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85Y1 - 천장용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천장용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85Y1
KR200449485Y1 KR2020090008653U KR20090008653U KR200449485Y1 KR 200449485 Y1 KR200449485 Y1 KR 200449485Y1 KR 2020090008653 U KR2020090008653 U KR 2020090008653U KR 20090008653 U KR20090008653 U KR 20090008653U KR 200449485 Y1 KR200449485 Y1 KR 200449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guide rail
cover
main frame
cov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박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용 filed Critical 박현용
Priority to KR2020090008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는 천장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걸림영역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되는 커버시트; 상기 커버시트가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커버시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커버시트를 보호하는 마감커버가 구비되어 천장에 설치시 커버시트와 천장과 커버시트가 맞닿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커버시트가 손상되지 않는 천장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커버시트, 마감커버, 하푼, 천장용 조명, 스트레치 시트

Description

천장용 조명기구{Lighting Apparatus for Ceiling}
본 고안은 천장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도록 조명기구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커버시트의 교체가 용이한 천장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밝혀주는 천장용 조명기구는 광원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마련된 하드커버가 구비되어 천장에 설치된다.
그런데,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가진 하드커버는 재질의 특성상 탄력성 부여가 어려워 설치에 있어서 정확한 규격이 요구되었고, 설령 정확한 규격에 따라 제작이 되더라도 허용오차 범위 이내에서 제작되어 실제 설치시에는 프레임과 유격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프레임 내측에 벌레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등이 축적되게 되어 잦은 청소를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이물질 축적으로 인해 하드커버의 투과성이 약화되어 조도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하드커버를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커버시트(스트레치 시트)로 이 용하는 조명기구가 고안되었다.
즉, 커버시트는 천장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하부면을 가리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며, 이때 커버시트는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커버시트는 광원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게 되어 재질이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재질의 특성상 최초 설치시에는 탄력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나, 설치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탄력도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커버시트를 교체 또는 탄력도를 높여주기 위해 커버시트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프레임에 완전히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어 커버시트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설치시에도 커버시트의 탄력도가 높은 상태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시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천장용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커버시트를 보호하는 마감커버가 구비되어 천장에 설치시 커버시트가 손상되지 않는 천장용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천장용 조명기구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걸림영역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되는 커버시트; 상기 커버시트가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걸림영역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마감커버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의 측단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벽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시트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되어 상기 커버시트를 고정시키는 하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천장에 부착되며, 상기 광원이 내측에 설치되고, 내측벽에 상기 메인프레임이 결합되는 조명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 측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절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첩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조명틀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일 측에 슬라이딩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호 교차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로부터 평행이동과 원호운동을 병행하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제1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제2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링크구조의 각 단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슬라이드와 제2슬라이드가 상기 제1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에 각각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링크구조 한 쌍은 각각 두 번 절곡되게 형성되고, 절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구조의 상호 교차 회동시 중복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버시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천장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커버시트를 보호하는 마감커버가 구비되어 천장에 설치시 커버시트가 손상되지 않는 천장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1)는 조명틀(A), 메인프레임(10), 하푼(20), 커버시트(30), 마감커버(40) 및 절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틀(A)은 천장에 부착되는 부재로서, 대략 육면체로 형성되며 내측에 광원(L)이 배치되어 하향으로 광원이 조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틀(A)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조명틀(A)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천장에 소정의 홀을 형성한 후 홀의 내측에 광원(L)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0)은 상부와 하부가 관통형성된 관체이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하부 외측방향으로 내부 영역이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조명틀(a)의 내측에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걸림영역(11)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영역(11)의 일 측에는 후술할 하푼(20)이 삽입된 후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2)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영역(11)의 인접 영역에는 후술할 마감커버(40)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안착부(13)에는 마감커버(40)가 안착부(13)에 안착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푼(20)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815258호에 제시된 방법으로 메인프레임에 결합된다.
즉, 하푼(20)이 걸림영역(11)에 삽입되면서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된 걸림단부(21)가 삽입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걸림단부(21)가 걸림영역(11)에 형성된 걸림턱(12)에 걸림으로써 하푼(20)은 고정된다.
상기 커버시트(30)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인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등의 소재를 가진 반투명의 스트레치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같이 마련된 커버시트(30)는 하푼(20)의 일 측에 소정의 부착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커버시트(30)가 부착된 하푼(20)을 걸림영역(11)으로 내입시켜 걸리도록 함으로써 커버시트(30)는 메인프레임(10)의 하부면을 둘러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40)는 상술한 걸림영역(11)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안착부(13)에 안착된다. 이때, 마감커버(40)의 내측에는 안착부(13)에 형성된 결합홈(14)에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커버(40)의 측단부(40a)의 두께(d2)는 안착부(13)의 측벽(13a)의 두께(d1)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측단부(40a)와 상기 측벽(13a)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됨으로써 마감커버(40)와 메인프레임(10) 사이의 유격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메인프레임(10)이 조명틀(A)에 설치 후에도 마감커버(40)가 결합된 부분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메인프레임(1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절첩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첩부재(50)는 제1가이드레일(510), 제2가이드레일(520) 및 링크구조(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510)은, 긴 바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내부로 함몰된 제1안내홈(5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홈(511)의 내부에는 완충부재를 양측면에 구비한 제1슬라이드(51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드(512)가 제1안내홈(511)을 따라 이동시에 제1안내홈(511)과의 사이에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안내홈(511)은 제1슬라이드(512)가 내부에 위치하여 이동함으로써 제1슬라이드(512)의 이동시 제1가이드레일(5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안내홈(511)의 일 측에는 제1링크(531)가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공(514)이 형성되고, 제1결합공(514)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슬라이드(51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정지돌기(51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520)은 제1가이드레일(510)의 구조와 동일하도록 마련되되, 제2안내홈(521), 제2슬라이드(522), 제2정지돌기(523) 및 제2결합공(524)를 포함하는 측면이 제1가이드레일(510)의 제1안내홈(511), 제1슬라이드(512), 및 제1정지돌기(513)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5는 도 4의 링크구조(5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구조(530)는 제1링크(531)와 제2링크(5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후술되는 각 링크는 내측에 각각 절첩시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절곡홈(531a, 532a)이 마련된다.
상기 제1링크(531)와 제2링크(532)는 긴 바의 형태로 마련되며, 일 측 단부에는 각 가이드레일(510)(520)에 형성된 제1, 제2결합공(514,524)과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회동홈(531b,532b)이 형성되며, 타 측 단부에는 각각 제1슬라이드(512) 또는 제2슬라이드(522)와 결합하도록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각 링크(531,532)는 동일평면상에서 상호 교차회동이 이루어지므로 충돌 및 간섭을 피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2번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링크(531)와 제2링크(532)의 절곡영역에는 각각 절곡홈(531a,532a)이 형성되어, 제1링크(531)와 제2링크(532)가 중첩시 각 절곡홈(531a,532a)을 통해 상호 삽입된다.
즉, 제1링크(531)와 제2링크(532)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교차점(540)을 통해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결합된다.
상술한 링크구조를 통해 제1링크(531)와 제2링크(532)는 중첩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며, 아울러 제1가이드레일(510)과 제2가이드레일(520) 또한 서로 대향되게 된다.
도 7은 절첩부재의 운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는 제1가이드레일(510)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가이드레일(510)이 고정됨으로써 제2가이드레일(520)은 고정된 제1가이드레일(520)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링크구조(530)의 기구적 특성에 따라 제1링크(531) 및 제2링크(532)는 각각에 마련된 회동홈(531b)(532b)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제1슬라이드(512) 및 제2슬라이드(522)와 결합된 부분은 각각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2회동홈(532b)과 인접한 영역은 하향으로 직선운동에 가까운 운동을 하게 되고, 제2슬라이드(522)와 인접한 영역 즉, 제2회동홈(532b)과 멀어지는 영역으로 갈수록 큰 회동반경을 갖는 운동을 한다.
아울러, 제1슬라이드(512)와 제2슬라이드(522)는 제1정지돌기(513)와 제2정지돌기(523)에 접촉하면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절첩부재 작동시의 이격거리를 수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제1가이드레일(510)의 제1링크(531)가 결합되어 있는 위치에서 제2가이드레일(520)의 제2링크(532)가 결합되어 있는 위치까지의 간격을 x, 제1슬라이드(512)와 제2슬라이드(522) 사이의 간격이 y 라 정의한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레일(510) 또는 제2가이드레일(520) 중 어느 하나의 평행이동 거리와 제1가이드레일(510) 또는 제2가이드레일(5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원호를 따라 이동한 직선거리의 비는 1 : ((y/x) - 1) 이 된다.
상기의 거리비(比)를 제1링크(531)와 제1가이드레일(510)이 결합된 지점에서 교차점(540)까지의 간격 a 와 교차점(540)에서 제2슬라이드까지의 간격 b로 다시 나타내면 1 : ((b/a) - 1) 가 된다.
따라서, 교차점(540)이 슬라이드가 부착되는 점에 가까운 위치로 마련될수록 전체 이격거리에서 평행이동에 의한 이격거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커진다.
그러므로, 교차점(540)은 중심에서 제1슬라이드(512) 및 제2슬라이드(522)가 부착된 쪽으로 편심(偏心)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교차점(54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조명틀 및 메인프레임의 크기 및 형상, 매몰된 천장의 내부 폭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천장(C)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의 메인프레임(10)의 우측을 아래로 잡아당기게 되면, 절첩부재(50)에 의해 메인프레임(10)의 우측이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측 또한 일정거리만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양 측의 마감커버(40)가 노출되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마감커버(40)를 열고 커버시트(30)를 교환한 후 다시 마감커버(40)를 결합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커버시트(30)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B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절첩부재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링크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도,
도 7은 절첩부재의 운동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장용 조명기구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20 : 하푼 30 : 커버시트
40 : 마감커버 50 : 절첩부재

Claims (9)

  1. 천장용 조명기구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며, 하부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걸림영역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되는 커버시트;
    상기 커버시트가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걸림영역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마감커버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커버의 측단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벽과 맞닿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상기 걸림영역에 내입걸림되어 상기 커버시트를 고정시키는 하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천장에 부착되며, 상기 광원이 내측에 설치되고, 내측벽에 상기 메인프레임이 결합되는 조명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 측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절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조명틀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제2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일 측에 슬라이딩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호 교차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로부터 평행이동과 원호운동을 병행하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제1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제2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링크구조의 각 단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슬라이드와 제2슬라이드가 상기 제1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 한 쌍은 각각 두 번 절곡되게 형성되고, 절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구조의 상호 교차 회동시 중복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조명기구.
KR2020090008653U 2009-07-03 2009-07-03 천장용 조명기구 KR200449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53U KR200449485Y1 (ko) 2009-07-03 2009-07-03 천장용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53U KR200449485Y1 (ko) 2009-07-03 2009-07-03 천장용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485Y1 true KR200449485Y1 (ko) 2010-07-13

Family

ID=4424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653U KR200449485Y1 (ko) 2009-07-03 2009-07-03 천장용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94B1 (ko) * 2019-01-24 2020-02-11 민은홍 전시용 발광액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068U (ko) * 1997-03-07 1998-11-05 김석현 천정등의 반사판과 투광커버의 결합구조
KR200295613Y1 (ko) 2002-08-26 2002-11-18 이광임 과열 방지수단이 강구된 조명등
KR20020095613A (ko) * 2001-06-15 2002-12-28 윤욱천 바다낚시용 구멍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4315A (ko) * 2001-10-22 2003-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리거 펄스 발생 장치
KR200334315Y1 (ko) 2003-09-02 2003-11-22 주식회사 성안조명 등커버가 개폐되는 센서등
KR20080003423U (ko) * 2007-02-15 2008-08-20 구본광 천장등 커버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068U (ko) * 1997-03-07 1998-11-05 김석현 천정등의 반사판과 투광커버의 결합구조
KR20020095613A (ko) * 2001-06-15 2002-12-28 윤욱천 바다낚시용 구멍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4315A (ko) * 2001-10-22 2003-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리거 펄스 발생 장치
KR200295613Y1 (ko) 2002-08-26 2002-11-18 이광임 과열 방지수단이 강구된 조명등
KR200334315Y1 (ko) 2003-09-02 2003-11-22 주식회사 성안조명 등커버가 개폐되는 센서등
KR20080003423U (ko) * 2007-02-15 2008-08-20 구본광 천장등 커버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94B1 (ko) * 2019-01-24 2020-02-11 민은홍 전시용 발광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4598B2 (en) Screen device
JP6543694B2 (ja) 誘導装置
JP2013203095A5 (ko)
KR200449485Y1 (ko) 천장용 조명기구
JP6139576B2 (ja) 乗物用灯具
KR20070011656A (ko) 미닫이식 개폐 등기구
KR101059286B1 (ko) 조명용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480629Y1 (ko) 수평 밀착형 미닫이창문용 이동구
KR20070024961A (ko) 차량용 웨이스트라인 몰딩 장착구조
KR101059366B1 (ko) 천장용 조명기구
JP5174533B2 (ja) 照明器具
CN105604429B (zh) 包覆件保持装置
KR101326740B1 (ko) 등기구
KR200471946Y1 (ko) 조명등의 반사커버 조립장치
KR20110004171U (ko) 도어용 차연장치
KR200463427Y1 (ko) 천장용 조명기구
KR101102906B1 (ko) 조명용 개폐장치
KR101086351B1 (ko) 조명장치
JP2010176899A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
JP4154291B2 (ja) 戸当たり構造
JP6081079B2 (ja) カーテンレール
KR101232719B1 (ko) 조명기구
JP5403818B2 (ja) 照明器具
JP7016637B2 (ja) 間仕切り
KR20120008729U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