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53Y1 -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 Google Patents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53Y1
KR200449453Y1 KR2020090002427U KR20090002427U KR200449453Y1 KR 200449453 Y1 KR200449453 Y1 KR 200449453Y1 KR 2020090002427 U KR2020090002427 U KR 2020090002427U KR 20090002427 U KR20090002427 U KR 20090002427U KR 200449453 Y1 KR200449453 Y1 KR 200449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pport
mounting frame
frame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707U (ko
Inventor
이흥진
Original Assignee
이흥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진 filed Critical 이흥진
Priority to KR2020090002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5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브래킷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아래로 떨어지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안정성이 증가된 신규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강의실, LCD, PDP

Description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display elevation system having support bracke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를 천정면의 위쪽으로 매립하였다가 아래로 내려주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천정면의 위로 매립되도록 보관하였다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천정면의 아래로 디스플레이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특히 회전하여 승·하강하는 형태의 것은 천정면 위쪽 공간의 벽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장착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장착프레임은 상기 공간의 위쪽에서 내려오는 와이어에 의해 구동된다.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후면 케이스의 나사가 고정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는 디스플레이(111)의 후면 케이스(112)를 장착프레임(110)에 4개의 나사들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션장치는 디 스플레이(111)가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는 후면 케이스(112)의 중앙부분만이 나사에 걸려서 디스플레이(111)의 전체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후면 케이스(112)의 나사고정된 부분(114)이 파단되어 디스플레이(111)가 아래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특히 장착프레임(110)에 나사고정되는 부분(114)이 디스플레이(111)의 후면 케이스(112)의 중앙부분의 좁은 영역에 국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11)가 회전하여 승·하강을 할 때에 디스플레이(111)가 진동을 한다. 디스플레이(111)가 진동하면 후면 케이스(112)의 나사고정된 부분(114)에 교번하중을 가해지므로, 후면 케이스(112)의 나사고정된 부분(114)의 강도가 약해져서 파단될 위험이 더욱 커진다.
또한 디스플레이(111)가 지면에 수직하게 선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1)의 전체 하중은 고정나사의 횡방향으로 고정나사에 작용하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고정나사가 디스플레이(111)의 하중에 밀려서 디스플레이(111)의 후면 케이스(112)에 수직한 상태고 고정되지 못하고 점차 경사진 상태로 되어 느슨한 고정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지지를 더욱 확실하게 하여 디스플레이가 아래로 떨어지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안정성이 증가된 신규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과제는 천정면보다 위로 들어간 내부공간을 갖는 상부보관부와, 상기 상부보관부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면에 패널형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상부보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동와이어통과공 및 상기 상부보관부의 상면의 위쪽에 형성되며 구동와이어가 감겨져 있고 모터가 내장된 작동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의 한쪽면에 나사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한 후면 케이스가 서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 지지브래킷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에 수평한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밀착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측 고정편과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수직면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체결면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지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은 상기 수직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과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은 모두 90도로 꺾여진 판재구조이며,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에서 상기 장착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은 판재구조의 상부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상부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수직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의 체결면에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측은 각각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수직면에 의해 밀착되도록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의 상기 지지면에 의해 밀착되도록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션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지면에 수평하게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후면 케이스의 나사고정과 더불어 지지브래킷의 지지편의 지지면이 디스플레이를 4개의 지점에서 떠받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의 하중을 견디는데 충분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아래로 떨어질 염려가 없다.
본 고안의 엘리베이션장치는 지지브래킷들이 디스플레이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가 승·하강할 때에도 디스플레이가 흔들리거나 진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후면 케이스의 나사결합된 부분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다.
또한 고안의 엘리베이션장치는 증가된 마찰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능력이 오직 나사고정만 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브래킷은 고정편과 지지편이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폭과 두께가 다른 디스플레이들을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지지브래킷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디스플레이의 엘리베이션장치(이하 '엘리베이션장치'라고 함)는 천정면(1)에 형성되고 평판형디스플레이(11)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 상부보관부(2)와 상부보관부(2)의 측면(3)에 회전지지부(9)를 통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0)과 상부보관부(2)의 위쪽에 설치되는 작동드 럼(20)과 구동와이어(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보관부(2)는 천정면(1)보다 위쪽으로 평판형디스플레이(11)를 보관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아래방향으로 개방되고 측면(3)들과 상면(4)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면(4)에는 구동와이어통과공(5)이 형성된다. 구동와이어통과공(5)은 상부보관부(2)의 위쪽에서 내려오는 구동와이어(21)가 드나드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부보관부(2)의 구동와이어통과공(5)의 위쪽에는 구동와이어(21)를 감아올리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하며 구동와이어(21)가 감겨진 작동드럼(20)이 설치된다.
상부보관부(2)의 측면(3)에는 회전지지부(9)가 설치되며, 회전지지부(9)에 장착프레임(1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프레임(10)은 일면에 평판형디스플레이(11)가 장착되며, 반대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구동와이어(21)가 연결된다. 구동와이어(21)를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리는 작동에 의해 장착프레임(10)은 회전지지부(9)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 장착프레임(10)은 한 쪽 면의 중앙부분에 디스플레이(11)의 후면 케이스(12)를 나사(15)로 고정하는 나사고정부(14)가 있으며, 장착프레임(10)의 4개 모서리들에 각각 지지브래킷(30)들이 형성된다. 지지브래킷(30)은 프레임측 고정편(31)과 디스플레이 지지편(36)으로 구성된다.
프레임측 고정편(31)은 90도로 꺾여진 금속재질의 판재구조이며, 프레임측 고정편(31)은 2개의 면들을 가지며, 2개의 면들 중의 하나는 장착프레임(10)에 고정되는 상부면(32)이고 다른 하나는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면(34)이다. 상 부면(32)과 수직면(34)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동시에 체결된 볼트를 완전히 풀지 않고 프레임측 고정편(31)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공들(33, 35)이 형성된다.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상부면(32)의 장공(33)과 장착프레임(10)의 볼트공(16)을 정렬시킨 후 볼트(60)가 상부면(32)의 장공(33)과 장착프레임(10)의 볼트공(16)을 통과하도록 한 후 장착프레임(10)의 뒤쪽에서 볼트(60)에 너트(61)를 결합하여 죄어주면 프레임측 고정편(31)은 장착프레임(10)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은 90도로 꺾여진 금속재질의 판재구조이며, 2개의 면들을 가지며, 2개의 면들 중의 하나는 볼트공(38)이 형성되고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수직면(34)에 체결되는 체결면(37)이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하는 지지면(39)이다.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수직면(34)에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체결면(37)을 맞대어 놓고, 수직면(34)의 장공과 체결면(37)의 볼트공(38)을 통과하도록 볼트(62)를 삽입한 후, 체결면(37)의 볼트공(38)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볼트(62)를 너트(63)로 죄어주면,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이 프레임측 고정편(31)에 고정된다.
장착프레임(10)에 대하여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위치를 변경시키려면,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상부면(32)에 체결된 볼트(60)와 너트(61)를 약간만 풀어주어서 프레임측 고정편(31)을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느슨하게 한 후,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상부면(32)의 장공(33)의 범위내에서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상부면(32) 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너트(61)를 죄어주면 장착프레임(10)의 새로운 위치에 프레임측 고정편(31)이 고정된다. 장착되어야 할 디스플레이(11)는 제품마다 폭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1)의 폭에 맞게 프레임측 고정편(31)들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프레임측 고정편(3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이 고정된 위치를 변경시키려면, 프레임측 고정편(31)과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을 결합한 볼트(62)와 너트(63)를 약간만 풀어주어서 프레임측 고정편(31)과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결합을 느슨하게 만든 다음에,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새로운 위치에서 다시 볼트(62)와 너트(63)를 조여서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을 프레임측 고정편(31)에 고정시킨다. 장착되어야 할 디스플레이(11)는 제품마다 두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1)의 두께에 맞게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브래킷(30)을 구비한 디스플레이(11) 엘리베이션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11)의 후면 케이스(12)의 중앙부분이 장착프레임(10)에 나사고정된다. 2차적으로 장착프레임(10)에 형성되는 4개의 지지브래킷(30)에 의해 디스플레이(11)의 4개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들이 지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측 고정편(31)이 디스플레이(11)의 양측에 밀착하도록 프레임측 고정편(31)을 위치시킨 후에, 장착프레임(10)의 뒤쪽에서 너트(61)를 조여서 프레임측 고정편(31)을 장착프레임(10)에 고정한다. 그 결과 지지브래킷(30)의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수직면(34)이 디스플레이(11)에 대하여 'P1'의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는 장착프레임(10)에 수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된다.
프레임측 고정편(31)을 장착프레임(10)에 고정한 다음에는,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지지면(39)이 디스플레이(11)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밀착하여 디스플레이(11)를 장착프레임(10)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을 위치시킨 후, 볼트(62)와 너트(63)를 죄어서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을 프레임측 고정편(31)에 고정한다. 그 결과 장착프레임(10)의 4개 지점들에서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지지면(39)이 디스플레이(11)에 대하여 'P2'의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는 장착프레임(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된다.
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디스플레이(11)의 4개의 모서리들에 근접한 4개 지점에 지지브래킷(30)들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프레임측 고정편(31)들은 장착프레임(10)에 수평한 방향에서 디스플레이(11)에 밀착하여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하며, 디스플레이 지지편(36)들은 장착프레임(10)에 수직한 방향에서 디스플레이(11)에 밀착하여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한다.
따라서 장착프레임(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1)가 지면에 수평하게 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11)의 후면 케이스(12)의 나사고정과 더불어 지지브래킷(30)의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지지면(39)이 디스플레이(11)를 4개의 지점에서 떠받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1)의 하중을 견디는데 충분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1)가 아래로 떨어질 염려가 없다. 장착프레임(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1)가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는 후면 케이스(12)의 나사고정과 더불어 지지브래킷(30)의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수직면(34)이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후면 케이스(12)의 나사고정된 부분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의 4개의 모서리 부근에서 지지브래킷(30)들이 디스플레이(11)에 밀착하여 디스플레이(11)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장착프레임(10)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11)가 승·하강할 때에도 디스플레이(11)가 흔들리거나 진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의 후면 케이스(12)의 볼트에 결합된 부분이 진동에 의한 교번하중을 받지 않기 때문에, 후면 케이스(12)의 나사결합된 부분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다.
또한 후면 케이스의 중앙부분을 나사고정한 구조에서는, 나사들이 후면 케이스중에서 나사고정된 부분 주변의 좁은 면적만을 장착프레임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마찰력에 의한 전단방향으로의 결합강도가 크지 않다. 그러나 본 고안은 지지브래킷(30)이 디스플레이(11) 전체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구조이므로 나사고정된 부분의 주변뿐만 아니라 장착프레임(10)과 디스플레이(11)의 후면 케이스(12)가 맞닿게 되는 부분은 모두 서로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디스플레이(11)의 후면 케이스(12)와 장착프레임(10)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고정나사와 함께 디스플레이(11)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는 증가된 마찰력에 의해 디스플레이(11)를 지지하는 능력이 오직 나사고정만 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브래킷(30)은 프레임측 고정편(31)과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이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되어야 할 디스플레이(11)의 폭과 두께가 다르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며 지지브래킷(30)의 프레임측 고정편(31)과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위치를 조정하여 완벽한 지지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브래킷(30)의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상부면(32)에 장공을 형성하였지만 상부면(32)에 장공을 형성하는 대신에 장착프레임(10)에 장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프레임측 고정편(31)의 수직면(34)에 장공을 형성하는 대신에 디스플레이 지지편(36)의 체결면(37)에 장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지지브래킷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후면 케이스의 나사가 고정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4)

  1. 천정면보다 위로 들어간 내부공간을 갖는 상부보관부;
    상기 상부보관부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면에 패널형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상부보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동와이어통과공; 및
    상기 상부보관부의 상면의 위쪽에 형성되며 구동와이어가 감겨져 있고 모터가 내장된 작동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의 한쪽면에 나사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고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한 후면 케이스가 서로 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 지지브래킷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에 수평한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밀착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수직면을 가지며 상기 장착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레임측 고정편과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수직면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체결면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지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은 상기 수직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장착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은 상기 장착프레임의 상기 한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과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은 모두 90도로 꺾여진 판재구조이며,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에서 상기 장착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은 판재구조의 상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상부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수직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의 체결면에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사각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장착프레임에 수평 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은 각각 상기 프레임측 고정편의 상기 수직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저면의 일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편의 상기 지지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KR2020090002427U 2009-03-04 2009-03-04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KR200449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27U KR200449453Y1 (ko) 2009-03-04 2009-03-04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427U KR200449453Y1 (ko) 2009-03-04 2009-03-04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07U KR20090003707U (ko) 2009-04-21
KR200449453Y1 true KR200449453Y1 (ko) 2010-07-12

Family

ID=4128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427U KR200449453Y1 (ko) 2009-03-04 2009-03-04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5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198A (ko) * 2001-10-30 2003-05-09 최덕환 전시 및 포장 겸용 박스
KR200335198Y1 (ko) 2003-09-19 2003-12-03 리즈코리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20050081383A (ko) * 2004-02-13 2005-08-19 이성은 멀티비젼
KR100838946B1 (ko) 2007-04-27 2008-06-16 최준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천장 설치 시스템
KR100870955B1 (ko) 2007-10-15 2008-12-01 홍창표 매립형 영상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198A (ko) * 2001-10-30 2003-05-09 최덕환 전시 및 포장 겸용 박스
KR200335198Y1 (ko) 2003-09-19 2003-12-03 리즈코리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20050081383A (ko) * 2004-02-13 2005-08-19 이성은 멀티비젼
KR100838946B1 (ko) 2007-04-27 2008-06-16 최준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천장 설치 시스템
KR100870955B1 (ko) 2007-10-15 2008-12-01 홍창표 매립형 영상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07U (ko)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59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WO2020215290A1 (zh) 一种显示器安装装置
JP4745844B2 (ja) 吊りボルト振れ止め装置
JP6167512B2 (ja) 天井固定装置
KR200449453Y1 (ko)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장치
KR101170725B1 (ko) 도로명판 걸이구용 수평조절장치
KR100970845B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KR101383833B1 (ko) 방음판넬 조립장치
JP3675069B2 (ja) 平面表示装置
JP2009089025A (ja) テレビボード
JP2018031178A (ja) 野縁取付装置
JP2010267843A (ja) フレーム式キャビネット
JP3341862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の据付装置
CN210459669U (zh) 建筑幕墙安装固定支架
KR20090099290A (ko)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장치
KR20230070713A (ko) 벽걸이용 브라켓
JP3722184B2 (ja) 軒裏板の支持構造
JP5047119B2 (ja) ハンガバー保持装置
KR101225620B1 (ko) T자형 볼트가 연결된 좌우상하 조절형 문틀 고정장치
KR200489728Y1 (ko) 루프 팬 장치
JP3102924U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取り付け装置
JP2010267854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固定構造
JPH0233531Y2 (ko)
KR20080015296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170006405A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