;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상기 띠 또는 밴드의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수고정부와 암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고정부는 돌출된 상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고정부는 상기 수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의 수용공간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는 상기 절개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를 접어 포개면 상기 베이스부의 접혀진 상부측의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접혀지지 않은 하부측의 상기 암고정부와 상기 수고정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가 결합될 때, 상기 암고정부의 돌기부가 상기 수고정부의 절개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고정부의 단면에 형태적 변형을 주어 상기 수고정부와 상기 암고정부의 상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용 밴드.
  22. 제1항,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결합구조 2개가 서로 마주보며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23. 제1항,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결합구조 2개가 서로 마주보며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패킹.
KR1020140112095A 2014-08-27 2014-08-27 대상물의 결합구조 KR10161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095A KR101615818B1 (ko) 2014-08-27 2014-08-27 대상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095A KR101615818B1 (ko) 2014-08-27 2014-08-27 대상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202A KR20160025202A (ko) 2016-03-08
KR101615818B1 true KR101615818B1 (ko) 2016-04-26

Family

ID=5553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095A KR101615818B1 (ko) 2014-08-27 2014-08-27 대상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8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34B1 (ko) * 2010-03-19 2011-03-09 박광식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US20130091667A1 (en) * 2011-10-06 2013-04-18 Paul Anthony Zerfas Mechanical And Adhesive Based Reclosable Fasten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34B1 (ko) * 2010-03-19 2011-03-09 박광식 평면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독립적 대상물의 결합 구조
US20130091667A1 (en) * 2011-10-06 2013-04-18 Paul Anthony Zerfas Mechanical And Adhesive Based Reclosable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202A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265B2 (en) Child resistant zipper closure for recloseable pouch with double slider and methods
EP3099943B1 (en) Implement for tying up and suspending objects
US4672725A (en) Snap buckle
US10604317B2 (en) Reusable tie strap with multiple apertures
US4577377A (en) Buckle for straps
CN104421286B (zh) 水密夹
JP4502213B2 (ja) バックル
US7162779B2 (en) Water-resistant zipper with slider
US7255477B2 (en) Lockable bag with plastic zipper closure and zipper closure clip
JPS6354362B2 (ko)
TWI355906B (en) Stop for slide fasteners
US20030077008A1 (en) Easily alignable zipper for reclosable packaging
US20160107801A1 (en) Closure with a slider for bag
US10130146B2 (en) Side-release buckle assembly
EP0309943A1 (en) Buckle assembly
TW201223476A (en) Cam lock buckle
EP1607340A4 (en) BAG WITH CLOSURE
MXPA06012344A (es) Tiras de sujecion con elementos de cierre arponados.
US20090265899A1 (en) Pull-tab for zipper
JPH02128702A (ja)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1615818B1 (ko) 대상물의 결합구조
WO201519404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7181813B2 (en) Low-profile heavy-duty buckle
US20170234349A1 (en) Fastener arrangements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JP3116845U (ja) シート止着材の楔式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